KR20110133455A - 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 Google Patents

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455A
KR20110133455A KR20110054601A KR20110054601A KR20110133455A KR 20110133455 A KR20110133455 A KR 20110133455A KR 20110054601 A KR20110054601 A KR 20110054601A KR 20110054601 A KR20110054601 A KR 20110054601A KR 20110133455 A KR20110133455 A KR 20110133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opening
closing devi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54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3609B1 (en
Inventor
히로시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3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4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PURPOSE: A fuel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amount of components and assembling processes by properly arranging a lock unit and a pushup unit. CONSTITUTION: A fuel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10) comprises a lock unit(A) and a pushup unit(B). The lock unit is slid by a motor. A sliding support unit is slidably supports the lock unit. When a fuel lid(40) is closed, the lock unit locks the fuel lid. The pushup unit is formed to be contiguous to the lock unit and pushes the fuel lid through a push rod to open the fuel lid.

Description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Filling Reed Switch {FUEL LID OPENING / CLOSING DEVICE}

이 발명은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receptacle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which the locking means and the push-up means are appropriately arranged and modularized (one modular)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and to save space. .

종래에 급유 도어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급유 도어의 액츄에이터가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631877호 공보의 명세서 4란 1 ~ 26행, 도 1 ~ 도 3, 도 10 및 도 11 참조).An actuator of a refueling door is conventionally known for locking in a position where the refueling door is closed (see specification 4 in the US Patent No. 631877, lines 1 to 26, and Figs. 1 to 3, 10 and 11).

상기한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로크 암을 사용하고, 이 로크 암의 길이의 도중을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단부에는 급유 도어의 뒤쪽의 후크형상의 캐치에 끼워넣어지는 로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핀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 아우터 기어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아우터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핀을 중심으로 로크 암을 기울어져 움직이게 했다.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ctuator uses a lock arm, supports the middle of the lock arm so as to be rotatable by a pin, and has a lock portion at one end that is fitted to a hook-shaped catch at the rear of the oil supply door. . The pin is eccentrically formed in the outer gear driven by the motor, and the outer gear is rotated to tilt the lock arm around the pin.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631877호 공보Patent Document 1: US Patent No. 631877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로크기구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급유 도어를 손으로 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ctuator is provided with only a locking mechanism,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il supply door must be opened by hand.

본 출원인은 급유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시업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151050호).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push-up device for pushing the oil supply door in the opening direc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9-151050).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액츄에이터와,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푸시업장치를 급유 도어의 개폐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로크기구와 푸시업기구를 병설할 수 있는데, 이들 기구는 다른 부품이기 때문에 두 기구를 병설하면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Therefore, by including the conventional actuator and the push-up device proposed by the applicant in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lubrication door, the lock mechanism and the push-up mechanism can be added together, and since these mechanisms are different part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number of points and assembly processes will increase.

또한 두 기구는 다른 부품이기 때문에, 이들의 설치위치가 확보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since the two mechanisms are different parts,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are likely to be secured.

그러므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점에 있다.Therefore, each invention described in each claim is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which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has, and the objective is as follows.

(청구항 1)(Claim 1)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ims at the following points.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llows the locking means and the push-up means to be appropriately arranged and modularized (one-modular) so that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assembly steps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can be reduced.

(청구항 2)(Claim 2)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has the following purpose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described above.

즉,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부품점수의 저감 및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의 위치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improve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locking means and the push-up means.

(청구항 3)(Claim 3)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has the following purpose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described above.

즉,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int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the size.

(청구항 4)(Claim 4)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has the following purpose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above.

즉,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로크수단의 확실한 구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s intended to ensure reliable driving of the locking means.

(청구항 5)(Claim 5)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has the following purpose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즉,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푸시업수단의 푸시·푸시기구에 있어서의 로크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can improve the lock strength of the push-push mechanism of the push-up means.

(청구항 6)(Claim 6)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has the following purpose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즉,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is int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the size.

(청구항 7)(Claim 7)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has the following purpose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described above.

즉,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is int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the size.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도시한 발명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Each invention described in each claim is made in order to achieve each said objective, and it demonstrates below using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the figure.

또한 괄호 내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code | symbol in parentheses shows the code | symbol used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또한 도면번호도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도면번호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drawing number also shows the drawing number used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청구항 1)(Claim 1)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첫번째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10)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irst, the filling hole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is configured as follow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4.

(1) 로크수단(A)(1) Locking means (A)

로크수단(A)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측에 힌지부(30)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4, the locking means A is for locking in the position which closed the filling port lead 40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was possible through the hinge part 30 in the vehicle body side.

(2) 푸시업수단(B)(2) push-up means (B)

푸시업수단(B)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푸시기구의 푸시 로드(140)를 통해서 주유구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4, the push up means B pushes the filling port lead 40 to the opening direction via the push rod 140 of a push push mechanism.

두번째로, 로크수단(A)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업수단(B)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푸시업수단(B)을 밀어내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터(120)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이다.Secondly, the locking means A is formed adjacent to the push up means B, as shown in Figs. 1 to 4, for exampl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up means B are pushed. The slide is driven by the motor 120.

(청구항 2)(Claim 2)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described above.

즉, 로크수단(A)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101)와, 푸시업수단(B)을 유지하는 로드 유지부(102)를 일체로 예를 들어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형성하고 있다.That is, the slide support part 101 which slidably supports the lock means A, and the rod holding part 102 which hold the push up means B are integrally show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It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as well.

(청구항 3)(Claim 3)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described above.

즉, 하우징(100)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20)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103)를 형성하고 있다.That is, the motor holding part 103 which holds the motor 120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청구항 4)(Claim 4)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described above.

즉, 모터(120)의 웜 기어(131)에 맞물리는 톱니바퀴(132)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의 래크부(111)에 맞물려서 슬라이드 구동된다.That is, the cogwheel 132 which meshes with the worm gear 131 of the motor 120 engages with the rack part 111 of the locking means A, for example, and is slide-driven, as shown in FIG.

(청구항 5)(Claim 5)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즉, 푸시업수단(B)의 푸시·푸시기구는 예를 들어 도 24 ~ 도 26 및 도 32 ~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That is, the push-push mechanism of the push-up means B uses the rotary cam system as shown, for example in FIGS. 24-26 and 32-37.

(청구항 6)(Claim 6)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즉, 로크수단(A)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150)를 형성하고 있다.That is, in the locking means 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manual operation unit 150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A is formed.

(청구항 7)(Claim 7)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described above.

즉, 로크수단(A)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That is, in the locking means 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manual operation unit 150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A is form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Since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effect as described below is achieved.

(청구항 1)(Claim 1)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1 모듈화(원·모듈화)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locking means and the push-up means are appropriately arranged and modularized (one-modular), whereby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assembly steps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can be reduced.

(청구항 2)(Claim 2)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described above.

즉,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부품점수의 저감 및 로크수단과 푸시업수단의 위치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to improve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locking means and the push-up means.

(청구항 3)(Claim 3)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described above.

즉,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size can be reduced.

(청구항 4)(Claim 4)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above.

즉,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로크수단의 확실한 구동을 도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the driving of the locking means can be ensured.

(청구항 5)(Claim 5)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즉,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푸시업수단의 푸시·푸시기구에 있어서의 로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lock strength in the push / push mechanism of the push-up means can be improved.

(청구항 6)(Claim 6)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즉,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downsized.

(청구항 7)(Claim 7)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즉,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부품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downsized.

도 1은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 2는 급유구의 주위를 옆에서 본 개략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급유구의 개구 측으로부터 본 개략 설명도
도 4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의 우측면도
도 8은 하우징의 한쪽의 일측 케이스의 외측면도
도 9는 도 8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정면도
도 11은 하우징의 다른쪽의 일측 케이스의 내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정면도
도 14는 톱니바퀴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톱니바퀴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톱니바퀴의 측면도
도 17은 스토퍼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스토퍼의 저면도
도 19는 도 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스토퍼의 측면도
도 20은 푸시 로드의 단면도
도 21은 푸시 로드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로드와 회전자를 조립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로드, 회전자 및 슬리브를 조립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로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5는 도 2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로드를 밀어넣은 상태의 설명도
도 26은 도 2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로크기구의 로크상태의 설명도
도 27은 케이스의 측면도
도 28은 도 2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9는 캡의 측면도
도 30은 캡의 다른 측면에서 본 것으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31은 캡의 저면도
도 32는 도 3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33은 로드의 측면도
도 34는 로드의 저면도
도 35는 회전자의 측면도
도 36은 회전자의 평면도
도 37은 회전자의 단면도
도 38은 슬리브의 측면도
도 39는 슬리브의 단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filling hole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a circumference of an oil inlet viewed from the side;
FIG. 3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corresponding to FIG. 2 and seen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oil inlet. FIG.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ling opening lead opening device
FIG. 5 corresponds to FIG. 1 and is a plan view of the oil filling hole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the filling hole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rresponding to FIG. 1.
FIG. 7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and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illing hole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IG.
8 is an outer side view of one side case of the housing;
FIG. 9 corresponds to FIG. 8 and is a plan view of the case
FIG. 10 corresponds to FIG. 8, wherein a front view of the case
11 is an inner side view of one case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FIG. 12 corresponds to FIG. 11 and is a plan view of the case
FIG. 13 corresponds to FIG. 11, wherein a front view of the case
14 is a front view of a cog wheel
FIG. 15 corresponds to FIG. 14, wherein a top view of a cog wheel
16 is a side view of the cog wheel, corresponding to FIG.
17 is a front view of the stopper;
18 is a bottom view of the stopper, corresponding to FIG. 17.
19 is a side view of the stopper, corresponding to FIG. 17.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rod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 rod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ssembly of a rod and a rotor;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od, rotor and sleeve
2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2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rod is pushed in, corresponding to FIG. 24.
FIG. 26 corresponds to FIG. 24 and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FIG.
27 is a side view of the case
2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7.
29 is a side view of the cap
Fig. 30 is a side view of the cap as seen from another side of the cap;
31 is a bottom view of the cap
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0.
33 is a side view of the rod
34 is a bottom view of the rod
35 is a side view of the rotor
36 is a plan view of the rotor
37 is a sectional view of the rotor
38 is a side view of the sleeve
3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eeve

도 1에서, 도면부호 10은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이하 "개폐장치"라고도 한다)를 도시하는 것이다. 개폐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도시하지 않음)의 급유구(20)에 힌지부(30)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40)(이하 "리드"라고도 한다)에 설치된 것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filling hole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includes an oil filling hole lead 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d”) installed in the oil supply opening 20 of the vehicle body (not shown) via the hinge portion 30. "Also known as").

개폐장치(10)는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A)과 이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업수단(B)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is largely divided into a locking means A for locking the lid 40 in the closed position and a push to push the lid 40 in the opening direction. An up means B is provided.

리드(40)의 후면에는 로크수단(A), 즉 로크부재(110)가 출입 가능한 후크형상의 걸림부(41)를 형성하고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lid 40, a locking means A, i.e., a hook-shaped locking portion 41 to which the lock member 110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구체적으로 개폐장치(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다음과 같은 부품을 구비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which are largely classified.

또한 다음의 (1) ~ (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following (1)-(6) is mentioned later.

(1) 하우징(100)(1) housing (100)

(2) 로크부재(110)(2) lock member (110)

(3) 모터(120)(3) motor 120

(4) 구동력전달기구(130)(4)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5) 푸시 로드(140)(5) push rod (140)

(6) 수동조작부(150)(6) Manual Control Unit (150)

또한 개폐장치(10)의 부품은 상기한 (1) ~ (6)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arts of the switchgear 10 are not limited to said (1)-(6).

(로크수단(A))(Lock means (A))

로크수단(A)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것이며, 하우징(100)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locking means A is for locking the lid 40 in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s. 1 to 4 and is included in the housing 100.

구체적으로 로크수단(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 외에, 후술하는 로크부재(110), 모터(120), 구동력전달기구(130), 수동조작부(150)로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means (A) is composed of a locking member (110), a motor (120),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and a manual operation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

(푸시업수단(B))(Push-up means (B))

푸시업수단(B)은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며, 하우징(1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푸시업수단(B)과 로크수단(A)은 하우징(10) 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크수단(A)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업수단(B)을 밀어내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술하는 모터(120)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ush-up means B pushes the lid 40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is included in the housing 100. The push up means B and the lock means A are formed adjacent to the housing 1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means A is slide-driven by the motor 120 mentioned later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which pushes out the push-up means B. As shown in FIG.

(하우징(100))(Housing (100))

하우징(10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 및 푸시업수단(B)을 포함하는 것이며, 급유구(20)에 인접한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4, the housing 100 includes a lock means A and a push up means B, and is fix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djacent to the oil inlet 20.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도 4 및 도 8 ~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스(100a,100b)로 분할된다.Specifically, the housing 100 is divided into two cases 100a and 100b, as shown in Figs. 4 and 8 to 13.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를 구비한다.Moreover, inside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4, FIG. 10, and FIG. 11, each part is provided as follows.

(1) 슬라이드 지지부(101)(1) slide support 101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 즉 후술하는 로크부재(11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각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nd FIG. 11, the slide support part 101 slidably supports the lock means A, ie, the lock member 110 mentioned later. Specifically, the slide support portion 101 is formed in a square cylinder shape, the end of which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2) 로드 유지부(102)(2) rod holding part (102)

로드 유지부(102)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업수단(B)을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로드 유지부(10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로드 유지부(102)와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양쪽의 개구가 대략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위치하고, 하우징(100)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로드 유지부(102)는 2개의 케이스(100a,100b) 중 한쪽의 케이스(100a) 측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지지부(101)는 주로 다른 쪽의 케이스(100b) 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rod holding unit 102 holds the push up means B as shown in FIGS. 4 and 10. Specifically, the rod holding portion 10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end of which is ope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rod holding part 102 and the slide support part 101 are located so that the openings of both sides may open in a substantially orthogonal direction, and they are mutually shif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rod holding part 102 is formed in the case 100a side of one of the two cases 100a and 100b, and the slide support part 101 is mainly formed in the other case 100b side.

(3) 모터 유지부(103)(3) motor holding part (103)

모터 유지부(103)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motor holding part 103 is for holding the motor 120 as shown to FIG. 4 and FIG.

(4) 베어링부(104)(4) bearing section 104

베어링부(104)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력전달기구(130)의 후술하는 톱니바퀴(132)의 톱니바퀴축(13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bearing part 104 i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gearwheel shaft 132a of the gearwheel 132 mentioned later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as shown in FIG.

(로크부재(110))(Lock member 110)

로크부재(1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 지지부(101)의 개구로부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로크부재(110)의 기단부에 래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부(111)는 후술하는 구동력전달기구(130)의 일부를 구성하고, 모터(120)의 구동력을 로크부재(1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lock member 110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slide support 101 of the housing 100, and the tip thereof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from the opening of the slide support 101. Will be. The rack portion 111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lock member 110. The rack 111 constitutes a par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20 to the lock member 110.

로크부재(110)는 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하우징(100)의 외측을 향해서 슬라이드하면서 돌출되고, 그 최대돌출위치에 있어서, 닫은 리드(4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걸림부(41)에 돌입하고, 이 리드(40)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한다.The locking member 110 protrudes while sli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20, and at the maximum protruding position, the hook-shaped locking portion 4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d 40 is closed. ), And lock this lid 40 in the closed position.

(모터(120))(Motor (120))

모터(1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1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하우징(100)의 모터 유지부(103)에 유지된다.The motor 120 is for driving the lock member 110 as shown in FIG. 4, and is held by the motor holding part 103 of the housing 100.

(구동력전달기구(130))(Driv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130)

구동력전달기구(1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로크부재(110)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is for sliding the lock member 110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20 into linear motion.

구체적으로 구동력전달기구(1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10)의 래크부(111) 외에 다음과 같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rack 111 of the lock member 110.

(1) 웜 기어(131)(1) Worm Gear (131)

웜 기어(13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0)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톱니바퀴(132)와 맞물려 있다.The worm gear 131 is fix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120 as shown in FIG. 4, and meshes with the gear 132 described later.

(2) 톱니바퀴(132)(2) gear (132)

톱니바퀴(132)는 도 4,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톱니바퀴축(132a)이 하우징(100)의 베어링부(1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축의 크고 작은 2개의 톱니바퀴부(132b, 132c)로 구성되어 있다. 크고 작은 2개의 톱니바퀴부(132b,132c) 중 큰 톱니바퀴부(132b)는 웜 기어(131)와 맞물려 있다. 크고 작은 2개의 톱니바퀴부(132b,132c) 중 작은 톱니바퀴부(132c)는 로크부재(110)의 래크부(111)와 맞물려 있다.As shown in Figs. 4, 15, and 16, the cog wheel 13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portion 104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axial big and small 2 It consists of two gear parts 132b and 132c. Among the two large and small cogwheel parts 132b and 132c, the large cogwheel part 132b is engaged with the worm gear 131. Among the two large and small cogwheel parts 132b and 132c, the small cogwheel part 132c is engaged with the rack part 111 of the lock member 110.

또한 큰 톱니바퀴부(132b)에는 도 14~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 톱니바퀴부(132c)가 돌출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 회전각도규제부(132d)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4-16, the big gear | wheel part 132b has formed the rotation angle control part 132d i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which the small gear | wheel part 132c protrudes.

회전각도규제부(132d)는 후술하는 스토퍼(133)에 맞닿고, 톱니바퀴(132)의 회전각도범위를 규제함으로써 로크부재(110)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ortion 132d abuts against the stopper 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regulates the slide range of the lock member 110 by regulating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gear 132.

(3) 스토퍼(133)(3) stopper (133)

스토퍼(133)는 도 4 및 도 17 ~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니바퀴(132)의 회전각도규제부(132d)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00) 내에 고정되고, 이 회전각도규제부(132d)와 공동으로 작동하여 최종적으로는 로크부재(110)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4 and 17 to 19, the stopper 133 is fixed in the housing 100 so as to face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ortion 132d of the gear 132, and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ortion 132d. In order to operate jointly with the final) to limit the slide range of the lock member (110).

(푸시로드(140))(Push road 140)

푸시로드(14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로드 유지부(102)에 유지되고, 그 선단부가 로드 유지부(102)의 개구로부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The push rod 140 is held by the rod holding part 102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1-4, and the front end par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from the opening of the rod holding part 102. FIG. Will be.

푸시로드(140)에는 푸시·푸시기구가 내장되고, 이것이 리드(4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낸다. 푸시·푸시기구는 푸시 로드(140)를 단축상태에서 로크하고,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밀어넣어지면 로크상태를 해제하여 푸시로드(14)를 신장시키며, 반대로 신장상태에 있어서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밀어넣어지면 푸시로드(14)를 단축상태에서 로크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회전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The push rod 140 has a push / push mechanism, which pushes the lid 40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push / push mechanism locks the push rod 140 in the shortened state, and when the tip portion of the push rod 140 is pushed in, the lock state is released to extend the push rod 14. When the tip of the 140 is pushed in, the push rod 14 is locked in a shortened state, and a rotary cam method is used, for example.

또한 푸시·푸시기구의 구조를 비롯한 푸시로드(140)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특허출원(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151050호)에 기재했으나, 그들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0 이후를 사용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ush rod 140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push / push mechanism i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prior pat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9-151050), but the structure thereof is used after FIG. 20 and later. Will be described later.

(수동조작부(150))(Manual operation part 150)

수동조작부(15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manual operation unit 150 is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A).

구체적으로 수동조작부(150)의 일단부는 로크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manual manipula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lock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수동조작부(150)를 당기면 로크부재(110)가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 내에서 후퇴하고, 그 선단부의 돌출길이가 단축된다. 그렇기 때문에, 로크부재(110)의 선단부가, 닫은 리드(4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걸림부(41)에 돌입했을 경우에는 이 걸림부(41)로부터 당겨져서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Pulling the manual operation unit 150, the lock member 110 is retracted in the slide support portion 101 of the housing 100,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tip portion is shortened. Therefore, when the tip of the lock member 110 enters the hook-shaped locking portion 4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osed lid 40, it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portion 41 to lock the locking means A. You can release the state.

(동작의 설명)(Explanation of the action)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개폐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gea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시하지 않으나, 닫은 리드(40)가 로크수단(A)에 의해 닫힘위치에서 로크된 상태에서 모터(120)가 구동되면, 구동력전달기구(130)를 통해서 로크부재(110)가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 내에서 후퇴한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motor 120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closed lid 40 is locked in the closed position by the locking means A, the lock member 110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It retracts in the slide support part 101 of this.

그렇기 때문에, 닫은 리드(4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걸림부(41)에 돌입하고 있던 로크부재(110)의 선단부가 이 걸림부(41)로부터 당겨져서 로크수단(A)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For this reason, the tip of the locking member 110, which has entered the hook-shaped locking portion 4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osed lid 40,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portion 41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A is secured. Is released.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 리드(40)를 밀어넣으면 그 후면에 의해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밀려서 푸시·푸시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In the unlocked state, when the lid 40 is pushed in,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140 is pushed by the rear surface thereof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push / push mechanism.

그렇기 때문에, 단축상태에서 로크되어 있던 푸시로드(140)가 신장되어, 그 선단부에 의해 닫힌 리드(40)의 후면을 밀어올린다.For this reason, the push rod 140, which has been locked in the shortened state, is extended to push the rear surface of the lid 40 closed by the tip portion thereof.

이때 리드(40)가 약간 밀려서 열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려서 열린 리드(40)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d 40 is slightly pushed open, and the lead 40 pushed open as shown in FIGS. 2 and 3 can be manually opened.

한편, 열린 리드(40)를 닫으면, 그 후면에 의해 푸시로드(140)의 선단부가 눌러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 lid 40 is closed, the tip of the push rod 140 is pressed by the rear surface.

그렇기 때문에 신장상태의 푸시로드(140)가 단축되고, 이때 푸시·푸시기구가 작동되어 푸시로드(140)를 단축상태에서 로크한다.Therefore, the push rod 140 in the extended state is shortened, and at this time, the push and push mechanism is operated to lock the push rod 140 in the shortened state.

그 후 모터(120)가 구동되면, 구동력전달기구(130)를 통해서 로크부재(110)가 하우징(100)의 슬라이드 지지부(101) 내에서 전진한다.After that, when the motor 120 is driven, the lock member 110 is advanced in the slide support 101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130.

그렇기 때문에, 로크부재(110)의 선단부가 리드(40)의 후면의 걸림부(41)에 돌입하고, 리드(40)는 닫은 상태에서 로크된다.For this reason, the tip of the lock member 110 enters the locking portion 41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d 40, and the lid 40 is locked in the closed state.

(푸시로드(140)의 구조)(Structure of Push Rod 140)

푸시로드(140)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1, the push rod 140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또한 다음의 (1) ~ (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following (1)-(7) is mentioned later.

(1) 로드 케이스(200)(1) load case (200)

(2) 캡(210)(2) cap (210)

(3) 로드 본체(220)(3) rod body 220

(4) 회전자(230)(4) rotor (230)

(5) 슬리브(240)(5) sleeve (240)

(6) 스프링(250)(6) spring (250)

(7) 부츠(260)(7) boots (260)

또한 푸시로드(140)의 부품은 상기한 (1) ~ (7)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art of the push rod 140 is not limited to said (1)-(7).

(로드 케이스(200))(Road case 200)

로드 케이스(20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로드 유지부(102)에 유지되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rod case 200 is hold | maintained by the rod holding part 102 of the housing | casing 100, as shown in FIG. 4,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로드 케이스(20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막혀져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7 and 28, the rod case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the bottom surface is blocked.

로드 케이스(200)에는 그 개구 상부에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플랜지부(201)를 형성하고 있다.The rod case 200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201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bove the opening.

플랜지부(20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부츠(260)를 설치하는 환형의 설치 오목부(202)를 형성하고 있다.On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201, an annular mounting recess 202 is provided which mounts the boots 260 described later.

또한 플랜지부(201)의 하측에는 로드 케이스(200)의 외주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탄성돌조부(203)를 형성하고 있다.Further,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20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203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d case 200, for example, three.

(캡(210))(Cap 210)

캡(21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의 개구 상면에 설치되어, 이 개구 상면을 막는 것이다.The cap 210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rod case 200, as shown in FIG. 20,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is opening.

구체적으로 캡(210)에는 도 29 ~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면 로드 케이스(200)의 개구 상면보다 한층 더 큰 덮개부(211)와, 이 덮개부(211)의 하면으로부터 한층 더 가늘어져서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원통부(212)를 구비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9 to 32, the cap 210 further includes a lid portion 211 that is larg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rod case 200, and one lay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portion 211. It has a cylindrical portion 212 that is thinner and extends in a cylindrical shape.

덮개부(211)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원형의 관통구멍(213)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구멍(213)에는 후술하는 로드 본체(220)가 끼워져서 통하게 된다.31 and 32, a circular through hole 213 penetrates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211. As shown in FIG. The rod body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3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213.

원통부(212)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를 로드 케이스(200)의 내경 이하로 설정하고, 로드 케이스(200)내에 삽입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cylindrical part 212 sets the outer periphery below the inner diameter of the rod case 200, and is inserted in the rod case 200. As shown in FIG.

원통부(212)의 외주에는 도 29 ~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부(214)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로드 케이스(200)의 설치 오목부(202)에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돌조부(214)가 끼워넣어지는 내외로 관통하는 걸림구멍(204)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9-31,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art 212 is provided with the latching projection part 214 which radially protrudes several pieces, for example, three. In contrast, as shown in FIGS. 27 and 28, the mounting recess 202 of the rod case 2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hole 204 that penetrates into and out of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14 is fitted.

원통부(212)를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의 개구 상면에 맞추어서 끼워넣으면, 걸림돌조부(214)가 일단 당겨지고, 그 후에 걸림구멍(204)에 탄성적으로 끼워넣어짐으로써 로드 케이스(200)에 캡(210)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0, when the cylindrical portion 212 is f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rod case 200, the locking protrusion 214 is pulled out once, and then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204. The cap 210 is fixed to the rod case 200 by being loaded.

한편, 원통부(212)의 내주면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12)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홈(215)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홈(215)은 로드 본체(220)를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12 is formed with a slide groove 215 recess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12. The slide groove 215 is for keeping the rod body 220 slidable and non-rotatable.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홈(215)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막혀져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1 and 32,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215 are formed radially, for example, the upper end is blocked, and the lower end is open.

또한 슬라이드 홈(215)의 하측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12)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로크 홈(216)을 형성하고 있다. 로크 홈(216)은 후술하는 회전자(230)를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31 and 32, the lock groove 216 is formed concavely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12. As shown in FIG. The lock groove 216 is for rotatably locking the rotor 230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로크 홈(216)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슬라이드 홈(215)의 간격 내에 형성되고, 원통부(212)의 내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1 and 32, the lock groove 216 is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lide grooves 215, and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12. As shown in Figs.

즉, 로크 홈(216)은 도 24 ~ 도 26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슬라이드 홈(215)을 기준으로 하여 이 슬라이드 홈(215)으로부터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회전방향(도 24~26에서 화살표 X)의 전방으로 향하고, 상방을 향해서 경사진 제 1 경사면부(216a)와, 이 제 1 경사면부(216a)의 경사 상단부, 즉 회전자(230)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끼워넣어지는 로크부(216b)와, 이 로크부(216b)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솟아 있는 수직부(216c)와, 이 수직부(216c)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경사지고, 경사 상단부가 회전자(230)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1개의 슬라이드 홈(215)에 면하는 제 2 경사면부(216d)를 구비한다.That is, the lock groove 216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or 230 described later from this slide groove 215 on the basis of one slide groove 215, as shown in Figs.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facing forward and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arrow X in FIGS. 24 to 26 and the inclined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that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or 230. The lock part 216b which is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233 of the rotor 230 mentioned later is fitted, and the vertical part 216c which rises downward from this lock part 216b, and this perpendicular | vertical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16d is inclin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216c, and the inclined upper end portion faces another slide groove 215 located in front of the rotor 23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

제 1 경사면부(216a)의 경사 하단부, 즉 회전자(230)의 회전방향의 후방은 1개의 슬라이드 홈(215)에 면하고 있다. 또한 제 1 경사면부(216a)와 제 2 경사면부(216d)의 경사각도는 일치시키고 있다.The inclined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that is, the rear of the rotor 23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faces one slide groove 215. Incidentally,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16d coincide with each other.

(로드 본체(220))(Rod body 220)

로드 본체(22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이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어 리드(40)를 밀어올리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0, the rod main body 220 is slidably held in the rod case 200 and protrudes from the rod case 200 to push up the lid 40.

구체적으로 로드 본체(220)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크게 구별하면 축방향의 도중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캠부(221)와, 캠부(221)의 상측에 위치하고,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어 리드(40)를 밀어내는 상측 로드부(222)와, 캠부(221)의 하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스프링(250)이 끼워져서 통하게 되는 하측 로드부(223)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rod main body 220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as shown in FIGS. 33 and 34, and when largely distinguished,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am part 221 and the cam part 221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d case 200 and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rod case 200 to push the lid 40 and the lower side of the cam portion 221, and the spring 2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through. The lower rod part 223 is provided.

캠부(221)의 하면에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가동측 캠면(232)과 맞물리는 고정측 캠(22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캠(224)은 캠부(221)의 하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둔각의 파도형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33 and 34, a fixed side cam 224 meshing with the movable side cam surface 232 of the rotor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 portion 221. The fixed side cam 224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m part 221,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btuse wave-shaped tooth.

캠부(221)의 외주에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돌기(225)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0)의 슬라이드 홈(215)에 끼워맞춰지고, 이 슬라이드 홈(215)을 따라서 승강함으로써 로드 본체(220)는 캡(21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된다.33 and 34,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225 protruding radially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m portion 221. As shown in FIG. 20, the slide projection 225 fits into the slide groove 215 of the cap 210, and the rod main body 220 moves into the cap 210 by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slide groove 215. It remains slidable and non-rotable.

상측 로드부(222)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부츠(260)를 설치하는 환형 홈(226)을 형성하고 있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rod portion 222 is formed with an annular groove 226 for installing a boot 260 to be described later.

하측 로드부(223)의 하단부에는 도 23 및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슬리브(240)의 직경감소부(243)가 끼워넣어지는 잘록한 부분(227)을 형성하고 있다.23 and 33, a concave portion 227 into which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243 of the sleeve 240 to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rod portion 223.

구체적으로 잘록한 부분(227)의 높이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감소부(243)의 상하방향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잘록한 부분(227)에 직경감소부(243)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잘록한 부분(227)의 높이방향으로 클리어런스(C)가 발생한다. 직경감소부(243)는 잘록한 부분(227)의 클리어런스(C)만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concave portion 227 is set high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243, as shown in FIG. 20. Therefore, the clearance C aris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stricted portion 227 in the state where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243 is fitted in the constricted portion 227.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243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clearance C of the concave portion 227.

클리어런스(C)의 양은 후술하는 회전자(230)의 가동측 캠(232)이 캠부(221)의 고정측 캠(242)과 맞물린 제 1 높이위치와, 고정측 캠(224)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높이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회전자(230)의 승강량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0.4㎜"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mount of clearance C is a first height position where the movable side cam 232 of the rotor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with the fixed side cam 242 of the cam portion 221 and the fixed side cam 224. It is set according to the lifting amount of the rotor 230 lifting up and down between two height posi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0.4 mm" is set, but the numerical value is not limited thereto.

(회전자(230))(Rotor 230)

회전자(230)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223)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2, the rotor 2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ower rod portion 223 and slidably in the axial direction.

구체적으로 회전자(230)는 도 35 ~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너츠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며, 하측 로드부(223)에 끼워져서 통하게 되는 중심구멍(231)과, 상면에 형성되고, 캠부(221)의 고정측 캠(224)에 맞물림과 동시에 로드 본체(220)의 슬라이드에 의해 분리되고, 한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측 캠(232)을 구비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5 to 37, the rotor 230 is formed in a donut shape, penetrated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and inserted into the lower rod part 223 to communicate with the center hole 231. It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engaged by the fixed side cam 224 of the cam part 221, and is separated by the slide of the rod main body 220, and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side cam 232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of one direction.

가동측 캠(232)은 고정측 캠(224)과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고, 회전자(230)의 상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둔각의 파도형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side cam 232 forms a complementary shape with the fixed side cam 224,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or 230,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btuse wave-shaped tooth.

가동측 캠(232)의 외주에는 도 35 ~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예를 들어 3개가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기(233)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5-37, the engaging protrusion 233 which radially protrudes several, for example, thre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vable side cam 232. As shown to FIG.

걸어맞춤 돌기(233)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0)의 로크 홈(216)의 로크부(216b)에 끼워넣어지는 것이며, 상면에 사면을 갖는 평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사다리꼴의 사면은 로크 홈(216)의 제1, 제 2 경사면부(216a, 216d)의 경사각도와 일치시키고 있다.As shown in FIG. 26, the engagement protrusion 233 is fitted in the lock part 216b of the lock groove 216 of the cap 210, and is formed in planar trapezoid which has a slope in the upper surface. The trapezoidal slopes coincide with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s 216a and 216d of the lock groove 216.

또한 걸어맞춤 돌기(233)의 좌우방향의 가로폭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0)의 슬라이드 홈(215)의 좌우 홈 폭 이하로 설정하고, 슬라이드 홈(215)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233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set to below the left-right groove width of the slide groove 215 of the cap 210, and the slide groove 215 is slidable as shown in FIG. Doing.

한편, 걸어맞춤 돌기(233)는 캡(210)의 로크 홈(216)과 함께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로크 기구는 도 24 ~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와 로드 본체(220) 사이에 위치하고, 스프링(260)(편향수단)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로드 본체(220)를 로드 케이스(200)의 후퇴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rojection 233 together with the lock groove 216 of the cap 210 constitutes a lock mechanism. The locking mechanism is located between the rod case 200 and the rod main body 220, as shown in FIGS. 24 to 26, and loads the rod main body 220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260 (deflection means). It is for locking in the retracted position of the case 200.

또한 로크기구를 걸어맞춤 돌기(233)와 로크 홈(216)으로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 및 슬라이드 돌기(225), 캡(210)의 슬라이드 홈(215) 등도 로크기구의 한 구성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ck mechanism was compris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233 and the lock groove 216,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is embodiment, the cam part 221, the slide protrusion 225, and the cap 210 of the rod main body 220 are carried out. The slide groove 215 and the like also function as one component of the lock mechanism.

(슬리브(240))(Sleeve (240))

슬리브(240)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223)에 끼워져서 통하게 되고, 회전자(230)와 후술하는 스프링(250)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로드 본체(220)가 단축된 로크위치에서 이 로드 본체(220)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며, 즉 고정측 캠(224)과 가동측 캠(232)이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측 캠(224)과 가동측 캠(232)이 이격되는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로드 본체(2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leeve 24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rod portion 223 as shown in FIG. 23, and positioned between the rotor 230 and the spring 250 described later, and the rod main body 220 is shortened. In the locked position, the rod body 220 is restricted in the sliding direction, that is, the fixed side cam 224 and the movable side cam 232 are engaged with the fixed side cam 224 and the movable side cam 232. ) Is to prevent the rod main body 220 from being shaken in the spaced apart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슬리브(240)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sleeve 240 is provided with each of the following parts as shown in FIG. 38 and FIG.

(1) 슬리브 본체(241)(1) sleeve body 241

슬리브 본체(241)는 도 23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로드부(223)에 끼워져서 통하게 되는 것이며,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and 39, the sleeve main body 241 is inserted into the lower rod portion 223 to pass through,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2) 돌출부(242)(2) protrusion 242

돌출부(242)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자(230)과 맞닿는 슬리브 본체(24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38 and 39, the protrusion 242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body 241 in contact with the rotor 230, and protrudes annularly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3) 직경감소부(243)(3) Diameter reducing part (243)

직경감소부(243)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와 반대측의 슬리브 본체(241)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것이다.39, the diameter reducing part 243 is locat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sleeve main body 241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pper end part, and protrudes in an annular direction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4) 슬릿(244)(4) Slit (244)

슬릿(244)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241)의 하단부를 복수, 예를 들어 두개로 나누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8 and FIG. 39, the slit 244 is for dividing the lower end part of the sleeve main body 241 into two or more, for example.

구체적으로 슬릿(244)은 슬리브 본체(241)의 직경방향으로 한쌍 형성되고, 슬리브 본체(241)의 하측의 단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 pair of slits 244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leeve main body 241, and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face of the sleeve main body 241 to the middle toward the upper side.

또한 슬릿(244)을 예를 들어 한쌍으로 형성했으나, 3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lits 244 are formed in pairs, for example, three or more slits may be formed.

(스프링(250))(Spring (250))

스프링(25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와 로드 본체(220) 사이에 위치하고, 로드 본체(220)를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며, 편향수단으로서 기능한다.As shown in FIG. 20, the spring 250 is positioned between the rod case 200 and the rod body 220, and is configured to deflect the rod body 220 toward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rod case 200. Function as a deflection means.

구체적으로 스프링(25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본체(220)의 하측 로드부(223)에 회전자(230) 및 슬리브(240)를 끼워서 통하게 한 상태에서 이 슬리브(240)에 끼워져서 통하게 된다. 스프링(250)은 슬리브(240)의 돌출부(242)와 로드 케이스(200)의 바닥 사이에서 압축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0, the spring 250 is connected to the sleeve 240 in a state in which the rotor 230 and the sleeve 240 are inserted into the lower rod portion 223 of the rod main body 220. It is inserted and communicates. The spring 250 is compressed between the protrusion 242 of the sleeve 240 and the bottom of the rod case 200.

(부츠(260))(Boots (260))

부츠(26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케이스(200)로부터 돌출되는 상측 로드부(222)를 덮는 신축 가능한 것이며, 로드 케이스(200)의 플랜지부(201)에 설치된다.The boots 260 are stretchable to cover the upper rod portion 222 protruding from the rod case 200, as shown in FIGS. 20 and 21, and are installed on the flange portion 201 of the rod case 200. .

구체적으로 부츠(26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주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주머니형상으로 닫혀져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boot 260 is formed in a hollow pleat with a lower surface open, and the upper end is closed in a bag shape.

부츠(260)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 돌기(261)를 형성하고 있다. 환형 돌기(261)는 로드 본체(220)의 환형 홈(226)에 끼워넣어진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ot 260, as shown in Fig. 20, an annular projection 261 protruding annularly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The annular projection 261 is fitted into the annular groove 226 of the rod main body 220.

부츠(260)의 개구 하면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 볼록부(262)를 형성하고 있다. 환형 볼록부(262)는 로드 케이스(200)의 플랜지부(201)의 환형 오목부(202)에 끼워넣어지고, 부츠(260)가 로드 케이스(200)에 대해서 고정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boot 260 is formed with an annular convex portion 262 protruding in an annular direction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nnular convex portion 262 is fitted into the annular recess 202 of the flange portion 201 of the rod case 200, and the boot 260 is fixed to the rod case 200.

(푸시 로드(140)의 동작)(Operation of the push rod 140)

다음에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푸시 로드(1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푸시 로드(14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그 로드 케이스(200)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로드 유지부(102)에 맞추어서 끼워넣음으로써 하우징(100)에 대해서 고정된다.Push rod 140 is assembled as shown in FIG. 20, the housing case 100 by fitting the rod case 200 in accordance with the rod holding portion 102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Is fixed relative to).

리드(40)가 닫힌 상태에서는 푸시 로드(140)는 로드 본체(220)가 단축된 로크상태에서 로크되어 있다(도 26 참조).In the state in which the lid 40 is closed, the push rod 140 is locked in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rod main body 220 is shortened (see FIG. 26).

리드(40)를 밀어넣으면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 밀어넣어져서 로크상태가 해제되고,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부터 돌출되어 리드(40)를 밀어서 연다.When the lid 40 is pushed in, the rod body 220 is pushed into the rod case 200 to release the locked state, and the rod body 220 is pushed out of the rod case 200 by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50. It protrudes and pushes the lid 40 open.

그렇기 때문에 밀어서 열린 리드(40)를 손으로 쉽게 열 수 있다.Therefore, the lid 40 can be easily opened by hand by pushing.

한편, 연 리드(40)를 손으로 닫으면,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를 향해서 밀어넣어져서 단축된 로크상태에서 로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d lead 40 is closed by hand, the rod main body 220 is pushed toward the rod case 200 and locked in the shortened lock state.

(로크기구의 동작)(Operation of lock mechanism)

로크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로드 본체(220)가 단축된 로크상태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캡(210)의 로크 홈(216)과 걸어맞춰지고, 로크부(216b)에 끼워넣어져 있다.In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rod main body 220 is shortened, as shown in FIG. 26, the engaging protrusion 233 of the rotor 230 is engaged with the lock groove 216 of the cap 210, and the lock portion ( 216b).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 밀어넣어지면, 도시하지 않으나,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에 밀려서 회전자(230)가 하강한다.When the rod body 220 is pushed into the rod case 200, although not shown, the rotor 230 is pushed down by being pushed by the cam portion 221 of the rod body 220.

그렇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으나,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캡(210)의 로크부(216b)로부터 분리된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engaging projection 233 of the rotor 230 is separated from the lock portion 216b of the cap 210.

이때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의 고정측 캠(224)과 회전자(230)의 가동측 캠(232)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도 26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회전자(230)가 회전한다.At this time, the engagement of the fixed side cam 224 of the cam portion 221 of the rod main body 220 and the movable side cam 232 of the rotor 230 is released, and the rotor 230 in the direction of arrow X in FIG. Rotates.

이어서, 로드 본체(220)를 밀어넣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자(230)가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밀어올려진다.Subsequently, when the force for pushing the rod main body 220 is released, the rotor 230 is pushed up by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50.

이때,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도시하지 않으나 캡(210)의 제 2 경사면부(216d)에 맞닿는다. 그렇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233)는 제 2 경사면부(216d)에 미끄러지듯이 접하면서 상승하고, 제 2 경사면부(216d)의 사면 상단부로부터 슬라이드 홈(215)에 끼워넣어진다(도 24 참조).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233 of the rotor 230 is not shown but abuts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16d of the cap 210. For this reason, the engaging projection 233 is raised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16d, and is fitted into the slide groove 215 from the upper end of the slop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16d (see Fig. 24). .

슬라이드 홈(215)에 끼워넣어지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233)는 슬라이드 홈(215)을 따라서 상승 가능하게 된다.When it fits in the slide groove 215, as shown in FIG. 24, the engagement protrusion 233 becomes raiseable along the slide groove 215. As shown in FIG.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회전자(230)를 통해서 로드 본체(220)의 캠부(221)가 밀어 올려지고,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된다.Therefore, the cam part 221 of the rod main body 220 is pushed up through the rotor 230 by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50, and the rod main body 220 protrudes from the rod case 200 and extends. .

한편, 신장된 로드 본체(220)가 로드 케이스(200) 내로 밀어넣어지면, 도시하지 않으나, 회전자(230)의 걸어맞춤 돌기(233)가 슬라이드 홈(215)을 따라서 하강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elongated rod body 220 is pushed into the rod case 200, although not shown, the engaging projection 233 of the rotor 230 is lowered along the slide groove 215.

다음에, 걸어맞춤 돌기(233)가 슬라이드 홈(215)의 개구 하단으로부터 빠져나오면, 회전자(2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Next,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233 comes out of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215, the rotor 230 can be rotated.

그렇기 때문에, 고정측 캠(224)과 가동측 캠(232)의 맞물림의 해제에 의해, 도 24 및 도 25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회전자(230)가 회전하고, 슬라이드 홈(215)의 하측으로부터 로크 홈(216)의 제 1 경사면부(216a)를 향해서 이동한다.Therefore, 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fixed side cam 224 and the movable side cam 232, the rotor 23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of FIGS. 24 and 25, and the lower side of the slide groove 215 From to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of the lock groove 216.

다음에, 로드 본체(220)를 밀어넣는 힘이 해방되면, 회전자(230)가 스프링(250)의 압축복원력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이때 걸어맞춤 돌기(233)가 제 1 경사면부(216a)에 맞닿는다. 그렇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233)는 제 1 경사면부(216a)에 미끄러지듯이 접하면서 상승하고, 로크부(216b)에 끼워넣어지고 다시 로크상태로 복귀한다.
Next, when the force for pushing the rod main body 220 is released, the rotor 230 is pushed up by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5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33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Touches. Therefore, the engaging projection 233 is raised while slidingly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a, is fitted into the lock portion 216b, and returns to the locked state again.

10 -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A - 로크수단
B - 푸시업수단 20 - 급유구
30 - 힌지부 40 - 주유구 리드
41 - 걸림부 100 - 하우징
101 - 슬라이드 지지부 102 - 로드 유지부
103 - 모터 유지부 104 - 베어링부
100a,100b - 케이스 110 - 로크부재
111 - 래크부 120 - 모터
130 - 구동력전달기구 131 - 웜 기어
132 - 톱니바퀴 132a - 톱니바퀴축
132b - 큰 톱니바퀴부 132c - 작은 톱니바퀴부
132d - 회전각도규제부 133 - 스토퍼
140 - 푸시 로드 150 - 수동조작부
200 - 로드 케이스 201 - 플랜지부
202 - 환형 오목부 203 - 탄성 돌조부
204 - 걸림구멍 210 - 캡
211 - 덮개부 212 - 원통부
213 - 관통구멍 214 - 걸림 돌조부
215 - 슬라이드 홈 216 - 로크 홈
216a - 제 1 경사면부 216b - 로크부
216c - 수직부 216d - 제 2 경사면부
220 - 로드 본체 221 - 캠부
222 - 상측 로드부 223 - 하측 로드부
224 - 고정측 캠 225 - 슬라이드 돌기
226 - 환형 홈 227 - 잘록한 부분
C - 클리어런스 230 - 회전자
231 - 중심구멍 232 - 가동측 캠
233 - 걸어맞춤 돌기 240 - 슬리브
241 - 슬리브 본체 242 - 돌출부
243 - 직경감소부 244 - 슬릿
250 - 스프링 260 - 부츠
261 - 환형 돌기 262 - 환형 볼록부
10-Filling reed switch A-Lock means
B-Push up means 20-Oil hole
30-Hinge 40-Filling Reed
41-catch 100-housing
101-Slide Support 102-Rod Retention
103-motor holding part 104-bearing part
100a, 100b-Case 110-Lock member
111-Rack 120-Motor
130-Drive Force Transmission 131-Worm Gear
132-Gear Wheel 132a-Gear Shaft
132b-Large Gear Parts 132c-Small Gear Parts
132 d-Angle of rotation restriction part 133-Stopper
140-Push Rod 150-Manual Control
200-Rod Case 201-Flange
202-annular recess 203-elastic protrusion
204-Hanging Holes 210-Caps
211-cover 212-cylinder
213-Through hole 214-Hanging protrusion
215-Slide Groove 216-Lock Groove
216a-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216b-lock portion
216c-vertical section 216d-second inclined section
220-rod body 221-cam
222-Upper Rod Part 223-Lower Rod Part
224-fixed side cam 225-slide protrusion
226-annular groove 227-concave
C-Clearance 230-Rotor
231-Center Hole 232-Moving Side Cam
233-Recoil 240-Sleeve
241-sleeve body 242-protrusions
243-Diameter reduction part 244-Slit
250-Spring 260-Boots
261-annular projection 262-annular convex

Claims (7)

차체 측에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주유구 리드를 닫은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과,
푸시·푸시기구의 푸시 로드를 통해서 주유구 리드를 열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푸시업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푸시업수단을 밀어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Locking means for locking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lling port lid install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hinge portion on the vehicle body side;
In the fuel inlet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a push-up means for pushing the oil inlet lead in the opening direction through the push rod of the push and push mechanism,
The lock means is formed adjacent to the push-up means, the oil inlet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drive by the moto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to push the push-up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와,
상기 푸시업수단을 유지하는 로드 유지부를 일체로 하우징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lide support for slidably supporting the lock means;
A gas opening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push-up mea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모터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oil receptacle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motor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motor is formed in the hous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웜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바퀴가 상기 로크수단의 래크부에 맞물려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gear opening /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wheel engaged with the worm gear of the motor is slide-driven in engagement with the rack portion of the locking mean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업수단의 푸시·푸시기구는 회전캠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ush-up mechanism of the push-up means is a gas opening lea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rotary cam metho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에는 이 로크수단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manual operation portion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에는 이 로크수단의 로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수동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리드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manual operation portion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KR1020110054601A 2010-06-04 2011-06-07 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KR1012636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9429A JP2011256528A (en) 2010-06-04 2010-06-04 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JPJP-P-2010-129429 2010-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455A true KR20110133455A (en) 2011-12-12
KR101263609B1 KR101263609B1 (en) 2013-05-10

Family

ID=4547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01A KR101263609B1 (en) 2010-06-04 2011-06-07 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256528A (en)
KR (1) KR1012636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9745A (en) * 2014-01-10 2016-08-24 株式会社利富高 Latch device
CN109898940A (en) * 2019-01-16 2019-06-18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Axial motion mechanism, locking actuator, energy filling apparatus an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055A (en) 2011-03-30 2012-11-08 Aisin Seiki Co Ltd Lid lock device for vehicle
US9038499B2 (en) * 2013-03-11 2015-05-26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620736B1 (en) * 2013-12-02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Lid device
JP6346444B2 (en) * 2014-01-10 2018-06-20 株式会社ニフコ Pushing device
JP6180992B2 (en) *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Lid device
KR101567246B1 (en) 2014-10-17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ctuator integrated push opener
JP6565633B2 (en) * 2015-11-25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Fuel lid switchgear
WO2019078082A1 (en) * 2017-10-17 2019-04-25 株式会社ニフコ Lid device
JP6961543B2 (en) * 2018-02-27 2021-11-0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Vehicle lid switchgear
WO2019167869A1 (en) * 2018-02-27 2019-09-0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CN108895122B (en) * 2018-07-24 2024-02-09 平湖天林儿童用品有限公司 Baby carrier speed reducer
JP2020082930A (en) * 2018-11-21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cargo chamber structure
KR102272563B1 (en) * 2019-04-08 2021-07-05 주식회사 인팩 Emergency releasing device of rechargeable door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8852B2 (en) * 2008-06-24 2012-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fuel supply lid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9745A (en) * 2014-01-10 2016-08-24 株式会社利富高 Latch device
CN105899745B (en) * 2014-01-10 2017-10-17 株式会社利富高 Locking devicen
CN109898940A (en) * 2019-01-16 2019-06-18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Axial motion mechanism, locking actuator, energy filling apparatus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609B1 (en) 2013-05-10
JP2011256528A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09B1 (en) Fuel lid opening/closing device
KR101322540B1 (en) Push-up device
JP6309276B2 (en) Latch device
EP3093177B1 (en) Push-up device
US8590351B2 (en) Side-lock device
US7621419B2 (en)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JP6686258B2 (en) Rotary telescopic device
JP5690175B2 (en) Pushing device
US9856681B1 (en) Push lifter
KR20170019230A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fuel inlet of the car
CN109972937B (en) Door lock assembly for oil filling or charging port
EP1018588A1 (en) A door securing assembly
US11162283B2 (en) Vehicle lid lock device
CN1495075A (en) Locking device for steering mechanism
CN210460208U (en) Oblique tongue component structure of automatic lock body
KR200468707Y1 (en) Assembly for connecting clutch of gear box for anti panic assembly
CN103485605A (en) Latchbolt lock
CN103485606B (en) A kind of internal door antitheft door
JP2021085191A (en) Forward/backward moving device
JP2005139624A (en)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200496291Y1 (en) Doorlock Locking Device
CN117552683A (en) Door and window handle structure
KR200365372Y1 (en) A hinge assembly for a cover of a mobile phone
CN117842211A (en) Automobile charging cover with self-lock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800573A (en) Self-adjusting cam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