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583A -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583A
KR20110130583A KR1020100049979A KR20100049979A KR20110130583A KR 20110130583 A KR20110130583 A KR 20110130583A KR 1020100049979 A KR1020100049979 A KR 1020100049979A KR 20100049979 A KR20100049979 A KR 20100049979A KR 20110130583 A KR20110130583 A KR 2011013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deodorizing
food process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평순
이해성
박정우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주)교원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교원엘앤씨 filed Critical (주)교원엘앤씨
Priority to KR102010004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583A/en
Publication of KR2011013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5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PURPOSE: A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a heater is provided to reduce maintenance cost of food processor by extending the replacement time of a filter. CONSTITUTION: A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a heater comprises a main body member(10), a deodorizing unit(20), and a heating unit(30). The main body member comprises a gas discharge unit(13)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in crushing or drying procedure of food. A filter(21) is form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The deodorizing unit eliminates smell by filtering gas inhaled to a gas discharge unit. The filter includes activated charcoal.

Description

탈취부에 히터를 장착한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Food processor with heater in deodorization unit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processor that can increase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가정 및 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전용 수거함에 폐기하는 것은 악취와 오염 등의 이유로 사람들에게는 혐오하는 일에 해당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 탈취 등을 통해 1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기를 이용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오염 등을 1차적으로 소멸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처리가 비교적 용이해 진다. Disposal of food waste generated at homes and businesses into a dedicated food waste collection bin is an abomination to people for odors and pollution. 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food processor capable of primarily processing food waste through crushing, drying, and deodoriza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food processor, the odor, contamination, etc. of the food waste can be firstly eliminated and the amount of the food waste can be reduced, thereby making the treatment relatively easy.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기에서 탈취 공정은, 분쇄 및 건조 공정을 통해 발생된 악취가 포함된 습증기를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된 탈취부를 통과시키면서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필터가 항상 고온 다습의 습증기에 노출되므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냄새 제거의 효율이 감소하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므로, 음식물 처리기의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In general, the deodorizing process in the food processor is performed while passing through a deodorizing unit including a filter capable of removing odors from wet steam containing malodor generated through the grinding and drying process. However, since the filter is alway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humid steam, the efficiency of odor removal decreases with time, and since the filter need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ood processor increas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탈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this respect, to provide a food waste processor that can increase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본체부, 탈취부 및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음식물의 분쇄 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부는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가스 배출부로 흡입된 가스를 여과시켜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탈취부에 장착되며, 상기 탈취부 내부의 필터를 가열한다.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eodorizing unit and a heating unit. The main body includes a gas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crushing or drying of food. The deodorizing unit includes a filter therein to remove the odor by filtering the gas sucked into the gas discharge unit. The heating unit is mounted to the deodorizing unit and heats the filter inside the deodoriz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ay include activated carb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필터와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탈취부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취부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외부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may be mount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to directly contact the filter. In this case, the deodoriz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thereby minimizing external transfer of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탈취부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취부는 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의 필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탈취부를 코일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may be mount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In this case, the deodorizing unit is formed of a conductor,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to the internal filter.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deodorizing unit in the form of a coil.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부에 가열 코일을 장착하여 탈취부의 필터를 가열함으로써, 필터에 잔존하는 수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필터의 탈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연장하여 음식물 처리기의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filter can be increased by attaching a heating coil to the deodorizing portion of the food processor to heat the filter of the deodorizing portion. Thus,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can be increased, and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can be extended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ood processor.

또한, 탈취부 내부에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탈취부 내부의 습증기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열 코일을 탈취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ing coil may be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deodoriz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filter us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and the state of wet steam in the deodoriz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00)는 본체부(10), 탈취부(20) 및 가열부(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a deodorizing unit 20, and a heating unit 30.

상기 본체부(10)는 음식물 투입부(11), 처리부(12) 및 가스 배출부(13)를 포함한다. 처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은 상기 음식물 투입부(11)를 통해 상기 처리부(12)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부(12)는 투입된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또는 건조하여 음식물의 부피를 줄이고,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처리부(1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분쇄기 및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처리부(12)의 가열기는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음식물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로 후술할 가열부(30)와는 다르다. 이와 같이, 분쇄 또는 건조된 음식물은 별도의 음식물 토출부(미도시)를 통해 토출된다.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ood inlet 11, a processor 12, and a gas outlet 13. Food to be processed is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unit 12 through the food input unit 11. The processing unit 12 reduces the volume of food by crushing or drying the injected food, and removes water contained in the food. For this purpose, although not shown, the processing unit 12 may include a grinder and a heater therein. In this case, the heater of the processing unit 12 is a device for drying food by evaporat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heat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s such, the crushed or dried food is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food discharge unit (not shown).

한편, 분쇄 또는 건조된 음식물의 토출과는 별도로, 상기 분쇄 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가스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가스는 오염도가 높으며 악취를 포함하게 되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취부(20)로 흡입된다.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the discharge of the pulverized or dried food, the gas generated in the pulverized or dried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3). In this case, since the gas has a high degree of pollution and contains a bad smell,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sucked into the deodorizing unit 20 in this embodiment.

상기 탈취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가스 배출부(13)와 연결되어, 음식물의 분쇄 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가스 배출부(13)를 통해 흡입한다. 상기 탈취부(20)는 내부에 형성된 필터(21) 및 냄새가 여과된 가스를 토출하는 최종 배출부(13)를 포함한다. The deodorizing unit 20 is connected to the gas discharge unit 13 of the main body unit 10 to suck the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ushing or drying the food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3. The deodorizing unit 20 includes a filter 21 formed therein and a final discharge unit 13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상기 필터(21)는 오염도가 높으며 악취를 포함하는 가스를 여과시키기 위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흡착성이 매우 강해 기체나 습기를 용이하게 흡수하므로,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나 수분을 잘 흡착하여, 상기 가스를 여과시키게 된다. The filter 21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for filtering a gas containing a high odor and fouling, for example, may include activated carbon. Since the activated carbon has a very strong adsorption property and easily absorbs gas and moisture, the activated carbon absorbs contaminants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gas well, thereby filtering the gas.

한편, 상기 필터(21)에는 각종 항균기능 및 방향(芳香)기능을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가스를 친환경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21 further includes a substance having various antibacterial functions and aroma (芳香) fun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ast generated ga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상기 가열부(30)는 가열기(31) 및 제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가열기(31)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 등 가열 조건을 제어한다. The heating unit 30 may include a heater 31 and a control unit 32. The controller 32 controls heating conditions such as a heating time and a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31.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1)는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가스의 오염물질이나 수분 등을 흡착하게 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흡착된 오염물질이나 수분 등으로 인해 여과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1)에 열을 가하여 상기 필터(21)에 흡착된 오염물질이나 수분 등을 증발시킨다면,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필터의 교환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As already mentioned, the filter 21 adsorbs contaminants or moisture of the gas generated in the food treatment process, so that, after a certain time, the filtration efficiency decreases due to the adsorbed contaminants or moisture. do. Therefore, if heat is applied to the filter 21 to evaporate contaminants or moisture adsorbed on the filter 21, th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consequently,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can be extended.

즉,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00)에서는 상기 가열부(30)의 가열기(31)를 통해 상기 필터(21)에 열을 가하여, 상기 오염된 가스의 여과과정에서 필터(21)에 흡착된 오염물질이나 수분 등을 증발시키게 된다. That is, in the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is applied to the filter 21 through the heater 31 of the heating unit 30, and adsorbed to the filter 21 in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contaminated gas. Pollutants, water, etc. will evaporate.

한편, 상기 가열기(31)를 통한 상기 필터(21)의 가열과정은 상기 제어부(32)를 통해 제어되어, 상기 필터(21)가 가스를 여과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가열기(31)를 통한 상기 필터(21)의 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필터(21)가 가스를 여과시킨 후 상기 필터(21)의 가열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필터(21)에 흡착된 오염물질이나 수분 등의 량을 바탕으로 상기 필터(21)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process of the filter 21 through the heater 3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2, the filter 21 at the same time the filter (21) to filter the gas (filter (through the heater 31) Heating of 21 may be performed. Alternatively, heating of the filter 21 may be performed after the filter 21 filters the gas. In addition, the controller 32 may control the heating time and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filter 21 based on the amount of contaminants or moisture adsorbed on the filter 2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30)의 가열기(31)가 상기 필터(21)와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탈취부(2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2)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탈취부(20) 내부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탈취부(20) 내부의 고온으로부터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탈취부(2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eater 31 of the heating part 30 is mounted inside the deodorizing part 20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lter 21.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2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20 so as to facilitate manufactur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2 is not shown to protect the device from the high temperature inside the deodorizing unit 20. 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portion 20.

상기 가열기(31)는 상기 탈취부(20) 내부에서 코일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21)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er 31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coil in the deodorizing unit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er 21 is disposed so as to transmit a uniform heat as a whole.

이와 같이, 상기 가열기(31)가 상기 필터(21)와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탈취부(2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21)로의 열전달이 매우 용이하고 즉각적이므로 열전달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탈취부(20) 내부의 온도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heater 31 is mount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20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lter 21, heat transfer to the filter 21 is very easy and immediate, thereb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of heat transfer. It can 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inside the deodorizing unit 20 is easy.

다만, 상기 가열기(31)가 상기 탈취부(20)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의 가스가 상기 가열기(31)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가열기(31)는 부식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열기(31)의 외면은 열과 습기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the heater 31 is mount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20, since the hot and humid gas generated during the food treatment process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heater 31, the heater 31 may be corroded. It can cause problems.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er 31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resistant to heat and moisture.

또한, 상기 탈취부(20)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3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탈취부(2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eodorizing unit 20 is formed of an insulator,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30 to the outside of the deodorizing unit 20.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200)는 본체부(10), 탈취부(20) 및 가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4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food process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a deodorizing unit 20, and a heating unit 40, except for the heating unit 4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od processor 100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열부(40)는 가열기(41) 및 제어부(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41)는 상기 필터(21)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탈취부(2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2)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음식물 처리기(200)의 내부에 적절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heating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er 41 and a control unit 42. The heater 41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lter 21, but is mount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2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2 may be disposed in an appropriate space inside the food processor 200 to facilitate production.

상기 가열기(41)는 상기 탈취부(20)의 외면을 코일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기(41)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필터(2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기(41)가 상기 탈취부(2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탈취부(20)는 상기 가열기(41)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의 필터(21)로 전달하기 위해 전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er 4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20 in the form of a coi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41 is disposed to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filter 21 as a whole.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er 41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20, the deodorizing unit 20 to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41 to the internal filter 21.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or.

이와 같이, 상기 가열기(41)가 상기 탈취부(2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면,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의 가스가 상기 가열기(4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기(41)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As such, when the heater 41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t and humid gas generated in the food treatment process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heater 41. Problems such as corrosion of 41 do not occur, and durability is improved.

한편, 상기 가열부(40)의 제어부(42)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가열기(4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21)가 가스를 여과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가열기(41)를 통한 가열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필터(21)가 가스를 여과시킨 후 가열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필터(21)에 흡착된 오염물질이나 수분 등의 량을 바탕으로 상기 필터(21)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2 of the heating unit 40 may control the heater 41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at is, at the same time as the filter 21 filters the gas, the heating through the heater 41 may be performed. Alternatively, the filter 21 may filter the gas and then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42 may control the heating time and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filter 21 based on the amount of contaminants or moisture adsorbed on the filter 21.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부에 가열 코일을 장착하여 탈취부의 필터를 가열함으로써, 필터에 잔존하는 수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필터의 탈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연장하여 음식물 처리기의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filter can be increased by attaching a heating coil to the deodorizing portion of the food processor to heat the filter of the deodorizing portion. Thus,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can be increased, and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can be extended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ood processor.

또한, 탈취부 내부에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탈취부 내부의 습증기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열 코일을 탈취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ing coil may be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deodoriz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filter us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and the state of wet steam in the deodorizing unit.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본 발명은 가정용 또는 업소용으로 음식물을 1차적으로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in a food processor that primarily processes food for home or business use.

100, 200 : 음식물 처리기 10 : 본체부
20 : 탈취부 30, 40 : 가열부
100, 200: food processor 10: main body
20: deodorizing part 30, 40: heating part

Claims (7)

음식물의 분쇄 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가스 배출부로 흡입된 가스를 여과시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 및
상기 탈취부에 장착되며, 상기 탈취부 내부의 필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A main body part including a gas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crushing or drying of the food;
Including a filter, the deodorizing unit for removing the odor by filtering the gas sucked into the gas discharge unit; And
And a heating unit mounted to the deodorizing unit and heating the filter inside the deodoriz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food processor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comprises activated carb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필터와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탈취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The food processor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unit is mounted inside the deodorizing unit to directly contact the fil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외부 전달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The food processor of claim 3, wherein the deodorizing part is formed of an insulator to minimize the external transfer of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탈취부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food processor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unit is mounted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deodoriz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의 필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food processor of claim 5, wherein the deodorizing unit is formed of a conductor to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to an internal fil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탈취부를 코일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food processor of claim 6, wherein the heating unit is formed to surround the deodorizing unit in a coil form.
KR1020100049979A 2010-05-28 2010-05-28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KR201101305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79A KR20110130583A (en) 2010-05-28 2010-05-28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79A KR20110130583A (en) 2010-05-28 2010-05-28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583A true KR20110130583A (en) 2011-12-06

Family

ID=4549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979A KR20110130583A (en) 2010-05-28 2010-05-28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58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51B1 (en) * 2020-03-19 2021-01-14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Deodorizing system using medicine fluid and single tower for acidic and alkaline gas
KR102373192B1 (en) * 2021-05-18 2022-03-14 주식회사 에프씨텍 Food waste processing system using microorganisms
KR20220102161A (en) * 2021-01-11 2022-07-20 (주) 지엘플러스 deodorization apparatus in garbage dispos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51B1 (en) * 2020-03-19 2021-01-14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Deodorizing system using medicine fluid and single tower for acidic and alkaline gas
KR20220102161A (en) * 2021-01-11 2022-07-20 (주) 지엘플러스 deodorization apparatus in garbage disposal
KR102373192B1 (en) * 2021-05-18 2022-03-14 주식회사 에프씨텍 Food waste processing system using microorganis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369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thermal regeneration of activated carbon adsorption
KR1010462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KR100967050B1 (en) Filter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110130583A (en) Food waste apparatus having deodorizer with heater
KR101498536B1 (en) Deodor apparatus
KR101276139B1 (en) Continuous Regenerator for Dry-Cleaning Filter Activated Carbon
KR101321340B1 (en) Food wastes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multiple filters against vapor and smell, and the treatment methods by using it
KR20170005679A (en) Integrated odor removal device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he ozone and the catalyst
US20120039757A1 (en) Filtering device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138500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Dehumidification Device
KR100951052B1 (en) Apparatus for deodorizing and improving contaminated air
KR101968679B1 (en) Deodorizing apparatus for food waste treatment
KR101308156B1 (en) Deodorization apparatus of food and drink treatment
CN103752296B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for Powdered Activated Carbon regeneration
KR20110070930A (en) Waste water sludge fuel
TW515717B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olluted air
KR101229985B1 (en) Device for pre-treating contaminated air and deordoriz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7664316A (en) A kind of home-use single-stage air purifier
KR101038593B1 (en) Indirect Heating Food and Drink Treatment
KR20090081276A (en) Functional deodorization device of Food disposer
CN211866146U (en) Decomposition device for organic solid waste
KR20090100085A (en)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KR20090087983A (en) Filter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N203711049U (en) Device for regeneration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JP2012522633A (en) Filter device for garbage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