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299A -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299A
KR20110130299A KR1020100049876A KR20100049876A KR20110130299A KR 20110130299 A KR20110130299 A KR 20110130299A KR 1020100049876 A KR1020100049876 A KR 1020100049876A KR 20100049876 A KR20100049876 A KR 20100049876A KR 20110130299 A KR20110130299 A KR 2011013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cattle
meat
weight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339B1 (ko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3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당 사육면적을 8.2 ~ 9.46㎡로 하여 우방을 형성하고, 상기 우방에 비육우 8두를 사육하며, 농후사료는 제한급여하고 볏짚은 자유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사육방법은 산육단계별 적정 사육면적 및 사육두수를 제공함으로써 성장률 및 근내지방도를 높여 육질을 향상시키므로 육질등급 및 수율등급이 높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급육의 생산비율을 증대시킴으로서 도체의 등급 판정 시 육질등급이 우수한 비육우의 생산 비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The method of breeding a beef cattle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meat}
본 발명은 최적의 사육규모 및 사육두수에 따라 육질등급과 수율등급이 높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위별 판매를 위한 소 도체등급제의 실시, 미국, 호주 등 외국산 수입 소고기의 수입개방에 대처하여 국내 비육우 농가가 생존 전략차원에서 강구되고 있는 수입소고기와 한우 소고기의 품질 차별화에 대한 노력 및 국민소득의 증대에 따른 고급육 수요의 급격한 증대에 따라 비육우의 사양에 있어서 고기의 품질을 차별화시키고, 고급육의 생산비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의 개발은 비육우 사양 농가뿐만 아니라, 관련연구기관 및 단체 등에게 커다란 관심사항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육기술의 과학적인 접근으로 육질의 고급화 및 그 생산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소고기 생산의 국제적 경쟁력과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이 우리 축산의 지지기반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축산발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육우의 사육, 특히 한우의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의 개발 및 그 사양방법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해오고 있다.
한편, 우리 나라의 소고기 육류등급평가체계에서 근내지방도(마블링)는 등급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며, 육우의 육질을 개선하기 위해 이유 직후에 거세한 후 장기적으로 비육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소의 경우, 생산자들은 주로 높은 증체율, 사료효율, 도체율 등에 관심을 보여 왔으나, 소비자들은 맛, 가격, 지방함량 등을 고려하여 고기를 구입한다. 따라서 육우의 고급육 생산기술은 대부분 근내지방도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육우의 근내 지방축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사료조성물, 사육방법 등에 관하여 많은 농가와 연구자들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소고기의 관능적 특성은 주로 근내지방 함량에 기인하며, 근내지방 축적능력은 품종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유우보다 육우가 근내지방 함량이 높고, 특히 우리나라의 한우나 일본의 화우는 서양의 육우들보다 근내지방이 많이 축적된다. 더욱이 한우는 유우나 수입육에 비해 올레인산 (C18:1)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방산 중 올레인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고기의 맛은 좋아진다.
근내지방도가 좋은 고기가 맛과 연도도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첫째, 근내지방은 근주막 주위에 축적되어 결합조직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가열시 결합조직이 쉽게 파괴되도록 한다. 둘째, 근내지방은 열전도율이 낮아 마블링이 좋은 고기는 가열시 육단백질의 변성에 의해 추출되는 수분의 양과 증발을 억제시켜 고기의 다즙성을 좋게 한다. 셋째, 근내지방이 많은 고기는 조리 후 고기를 씹을 때 유리되어 나오는 지방이 타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입안의 수분 양을 많게 하여 고기의 다즙성이 좋게 느껴진다. 넷째, 지방은 살코기에 비해 밀도가 낮기 때문에 마블링이 좋은 고기는 씹을 때 전체적인 밀도가 낮아져 살코기보다 연하다. 여기에 덧붙여, 근내지방이 축적되려면 먼저 피하지방이 축적되어야 하고 따라서 마블링이 좋은 도체는 피하지방도 많은 편이다. 따라서 마블링이 좋은 도체는 도체의 냉각시 피하지방층이 단열효과를 가져와 저온단축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와 고기가 질겨지지 않는다.
소의 근내지방도를 개선시키는 종래의 방법에는 농후사료의 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방법, 장기 비육 등의 기술을 응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거나 비타민제제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들은 쇠고기의 생산비용을 높이는 원인이 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육 시 허용되는 두당 동일한 사육공간별 사육두수의 차이가 소의 산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사육면적과 사육두수에 따라 육질등급과 수율등급이 좋은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한 소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당 사육면적을 8.2 ~ 9.46㎡로 하여 우방을 형성하고, 상기 우방에 비육우 8두를 사육하며, 농후사료는 제한급여하고 볏짚은 자유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처음에 3.5 ~ 4.5 ㎏/head/day의 양으로 급여하며, 이후 매달 0.20 ~ 0.30 ㎏/head/day씩 증가시켜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육 과정을Ⅰ단계(12 ~ 18개월령), Ⅱ단계(19 ~ 24개월령), Ⅲ단계(25 ~ 30개월령)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건물이 80 ~ 86 중량% 함유되고 영양성분이 상이한 농후사료를 제한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4.5 ~ 15.5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0 ~ 71 중량%를 포함하고, Ⅱ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3.5 ~ 14.5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2 ~ 73 중량%를 포함하고, Ⅲ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2 ~ 13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3 ~ 74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1일 1 ~ 2회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은 산육단계별 적정 사육면적 및 사육두수를 제공함으로써 성장률 및 근내지방도를 높여 육질을 향상시키므로 육질등급 및 수율등급이 높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급육의 생산비율을 증대시킴으로서 도체의 등급 판정 시 육질등급이 우수한 비육우의 생산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쇠고기 생산비용을 높이지 않고 근내지방도를 높일 수 있어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육두수 및 사육면적을 달리하여 설계한 우방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육 시 허용되는 두당 동일한 사육공간별 사육두수의 차이가 소의 산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근내지방도가 높고 육질등급과 수율등급이 좋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사육면적 및 사육두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가축의 복지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기후적 환경요인은 크게 가축의 일반적인 관리체계, 가축이 차지하는 사육공간, 채식공간 및 휴식공간을 포함하는 사육밀도 및 축사의 구조와 축사를 구성하는 재질로 나눌 수 있다.
환경요인 중 사육밀도는 가축의 복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한 공간에 많은 두수를 수용하는 것은 비록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부득이하다고 할지라고 복지와 생산성에 있어서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송아지를 집단으로 수용할 경우 한 무리의 크기가 적당해야 하는데, 현재까지 연구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동일 공간 내에 동시 수용 가능한 송아지 두수는 30두를 초과해서는 곤란하며 7 ~ 8두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무리 중에 가급적 연령이 2개월 이내의 차이가 나도록 조정하는 것이 스트레스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축의 사육밀도는 증체량을 좌우하는 인자로 지적되고 있으며, 적정 사육밀도의 기준은 정상적인 건강유지를 위한 활동 공간의 요구량에 근거하게 되는데, 이 수준을 준수하기 않을 경우 과밀사육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과밀사육조건 하에서는 각종 나쁜 영향이 발생하며, 축사 실내의 온·습도의 변화, 공기조성의 악화, 배설물 축적으로 인한 위생상태의 저하, 질병 이환속도의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개체간격이 좁혀짐에 다라 발생하는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체 내 영양소가 신속히 분해되어 성장률이 떨어진다. 따라서, 가축복지법이 제정된 국가에서는 육우의 연령별 사육공간을 법으로 제정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권장면적을 준수하여 설계함으로써 불필요한 투쟁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한편, 소의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비육후기 근내지방도의 침착을 위한 기본 밑소의 체형발달이 선행되어야 한다. 육성기의 사육과정에서는 뼈등의 발달을 위해서 광물질이나 비타민 등을 충분히 공급해주어야 하며, 소화관을 중심으로 하는 내장의 발달을 위하여 양질의 조사료가 필수적이다. 조사료가 부족할 경우 적육의 발달이 늦어지며 그에 다라 지방 발육도 지연되어 출하시기가 늦어짐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거세 및 산육생리에 맞는 사양관리로 사료이용 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예를 들어, 한우의 사양관리는 일반적으로 주요 조사료원으로 볏짚과 사육단계에 따라 구별되어 생산되는 배합사료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들 사료원에 따른 성장 단계별 섭취량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두당 사육면적을 8.2 ~ 9.46㎡로 하여 우방을 형성하고, 상기 우방에 비육우 8두를 사육하며, 농후사료는 제한급여하고 볏짚은 자유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육두수를 4두, 8두 및 12두로 선정하여 사육두수가 육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시험하였는데, 8두를 사육하였을 때 4두 및 12두를 사육하였을 때보다 고기의 육질이 더 좋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우방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반개방형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바닥에는 짚을 깔아준다. 또한, 소들이 먹이와 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물은 언제든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를 사육할 때 한 우방에 8두를 사육하는 것이 육질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이때, 두당 사육면적은 8.2 ~ 9.46㎡, 바람직하게는 8.5 ~ 9.2㎡로 하는 것이 좋다. 사육면적이 상기 범위 이상으로 너무 넓으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범위 이하로 너무 좁으면 사육밀도가 높아서 소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육방법을 통해 성장률 및 근내지방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육질등급 및 수율등급이 높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육 대상이 되는 소는 종에 한정되지 않고 한우, 젓소(얼룩소 수소), 육우 및 비육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수송아지의 경우 거세를 하여 비육하는 것이 육질 개선에 좋다.
본 발명에서 “근내지방도(marbling)”는 근육 사이에 지방이 침착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고급육으로 평가된다. 근내지방은 근육지방 중 1, 2차 근속 사이에 있는 지방을 말하며, 일명 '마블링(marbling)' 또는 '상강지방'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붉은 살코기에 지방이 들어있는 모양이 마치 서리가 내린것처럼 보이거나 대리석 같기 때문이다. 근내지방은 고기의 품질(육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고기의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근내지방이 잘 침착된 고기는 맛이 좋고 부드럽다. 그 이유는 근내지방은 융점이 낮기 때문에 가열조리 시 빨리 녹아 고기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동시에 육단백질 변성에 의한 수분생성을 적게 하여 다즙성을 좋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근내지방을 구성하는 올레인산(olein acid)은 풍미를 좋게 하는 물질로 작용하며, 근내지방은 근주막 주위에 축적되어 고기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살코기보다 밀도가 낮아 고기를 씹을 때 부드러움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육우를 사육하기 위하여 사료로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급여하였는데, 농후사료는 제한급여하고 조사료는 자유급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농후사료”는 부피가 작고 섬유소의 함량은 낮은 반면, 가용무질소물 등의 가소화양분의 함량이 많아서 가축의 성장이나 축산물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료를 총칭한다. 통상적으로 옥수수·수수·밀·보리 등의 곡식류, 식물성 기름을 짜고 남은 깻묵류나 쌀겨·보릿겨·밀기울 등과 같은 강피류, 어분 또는 이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만든 배합사료 등이 이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농후사료는 바람직하게 옥수수, 소맥, 단백피, 대두박, 비타민, 광물질 등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추동물의 사육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농후사료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농후사료는 본 발명에서 비육우를 사육할 때 급여하는 사료에서 가장 많은 중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농후사료에는 건물(dry matter)이 80 ~ 86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농후사료는 조단백 12 중량부 이상, 조지방 2 중량부 이상, 칼슘 0.7 중량부 이상, 인 0.3 중량부 이상, 조섬유 4 중량부 이상, 조회분 4 중량부 이상, TDN 70 중량부 이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2개월령 비육우의 사육 과정을 총 3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마다 사료의 영양성분을 달리하여 제한급여하는데, 사육 과정은Ⅰ단계(12 ~ 18개월령), Ⅱ단계(19 ~ 24개월령), Ⅲ단계(25 ~ 30개월령)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4.5 ~ 15.5 중량%, 조지방 3.4 ~ 4.0 중량%, 조섬유 6.2 ~ 6.8 중량%, 조회분 6.2 ~ 6.8중량%, 칼슘 0.7 ~ 1.3 중량%, 인 0.2 ~ 0.8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0 ~ 7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Ⅱ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3.5 ~ 14.5 중량%, 조지방 3.2 ~ 3.8 중량%, 조섬유 4.2 ~ 5.0 중량%, 칼슘 0.5 ~ 1.0 중량%, 인 0.2 ~ 0.8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2 ~ 7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Ⅲ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2 ~ 13 중량%, 조지방 4.5 ~ 5.1 중량%, 조섬유 4.0 ~ 4.5 중량%, 조회분 5.5 ~ 6.5 중량%, 칼슘 0.7 ~ 1.3 중량%, 인 0.1 ~ 0.5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3 ~ 7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후사료는 상기 사육 과정에서 처음에는 3.5 ~ 4.5 ㎏/head/day의 양으로 급여하며, 이후 매달 0.20 ~ 0.30 ㎏/head/day씩 증가시킨 양으로 제한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농후사료는 1일 1 ~ 2회 급여할 수 있으며, 이는 농가 특성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8시 및 오후 17시에 매일 2회 급여하거나, 오전 8시에 매일 1회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조사료”는 비교적 구조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부피가 큰 사료로서, 조섬유의 함량이 높고 거칠며 부피가 많은 반면에 값이 싼 편이고 가소화양분이 적게 들어 있는 사료를 말한다. 볏짚, 목초의 생·건초, 산야초의 생·건초, 목초를 포함한 풋베기 작물로 만든 엔실리지와 콩깍지 등의 거친 먹이가 이에 속한다. 건조 상태에서의 조사료는 18% 이상의 조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소화율이 낮은 편이지만 각종 영양소의 공급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사료로 볏짚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볏짚은 급여량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급여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볏집에는 건물(dry matter)이 87 ~ 93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4.2 ~ 4.8 중량%, 조지방 1.9 ~ 2.5 중량%, 조섬유 25 ~ 30 중량%, 조회분 11 ~ 17 중량%, 칼슘 0.1 ~ 0.3 중량%, 인 0.05 ~ 0.2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35 ~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사료로 볏짚 이외에도 티모시, 사일리지, 알팔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사육방법을 이용하면 성장률 및 근내지방도를 높여 육질을 향상시키므로 육질등급 및 수율등급이 높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으며, 고급육의 생산비율을 증대시킴으로서 도체의 등급 판정 시 육질등급이 우수한 비육우의 생산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쇠고기 생산비용을 높이지 않고 근내지방도를 높일 수 있어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1> 시험설계
본 시험에서 공시동물은 강원도 지역 내 일관경영 비육우 사육농사의 6개월령 한우 거세우 48두를 이용하였다. 12개월령일 때, 처음으로 각 개체별 체중(BW; body weight)을 측정하였으며, 평균체중은 304.51±12.40㎏이었다.
본 시험의 시험설계는 두당 사육면적은 8.82㎡로 동일한 상태에서 우방의 크기와 군집두수의 차이를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우방 구성은 시험동물들을 3개의 그룹 즉, 4두, 8두 및 12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크기의 우방에 각각 수용하였으며, 2반복으로 실시하였다. 3개의 그룹을 각각 4sG, 8sG, 12sG로 명명하였다.
모든 우방은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반개방형(semi-open)으로 설계하였으며, 우방의 크기는 4sG는 8.4×4.2m, 8sG는 8.4×8.4m 및 12sG는 12.6×8.4m로 설계하였다. 우방의 콘크리트 바닥을 덮기 위해 짚 6㎏/animal/d를 깔아주었으며, 시험동물들이 먹이와 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우 거세우의 산육 특성에 따라서, 전체 산육 단계를 Ⅰ단계(12 ~ 18개월령), Ⅱ단계(19 ~ 24개월령) 및 Ⅲ단계(25 ~ 30개월령)로 나누었다.
<1-2> 통계분석
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분석치들은 각 처리구별로 평균치를 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SAS Instityte, 1996)의 GLM(General Linear Model)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처리는 주효과이며, 우사는 모든 매개변수의 분석을 위한 실험 단위이다. 다른 단계의 효력 또한 평가되었다. 유의성 검정은 통계 분석을 위한 Duncan의 다중검정(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실시예 2>
사육두수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사료섭취 및 성장성과
본 발명자들은 사육두수가 한우 거세우의 사료섭취와 성장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양관리는 모든 시험동물에 같은 양의 급여를 실시하였으며, 급여한 사료의 영양성분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후사료는 오전 8시에 1일 1회 제한 급여하였으며, 볏짚은 자유 급여하였다. 또한, 물은 언제나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급여한 사료의 영양성분 조성

영양성분
농후사료
볏짚
단계Ⅰ
(12~18개월령)
단계Ⅱ
(19~24개월령)
단계Ⅲ
(25~30개월령)
건물(% as fed) 84.42 83.55 83.18 90.09
조단백(%DM) 15.06 14.19 12.31 4.53
조지방(%DM) 3.70 3.49 4.87 2.17
조섬유(%DM) 6.49 4.57 4.25 27.66
조회분(%DM) 6.43 4.85 5.90 14.31
칼슘(%DM) 1.00 0.72 0.94 0.22
인(%DM) 0.45 0.42 0.35 0.12
TDN(%DM) 70.52 72.43 73.75 37.13
*건물 : dry matter, DM
농후사료는 NRC(1996) 조건에 맞도록 제조되었으며, 단계Ⅰ에서는 조단백질(crude protein, 이하‘CP’라고 함) 15.06%, 총가소화 양분(total digestible nutrients, 이하‘TDN’이라고 함) 70.52%, 단계 Ⅱ에서는 CP 14.19%, TDN 72.43%, 단계 Ⅲ에서는 CP 12.31%, TDN 73.75%로 나타났다. 농후사료의 급여량은 처음에는 4.0㎏/head/day를 제공하고, 도축될 때까지 매달 0.25㎏/head/day씩 서서히 양을 증가시켰다.
농후사료와 볏짚은 영양성분의 분석을 위해 각 단계에서 따로따로 샘플화되었다. 농후사료와 볏짚의 건물 섭취량(dry matter intake, DMI)은 매일 제공한 사료양의 무게를 달고 한주 동안에 남은 양을 빼서 매주 합계를 내었으며, 볏짚의 소비는 통계 분석을 위한 각 단계 동안 통합되었다. 또한, 시험 기간동안 일당 증체량(average daily gain, ADG) 및 사료 요구율(feed conversion rate, FCR)을 측정하기 위해 개별적인 무게를 매달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서로 다른 사육두수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사료섭취량과 성장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료섭취량 및 성장성과
항목 4두 처리구(4sG) 8두 처리구(8sG) 12두 처리구(12sG)
최초 체중(㎏) 303.3±6.4 299.1±4.9 311.1±8.5
최종 체중(㎏) 715.0±18.7 694.9±14.2 698.5±15.1
일당증체량(ADG, ㎏)
단계Ⅰ 0.80±0.03Aa 0.64±0.004Bb 0.64±0.06b
단계Ⅱ 0.77±0.05ABb 0.93±0.004Aa 0.80±0.04Ab
단계Ⅲ 0.73±0.06Ba 0.63±0.002Bb 0.71±0.10ABa
전체단계 0.77±0.12 0.73±0.09 0.72±0.15
건물 섭취량(DMI, ㎏/d)
단계Ⅰ 7.52±0.23A 7.58±0.17A 7.66±0.29A
단계Ⅱ 6.78±0.10B 6.70±0.21B 6.64±0.15B
단계Ⅲ 7.38±0.22A 7.36±0.14A 7.35±0.20A
전체단계 7.23±0.37 7.21±0.33 7.22±0.46
사료 요구율(FCR, grain/feed)
단계Ⅰ 0.093±0.0001Aa 0.077±0.001Bb 0.076±0.001Bb
단계Ⅱ 0.096±0.002Ab 0.112±0.001Aa 0.099±0.001Ab
단계Ⅲ 0.083±0.001Ba 0.072±0.001Bb 0.082±0.001ABa
전체단계 0.091±0.003 0.087±0.005 0.086±0.006
농후사료 섭취량(㎏/d)
단계Ⅰ 4.75 4.75 4.75
단계Ⅱ 6.38 6.38 6.38
단계Ⅲ 7.88 7.88 7.88
전체단계 6.25 6.25 6.25
볏짚 섭취량(㎏/d)
단계Ⅰ 3.91±0.02A 3.97±0.04A 4.06±0.02A
단계Ⅱ 1.61±0.13B 1.52±0.09B 1.45±0.06B
단계Ⅲ 0.92±0.06C 0.90±0.03C 0.89±0.04C
전체단계 2.15±0.18 2.13±0.20 2.13±0.16
* A-C, a-b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장단계별 처리구의 체중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넓은 사육공간을 제공받은 12두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체 사육 기간에 걸쳐 가장 낮은 증체를 보였으며, 일당 증체량(ADG)에서도 12두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12두 처리구에서 가장 넓은 사육공간을 제공받아 운동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건물 섭취량(DMI)의 경우, 처리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사료 요구율(FCR)의 경우, 12두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 사육단계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각 처리구별로 단계Ⅱ에서 일당 증체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물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사료 요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실시예 3>
사육두수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행동특성
본 발명자들은 사육두수가 한우 거세우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먼저, 6개월의 기간 동안(6개월령 ~ 12개월령) 모든 수송아지가 충분히 서로 친밀해지고, 매일 일과에 익숙해지도록 하였으며, 12개월령부터 본격적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각 처리구별 시험동물의 행동을 정확히 관찰하기 위하여, 시험농가에 6대의 디지털 비디오-레코딩 장치(STLV-36D, Samsung, Korea)를 우방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시험동물들의 행동을 녹화하였으며, 6대의 디지털 카메라(CS-724, Samsung, Korea)를 각 우방의 먹이섭취 구역 앞에 약 1.5m 높이로 설치하였다.
12개월령을 시작으로 3개월 간격(12, 15, 18, 21, 24, 27 및 30개월령)으로 각 개월령마다 6일씩(1, 6, 11, 16, 21 및 26일) 개체별 행동을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행동관찰은 1일 10시간씩 오전 8시부터 오후 18시까지 2분 간격으로 샘플링(sampling)하여 행동시간을 분석하였고, 행동발현빈도는 행동이 발현될 때마다 기록하여 행동빈도를 분석하였다.
농후사료와 볏짚의 건물(dry matter) 섭취량을 매일 기록하여 섭취율(eating rate)을 산정하였다. 농후사료와 볏짚의 섭취율은 우사 내의 모든 시험동물의 일당 건조물 섭취량의 평균을 총 섭취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사료섭취(eating), 음수(drinking), 횡와(lying), 기립(standing)의 유지행동은 행동시간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섭취 행동은 볏짚 또는 농후사료를 섭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며, 음수는 물을 삼키거나 삼키지 않거나 상관없이 시험동물의 입이 물그릇에 있을 때로 기록하였고, 횡와는 시험동물이 바닥에 배를 깔고 또는 옆으로 누워있는 것으로 기록하였으며, 기립은 관측기간 내내 아무것도 안하는 여전히 서있는 총 기간으로 산출되었다. 검사 표본 추출에서 행동측정 자료는 시간으로 각 검사 당 분할해서 변형되었다.
또한, 핥기(allogrooming), 몸기대기(leaning), 투쟁(fighting)의 유지행동d은 행동발현빈도로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핥기는 머리, 목 및 어깨를 핥아주는 것으로 고려하고, 사료를 준 후 먹이통에서 주로 관찰하였다. 기대기는 시험동물이 서로에게 기대는 것으로 기록하였으며, 투쟁은 머리와 목을 맞대고 뒤이어 머리와 머리를 맞대어 싸우는 것으로 기록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육두수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행동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사육두수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행동특성
항목 4두 처리구(4sG) 8두 처리구(8sG) 12두 처리구(12sG)
농후사료 섭취시간(min/h) 3.86±0.10a 3.52±0.08ab 3.15±0.13b
섭취율(gDM/min) 128.08±2.22c 140.43±3.01b 156.80±2.07a
볏짚 섭취시간(min/h) 4.78±0.24 5.16±0.18 4.83±0.35
섭취율(gDM/min) 70.25±3.62 63.36±5.38 64.14±5.02
음수(drinking, min/h) 1.23±0.06 1.04±0.11 0.98±0.08
횡와(lying, min/h) 12.87±1.03 12.53±0.96 11.78±0.88
기립(standing, min/h) 21.64±0.93 20.85±1.23 21.38±0.76
보행(walking, min/h) 0.97±0.43b 1.05±0.25b 2.22±0.37a
핥기(allogrooming, n/h) 4.51±1.01a 3.08±0.57b 2.92±0.74b
몸기대기(leaning, no./h) 0.11±0.26 0.16±0.31 0.13±0.20
투쟁(fighting, no./h) 0.52±0.21 0.47±0.25 0.44±0.20
* a-b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두 처리구에서 농후사료를 섭취하는 시간이 가장 적으면서 높은 섭취율을 나타내었으며, 12두 처리구에서 보행 시간이 가장 많게 나타나고, 핥기(allogrooming)의 빈도는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볏짚의 섭취시간과 섭취율, 음수(drinking), 횡와(lying) 및 기립(standing) 행동을 하는 시간, 몸기대기(leaning) 및 투쟁 행동의 빈도는 사육두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 실시예 4>
사육두수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산육특성
<4-1> 도체특성 평가
모든 시험동물은 3개월 간격으로 초음파 진단장치(HS-2000, 일본)를 이용하여 현행 도체등급 판정부위인 제13흉추와 제1요추 사이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초음파 등지방두께(back fat thickness), 초음파 배최장근 단면적(rib-eye area) 및 초음파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를 측정, 각 처리구의 산육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음파 측정은 우선 좌측의 제1요추와 제13흉추가 만나는 지점을 확인한 후 측정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기층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부위에 밀착제를 도포하였다. 이후, 프로브(probe)를 측정부위에 등선과 직각이 되도록 하여 밀착시킨 후 최적의 화상을 얻을 때까지 늑골을 따라 복부 쪽으로 이동시킨 후 최적의 화상을 얻었을 때 정지 후 화상을 저장하였다.
저장한 화상은 계측 프로그램(Image-pro Express Version 4.1, Media Cybernetics, USA)을 이용해 분석하여 배최장근 단면적과 등지방 두께를 측정하였다. 배최장근 단면적의 측정은 배최장근과 인근 조직 사이 경계면의 반사파(echo)를 기준으로 배최장근 윤곽을 곡선으로 연결하여 측정하였고, 등지방 두께의 측정은 우선 피부와 배최장근 사이의 피하 지방층을 확인한 후 도체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최장근의 3분의 2지점에서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한우 비육거세우의 등지방두께, 배최장근 단면적, 근내지방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도체특성 측정 결과
항목 월(month) 4두 처리구(4sG) 8두 처리구(8sG) 12두 처리구(12sG)


등지방두께
(back fat thickness, ㎝)
12 1.6±0.6 1.2±0.5 1.2±0.6
15 2.5±0.3a 1.5±0.7b 1.3±0.5b
18 3.8±0.9a 2.2±0.4b 2.3±0.7ab
21 5.3±0.8 3.6±0.7 4.2±0.8
24 5.8±1.0 5.0±0.6 4.9±0.9
27 7.1±0.7 6.9±0.5 6.3±0.9
30 9.8±1.2 9.7±1.5 9.8±1.1


배최장근단면적
(rib eye area, ㎠)
12 45.1±1.7 47.7±1.4 44.7±1.7
15 50.8±1.2 50.9±1.4 49.4±0.8
18 58.1±1.0 56.5±1.1 57.0±0.9
21 67.8±1.5 67.6±1.9 67.7±1.3
24 72.7±2.0 72.6±1.6 73.1±1.5
27 81.0±2.4 81.0±2.8 79.4±2.9
30 86.3±3.0 89.1±2.4 86.8±2.6


근내지방도
(marbling, 1~9)
12 1.0±0.0 1.0±0.0 1.0±0.0
15 1.0±0.0 1.0±0.0 1.0±0.0
18 1.0±0.1 1.0±0.0 1.0±0.0
21 2.3±0.2 2.3±0.3 2.7±0.2
24 2.6±0.3 2.4±0.3 3.0±0.4
27 3.8±0.3 4.4±0.2 4.3±0.4
30 5.4±0.5 5.6±0.2 5.4±0.6
* a-b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우 비육거세우의 초음파 등지방두께는 4두 처리구의 단계Ⅰ 및 단계Ⅱ에서 두껍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배최장근 단면적과 근내지방도의 경우에는 사육두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2> 육질 등급
시험에 사용한 거세우는 30개월령일 때 지역 내 도축장에서 도축하였다. 나누고 세척한 다음, 도체를 즉시 4℃의 냉장고로 이동하여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무게를 달고 도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한국 도체등급기준(NLCF, 2004)에 따라 평가하였다. 도축하고 24시간 후에,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M.longissimus) 및 육질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마지막 늑골과 첫 번째 요추 사이에서 도체의 늑골을 잘랐다.
수율등급(yield grade)은 차가운 도체의 무게, 조정된 지방 두께 및 배최장근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고, 육질등급(quality grade)은 근내지방도(marbling), 고기색(meat color), 지방색(fat color), 견고성(firmness) 및 전반적인 성숙도(maturity) 점수에 의해 결정되었다.
등지방두께는 등심(rib eye)의 3분의 2지점에서 결정되었으며, 등심에서의 근내지방도는 표준에 따라서 1(전혀 없는) 에서 9(많은)단계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고기색은 표준에 따라서 1(매우 밝은 체리 빨간색) 에서 7(매우 어두운 빨간색)단계의 점수로 나타내었고, 지방색은 표준에 따라서 1(흰색) 에서 7(어두운 노란색)단계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견고성은 등급 결정 지역에 있는 등심의 물 보유 용량과 신축성을 나타내며, 레퍼런스 인덱스에 따라 1(견고) 에서 3(부드러움)단계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성숙도는 왼쪽 반도체 등뼈 가시 곶에 있는 연골의 골화로 나타내며, 1(미성숙) 에서 9(성숙)단계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또한, 수율지수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결정하였다:
수율지수 = 68.184 - (0.625×등지방두께(㎜)) + (0.130×배최장근 단면적(㎠)) - (0.024×도체무게(㎏)) + 3.23(한우인 경우에만 해당)
또한, 수율등급은 다음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3 = A등급(수율지수≥67.50)
2 = B등급(62.00≤수율지수≤67.50)
1 = C등급(수율지수<62.00)
또한, 도체등급은 다음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5 = 1++등급(근내지방도 점수 8 또는 9)
4 = 1+등급(근내지방도 점수 6 또는 7)
3 = 1등급(근내지방도 점수 4 또는 5)
2 = 2등급(근내지방도 점수 2 또는 3)
1 = 1등급(근내지방도 점수 1)
본 시험에서 상기와 같이 한우 비육거세우의 수율등급, 육질등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한우 거세우의 수율특성과 육질특성 측정 결과
항목 월(month) 4두 처리구(4sG) 8두 처리구(8sG) 12두 처리구(12sG)


수율
특성
최종 체중(㎏) 715.0±18.7 694.6±14.2 698.5±15.1
도체 중량(㎏) 425.0±7.4 424.4±6.1 412.7±6.6
등지방두께(㎜) 11.0±1.1 8.6±0.9 10.8±0.8
배최장근단면적(㎠) 86.1±3.2 90.9±2.9 84.4±3.1
수율지수 65.5±2.5 67.7±2.7 65.8±3.0
수율등급 2.9±0.1 3.0±0.1 2.8±0.1


육질
특성
근내지방도(marbling) 5.3±0.4 5.6±0.3 5.5±0.4
고기색 4.8±0.1 4.9±0.4 4.9±0.2
지방색 2.8±0.1 2.9±0.1 2.8±0.1
견고성 1.3±0.1 1.4±0.2 1.3±0.1
숙성도 2.0±0.1 2.0±0.0 2.0±0.0
육질등급 3.5±0.0 3.5±0.1 3.5±0.0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우 비육거세우의 수율(최종 체중, 도체 중량, 수율지수 및 수율등급)과 육질(근내지방도, 고기 색, 지방 색, 조직감, 성숙도 및 육질등급) 시험은 처리구들 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8두 처리구에서 4두 처리구 및 12두 처리구에 비해 낮은 등지방두께, 높은 배최장근 단면적을 나타내었다. 수율지수는 4두, 8두 및 12두 처리구에서 각각 65.5, 67.7, 65.8로 나타났으며, 이에 다른 수율등급은 각각 2.9(B등급), 3.0(A등급), 2.8(B등급)로 나타났다. 또한, 육질등급은 모든 처리구에서 3.5점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8두 처리구가 A등급의 수율등급, 1등급의 육질등급을 얻어 4두 및 12두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8두를 공시한 한우 거세우의 산육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며, 우방의 크기와 우방 내 사육두수는 한우의 산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시험결과는 한국형 축사에 적합한 복지형 사육관리 및 육성기에서 비육기까지의 합사관리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두당 사육면적을 8.2 ~ 9.46㎡로 하여 우방을 형성하고, 상기 우방에 비육우 8두를 사육하며, 농후사료는 제한급여하고 볏짚은 자유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처음에 3.5 ~ 4.5 ㎏/head/day의 양으로 급여하며, 이후 매달 0.20 ~ 0.30 ㎏/head/day씩 증가시켜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과정을Ⅰ단계(12 ~ 18개월령), Ⅱ단계(19 ~ 24개월령), Ⅲ단계(25 ~ 30개월령)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건물이 80 ~ 86 중량% 함유되고 영양성분이 상이한 농후사료를 제한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4.5 ~ 15.5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0 ~ 71 중량%를 포함하고, Ⅱ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3.5 ~ 14.5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2 ~ 73 중량%를 포함하고, Ⅲ단계에서 급여하는 농후사료는 건물 중량에 대하여 조단백 12 ~ 13 중량%, 총가소화 양분(TDN) 73 ~ 7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1일 1 ~ 2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KR1020100049876A 2010-05-27 2010-05-27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KR10116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76A KR101164339B1 (ko) 2010-05-27 2010-05-27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76A KR101164339B1 (ko) 2010-05-27 2010-05-27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99A true KR20110130299A (ko) 2011-12-05
KR101164339B1 KR101164339B1 (ko) 2012-07-09

Family

ID=4549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76A KR101164339B1 (ko) 2010-05-27 2010-05-27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3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1596A (zh) * 2014-07-15 2014-12-0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提高肉牛蛋白质消化率的饲料添加剂
KR20150129145A (ko) * 2014-05-08 2015-11-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CN105104307A (zh) * 2015-10-09 2015-12-02 耿马七彩田园牧业有限公司 一种提高牛肉品质和产量的肉牛养殖方法
KR102675325B1 (ko) * 2023-11-23 2024-06-13 이동우 완전혼합발효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급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300B1 (ko) 2013-02-04 2014-09-29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스트레스 저감에 따른 산육능력을 향상시키는 한우의 사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001B1 (ko) 1997-10-31 2000-05-01 무안군 양파담근먹이사료 조제방법 및 한우육질개선을 위한 그 사료 급여방법
KR100379061B1 (ko) 2000-10-10 2003-04-08 주식회사 한예들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사료급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45A (ko) * 2014-05-08 2015-11-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CN104171596A (zh) * 2014-07-15 2014-12-0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提高肉牛蛋白质消化率的饲料添加剂
CN105104307A (zh) * 2015-10-09 2015-12-02 耿马七彩田园牧业有限公司 一种提高牛肉品质和产量的肉牛养殖方法
CN105104307B (zh) * 2015-10-09 2020-06-16 云南七彩田园牧业有限公司 一种提高牛肉品质和产量的肉牛养殖方法
KR102675325B1 (ko) * 2023-11-23 2024-06-13 이동우 완전혼합발효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급여방법
KR102675317B1 (ko) * 2023-11-23 2024-06-13 이동우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339B1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4078A (zh) 一种高档肉牛的养殖方法
Ermetin Husbandry and sustainability of water buffaloes in Turkey
McGregor Nutrition, management and other environmental influences on the quality and production of mohair and cashmere: A review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editerranean and annual temperate climatic zones
KR101164339B1 (ko) 고급육 생산을 위한 소의 사육방법
Rana et al. Effect of heat stress on carcass and meat quality of indigenous sheep of Bangladesh.
Masucci et al. Effect of group size and maize silage dietary levels on behaviour, health, carcass and meat quality of Mediterranean buffaloes
Sabia et al. Feeding, nutrition and sustainability in dairy enterprises: the case of Mediterranean Buffaloes (Bubalus bubalis)
Yalchi Determination of digestibility of almond hull in sheep
Mialon et al. Effects of the forage-to-concentrate ratio of the diet on feeding behaviour in young Blond d’Aquitaine bulls
Moniruzzaman et al. Effect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carcass and non-carcass parameters of Black Bengal goat
Mayne et al. Implications of genotype x nutrition interactions for efficiency of milk production systems
CN106417160A (zh) 通过乳饲料喂养的奶公犊小白牛育肥方法
Iraira et al. Effect of feeding method on intake and behaviour of individually reared beef heifers fed a concentrate diet from 115 to 185 kg of body weight
Terefe et al. Effect of maize stover silage based total mixed ration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of cross breed (Boran X Friesian) dairy cow
Srour et al. Productive performance of lactating buffaloes fed different types of silages during summer period
Srour et al. Performance of Lactating Buffaloes as Affected by Partial Substation of Berseem by Maize and Maize Teosinte Hybrid Silage During Winter Season in Egypt.
CN108450704A (zh) 一种土鸡饲料及其饲养方法
Tulung et al. The effects of length of feeding and level of crude fiber carcass quality and serum cholesterol of broiler chicken
Shakya et al. Effect of soymilk as partial milk replacer on feed intake and growth performance on Murrah buffalo calves
KR100379061B1 (ko)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사료급여방법
Archimède et al. Specificities of feeding ruminant livestock in warm areas
CN108185212A (zh) 一种杂交土鸡饲料及其饲养方法
Przybyło et al. Effect of processing method of cereals on feed intake, eating behaviour, rumin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nyala antelope (Tragelaphus angasii).
CN108354084A (zh) 一种鸡饲料以及鸡的饲养方法
KR101443300B1 (ko) 스트레스 저감에 따른 산육능력을 향상시키는 한우의 사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