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210A -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210A
KR20110130210A KR1020100049740A KR20100049740A KR20110130210A KR 20110130210 A KR20110130210 A KR 20110130210A KR 1020100049740 A KR1020100049740 A KR 1020100049740A KR 20100049740 A KR20100049740 A KR 20100049740A KR 20110130210 A KR20110130210 A KR 2011013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cu
controller
relay controll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971B1 (ko
Inventor
이상영
조휘만
김승조
황종홍
조득현
Original Assignee
이상영
조득현
황종홍
주식회사 해즈솔라
조휘만
김승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영, 조득현, 황종홍, 주식회사 해즈솔라, 조휘만, 김승조 filed Critical 이상영
Priority to KR102010004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97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MCU; 상기 MCU와 연결되며 MCU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전기를 변경해주는 릴레이 컨트롤러;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일반적인 상용전원을 입력해주는 GRID; DC를 사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와 LED 조명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LED 조명을 구동하는 구동용 드라이버;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나오는 AC를 DC로 변환시켜주는 AC/DC 변환용 SMPS;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와 일반부하 사이에 연결되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되는 DC를 AC로 변환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력공급자와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아 낮 시간대 전력 피크가 발생 하거나 실시간으로 요금이 변동 하여 전기에너지의 가격이 높아 지면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기에너지 또는 베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여 비싼 요금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Complex style solar developmental controller}
본 발명은 태양발전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 LED 전등의 전류 소모량을 제어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려주는 태양광 발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사용은 밤에 비해 낮 시간대의 사용량이 많은 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발전 설비는 모두 낮 시간대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건설 되어 왔으며 낮 시간때의 전기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피크가 발생하면 전력 감당을 위해 발전 설비를 증설할 수 밖에 없으며 발전설비의 증설을 줄이고자 전력 피크 시간대에 전기 사용요금을 높게 책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발전설비의 증설에 따른 CO2 방출량이 증가하여 대기오염의 영향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태양광 발전은 낮 시간대에 수동적인 발전이 이루어지며 만약 문제가 발생 되었을 때 발전을 전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력공급자와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아 낮 시간대 전력 피크가 발생 하거나 실시간으로 요금이 변동 하여 전기에너지의 가격이 높아 지면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기에너지 또는 베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여 비싼 요금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MCU; 상기 MCU와 연결되며 MCU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전기를 변경해주는 릴레이 컨트롤러;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일반적인 상용전원을 입력해주는 GRID; DC를 사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와 LED 조명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LED 조명을 구동하는 구동용 드라이버;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나오는 AC를 DC로 변환시켜주는 AC/DC 변환용 SMPS;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와 일반부하 사이에 연결되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되는 DC를 AC로 변환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력 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 배터리;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MCU와 연결되며 전력공급자와의 통신을 위한 PLC 네트워크 모듈과; MCU와 연결되며 PLC 네트워크 모듈을 통한 정보를 사용하여 전기 발전 상태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반부하 및 조명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여 잉여 생산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의 전력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력이 많이 사용되는 시간에 사용함으로써 전력의 사용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 전력부하를 분산시켜줄 수 있으며,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대에 상용전원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최대한 상용전원 소모를 줄이고 또한 전력피크 시간대에 전력부하를 분산하여 크게는 발전소 건설돠 CO2 배출을 줄여주며 작게는 세대의 전기사용요금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인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전체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인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MCU(110)와, 상기 MCU(110)와 연결되며 MCU(110)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전기를 변경해주는 릴레이 컨트롤러(120)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200)와, 일반적인 상용전원을 입력해주는 GRID(300); DC를 사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600);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120)와 LED 조명(6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LED 조명을 구동하는 LED 구동용 드라이버와(160),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나오는 AC를 DC로 변환시켜주는 AC/DC 변환용 SMPS(161)와,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120)와 일반부하(700) 사이에 연결되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되는 DC를 AC로 변환해주는 인버터(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CU(110)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릴레이 컨트롤러(120)를 제어하여 태양광 발전장치(200)로부터 발전되는 전력과 상용전력을 선택적으로 LED 조명(600) 및 일반부하(7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컨트롤 한다. 즉, 태양광 발전장치(200)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태양광을 통해 발전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LED 조명(600) 및 일반부하(700)로 공급하고, 태양광 발전장치(2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용전원으로 전환하여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120)는 MCU(110)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조명장치(600) 및 일반부하(7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선택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태양광 발전장치(200)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력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태양광 발전장치(200)가 동작하지 않거나 전력이 약한 경우에는 상용전원으로 전환하여 조명 및 일반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200)의 전력 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 배터리(400)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좀 더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 배터리(400)는 릴레이 컨트롤러(120)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배터리(400)와 릴레이 컨트롤러(120)의 사이에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를 설치하여 배터리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배터리(400)는 태양광 발전장치(200)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을 충전하며, 태양광 발전장치(200)에 의한 충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는 GRID(3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력 피크 이외나 전기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를 이용하여 배터리(400)를 충전 하도록 하여 전력 피크시점을 대비하도록 한다.
한편, MCU(110)에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미리 입력된 배터리 과충전 상태가 가까워 지면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를 주기적으로 ON/OFF 시켜 부분적으로 충전시키거나 과충전 위험 상태가 가까워지면 충전회로를 완전히 정지 시키고 충전을 중지시켜 배터리(400)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400)에 충전된 전력은 전력피크 시점에 태양광 발전이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LED 구동용 드라이버(160)은 LED 조명(600)의 조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MCU(110)를 통하여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MCU(110)는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에서 제공되는 배터리(400)의 전압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가 설치시 설정되어 있는 용량(약 80%~50%)이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LED 구동용 드라이버(160)를 통해 LED의 밝기를 주파수 제어를 이용하여 전력 소모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게 함과 동시에 베터리(400)의 동작시간을 늘려줌으로써 그만큼의 시간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MCU(110)와 연결되며 전력공급자와의 통신을 위한 PLC 네트워크 모듈(130)과, MCU(110)와 연결되며 PLC 네트워크 모듈(130)을 통한 정보를 사용하여 전기 발전 상태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시스템(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500)은 릴레이 컨트롤러(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의 종류, 즉 태양광 발전장치(200)를 통한 전력의 공급인지 상용전원을 통한 전력의 공급인지를 모니터링 하고, 전력의 피크 사용시간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이다. 전력의 피크 사용시간대는 PLC 네트워크 모듈(130)을 통하여 전력이 많이 사용되는지 적게 사용되는지를 판별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MCU(11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MCU(110)는 이를 모니터링 시스템(5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전력의 사용량 및 사용되는 전력의 종류 및 사용전력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상용전원(300)을 사용하여 모든 부하에 공급하며 전력공급자와 PLC 네트워크 모듈(130)을 통하여 정보를 상시 주고 받는다.
정보를 주고 받다가 전력 피크 시간대 또는 실시간 요금이 비싸질 경우 MCU(110)에서 판단하여 릴레이 컨트롤러(120)를 이용해 태양광 발전장치(200)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절체 하여준다.
태양광 발전장치(200)로 발전된 DC전기 에너지를 일반부하(700)에 공급하기 위해 릴레이 컨트롤러(120)을 거쳐 인버터(710)에서 AC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해주며, 조명부하(60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LED 구동용 드라이버(160)를 통해 동일하게 DC전기를 공급하여 준다
태양광 발전장치(200)로 발전된 전기에너지의 잉여 전력은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를 통하여 배터리(400)에 저장된다.
이때, MCU(110)에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미리 입력된 배터리 과충전 상태가 가까워 지면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를 주기적으로 ON/OFF 시켜 부분적으로 충전 시키거나 과충전 위험 상태가 가까워지면 충전회로를 완전히 정지 시키고 충전을 중지 시킨다.
배터리(400)에 충전된 전력은 전력피크 시점에 태양광 발전이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MCU(110)는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140)에서 제공되는 배터리(400)의 전압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가 설치시 설정되어 있는 용량(약 80%~50%)이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LED 구동용 드라이버(160)를 통해 LED의 밝기를 주파수 제어를 이용하여 전력 소모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게 함과 동시에 배터리(10)의 동작시간을 늘려줌으로써 그만큼의 시간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으로 배터리 충전이 충분치 않을 경우 또는 태양광발전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용전원(300)을 이용하여 전력 피크 이외의 시간이나 전기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를 이용하여 배터리(400)를 충전 하도록 하여 전력 피크시점을 대비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가 방전되고 태양광 발전장치(2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는 평상시처럼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모든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일반부하에는 AC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DC전기를 사용하는 조명부하는 AC/DC 변환용 SMPS(161)를 사용하여 DC로 전환 후 공급하여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모든 동작은 모니터링 시스템(30)을 이용해 전체적인 시스템 사용을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가 전기 사용량과 전기 사용요금이 절약된 내용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태양발전 컨트롤러 (110): MCU
(120): 릴레이 컨트롤러 (130): PLC 네트워크 모듈
(140):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 (160): LED 구동용 드라이버
(161): AC/DC 변환용 SMPS (200): 태양광 발전장치
(300): 상용전원(GRID) (400): 배터리
(500): 모니터링 시스템 (600): 조명부하(LED)
(700): 일반부하 (710): 인버터

Claims (3)

  1. 시스템을 제어하는 MCU; 상기 MCU와 연결되며 MCU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전기를 변경해주는 릴레이 컨트롤러;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일반적인 상용전원을 입력해주는 GRID; DC를 사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와 LED 조명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LED 조명을 구동하는 구동용 드라이버;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나오는 AC를 DC로 변환시켜주는 AC/DC 변환용 SMPS; 상기 릴레이 컨트롤러와 일반부하 사이에 연결되며 릴레이 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되는 DC를 AC로 변환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력 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 배터리;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MCU와 연결되며 전력공급자와의 통신을 위한 PLC 네트워크 모듈과; MCU와 연결되며 PLC 네트워크 모듈을 통한 정보를 사용하여 전기 발전 상태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
















KR1020100049740A 2010-05-27 2010-05-27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116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740A KR101167971B1 (ko) 2010-05-27 2010-05-27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740A KR101167971B1 (ko) 2010-05-27 2010-05-27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10A true KR20110130210A (ko) 2011-12-05
KR101167971B1 KR101167971B1 (ko) 2012-07-24

Family

ID=4549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740A KR101167971B1 (ko) 2010-05-27 2010-05-27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9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745B1 (ko) * 2012-09-18 2013-04-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제어장치
KR101294686B1 (ko) * 2012-03-22 2013-08-09 주식회사 파워큐브 자연전력 및 씨티 전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시스템 및 에너지 절약방법
KR101364495B1 (ko) * 2012-12-14 2014-02-20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전력사용량 예측기술을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226800A (zh) * 2015-10-27 2016-01-06 夏百战 一种太阳能光伏发电城市照明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47B1 (ko) * 2018-12-13 2020-11-13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력 공급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054A (ja) * 2001-08-31 2003-03-14 Sanyo Electric Co Ltd 蓄電池を備え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08271704A (ja) * 2007-04-20 2008-11-06 Oz Tech Kk 発電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86B1 (ko) * 2012-03-22 2013-08-09 주식회사 파워큐브 자연전력 및 씨티 전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시스템 및 에너지 절약방법
KR101259745B1 (ko) * 2012-09-18 2013-04-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제어장치
KR101364495B1 (ko) * 2012-12-14 2014-02-20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전력사용량 예측기술을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226800A (zh) * 2015-10-27 2016-01-06 夏百战 一种太阳能光伏发电城市照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971B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4711B2 (en) Photovoltaic energy storag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9395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5330941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N105226800A (zh) 一种太阳能光伏发电城市照明系统
WO2014163074A1 (ja) 電力変換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167971B1 (ko) 복합형 태양발전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CN110932323A (zh) 一种微电网系统
CN104767469A (zh) 一种光伏照明控制系统
CN102130497A (zh) 一种用于户外机房风光互补的供电装置及方法
CN104883779A (zh) 太阳能发电高压直流集中供电led路灯系统
CN201028361Y (zh) 高效非逆变的太阳能光伏供电路灯系统
CN102427267A (zh) 用于电动汽车的模块化充电系统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1313535B (zh) 一种直驱空调器
CN113809774A (zh) 一种光伏发电与电网互补的直流冶炼炉供电系统及方法
CN202496108U (zh) 一种太阳能led模块化路灯
CN203912288U (zh) 分布式建筑物太阳能照明供电系统
WO2013005162A1 (en) Local controllable load system
KR101012673B1 (ko) 태양광발전 자동제어장치
CN114844099A (zh) 一种基于光储柴微网系统的电池补电方法与终端
CN202042930U (zh) 一种太阳能空调用电池管理系统
BG66619B1 (bg) Метод за управление на натрупването и разхода на енергия от автономни енергийни източници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ализиращо метода
CN113708425A (zh) 直流微电网系统及其智能直流柜
CN112865106A (zh) 一种考虑荷电状态的交直流混合微电网功率调度方法
CN105071434A (zh) 太阳能电池电动汽车充电并离网储节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