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061A -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061A
KR20110130061A KR1020100049498A KR20100049498A KR20110130061A KR 20110130061 A KR20110130061 A KR 20110130061A KR 1020100049498 A KR1020100049498 A KR 1020100049498A KR 20100049498 A KR20100049498 A KR 20100049498A KR 20110130061 A KR20110130061 A KR 2011013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vc
irregularities
vinyl flooring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604B1 (ko
Inventor
성재완
박성하
하경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4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6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42Vinyl halide, e.g. PVC, PVDC, PVF or PVDF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의 최상부층인 PVC 표면층에 요철을 특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 아니라 치수안정성까지 갖춘 비닐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닐 바닥재 구성은 위로부터 PVC 표면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비닐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에는 요철이 70 ~ 160 ㎛의 두께로 형성된 것이거나, 혹은 그라스 페이퍼, 그라스 직포, 그라스 부직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치수보강층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계수, 거칠기 등의 팩터 뿐 아니라 실제 경사로의 각도까지 감안함으로써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 아니라 환경변화에 의해서도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비닐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Vinyl Floor for preventing slip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닐 바닥재의 최상부 층인 PVC 표면층에 요철을 특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 아니라 치수안정성까지 갖춘 비닐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닐 바닥재는 표면층을 기재층 상부에 인쇄하고 바닥재 사용도중 인쇄 무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위에 염화비닐 투명층을 형성시켜 구성하는데, 이렇게 구성된 바닥재는 비닐 투명층이 직접적으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오염이 쉽게 되고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의 바닥재는 비닐 투명층 상부에 별도의 표면처리층을 형성시켜 왔다.
일반적인 비닐 바닥재의 미끄러짐 방지용 표면처리층은 엠보싱을 부여하거나 혹은 무기질 알갱이를 뿌려 형성되는데 이 경우 마찰계수나 표면 거칠기 자체에 대한 개선도도 불량할 뿐 아니라 경사로 등에 적용할 경우 경사각 또한 불량하여 물이나 기름 등이 존재할 경우 그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견디기 어려워 미끄러짐 방지 측면에 있어 한계를 갖고 있다.
관련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607-008089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닥재는, 비드와 운모를 함유하는 표면 처리층을 포함함으로써 바닥재의 미끄러짐 방지성과 더불어 내마모성과 내스크래치성을 보강하고자 하였으나, 비드로서 비중이 아주 낮은 구형 중공 타입 비드를 적용함에 의해 액상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내 분산이 어렵고 충분한 미끄러짐 방지성을 부여하는 수준까지 비드를 첨가하기에 첨가량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치수 안정성은 아예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PVC 표면층에 요철을 특정 두께 이상 형성시키고 나아가 치수 보강층에 특정 보강재를 사용하여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면 물, 모래, 기름 등으로 오염된 경사로에서도 개선된 미끄러짐 방지 성능과 온도,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서도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비닐 바닥재를 제공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택 및 상가용 바닥에 시공되는 바닥재의 최상부 층인 PVC 표면층에 요철을 특정 두께 이상으로 부여하여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 아니라 환경변화에 의해서도 치수안정성까지 개선될 수 있는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닐 바닥재는, 위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에는 요철이 70 ~ 160 ㎛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 바닥재는, 위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치수보강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에는 요철이 70 ~ 160 ㎛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치수보강층은 그라스 페이퍼, 그라스 직포, 그라스 부직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적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요철을 특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된 표면층을 갖게 하여 미끄러짐 방지성이 탁월한 비닐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닐 바닥재는 여러 개의 PVC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의 장척 바닥재일 수 있다. 이 같은 비닐 바닥재의 일 예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VC 표면층 상에는 요철을 형성시키되, 그 두께는 70 ~ 1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70 ㎛ 미만에서는 오염물(가장 큰 예로서 마가린이나 기어오일 등)이 이 요철 사이에 걸리지 않기에 불리하며, 160 ㎛ 초과시에는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wet/greasy 조건에서 슬립 방지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기 요철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첫째, 표면층의 상부 표면에 엠보싱으로 70 ~ 160 ㎛의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 경우 표면층의 단면 형상은 도 2(a)에 해당한다. 둘째로는, 표면층의 표면에 무기물 칩 혹은 무기물 파쇄물, 또는 무기물이 코팅된 PVC 칩을 뿌려 70 ~ 160 ㎛의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 경우 표면층의 단면 형상은 도 2(b)에 해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표면층의 표면에 엠보싱이나, 알갱이 또는 칩을 함께 적용하여 70 ~ 160 ㎛의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 표면층의 단면 형상은 도 2(c)에 해당하게 된다. 이중에서 경사로에서의 미끄러짐 방지용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둘째, 혹은 셋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로는 석영, SiO2, A2O3, 글라스 비드 등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을 #2~100 메쉬, 1.50~0.08 mmSize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파쇄하거나 PVC 코팅시켜 착색화하거나, 혹은 PVC 컴파운드를 칼렌더링 혹은 캐스팅 공정에 의해 시트를 제조한 다음 분쇄하여 칩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입자의 표면 형태가 다동질이거나 거칠어 미끄럼 방지에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기물은 PVC 표면층 상에 칩/무기물을 배열하거나, 칩을 겔화하면서 무기물을 셋팅하거나 혹은 표면에 엠보싱을 부여하는 공정을 필요에 따라 적용하여 요철이 특정 두께 이상인 표면층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킹층은 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PVC, Textile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백킹층의 상부에 PVC 컴파운드를 재치하고 칼렌더링 혹은 캐스팅 공정을 수행하여 PVC 베이스층을 제조하고, 상기 표면층과 합판한 다음 필요에 따라 시트 타입 혹은 타일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표면층의 두께는 바닥재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른 것으로, 3 mm 이하를 많이들 사용하며, 이중에서도 특히 0.3 ~ 2 mm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층은 0.5 ~ 2.5 mm, 백킹층은 0.1 ~ 0.5 mm를 사용하여 전체 두께 0.2 ~ 0.6 mm 를 갖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참고로, 구체적인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PVC straight Resin 100PHR, 가소제로서 DOP(디옥틸프탈레이트) 20 ~ 60 PHR, BZ계 안정제 1 ~ 6 PHR, 활제로서 스테아르산/왁스계 0.3 ~ 5.0 PHR, 충진제로서 탄석 50 ~ 300 PHR로 구성된 PVC 컴파운드를 카렌다링 가공하여 0.5 ~ 2.5 범위 내 두께를 갖는 백킹층을 제작한다. 이때 폴리에스터계 부직포/직포를 PVC 졸로 함침/코팅하여 120 ~ 180 ℃ 히팅드럼에 겔화시키고 2 ~ 5 kg/cm2의 압력으로 합판롤을 이용하여 베이스 층에 백킹재를 합판 작업한다.
한편, 표면층과 완제품은 PVC Paste Resin 100 PHR, 가소제로서 DOP 20 ~ 60 PHR, BZ 계 안정제 1 ~ 6 PHR, 점도저하제 등을 포함한 가공조제 3 ~ 15 PHR, 충진제로서 탄석 0 ~ 100 PHR로 구성된 PVC 졸을 준비한다.
이같이 준비된 PVC 졸을 베이스층이나 백킹이 합판된 베이스층에 0.3 ~ 2.0 mm 두께로 코팅하고, 이 위에 석영, SiO2, A2O3, 글라스 비드, SiC, ZeO2, SUS Ball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 2 ~ 100 메쉬, 1.50 ~ 0.07mm Size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파쇄하거나 PVC 코팅시켜 착색화하거나 혹은 PVC 컴파운드를 칼렌더링 혹은 캐스팅 공정에 의해 시트를 제조한 다음 분쇄하여 # 2 ~ 100 메쉬, 1.50 ~ 0.07mm Size 정도의 입도를 갖는 칩 형태로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칩이나 알갱이를 배열하고, 150 ~ 160 ℃의 오븐에 1 ~ 5분간 겔링하고 이를 3 ~ 10 kg/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롤로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할 수 있다(실시예 1,2 참조).
이같이 제조된 바닥재는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마찰계수가 최대 35, 최소 거칠기(Rz)가 70 내지 160, 경사각이 10 내지 35°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의 비닐 바닥재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치수 보강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수보강층은 온도,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도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라스 페이퍼, 그라스 직포, 그라스 부직포 중 1종 이상을 사용하여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라스 페이퍼, 그라스 직포, 그라스 부직포 중 1종 이상을 선택한 다음 PVC 졸에 함침하여 치수 보강층을 제조하고, 상기 치수 보강층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두께 이상을 만족하도록 요철을 형성시켜 표면층을 제조할 수 있다. 기타 합판 공정, 재단 공정 등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각 층의 두께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층의 두께로는 3 mm 이하, 이중에서도 특히 0.3 ~ 2 mm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치수보강층은 0.2 ~ 0.6 mm, 베이스층은 0.5 ~ 2.5 mm, 백킹층은 0.1 ~ 0.5 m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치수보강층으로는 평량 25 ~ 100 g/m2의 그라스 페이퍼 혹은 부직포, 직포 등에 PVC졸을 함침하여 전체 두께 0.2 ~ 0.6 mm 정도의 두께를 채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구체적인 제작 방법으로는, 앞서 상술한 베이스층 또는 베이스층이 합판된 베이스층을 제작한 다음 치수보강층으로서 평량 20 ~ 100 g/m2의 그라스 페이퍼에 PVC paste Resin 100 PHR, 가소제로서 DOP 60 ~ 120 PHR, BZ계 안정화제 1 ~ 6PHR, 점도저하제 등의 가공조제 3 ~ 15PHR, 탄석 등의 충진제 70 ~ 150 PHR으로된 PVC 졸을 함침하여 140 ~ 160 ℃의 히팅 드럼에 터치하여 0.2 ~ 0.8 mm 두께로 제작한다.
이렇게 얻어진 치수보강층 상에 실시예 1에 나타낸 표면 졸을 0.3 ~ 2.0 mm 코팅하고 150 ~ 160 ℃의 오븐에서 겔링시켜 치수보강층이 합판된 표면층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치수보강층이 합판된 표면층을 140 ℃ 히팅드럼을 이용하여 합판하고 3 ~ 10 kg/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롤로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할 수 있다(실시예 3 참조).
한편, 이 같은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스층 그리고 치수보강층을 제작한 다음 베이스층과 치수보강층을 히팅 드럼과 합판롤을 사용하여 합판시킨 다음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상술한 PVC 표면 졸을 0.3 ~ 2.0 mm 코팅하고 150 ~ 160 ℃의 오븐에서 1 ~ 5 분간 겔링시키고 오븐에서 나왔을 때 5~50 # 입도의 각종 칩이나 알갱이를 1종 이상 뿌리고, 0.5 ~ 2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칩이나, 알갱이가 PVC 표면층 위에 박히게 하여 요철을 갖는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할 수도 있다(실시예 4 참조).
또한, 이 같은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스층 그리고 치수보강층을 제작한 다음 베이스층과 치수보강층을 히팅 드럼과 합판롤을 사용하여 합판시킨 다음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상술한PVC 표면 졸을 0.3 ~ 2.0 mm 코팅하고 150 ~ 160 ℃의 오븐에서 1 ~ 5 분간 겔링시키고 오븐에서 나왔을 때 2~50 # 입도의 각종 칩이나 알갱이를 1종 이상 뿌리고, 3 ~ 5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칩이나, 알갱이가 PVC 표면층 깊이 박히게 하여 요철을 갖는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할 수도 있다(실시예 5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위에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치수보강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을 적층한 바닥재는 필요에 따라 시트 타입 또는 타일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같이 제조된 바닥재는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마찰계수가 최대 35, 최소 거칠기(Rz)가 70 내지 160, 경사각이 10 내지 35°를 만족하고, 나아가 치수안정성 또한 ±0.10의 오차를 만족하여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재의 최상부 층인 PVC 표면층에 요철을 특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 아니라 치수안정성까지 갖춘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치수 보강층을 포함하지 않은 일 예이고, (b)는 치수 보강층을 포함하는 일 예에 해당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 PVC 표면층의 단면 형상을 얻어지는 유형별로 3가지로 정리한 것으로, (a)는 실시예 3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이고, (b)는 실시예 4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이고, (c)는 실시예 5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에 해당한다.
[ 실시예 1,2, 비교예1 ,2- 요철의 적정 두께 입증 실험]
PVC straight Resin 100PHR, 가소제로서 DOP(디옥틸프탈레이트) 35 PHR, BZ계 안정제 5 PHR, 활제로서 스테아르산 3.0 PHR, 충진제로서 탄석 100 PHR로 구성된 PVC 컴파운드를 카렌다링 가공하여 2.0 범위 내 두께를 갖는 백킹층을 제작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터계 부직포를 PVC 졸로 함침하여 150 ℃ 히팅드럼에 겔화시키고 4 kg/cm2의 압력으로 합판롤을 이용하여 베이스 층에 백킹재를 합판하였다.
한편, 표면층과 완제품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작하였다. 우선, PVC Paste Resin 100 PHR, 가소제로서 DOP 40 PHR, BZ 계 안정제 3 PHR, 가공조제로서 점도저하제 10 PHR, 충진제로서 탄석 30 PHR로 구성된 PVC 졸을 준비하였다.
이를 베이스층이나 백킹이 합판된 베이스층에 1.0 mm 두께로 코팅하고, 이 위에 글라스 비드, SUS Ball을 # 10 메쉬, 1.07mm Size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파쇄하거나 PVC 코팅시켜 착색화하거나 혹은 PVC 컴파운드를 칼렌더링 혹은 캐스팅 공정에 의해 시트를 제조한 다음 분쇄하여 # 10 메쉬, 1.0mm Size 정도의 입도를 갖는 칩 형태로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칩이나 알갱이를 배열하고, 180 ℃의 오븐에 3분간 겔링하고 이를 5 kg/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롤로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품의 형상을 도 1a로서 나타내었다.
요철의 깊이는 실시예 1에서는 Minimum Roughness를 70 ㎛로 하였고, 실시예 2에서는 160 ㎛, 비교예 1에서는 65 ㎛, 비교예 2에서는 165㎛를 형성하였다. 제조된 실시예 1-2, 비교예 1-2 각각에 대하여 마찰계수, 거칠기, 슬립각, 치수 안정성(%)을 각각 측정하고, 하기 표 1에 함께 정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70 ㎛)
실시예 2
(160 ㎛)
비교예 1
(65 ㎛)
비교예 2
(165㎛)
시험규격
Anti-slip 성 마찰계수 35< 35< 30 30 BS7976 (pendulum
Test value)
Rz 70 160 65 165 조도계 (Minimum Roughness)
Slip Angle
(°)
12 11 9 9 DIN 51130
Slip Angle
(°)
24< 24< 18 18 DIN 5097
치수안정성(%) 0.28 0.28 0.28 0.28 KS M 3802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경우 요철은 70 ~ 160 ㎛ 이내로 형성되어야지만 Greasy 상태에서도 적절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미끄럼 방지에 적합한 DIN 51130 의 규격에서 10 ° 이상의 경사로에서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층은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치수보강층으로서 평량 50 g/m2의 그라스 페이퍼에 PVC paste Resin 100 PHR, 가소제로서 DOP 80 PHR, BZ계 안정화제 4 PHR, 점도저하제 10 PHR, 탄석 70 PHR으로된 PVC 졸을 함침하여 160 ℃의 히팅 드럼에 터치하여 0.5 mm 두께로 제작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치수보강층 상에 실시예 1에 나타낸 표면 졸을 0.5 mm 코팅하고 150 ℃의 오븐에서 겔링시켜 치수보강층이 합판된 표면층을 제작하였다.
상기 베이스층과 치수보강층이 합판된 표면층을 140 ℃ 히팅드럼을 이용하여 합판하고 3 ~ 10 kg/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롤로 Minimum Roughness 100 ㎛의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품의 단면 형상을 도 2a로서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스층 그리고 치수보강층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베이스층과 치수보강층을 히팅 드럼과 합판롤을 이용하여 합판시켰다.
이러한 반제품 상에 실시예 1에 나타낸 PVC 표면 졸을 1.0 mm 코팅하고 150℃의 오븐에서 5 분간 겔링시키고 오븐에서 나왔을 때 5~50 # 입도의 각종 칩이나 알갱이를 1종 이상 뿌리고, 1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칩이나, 알갱이가 PVC 표면층 위에 박히게 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인 Minimum Roughness가 100 ㎛인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제품의 단면 형상을 도 2b로서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스층 그리고 치수보강층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베이스층과 치수보강층을 히팅 드럼과 합판롤을 이용하여 합판시켰다.
이러한 반제품 상에 실시예 1에 나타낸 PVC 표면 졸을 1.5 mm 코팅하고 150℃의 오븐에서 5 분간 겔링시키고 오븐에서 나왔을 때 2~50 # 입도의 각종 칩이나 알갱이를 1종 이상 뿌리고, 4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칩이나, 알갱이가 PVC 표면층에 깊이 박히게 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인 Minimum Roughness가 100 ㎛인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제품의 단면 형상을 도 2c로서 나타내었다.
[ 비교예 3]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스층을 제작하였다. 이 반제품 위에 실시예 1에 나타낸PVC 표면 졸을 1.0 mm 코팅하고 200 ℃의 오븐에서 3 분간 겔링시키고 오븐에서 나왔을 때 10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로 Minimum Roughness가 100 ㎛인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하였다.
[ 비교예 4]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 또는 백킹층이 합판된 베이스층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반제품 상에 실시예 1에 나타낸 PVC 표면 졸을 1.5 mm 코팅하고 150℃의 오븐에서 5 분간 겔링시키고 오븐에서 나왔을 때 8~50 # 입도의 각종 칩이나 알갱이를 1종 이상 뿌리고, 4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칩이나, 알갱이가 PVC 표면층에 깊이 박히게 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인 Minimum Roughness가 100 ㎛인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실시예 3-5 및 비교예 3-4에 대하여 기어 오일로 바닥재를 오염시킨 Greasy 조건하에서 마찰계수, 거칠기, 슬립각, 치수 안정성(%)을 각각 측정하고, 하기 표 2에 함께 정리하였다.
구분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시험규격
엠보싱부여 알갱이뿌림 도 2a 도 2b 도 2c
Anti-Slip
마찰계수 25 35< 25 35< 35< BS7976(pendulum
Test value)
Rz 100 100 100 100 100 조도계(Minimum Roughness)
Slip Angle
(°)
9 9 9 15 14 DIN 51130
Slip Angle
(°)
18 22 18 24< 24< DIN 51097
치수안정성 ±0.25 ±0.20 ±0.05 ±0.05 ±0.05 KS M 380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비교예 3,4의 경우에는 DIN 51130으로 표시된 슬립각이 10°이하이므로 미끄러움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고 바닥재의 기본물성인 치수안정성이 불충분한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 3-5에서는 바닥재의 기본 물성인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3-5 중에서도 실시예 3에서처럼 가장 튀어올라온 부분에 미세 요철을 넣는 것(도 2a)보다는 실시예 4(도 2b)나 실시예 5(도 2c)처럼 가장 튀어 올라온 부분이 무기물이나 PVC 무기물 또는 표면 형상이 다공질이고 거친 PVC 칩으로 된 것이 DIN 51130으로 표시된 Greasy 한 상태에서도 슬립각이 10 °이상인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점을 감안할 때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Claims (14)

  1. 위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에는 요철이 70 ~ 160 ㎛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2. 위로부터 차례로 PVC 표면층, 치수보강층, PVC 베이스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에는 요철이 70 ~ 160 ㎛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 상의 요철은 각 층을 합판한 다음 표면에 3 ~ 10 kg/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롤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 상의 요철은 각 층을 합판한 다음 표면에 5~50 # 입도의 PVC칩 또는 무기질 알갱이를 뿌리고 0.5 ~ 2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상기 칩 또는 알갱이가 표면에 박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 상의 요철은 각 층을 합판한 다음 표면에 2~50 # 입도의 PVC칩 또는 무기질 알갱이를 뿌리고 3 ~ 5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상기 칩 또는 알갱이가 PVC 표면층에 깊게 박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보강층은 평량이 25 ~ 100 g/m2 범위 내이고, 그라스 페이퍼, 그라스 직포, 그라스 부직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PVC 졸을 함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치수 보강층을 PVC 졸에 함침시킨 다음 각 층을 합판하고 표면에 3 ~ 10 kg/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롤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 상의 요철은 각 층을 합판한 다음 표면에 5~50 # 입도의 PVC칩 또는 무기질 알갱이를 뿌리고 0.5 ~ 2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상기 칩 또는 알갱이가 표면에 박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VC 표면층 상의 요철은 각 층을 합판한 다음 표면에 2~50 # 입도의 PVC칩 또는 무기질 알갱이를 뿌리고 3 ~ 5 km/cm2의 압이 걸리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상기 칩 또는 알갱이가 PVC 표면층에 깊게 박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층은 PVC 또는 텍스타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층 상에 PVC 컴파운드를 칼렌더링 혹은 캐스팅 공정에 의해 PVC 베이스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12. 제 1 항에 의한 바닥재로서, PVC 표면층 0.3 ~ 2 mm, 베이스층 0.5 ~ 2.5 mm, 백킹층 0.1 ~ 0.5 mm의 두께로서 전체 두께 0.2 ~ 0.6 mm 를 갖고, 마찰계수가 최대 35, 표면 거칠기(Rz)가 75 내지 160, 경사각이 10 내지 35°를 만족하는
    비닐 바닥재.
  13. 제 2 항에 의한 바닥재로서, PVC 표면층 0.3 ~ 2 mm, 치수보강층 0.2 ~ 0.6 mm, 베이스층 0.5 ~ 2.5 mm, 백킹층 0.1 ~ 0.5 mm의 두께로서 전체 두께 0.2 ~ 0.6 mm 를 갖고, 마찰계수가 최대 35, 표면 거칠기(Rz)가 75 내지 160, 경사각이 10 내지 35° 범위 내이고, 치수 안정성이 ±0.10을 만족하는 비닐 바닥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시트 타입이거나 혹은 타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바닥재.
KR1020100049498A 2010-05-27 2010-05-27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498A KR101304604B1 (ko) 2010-05-27 2010-05-27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498A KR101304604B1 (ko) 2010-05-27 2010-05-27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061A true KR20110130061A (ko) 2011-12-05
KR101304604B1 KR101304604B1 (ko) 2013-09-05

Family

ID=4549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498A KR101304604B1 (ko) 2010-05-27 2010-05-27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6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217B1 (ko) * 2012-09-06 2013-03-15 주식회사 프리머에코마루 내구성이 향상된 이음구조를 가진 넌슬립 강화마루 제조방법 및 넌슬립 강화마루
WO2013042807A1 (ko) * 2011-09-21 2013-03-28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567B1 (ko) * 2012-10-30 2015-02-03 (주)엘지하우시스 상온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바닥재
KR20150067725A (ko) * 2013-12-10 2015-06-18 전영천 매트용 친환경 원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매트 및 친환경 매트 제조방법
EP2744657B1 (en) 2011-08-20 2017-10-04 U. Windmöller Consulting GmbH & Co. KG Multi-layer elastic floor panel having a reinforced pvc core
KR20190047189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8019A (ko) 2018-10-02 2020-04-10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7170B (zh) * 2020-07-03 2022-07-12 清远市快地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添加煤矸石粉的pvc地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4984A (ja) * 2005-09-22 2007-04-05 Hiroshima Kasei Ltd ポリ塩化ビニル系防滑床材
KR101274889B1 (ko) * 2008-08-13 2013-06-14 (주)엘지하우시스 욕실용 안전 바닥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4657B1 (en) 2011-08-20 2017-10-04 U. Windmöller Consulting GmbH & Co. KG Multi-layer elastic floor panel having a reinforced pvc core
EP2744657B2 (en) 2011-08-20 2020-09-23 U. Windmöller Consulting GmbH & Co. KG Multi-layer elastic floor panel having a reinforced pvc core
WO2013042807A1 (ko) * 2011-09-21 2013-03-28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42217B1 (ko) * 2012-09-06 2013-03-15 주식회사 프리머에코마루 내구성이 향상된 이음구조를 가진 넌슬립 강화마루 제조방법 및 넌슬립 강화마루
KR101488567B1 (ko) * 2012-10-30 2015-02-03 (주)엘지하우시스 상온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바닥재
KR20150067725A (ko) * 2013-12-10 2015-06-18 전영천 매트용 친환경 원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매트 및 친환경 매트 제조방법
KR20190047189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8019A (ko) 2018-10-02 2020-04-10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604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604B1 (ko)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3042807A1 (ko) 미끄러짐 방지용 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70048B1 (ko) 바닥장식재
KR101102161B1 (ko) 쿠션기능이 있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타일 타입바닥장식재
EP27356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covering
EP2785929B1 (en) Anti-skid floor covering
JP2017527461A (ja) 熱可塑性の耐摩耗性箔を製造する方法
AU2009263946B8 (en) Floor covering
JP2018048538A (ja) 遮音及びノンスリップ底材とその製造方法
KR100805633B1 (ko) 내마모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바닥장식재
KR101304624B1 (ko) 표면 내구성이 우수한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699B1 (ko) 정전기 방지 시트
KR101706084B1 (ko) 인테리어용 바닥재
KR20190002278U (ko) 바닥재
JP7282429B2 (ja) 硬質床材
BE1027842A1 (nl) Methode voor het maken van wand- of vloerbekleding
JP6427291B1 (ja) タイル及びタイルの製造方法
KR102650148B1 (ko) 건축용 바닥재
JPH0640616Y2 (ja) 内装材
KR102321033B1 (ko) 인테리어 시트
JP2012255326A (ja) 防滑床材の製造方法
KR100467227B1 (ko) 금속질감을 갖는 합성수지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545700Y2 (ja) ノンスリップ床材
EP2157122A1 (e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surface layer of a sheet type plastic body for covering purpose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heet type plastic bodies containing it
JPH05297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