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037A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037A
KR20110130037A KR1020100049456A KR20100049456A KR20110130037A KR 20110130037 A KR20110130037 A KR 20110130037A KR 1020100049456 A KR1020100049456 A KR 1020100049456A KR 20100049456 A KR20100049456 A KR 20100049456A KR 20110130037 A KR20110130037 A KR 20110130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창
이종명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037A/ko
Publication of KR2011013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5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3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light, e.g. las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전자 기기 및 그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는 무선 제어 기기로 부터 전력유도파 또는 전력유도 에너지를 공급받아 최초 구동을 위한 시동전력을 생성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제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제어 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가 이슈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자 기기들은 최초 구동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비하기 위하여,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대기 전력에 의해 낭비되고 있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제어 기기는, 입력부; 외부 전자 기기에 시동전력의 발생을 유도하는 전력유도파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제어 기기는, 입력부; 외부 전자 기기에 시동전력을 유도하는 전력유도파 및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만 송출하는 제1 제어동작 및 상기 전력유도파와 상기 제어신호를 모두 송출하는 제2 제어동작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 및 외부로부터 전력유도파를 수신하여 시동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시동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제어 기기는, 입력부; 외부 전자 기기에 시동전력을 유도하는 전력유도파 및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전원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 및 상기 제어신호를 모두 송출하는 제1 제어동작 및 상기 제어신호만 송출하는 제2 제어동작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최초 구동에 필요한 시동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에너지를 무선 제어 기기로 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평상시 대기 전력을 제로로 만들 수 있다.
둘째, 대기 전력을 제로로 만듦에 따라, 에너지 절감 효과가 생기게 되며, 에너지 절감에 따른 환경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나의 무선 제어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 및 무선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전력유도파와 제어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와 전자 기기 간의 상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200) 및 무선 제어 기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 및 무선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제어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신호 뿐만 아니라, 전력유도파 또는 전력유도 에너지를 전송한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력유도파에 의해 시동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시동전력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200)의 동작이 시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력유도파' 또는 '전력유도 에너지'라 함은,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에서 생성되는 각 종 파(WAVE) 또는 에너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유도파는 전자기파 및 음파 등을 포함한다. 전력유도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전력유도파' 또는 '전력유도 에너지'를 통칭하는 것으로써 '전력유도파'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리모컨, 휴대용 전화, 스마트폰, PMP(portable media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tan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예를 들어, TV, 홈서버, 홈시어터, 미디어 플레이어및 PC 등 일상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SG'로 참조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제어신호 및/또는 전력유도파를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즉, 'SG'로 참조되는 것은 경우에 따라 제어신호일 수 있고, 전력유도파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제어신호와 전력유도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입력부(102), 통신부(104), 신호생성부(106), 신호전송부(108) 및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2)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각 종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2)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2)는 키패드, 터치패트, 터치스크린, 삼차원 모션인식 센서, 마이크 및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4)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통신부(104)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4)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와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와 타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04)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이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106)는 상기 제어신호 및/또는 전력유도파 를 생성한다. 상기 신호생성부(106)는 전자기파 생성 모듈 및 음파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 생성 모듈은, 지향성이 있는 전자기파 및/또는 지향성 없는 전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파 생성모듈은 LED(light emit diode), LD(laser diode), IR(Infred) 신호 생성기 및 RF(Radio Frequency) 신호 생성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파 생성 모듈은, 예를 들어, 음파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전송부(108)는, 상기 신호생성부(106)에서 생성된 제어신호 및/또는 전력유도파 를 외부로 방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신호 및/또는 전력유도파 는 상기 신호전송부(108)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송부(108)는 상기 신호생성부(106)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신호수신부(202), 전력생성부(204), 신호해석부(206), 전력저장부(208), 주전원공급부(210) 및 제어부(212)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전자 기기(200)는 기타 모듈(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수신부(202)는 상기 제어신호 및/또는 전력유도파 를 수신한다.
상기 전력생성부(204)는 상기 전력유도파를 수신하여 시동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전력생성부(204)는, 상기 전력유도파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유도파가 빛인 경우, 상기 전력생성부(204)는 솔라셀(solar cell)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유도파가 음파인 경우, 상기 전력생성부(204)는 상기 음파에 공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유도파가 전자기장인 경우, 상기 전력생성부(204)는 상기 전자기장에 공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해석부(206)는 상기 제어신호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해석부(206)는 상기 제어신호가 어떠한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저장부(208)는 소정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상기 전력저장부(208)는 제1 스위치(208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208S)는 상기 전력저장부(208)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력저장부(208)는 상기 제1 스위치(208S)의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2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치(208S)가 'on'된 경우, 상기 전력저장부(208)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상기 전자 기기(2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저장부(208)는, 예를 들어, 축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는 파워서플라이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는 콘센트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모듈을 말한다.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는 제2 스위치(210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210S)는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는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2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위치(210S)가 'on'된 경우,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상기 전자 기기(200)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200)는 전원이 'OFF'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208S) 및 제2 스위치(210S)가 'OFF'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전원이 'OFF'되어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소모하는 전력이 없을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200)는 일반적인 전자 기기와 달리, 대기전력이 '0'일 수 있다. 대기전력이란 리모콘 등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말한다.
상기 기타 모듈(214)은 상기 전자 기기(200)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가 TV인 경우, 상기 기타 모듈(214)은 디코딩 모듈, 방송 수신 모듈, 입력모듈 및 출력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기기(200) 및 무선 제어 기기(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100). 상기 입력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 를 생성한다(S110).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 를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송한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면(S1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가 '전원 ON'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이 때, 상기 '전원 ON'신호는 제어 대상 기기, 즉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을 'ON'시키고자 하는 신호를 말한다.
만약 상기 입력신호가 '전원 ON'신호인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만 생성할 수 있다(S110a). 상기 입력 신호가 '전원 ON'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이 'OFF'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 때는, 상기 전자 기기(200)에 초기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시동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력유도파가 제공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가 '전원 ON'인 경우, '전원 ON'에 대응되는 별도의 제어신호가 필요하지 않고, 상기 전력유도파에 의해 갈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입력신호가 '전원 ON'신호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입력신호가 '전원 OFF', '볼륨 +' 및 '채널 -' 등의 신호인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의 생성 없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만 생성할 수 있다(S110b).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매칭되어 있는 매칭테이블을 메모리(도면 미도시)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동작은, 사용자가 요청하고자 하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말한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판단하고, 상기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동작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통신부(104)를 통하여, 상기 매칭테이블을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통신부(104)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상기 매칭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가 '전원 ON'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이 'ON'되어 있는 경우로 간주할 수 있고, 이 때는 상기 전자 기기(200)에 초기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시동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력유도파가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입력신호가 '전원 ON'신호가 아닌 경우에도, 반드시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이 'ON'되어 있는 상태가 아닐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유도파와 함께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정보를 메모리(도면 미도시)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상기 전원정보는 상기 통신부(104)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면(S100), 상기 제어대상 기기 즉, 상기 전자 기기(200)의 현재 전원 상태가 'OFF'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판단(S104)은 상기 전원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전력유도파를 생성할 수 있다(S110c).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 상태가 'OFF'이기 때문에 시동전력의 생성에 필요한 전력유도파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전원 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만 생성할 수 있다(S110d).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 상태가 'ON'이기 때문에 시동전력의 생성이 별도로 필요없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전력유도파와 제어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유도파와 상기 제어신호가 모두 생성되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와 상기 제어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유도파에 함께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유도파로 빛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빛의 깜빡거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유도파에 함께 인코딩하고, 상기 전력유도파를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빛의 파장(진동수)을 시간에 따라 달리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유도파에 함께 인코딩하고, 상기 전력유도파를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이 외의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전력유도파에 상기 제어신호를 함께 인코딩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를 먼저 전송한 후, 상기 제어신호를 잇달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유도파가 빛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전력유도파와 동일하게 빛을 매개로 하여 전송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빛을 매개로 하여 전송될 필요 없다. 즉, 상기 제어신호는 RF 신호, IR 신호 또는 음파 등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력유도파를 생성하는 모듈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듈은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와 상기 제어신호를 서로 번갈아가면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유도파가 빛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전력유도파와 동일하게 빛을 매개로 하여 전송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빛을 매개로 하여 전송될 필요 없다. 만약, 상기 전력유도파가 빛이고, 제어신호가 빛을 매개로 하여 전송되는 경우, 즉 동일한 방식에 의해서 전력유도파 및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도 7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유도파에 함께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와 상기 제어신호를 함께 전송하되, 서로 다른 방식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유도파로 빛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RF 신호, IR 신호 또는 음파 등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이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시동전력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에서 생성 및 전송된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130).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력유도파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생성부(204)를 통해 시동전력을 생성한다(S140). 상기 시동전력은 상기 전자 기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력보다는 작을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제1 스위치(208S) 또는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시동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를 'ON'시킨다(S150).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시동전력을 상기 제2 스위치(210S)에 공급하여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가 'ON'으로 바뀌면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상기 전자 기기(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S160).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이용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시작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로 앞서 설명한 전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정상적으로 'ON'되었음을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을 'off'하라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로 상기 전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전원이 'OFF'될 것임을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로 알릴 수 있다.
이로써,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기기(10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동전력은 상기 제2 스위치(210S)로 바로 공급되어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으나, 상기 시동전력은 우선 상기 전력저장부(208)로 공급되어 상기 제1 스위치(208S)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시동전력은 상기 제1 스위치(208S)를 'ON'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208S)의 상태가 'ON'으로 바뀌면 상기 전력저장부(208)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저장부(208)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는 상기 주전원공급부(210)의 제2 스위치(210S)로 공급되어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자 기기(200)는 대기전력이 '0'인 상태에서도 초기 구동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로부터 전력유도파를 제공받고, 상기 전력유도파를 이용하여 최초 구동에 필요한 시동전력을 생성함으로써, 대기전력을 '0'으로 유지하고 있어도 초기 구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력생성부(204)에서부터 생성되는 시동전력을 증폭시켜주는 증폭기(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에 의해, 상기 시동전력이 상기 주전원공급부(210) 또는 상기 전력저장부(208)의 구동을 시동할 수 있는 크기로 증폭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시작하면, 상기 전력저장부(208)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일부를 상기 전력저장부(208)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200)는 태양전지 등과 같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energy harves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에너지 생성 모듈(도면 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ON'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OFF'되어 있는 상태라고 하여도, 상기 전력저장부(208)는 상기 에너지 해베스팅 기술이 채택된 에너지 생성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신호해석부(206)을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해석한다(S170). 이어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S180).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매칭되어 있는 매칭테이블을 메모리(도면 미도시)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호해석부(206)는 상기 전력생성부(204) 또는 상기 전력저장부(208)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전력생성부(204) 또는 상기 전력저장부(208)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상기 제어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기기(100) 및 전자 기기(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전자 기기를 선택한다(S200).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선택입력을 기초로 하여 제어 대상 전자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도면 미도시)에 상기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리스트로부터 제어 대상 전자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전자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선택된 전자 기기의 ID(identification)를 획득한다(S205).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ID는, 상기 통신부(104)를 통하여, 미리 획득/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ID를 상기 전자 기기들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도면 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ID를 인터넷을 통하여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로(도면 미도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도면 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10).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때, 앞서 도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획득된 전자 기기의 ID를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에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의 ID를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에 인코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로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의 파장을 상기 ID에 따라 변경하여 생성/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 기기(200)는 각 기기별로 특정 파장의 레이저에 대해서만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가 상기 전력유도파로 음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음파의 파장을 상기 ID에 따라 변경하여 생성/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 기기(200)는 각 기기별로 특정 파장의 음파에 대해서만 공진을하고, 그에 따라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가 상기 전력유도파를 기타 다른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 전자 기기만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게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유도파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제어신호만 전송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전자 기기의 ID를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전자 기기의 ID를 인코딩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전력유도파에 상기 전자 기기의 ID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에 전자기기의 ID를 인코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호 인코딩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ID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고유의 일련번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기기의 ID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가 상기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에 할당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기기의 ID는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 및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등)로부터 부여받은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에 제어 대상 전자 기기의 ID를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가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반드시 전자 기기의 ID를 인코딩하여서 전송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직직성이 강한 레이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지향한 상태로,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전자 기기의 ID를 인코딩하지 않아도 하나의 무선 제어 기기(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음파를 이용하거나 전자기공진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가 지향성을 가질 수 없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ID를 함께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무선 제어 기기(100)는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21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220).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제어신호에는 전자 기기 ID가 인코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자 기기 ID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동전력을 생성한다(S225).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인코딩된 전자 기기 ID가 자신의 ID와 동일한 경우에만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200)는 특정 파장의 레이저 또는 특정 파장의 음파에만 반응하여 상기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수신부(202), 상기 전력생성부(204) 및/또는 상기 신호해석부(206)는, 상기 제어부(212)의 별도 제어없이도, 특정 전자 기기 ID가 인코딩된 상기 전력유도파 및/또는 상기 제어신호만 수신하여 그에 따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계적 또는 회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시동전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력보다는 작을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제1 스위치(208S) 또는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시동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를 'ON'시킨다(S230).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시동전력을 상기 제2 스위치(210S)에 공급하여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210S)의 상태가 'ON'으로 바뀌면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상기 전자 기기(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S240).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주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이용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서로 배척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전력유도파를 전송하여 시동전력을 생성하는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제어 기기와 전자 기기 간의 상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생성부(106)가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력생성부(204)가 솔라셀(SC)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솔라셀은 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솔라셀(SC)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전송되는 레이저(LS)를 수신하여 시동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그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 및 무선 제어 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 및 무선 제어 기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무선 제어 기기 200: 전자 기기
102: 입력부 202: 신호 수신부
106: 신호생성부 204: 전력생성부
108: 신호전송부 206: 신호해석부
210: 주전원공급부

Claims (18)

  1. 입력부;
    외부 전자 기기에 시동전력의 발생을 유도하는 전력유도파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에 대응되며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더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제어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전력유도파를 먼저 전송한 후, 상기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제어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ID(identifier)를 더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제어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도파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제어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전자기파 발생기, 레이저 발생기 및 음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기기.
  7. 입력부;
    외부 전자 기기에 시동전력을 유도하는 전력유도파 및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만 송출하는 제1 제어동작 및 상기 전력유도파와 상기 제어신호를 모두 송출하는 제2 제어동작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전원-온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제어 기기.
  9.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 및
    외부로부터 전력유도파를 수신하여 시동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시동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공급부는,
    상기 시동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하는
    전자 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전력을 저장하고 있는 전력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성부는, 상기 시동전력을 상기 전력저장부로 공급하고,
    상기 전력저장부는, 상기 시동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전력저장부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전자 기기에 공급하기 시작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공급부는,
    상기 전력저장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하는
    전자 기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성부는,
    상기 전력유도파와 함께 전송된 전자 기기 ID(identifier)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시동전력을 생성하는
    전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성부는,
    상기 전자 기기 ID가 상기 전자 기기의 고유 ID(unique identifier)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시동전력을 생성하는
    전자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성부는,
    상기 전자 기기 ID가 인코딩된 전력유도파만 수신하도록 설계된
    전자 기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18. 입력부;
    외부 전자 기기에 시동전력을 유도하는 전력유도파 및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전원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유도파 및 상기 제어신호를 모두 송출하는 제1 제어동작 및 상기 제어신호만 송출하는 제2 제어동작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기기.
KR1020100049456A 2010-05-27 2010-05-2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KR20110130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456A KR20110130037A (ko) 2010-05-27 2010-05-2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456A KR20110130037A (ko) 2010-05-27 2010-05-2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037A true KR20110130037A (ko) 2011-12-05

Family

ID=4549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456A KR20110130037A (ko) 2010-05-27 2010-05-27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0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97A1 (ko) * 2012-04-30 2013-1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에너지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19229B2 (en) 2012-04-30 2017-11-14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Apparatus for receiving non-contact energ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210039855A (ko) 2019-10-02 2021-04-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원 분리 장치와 방법, 음원 분리 장치를 학습시키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97A1 (ko) * 2012-04-30 2013-1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에너지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19229B2 (en) 2012-04-30 2017-11-14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Apparatus for receiving non-contact energ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210039855A (ko) 2019-10-02 2021-04-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원 분리 장치와 방법, 음원 분리 장치를 학습시키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335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CN110166996B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发送内容的设备和方法
KR101768723B1 (ko) 휴대단말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CN102369645B (zh) 用于可充电装置的无线电力传送
KR102077233B1 (ko) 컨텐트 제공 방법 및 이동 단말기와 기록 매체
KR101902795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905454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recharging system
KR101962555B1 (ko) 멀티 모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9996101B (zh) 再现内容的方法与系统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4934337B2 (ja) 通信システム
CN104428972A (zh) 用于小型设备无线充电模式的系统、方法和装置
KR20170112934A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302147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KR20160025314A (ko) 충전 방식 가변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05144757A (zh) 通信模式下的通信服务
US20130307665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ories of mobile device
US8811930B2 (en) Wireless peripheral device powered by harvested power genera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JP2010114961A (ja) 電力通信装置、電力通信システム、電力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10484B2 (en)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content playback syste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JP2017083526A (ja) 通信装置
US20130047008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wireless computer peripheral device
JP2013115859A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US20100176923A1 (e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9005850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3003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