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739A -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 Google Patents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739A
KR20110129739A KR1020100049278A KR20100049278A KR20110129739A KR 20110129739 A KR20110129739 A KR 20110129739A KR 1020100049278 A KR1020100049278 A KR 1020100049278A KR 20100049278 A KR20100049278 A KR 20100049278A KR 20110129739 A KR20110129739 A KR 2011012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fabric
policy
stab
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일
백종규
이승구
심지현
김북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4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739A/ko
Publication of KR2011012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7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by treatment of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71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F41H5/0485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all the layers being only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32B2571/02Protective equipment defensive, e.g. armour plates, anti-ballistic 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트처리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질성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수지를 섬유직물에 일정 간격(32)으로 도트(31) 처리한 섬유직물을 다층으로 적층한 절단저항부(21)와 고성능 섬유직물에 전단농화유체를 함침하여 적층시킨 관통저항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써, 절단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활동성을 높여주며, 또한, 경량화를 이루는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Stab and Spike Resistant material with multi-layer complex layer and Stab and Spike Resistant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트처리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질성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수지를 섬유직물에 일정 간격(32)으로 도트(31) 처리한 섬유직물을 다층으로 적층한 절단저항부(21)와 고성능 섬유직물에 전단농화유체를 함침하여 적층시킨 관통저항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써, 절단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활동성을 높여주며, 또한, 경량화를 이루는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검복 및 방침복은 경찰 지구대원이나 군인 및 일반 경호업체에 근무하는 경호원들의 보호복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과 같이 총기 소지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총알에 대한 위협보다는 실질적으로 칼이나 침에 의한 위협이 더 크기 때문에 방검/방침복은 안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 밖에도 고가의 물건을 파는 상점이나 거액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장소, 공병 파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방검/방침 제품을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출원번호 제20-2007-0011282호에는, 얇은 금속재질의 방검패널이나 세라믹, 스프링강으로 구성하여 방검/방침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방어하는 방검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1-0012481호에, 사포번호 50~400에 해당하는 모래를 고성능 섬유직물에 도포하여 수지로 접착시킨 방검 및 방탄용 패널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비중이 큰 금속재질 및 정제되지 않은 소재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무겁고 딱딱하고 뻣뻣해서 신뢰성이 없고, 활동성이 좋지 않다. 물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도 판을 여러 개로 나누어 엇갈리게 넣는 방법으로 활동성을 향상시키기도 하였으나 재질의 특성상 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검/방침복에서 위협물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처음으로 닿는 부분인 절단저항부(21)에 고성능 섬유직물에 경질성 입자가 포함된 수지를 도트(31) 처리하여 절단저항성을 높인 소재를 사용하고, 피부와 닿는 부분인 관통저항부(22)는 전단농화유체를 적용한 고성능 섬유직물을 사용함으로써 방검/방침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경량화 및 활동성이 향상된 고성능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는 S1칼, P1칼, 스파이크, 송곳 등과 같은 위협물(10)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처음으로 닿는 부분인 절단저항부(21)와 피부와 닿는 부분인 관통저항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절단저항부(21)와 관통저항부(22)는 각각 특징이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설계하여, 이를 복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저항부(21)는 절단저항성이 매우 높은 소재들을 핵심소재로 구성하여, 칼이나 송곳 같은 위협물(10)의 접촉시 잘 절단되지 않도록 저항을 해줌으로써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는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로 직조된 고성능 섬유직물에, 알루미나, 실리콘카바이드 및 실리카 등과 같은 경질성 무기입자들 중 적어도 한 종류를 포함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페놀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도트(31)처리한 후, 상기 도트처리된 섬유직물이 1~20층으로 적층되는 절단저항부(21)와,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로 직조된 고성능 섬유직물에 전단농화유체를 함침시켜, 상기 함침처리된 섬유직물이 1~20층으로 적층되는 관통저항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의 절단저항부(21) 및 관통저항부(22)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계의 고성능 섬유직물은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케블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의 절단저항부(21) 및 관통저항부(22)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의 고성능 섬유직물은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스펙트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에 있어서, 절단저항부(1)의 고성능 섬유직물에 도트처리되는 수지 중에 포함되는 경질성 무기입자는 평균입자크기가 100nm~10㎛인 것이 바람직한데, 100nm 미만이면 도트에 사용되는 수지 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쉽지 않고, 경질입자를 도포하지 않은 도트처리와 방검성능의 차이가 미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0㎛를 초과하면 전단농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고, 수지와 섬유직물 사이의 접착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며, 면밀도가 크게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방검복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고성능 섬유직물에 도트처리되는 수지 중에 포함되는 상기 경질성 무기입자의 함량은 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 미만이면 수지에 포함되는 경질성 무기입자가 수지 자체의 성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또한 위험물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키기에는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방검/방침복의 무게가 증가하여 착용자의 활동성을 감소시키며, 수지와 직물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방호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에 있어서, 경질성 무기입자를 함유한 수지에 의한 도트처리는 1~30mm의 간격으로 도트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간격이 1mm 미만이면 도트처리시 간격조절이 쉽지 않고, 간격이 너무 좁기 때문에 도트처리한 수지들끼리 붙어버릴 수 있으며, 직물 고유의 유연성을 해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30mm를 초과하면 칼날이나 송곳 같은 위협물이 방검·방침복에서 도트처리가 되지 않은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져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에 있어서, 상기 도트(31)들의 합계 중량은 도트처리된 섬유직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방검·방침성능이 거의 향상되지 않거나, 방검복의 무게를 상당히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유연성 저하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에 있어서, 상기 도트처리된 섬유직물은 1~20층으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층 이상을 적층하면 방검/방침재로 사용할 경우 소재가 너무 두꺼워져서 활동하는데 불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에 있어서, 관통저항부(22)는 고성능 섬유직물에 전단농화유체를 함침하여 만든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적은 무게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경량화에 큰 기여를 하며, 위협물(10)에 의해 받는 충격 중에서 절단저항부(21)에서 먼저 흡수한 충격 에너지를 제외한 나머지 에너지를 흡수하는 담당을 하게 되는데, 주로 위협물(10)의 뾰족한 부분이 신체에 닿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단농화유체는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유체의 상태로 존재하다가, 이 유체에 칼이나 송곳 같은 위협물(10)이 진입하면서 전단력이 가해졌을 때, 유체는 갑자기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결국 고체로 변하면서 위협물(10)에 대해 저항을 하는 원리를 갖는 유체를 일컫는 것으로서, 상기 전단농화유체는 나노입자(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및 알루미나 등) 등을 수평균분자량이 200~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에 있어서, 상기 관통저항부(22)에 사용되는 전단농화유체는 함침처리된 섬유직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50중량%로 함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3중량% 미만이면 전단농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거나 영향이 적어 바람직하지 않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방검·방침복의 무게가 크게 증가되는 단점과 전단농화현상에 의한 점도 증가 거동이 약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관통저항부(22)는 전단농화유체를 함침시킨 섬유직물이 1~20층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층을 초과하면 전체적인 방검·방침복의 송곳에 대한 저항은 크게 증가하지만, S1 칼날에 대한 저항성능이 저하되어 방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복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검/방침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복은 상기 절단저항부(21) 및 관통저항부(22)를 이루는 직물층들 외에 통상적으로 방검/방침복에 사용되는 내절단성 및 내관통성이 우수한 직물층들을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적층수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방검/방침 제품에 사용되는 각 소재의 방검효율을 극대화하여 경량화를 이루었고, 또한,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무거운 소재, 뻣뻣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전단농화유체라는 유체를 이용하여 방검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검/방침재가 위협물(10)에 대해 보호성능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검/방침재의 “절단저항부(21)”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검/방침재의 “관통저항부(2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방검/방침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방검성능 측정방법
방검성능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NIJ 0115.00 Standard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S1 칼날을 사용하여 규격의 E1에서 level 1에 해당하는 24J의 에너지로 시험하였다. E2의 경우는 level 1에 해당하는 36J의 에너지로 시험하며, 관통허용깊이는 20mm 이내이다.
보호 등급
E1 충격 에너지 E2 충격 에너지
J ft·lbf J ft·lbf
1 24±0.50 17.7±0.36 36±0.60 26.6±0.44
2 33±0.60 24.3±0.33 50±0.70 36.9±0.51
3 43±0.60 31.7±0.33 65±0.80 47.9±0.59
비교예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8층(1층 당 면밀도 220g/㎡),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26층(1층 당 면밀도 115g/㎡),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4층(1층 당 면밀도 130g/㎡),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부직포 4층(1층 당 면밀도 230g/㎡)으로 이루어진 현용 S1 칼날 방어 전용 방검복 2겹을 구입하고, S1 칼날을 사용하여 규격의 E1에서 level 1에 해당하는 24J의 에너지로 시험하였다. 시험 후, 시편이 칼날에 의해 관통된 깊이를 측정하여 규격에서 시험평가 통과 기준인 7mm 이내 관통허용깊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검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면밀도는 6,200g/㎡이었다.
실시예 1
입자크기 100nm~1㎛의 실리콘카바이드 입자를 5중량%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5mm 간격으로 도트 처리된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1층, 전단농화유체가 10중량% 함침된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부직포 1층, 전단농화유체가 10중량% 함침된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5층,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20층, 전단농화유체가 3중량% 함침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스펙트라) 직물 8층을 적층하여 방검복을 제조한 후, S1 칼날을 사용하여 규격의 E1에서 level 1에 해당하는 24J의 에너지로 시험하였다. 시험 후, 시편이 칼날에 의해 관통된 깊이를 측정하여 규격에서 시험평가 통과 기준인 7mm 이내 관통허용깊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검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면밀도는 4,700g/㎡이었고, 상기 전단농화유체는 콜로이달 실리카(Φ=44nm)와 PEG(polyethylene glycol, 수평균분자량 200)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입자크기 100nm~1㎛의 실리콘카바이드 입자를 5중량%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10mm 간격으로 도트 처리된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2층,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13층, 전단농화유체가 10중량% 함침된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케블라) 직물 8층, 전단농화유체가 30중량% 함침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스펙트라) 직물 4층을 적층하여 방검복을 제조한 후, S1 칼날을 사용하여 규격의 E1에서 level 1에 해당하는 24J의 에너지로 시험하였다. 시험 후, 시편이 칼날에 의해 관통된 깊이를 측정하여 규격에서 시험평가 통과 기준인 7mm 이내 관통허용깊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검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면밀도는 4,200g/㎡이었다.
7mm 이내 관통 여부 충격에너지(J) 방검복 중량(g/㎡) 비교예 대비 무게*
비교예 합격 (6mm 관통) 24 6200 100
실시예 1 합격 (2mm 관통) 24 4700 75.8
실시예 2 합격 (6mm 관통) 24 4200 67.7
* 비교예의 무게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상대값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관통 깊이가 2mm로 비교예보다 관통깊이가 훨씬 얕고, 비교예 대비 방검복 중량도 훨씬 적었으며, 실시예 2는 비교예와 비교시 관통깊이는 동일하나, 비교예 대비 방검복 중량이 훨씬 경량화가 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10 : 위협물
20 : 방검/방침재
21 : 방검/방침재 중 절단저항부
22 : 방검/방침재 중 관통저항부
30 : 절단저항부에 포함되는 도트처리된 고성능 섬유직물
31 : 경질성 무기입자가 함유된 수지로 도트처리된 도트
32 : 도트 처리 간격
40 : 관통저항부에 포함되는 전단농화유체가 함침된 고성능 섬유직물

Claims (11)

  1. 경질성 무기입자가 함유된 수지로 도트처리된 섬유직물이 1~20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절단저항부(21)와, 전단농화유체가 함침된 섬유직물이 1~20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관통저항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저항부(21)에 포함되는 상기 섬유직물은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직물은 케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직물은 스펙트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성 무기입자는 알루미나, 실리콘카바이드 또는 실리카 입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실리콘카바이드 또는 실리카 입자는 평균입자크기가 100nm~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성 무기입자가 함유되는 상기 수지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처리는 1~30mm의 간격으로 도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처리된 도트(31)들의 합계 중량은 도트처리된 섬유직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농화유체의 함침량은 상기 함침처리된 섬유직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검/방침재.
  11. 제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검/방침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검/방침복.
KR1020100049278A 2010-05-26 2010-05-26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KR20110129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78A KR20110129739A (ko) 2010-05-26 2010-05-26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78A KR20110129739A (ko) 2010-05-26 2010-05-26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739A true KR20110129739A (ko) 2011-12-02

Family

ID=4549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278A KR20110129739A (ko) 2010-05-26 2010-05-26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7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73B1 (ko) * 2012-07-05 2014-05-20 국방과학연구소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방검/방침재
EP3072998A4 (en) * 2014-09-17 2016-10-12 Jiangsu Jonnyma New Materials Co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POLYETHYLENE FIBERS WITH ULTRAHOHEN MOLECULAR WEIGHT AND HIGH CUTTING STRENGTH
CN110172833A (zh) * 2019-05-17 2019-08-27 福洹体育用品(苏州)有限公司 一种涂层防刺织物及其制备方法
CN110577726A (zh) * 2019-09-27 2019-12-17 东华大学 无机颗粒与热塑性树脂粉末混合铺层热熔压铸复合树脂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669331A (zh) * 2019-09-27 2020-01-10 东华大学 无机颗粒表层密排碰撞隔挡式防刺割热塑性树脂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73B1 (ko) * 2012-07-05 2014-05-20 국방과학연구소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방검/방침재
EP3072998A4 (en) * 2014-09-17 2016-10-12 Jiangsu Jonnyma New Materials Co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POLYETHYLENE FIBERS WITH ULTRAHOHEN MOLECULAR WEIGHT AND HIGH CUTTING STRENGTH
CN110172833A (zh) * 2019-05-17 2019-08-27 福洹体育用品(苏州)有限公司 一种涂层防刺织物及其制备方法
CN110577726A (zh) * 2019-09-27 2019-12-17 东华大学 无机颗粒与热塑性树脂粉末混合铺层热熔压铸复合树脂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669331A (zh) * 2019-09-27 2020-01-10 东华大学 无机颗粒表层密排碰撞隔挡式防刺割热塑性树脂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127B1 (ko) 하이브리드 시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구
EP1399703B1 (en) Laminated ballistic structure comprising alternating unidirectional and thermoplastic layers
CN105164492B (zh) 防弹装甲制品
KR20110129739A (ko) 다층 복합소재를 응용한 방검/방침재 및 이를 이용한 방검/방침복
EP3286371B1 (en) Structure with breathable fabric for the production of ballistic and stab-resistant protections
CN106767165A (zh) 一种无机粉末涂层防刺布及其制备方法
GB2571291A (en) Laminate structure and wearable article
GB2573810A (en) Protective Shield And Shield Wall
KR20150033366A (ko) 방탄 및 방검용 적층체
EP1682348B1 (en) Flexible penetration resistant composite materials structure with critical gap geometry in a solids layer
KR101505507B1 (ko)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방검/방탄재
KR101397473B1 (ko)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방검/방침재
EP1913330B1 (en) Increased ballistic performance of fabrics coated with polymer stripes
EP311549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b-resistant fabric using water punching
JP3689649B2 (ja) 防護構成材料、防護衣料、及び防護物品
KR101201708B1 (ko) 하이브리드 방탄재료
KR101189457B1 (ko) 전단농화유체를 갖는 방탄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1940B1 (ko) 방탄직물시트와 탄소나노튜브시트와의 하이브리드 적층패턴을 이용한 방탄복
JPH0414277B2 (ko)
KR102092724B1 (ko) 금속와이어를 갖는 방검 및 방탄용 복합섬유구조체
KR102092738B1 (ko)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KR102656086B1 (ko) 하이브리드 적층 패턴을 이용한 내절단 적용 방검복
KR101832194B1 (ko) 메탈릭 글라스 및 고분자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방탄소재
KR20180122582A (ko) 전자빔을 이용한 방탄용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3763A (ko) 전단농화유체를 갖는 방검 및 방침 패널 및 그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