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738B1 -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 Google Patents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738B1
KR102092738B1 KR1020180024052A KR20180024052A KR102092738B1 KR 102092738 B1 KR102092738 B1 KR 102092738B1 KR 1020180024052 A KR1020180024052 A KR 1020180024052A KR 20180024052 A KR20180024052 A KR 20180024052A KR 102092738 B1 KR102092738 B1 KR 10209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ra
bulletproof
lay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931A (ko
Inventor
김석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아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아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케이지아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8002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7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71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F41H5/0485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all the layers being only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32B2571/02Protective equipment defensive, e.g. armour plates, anti-ballistic 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원은 우수한 방탄 또는 방검 성능을 가지는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터 (PET)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의 부직포층이 접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방탄방검용 소재에 비해 향상된 보호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COMPOSITE MATERIAL FOR BULLETPROOF OR SWORDPROOF}
본원은 우수한 방탄 또는 방검 성능을 가지는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터 (PET)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의 부직포층이 접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방탄방검용 소재에 비해 향상된 보호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방탄방검용 소재는 탄환이나 그의 파편, 칼 및 침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소재로서 가장 중요한 구비요건은 탄환이나 칼 등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탄 방검 성능이다. 양호한 방탄 방검 성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강도, 내열성 및 후면변형 방지성 등이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방탄방검용 소재는 방탄복 또는 방검복 등으로 제조되어, 경찰 지구대원이나 군인 및 일반 경호업체에 근무하는 경호원들의 보호복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국과 같이 총기 소지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총알에 대한 위협과 더불어 칼이나 침에 의한 위협도 크기 때문에 방탄방검복은 안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 밖에도 고가의 물건을 파는 상점이나 거액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장소, 공병 파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방탄소재로서 방탄복용 복합재들을 여러층 적층하여 사용하였으며, 특히 아라미드 직물을 여러겹 적층한 아라미드 직물 적층체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9441호 등에 게재된 바와 같이 아라미드 직물에 페놀수지 등과 같은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수지를 함침시킨 방탄복용 복합재가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아라미드 직물에 코팅층이 단순 형성된 방탄복용 소재로 방탄복을 제조하는 경우 방탄복의 무게가 증가하며, 탄착시 상기 수지 코팅층이 파괴되어 이로 인한 2차적 피해가 발생되고 방탄성도 저하되는 문제들이 발생된 바 있다. 그 외에도, 아라미드 직물을 포함하는 방탄복용 복합재로서 아라미드 직물 또는 방탄복용 복합재 여러 매를 적층한 후 이들을 일체로 꿰매는 스티칭 공정을 거쳐 방탄복을 제조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이와 같이 방탄복용 복합재 여러매를 스티칭하여 방탄복을 제조하는 경우 방탄복용 복합재가 뻣뻣해져 유연성이 저하되고 스티칭되는 부분이 손상되어 국부적으로 보호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소재에 비해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향상된 방탄 및 방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한 방탄 방검용 복합재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다.
본원에서는, 외부의 탄환 또는 검 등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방어할 수 있도록 우수한 방탄 방검 성능과 적은 후면 변형을 나타내는, 직물과 비직물을 접착하여 제조된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은, 직물층과 비직물층을 서로 접착시킨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터 (PET)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의 부직포층;이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우수한 방탄 방검 성능을 나타내는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구현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구현예 및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직물과 비직물이 접착된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는 방탄방검복으로 제작시 유연성이 뛰어나고 국부적인 소재의 손상이 적어서 방탄방검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착탄 등의 충격시 후면변형이 감소되는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직물과 비직물간의 크림프 (crimp)율의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복합재의 구조 및 형태가 더욱 잘 유지되는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측면은,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터 (PET)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의 부직포층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층과 상기 부직포층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것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의 단면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본원의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10)과 부직포층 (20)이 접착층 (30)에 의해 접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원의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는 도 1에 불구하고, 복수의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또는 부직포층이 접착층에 의해 교호로 적층 및 부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본원의 다른 측면에서, 본원의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의 부직포를 각각 제작한 후, 상기 직물 및/또는 부직포의 일 면에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을 적용하여 적층 또는 열 프레스로 접착하거나, 캘린더링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스프레이하여 접착하거나, 또는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 및 부직포는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직물 및 부직포의 제조 방법들을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탄방검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파라아라미드 원사는 약 195 내지 3,000 데니어를 가지는 것일 수 있고, 강도는 약 22 내지 28 g/d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라아라미드 원사는 바람직하게는 26.5 g/d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및 600 데니어 원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는 필라멘트, 방적사 또는 에어텍스츄어링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원사가 총섬도 500 내지 2,000 데니어, 단사섬도 1.0 내지 2.0 데니어, 인장강도 20 내지 30 g/d, 신도 1.5 내지 5.0% 범위를 갖는 파라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은 주자직 (satin), 능직 (twill) 또는 평직 (plain)으로 직조된 것일 수 있고, 중량이 약 100 내지 280 g/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사와 동일한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산업용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섬유는 원사 데니어가 약 100 내지 840 데니어, 강도가 약 7 내지 10 g/d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는 중량이 약 100 내지 1,000 g/m2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은 파라아라미드 섬유 (예를 들어, 단섬유) 약 40 내지 90 중량%와 폴리에스터 섬유 약 10 내지 60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터 원사만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강도 약 7 g/d인 산업용 폴리에스터 원사일 수 있고, 약 2 데니어 원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는 약 800 내지 1,200 g/m2의 중량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00 g/m2의 중량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상기 부직포층이 아미드계 섬유, 예를 들어 나일론 6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과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부직포층은 파라아라미드섬유 및/또는 산자용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은 경사 또는 위사의 크림프 (crimp) 율이 1.0% 이하, 0.8% 이하, 또는 0.5% 이하일 수 있고, 경사 및 위사의 크림프율이 각각 1.0%, 0.5% 또는 0.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은 저권축 (low crimped) 직물일 수 있으며, 중량이 약 50 내지 300 g/m2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경위사 방향의 크림프율의 차이가 적어질수록 접착강도, 복합재의 구조 및 형태가 더욱 잘 유지될 수 있다. 경위사 방향의 크림프율의 차이가 커지면 복합재의 방탄방검 성능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방향 크림프율이 0.5%로 낮더라도 위사 방향 크림프율이 5.0%라면 직물의 밸런스가 좋지 않아 방탄방검 성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위사간의 크림프율 차이가 1.0% 이하, 0.8% 이하, 0.5% 이하, 또는 0.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은 방적사 (spun yarn) 직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적사는 약 38 mm, 약 51 mm, 또는 약 76 mm 길이의 스테이플 섬유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20s/2합, 30s/2합 또는 60s/2합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적사 직물은 중량이 약 100 내지 225 g/m2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스펀레이스(spunlace), 스펀본드(spunbond), 습식공정(wet-laid), 에어레이드(air-laid), 또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열압축 공정을 거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부직포의 제조를 위해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기술로부터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틸렌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나일론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핫멜트 또는 용액형일 수 있고, 상기 용액형은 일액형 또는 이액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일론은 나일론 6 및/또는 나일론 66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착층은 다른 열가소성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중량이 약 25 내지 50 g/m2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적층, 열 프레스, 캘린더링 또는 스프레이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름형 접착제를 이용한 열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직물 또는 비직물의 접착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접착 방법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접착층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직물층의 최소한 하나와 상기 부직포층의 최소한 하나가 서로 교호로 구성되며, 상기 직물층 및 상기 부직포층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직물층과 상기 부직포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2 개 내지 10 개가 교호로 적층되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개 내지 3 개가 교호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에 추가적으로, 파라아라미드 직물층이 10 개 내지 50 개 더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강도가 26.5 g/d 이상인 파라아라미드 600 데니어 원사를 이용하여 경위사 밀도를 각각 35 picks*35 picks/10 cm로 6 매 주자직 (6H-Satin structure weaving)으로 제직하여 190 g/m2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직물의 크림프율은 경위사 각각 0.2%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파라아라미드 직물과 강도가 7 g/d인 산업용 폴리에스터 모노데니어 2 데니어 원사로 제조된 부직포를 폴리우레탄 필름 25 g/m2을 이용하여 열접착하였다. 사용된 폴리에스터 부직포는 1,000 g/m2 중량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최종적으로 제조된 제품의 중량은 1,215 g/m2 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 5 매에, 강도가 26.5 g/d 이상인 파라아라미드 200 데니어 원사를 적용한 125 g/m2 중량의 평직(Plain structure) 직물 20 매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방탄방검용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직물의 크림프율이 경위사 각각 1.0%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방검용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직물의 크림프율이 경위사 각각 2.0%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방검용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크림프율이 경사 0.5%, 위사 2.5%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방검용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강도가 26.5 g/d 이상인 파라아라미드 600 데니어 원사를 이용하여, 경위사 밀도를 각각 35 picks*35 picks/10 cm로 6 매 주자직으로 제직하여 190 g/m2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직물의 크림프율은 경위사 각각 0.2%였다. 여기에 강도가 26.5 g/d 이상인 파라아라미드 200 데니어 원사를 적용한 125 g/m2 중량의 평직 직물 20 매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방탄방검용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방검 및 방탄성능의 측정
방검성능은 미 법무부 산하의 사법기관인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에서 정하는 방검 규격인 NIJ 0115.00 Standard에 따라 측정하였다. P1 칼날을 사용하여 규격의 E2에서 level 1에 해당하는 36J의 에너지로 시험하였으며, 관통허용깊이는 20 mm 이내이다.
방탄성능은 후면변형으로 평가하였는데, 시편을 30 분 동안 물에 침지 후 꺼내어 미 법무부 산하의 사법기관인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에서 정하는 방탄 규격인 NIJ STD-0101.06 Level ⅢA에 따라 측정하였다. 44Mag.로 평균 속도(V0)에서의 충격에 의해 방탄소재 후면부의 돌출된 부분의 최대 깊이 (㎜)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방검 및 방탄성능이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방검 성능
(P1 칼날 침투깊이)
15 mm 17 mm 20 mm 30 mm 55 mm
방탄 성능
(.44Mag. 후면 변형)
30 mm 35 mm 40 mm 48 mm 44 mm
방검 및 방탄성능 측정 결과, 파라아라미드 직물 및 폴리에스터 부직포가 폴리우레탄 필름에 의해 열접착되고, 직물의 크림프율이 경위사 각각 1.0% 이하인 실시예 1 및 2의 방검 및 방탄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물의 크림프율이 경위사 각각 2.0%으로 다소 높으나 크림프율이 동일한 비교예 1은 실시예 1 및 2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방검 및 방탄성능을 나타내었으나, 경위사 방향의 크림프율이 상이한 비교예 2, 그리고 부직포 접착 없이 파라아라미드 직물만이 적층된 비교예 3에 비해서는 우수한 방검 및 방탄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터 섬유의 부직포층이 접착된 본원의 방탄방검용 복합재는 종래의 방탄방검 소재에 비해 한층 우수한 방탄방검 성능을 나타내고, 특히 파라아라미드 직물의 크림프율의 범위가 방탄방검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여기서 경위사 방향의 크림프율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직물층
20: 부직포층
30: 접착층

Claims (7)

  1.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층;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터 (PET)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의 부직포층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층과 상기 부직포층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은 경사 또는 위사의 크림프율이 1.0% 이하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직물은 방적사 직물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스펀레이스(spunlace), 스펀본드(spunbond), 습식공정(wet-laid), 에어레이드(air-laid), 또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제조된 것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틸렌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나일론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적층, 열 프레스, 캘린더링 또는 스프레이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의 최소한 하나와 상기 부직포층의 최소한 하나가 서로 교호로 구성되며, 상기 직물층 및 상기 부직포층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것인,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7. 삭제
KR1020180024052A 2018-02-27 2018-02-27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KR10209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052A KR102092738B1 (ko) 2018-02-27 2018-02-27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052A KR102092738B1 (ko) 2018-02-27 2018-02-27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31A KR20190102931A (ko) 2019-09-04
KR102092738B1 true KR102092738B1 (ko) 2020-03-24

Family

ID=6795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052A KR102092738B1 (ko) 2018-02-27 2018-02-27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7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471A (ko) * 2013-07-01 2015-01-09 주식회사 휴비스 방탄용 복합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탄헬멧
KR101881994B1 (ko) * 2016-04-25 2018-08-24 주식회사 새날테크-텍스 기능성 크로스-플라이 패브릭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기능성 크로스-플라이 패브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31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9906B1 (en) Flexible body armor
KR100697544B1 (ko) 선밀도 비가 큰 2세트의 트레드를 갖는 직물을 포함하는 내관통성 물질
JP4945442B2 (ja) 可撓性耐弾性アセンブリ
RU2279033C2 (ru) Стойкий к пробиванию материал, содержащий ткань с высоким отношением линейных плотностей для двух наборов нитей
US20030129900A1 (en) Multiple threat penetration resistant articles
US20100275764A1 (en) Fabric architectures for improved ballistic impact performance
US20130219600A1 (en) Multi-layer non - woven fabric multi-use material for ballistic and stab resistance comprising impregnated and oriented fiber non - woven fabric layers; manufacturing, method, and protection garment produced thereby
AU2002237321A1 (en) Penetration-resistant material comprising fabric with high linear density ratio of two sets of threads
US9719196B2 (en) Interlocking weave for high performance fabrics
KR20110096533A (ko) 관통-억제 재료
US7153790B2 (en) Penetration-resistant material and articles made of the same
US20160289869A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for use with non-ballistic threats
EP3067450B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for use with ballistic threats
KR102092738B1 (ko) 방탄 또는 방검용 복합재
KR20150033366A (ko) 방탄 및 방검용 적층체
KR102231170B1 (ko) 방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방검복
KR102128105B1 (ko) 다양한 색상과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이중직 구조의 방호원단
KR102092724B1 (ko) 금속와이어를 갖는 방검 및 방탄용 복합섬유구조체
KR101832194B1 (ko) 메탈릭 글라스 및 고분자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방탄소재
CA2956760C (en) Flexible body armor
CA3237308A1 (en) Ballistic resistant material made of mechanically entangled woven fabrics without nonwoven fiber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KR20130135477A (ko) 방탄소재
KR20140086390A (ko) 방탄 및 방검용 적층체
MXPA01007259A (en) Penetration-resistant material comprising fabric with high linear density ratio of two sets of thr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