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205A - Wheel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Wheel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205A
KR20110129205A KR1020100048711A KR20100048711A KR20110129205A KR 20110129205 A KR20110129205 A KR 20110129205A KR 1020100048711 A KR1020100048711 A KR 1020100048711A KR 20100048711 A KR20100048711 A KR 20100048711A KR 20110129205 A KR20110129205 A KR 2011012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wheel
len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남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205A/en
Publication of KR2011012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8Swing ba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wheel camera modul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take images without limit to the shooting distance of a camera since a camera module can freely rotate using a wheel operating unit. CONSTITUTION: A wheel camera module comprises a camera module(100), and a wheel operating unit(200). The camera module comprises a shutter, a lens modul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hutter controls the quantity of light flowing into the lens. The lens module forms external images. An image sensor, which converts and outputs optical signals input through the lens module to electrical signals, is mounted on the PCB. The wheel operating unit has a hemispherical shape. The wheel operating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unit(300),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where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is located.

Description

휠 카메라 모듈{WHEEL CAMERA MODULE}Wheel Camera Module {WHEEL CAMERA MODULE}

본 발명은 휠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휠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camer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 camera module assembly for taking a picture.

일반적으로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 제작되고, 카메라폰, PDA, 및 스마트폰 등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compact camera module is made compact and applied to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amera phones, PDAs, and smartphones and various IT devices.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주요 부품으로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커스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조된다.Such a camera module is manufactured by using an image sensor such as a CCD or a CMOS as a main component, and is manufactured to enable focus adjustment to adjust an image size.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음성통화, 단문메시지 서비스 외에도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찍고자하는 화상을 동영상 또는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촬영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되는 카메라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화상통신 등의 영상정보이용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the camera modul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camera in addition to a voice call and a short message service, so that anytime, anywhere image can be taken as a video or image. In addition,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t only can transmit the captured video or image to another person, but also can use a built-in camera, and thus the utilization of image information such as video communication is increasing.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자체 구비된 카메라가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의 힌지부에 위치되거나,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의 LCD 디스플레이 또는 키패드 후면부 등에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게 된다. In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self-equipped camera is positioned at the hinge portion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is disposed on an LCD display or a keypad rear part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ake an image.

현재 일반적인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일면에 LCD 화면이 배치되고, 반대면에 카메라 모듈이 삽입된다.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 잡히는 피사체는 상기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촬영자는 촬영 화면을 확인하여 촬영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Currently, a typical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s an LCD screen on one side and a camera module on the opposite side. The subject caught by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nd the photographer checks the shooting screen and manipulates the shooting button to shoot the subject.

그러나, 종래의 고정형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과 LCD 화면이 서로 수평을 이루고 있으므로 도 1과 같이 촬영자의 시점, LCD 화면, 및 카메라 모듈에 의한 촬영방향이 대략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즉, 도 2와 같이 촬영자의 편의, 및 외부 요인 등에 의해 촬영자가 LCD 화면에 대하여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촬영 화면의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촬영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xed camera module, since the camera module and the LCD screen are horizonta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the photographer's viewpoint, the LCD screen, an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by the camera module should be approximately horizontal. That is,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photographer to secure a sufficient view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LCD screen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photographer and external factor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는 이동 통신기기에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범위를 확장시키고, 촬영 방향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는 휠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 camera module that can extend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modu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the camera module and can freely secure the shooting direction.

본 발명의 휠 카메라 모듈은, 이동 통신기기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로 유입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셔터,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 렌즈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반구형상을 가지고, 상기 이동 통신기기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결합되는 휠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el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shutt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lens, the lens module for forming an external image, the opt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lens module converts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for outputting is mounted; And a wheel actuator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nd coupled to a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on which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is loc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통신기기는, 상기 휠 작동부의 반구형상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여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emispherical surface of the wheel operating portion is in contact.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휠 작동부의 반구형상 면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a portion of the hemispherical surface of the wheel operating portion may protrude through the through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기기에서 상기 렌즈가 위치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까지 관통되어 이어지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회전될 수 있다.Preferably, a groove portion penetrating from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ens is position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formed from the through hole, and at least a part of the camera module may be inserted and rotated into the groov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은, 휠 작동부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ro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in various directions using the wheel operating unit, the user can take a picture more conveniently without limiting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고정형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한 촬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이동 통신기기 부착을 나타내는 투영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A and 1B are views illustrating photographing using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fixed camera modu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jection view showing the attach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Now,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및 도 4는 본 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이동 통신기기 부착을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mobile communication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jection drawing which shows apparatus attach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은, 렌즈로 유입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셔터,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 렌즈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0), 및 휠 작동부(200)를 포함한다.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utter for adjusting an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a lens, a lens module for forming an external image, and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opt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lens module to an electric signal. It includes a camera module 100 including a circuit board, and the wheel operating unit 200.

휠 작동부(200)는 반구 형상을 가지고, 카메라 모듈(100)의 후면부에 결합된다. 이동통신 기기(300)는 일측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를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휠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휠 카메라 모듈은 이동 통신기기(300) 전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데, 이때 휠 작동부(200)의 일부가 이동 통신기기(300)의 후면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된다.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휠 카메라 모듈은 상기 관통공 내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 통신기기(30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휠 작동부(200)의 일부를 접촉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휠 카메라 모듈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wheel operating unit 200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has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a rear portion from a front portion of one side, and a wheel camera modu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The wheel camera modul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erein a part of the wheel operation unit 200 protrudes with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wheel camera modul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may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through hole, and the user may contact a part of the wheel operating part 200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a desired direction. By applying forc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wheel camera module can be adjust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이용하고,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렌즈가 향하는 카메라 모듈(100)은 전방 α의 각도까지의 촬영 범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촬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범위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기기(300) 자체를 이동 및 회전시켜 촬영하여야 한다. 하지만, 휠 작동부(200)를 이용하여 휠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이동 통신기기(300)의 측면으로부터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β의 각도까지 촬영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기기(300)를 이동 및 회전시키지 않고도 α의 각도 내의 피사체는 물론, β의 각도 내의 촬영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같이 휠 작동부(300)를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 및 대각선 등 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00 takes a photo by using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lens and converts the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t this time, the camera module 100 facing the lens has a shooting range up to an angle of the front α. Therefore, in order to photograph a subject in a range not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r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tself must be moved and rotated to photograph. However, when the wheel camera module is rotated using the wheel operating unit 200, the photographing range may be secured to an angle of β based on the view from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at is, the user can photograph the subject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range within the angle of? As well as the subject within the angle of? Without moving and 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since the wheel operating unit 300 may be rotated in any desired direction such as left and right and diagonal lines as well as up and down, the camera module 100 may be freely rotated in the desired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휠 카메라 모듈을 이동 통신기기(300)의 일단부에 위치시키고, 이동 통신기기(300)의 일단면에 홈부를 형성한 것이다. 휠 작동부(300)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00)을 홈 측으로 회전 삽입시킴으로써 촬영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camera module is located on one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groove portion on one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t is formed. By rotating the camera module 100 to the groove side using the wheel operation unit 300, the photographing range may be further widen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통신기기(300)의 홈부를 더욱 다양한 형상과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휠 카메라 모듈의 촬영 범위를 더욱 다양하고 넓게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by forming the groove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more various shapes and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secure a more diverse and wider shooting range of the wheel camera module.

고정형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LCD 화면을 확인하기 힘든 범위에 위치하는 피사체는 촬영하기 어려운 확인 촬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fixed camera module, a subject located in a range wher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check the LCD scree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confirmation shot difficult.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휠 카메라 모듈은, 휠 작동부(300)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방향을 임의의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제한이 매우 적다. 따라서, 기존에 LED 화면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였던 다양한 위치의 피사체를 LCD 화면으로 확인하여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고, 촬영 결과물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owever, since the wheel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ro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in any of various directions using the wheel operating unit 300, the limit of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 is very small. Therefore, the user can take a picture more convenientl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ing result because the user can take a picture by checking the subject of various positions, which was previously impossible to check on the LED screen.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카메라 모듈 200: 휠 작동부
300: 이동 통신기기
100: camera module 200: wheel operation unit
300: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laims (4)

이동 통신기기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로 유입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셔터,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 렌즈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반구형상을 가지고, 상기 이동 통신기기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결합되는 휠 작동부
를 포함하는 휠 카메라 모듈.
In the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hutter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lens, the lens module to form an external image, the lens module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with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input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wheel operating part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is coupled to an opposite surface of the camera lens of the camera modu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eel camera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기기는,
상기 휠 작동부의 반구형상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여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휠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the hemispherical surface of the wheel operating portion is a wheel camera module is formed through holes are inserted into conta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휠 작동부의 반구형상 면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휠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Wheel camera module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emispherical surface of the wheel operating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기기에서 상기 렌즈가 위치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까지 관통되어 이어지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회전되는 휠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And a groove portion penetrating from the through hole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ens is position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is inserted into and rotated into the groove portion.
KR1020100048711A 2010-05-25 2010-05-25 Wheel camera module KR201101292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11A KR20110129205A (en) 2010-05-25 2010-05-25 Wheel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11A KR20110129205A (en) 2010-05-25 2010-05-25 Wheel camera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05A true KR20110129205A (en) 2011-12-01

Family

ID=4549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711A KR20110129205A (en) 2010-05-25 2010-05-25 Wheel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2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952B2 (en) Imaging module with two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JP4084367B2 (en) Camera module shake correction device
US7822338B2 (en) Camera for electronic device
KR20090058229A (en) Dual camera module
JP2010183378A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KR20060102723A (en)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ns module with multi-direction
US1061650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thereof
US20180367720A1 (en) Dual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JP2007116361A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and imaging apparatus
KR100645653B1 (en) Camera module for cellular phone and Controller thereof
EP3726828A1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050102060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projector
US201300386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imaging units
KR20110129205A (en) Wheel camera module
KR101651619B1 (en) Camera module
JP2006072186A (en) Portable device
KR20100033725A (en) Dual camera module
KR20060116095A (en) Built-in complex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2157039A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7288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US20050046732A1 (e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KR1006158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le to be adjusted its camera module in horizontal configuration automatically
KR100497466B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KR20020080566A (en) Mobile phone having camera
JP2008054131A (en) Photograp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