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082A -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 Google Patents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082A
KR20110129082A KR1020100048515A KR20100048515A KR20110129082A KR 20110129082 A KR20110129082 A KR 20110129082A KR 1020100048515 A KR1020100048515 A KR 1020100048515A KR 20100048515 A KR20100048515 A KR 20100048515A KR 20110129082 A KR20110129082 A KR 2011012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optical
osa
flange portion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오
임동성
진재현
황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to KR102010004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082A/ko
Priority to PCT/KR2010/003317 priority patent/WO2011149124A1/ko
Publication of KR2011012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7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with optical elements reducing the sensitivity to optical feedba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Electrical aspects contain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Electrical aspects contain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G02B6/4281Electrical aspects contain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the printed circuit boards being flexi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APC(Angled Physical Contact)형 광소자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는,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APC형 광소자를 포함하는 OSA(Optical Subassembly) 모듈 및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OSA 모듈을 고정하고, APC형 외부 광소자를 상기 OSA 모듈에 접속시키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되,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 FOR CONNECTING AN APC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 트랜시버에 포함되는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PC(angled physical contact) 형 광섬유를 광 트랜시버에 접속시킬 수 있는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광 트랜시버(transceiver)는 광통신 장치에서 광-전 변환 및 전-광 변환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서, 광섬유를 통해 송신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섬유로 출력하거나, 광섬유로부터 수신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호스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통신 장치가 고속화됨에 따라 광트랜시버의 광전송 속도도 10 Gb/s 급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모듈의 크기는 점점 더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의 광 트랜시버는 호스트와의 탈착 및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러거블 특성을 위한 래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섬유와 광 트랜시버의 접속 및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통상의 광섬유는 PC(Physical contact) 형태로 형성되어, 광섬유와 광섬유간 또는 광섬유와 페룰(ferrule)간의 접촉면의 각도가 평면을 기준으로 90°의 각을 갖게 된다. 즉, 광섬유의 접촉면이 평평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접촉되는 광섬유 또는 페룰의 광축이 잘 정렬되더라도 접촉면에서 빛의 미세한 반사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최소한의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접촉면에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 APC형 구조의 광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광섬유와 광섬유간 또는 광섬유와 페룰(ferrule)간의 접촉면의 각도가 평면을 기준으로 90°가 아닌 비스듬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APC형 구조는 광섬유 또는 페룰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APC형 구조의 광섬유를 광 트랜시버에 선택적으로 탈착 및 결합 시키기 위해서는 광섬유 또는 페룰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광 트랜시버의 구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APC형 광소자의 결합 및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 트랜시버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APC형 광소자의 결합 및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APC(Angled Physical Contact)형 광소자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는,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APC형 광소자를 포함하는 OSA(Optical Subassembly) 모듈 및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OSA 모듈을 고정하고, APC형 외부 광소자를 상기 OSA 모듈에 접속시키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되,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APC(Angled Physical Contact) 형 광소자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은, 외부 광섬유 커넥터와 결합되는 후킹부 및 상기 후킹부의 일단과 접속되고, 상기 광 트랜시버의 OSA(Optical Subassembly) 모듈을 수용하는 OSA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OSA 수용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OSA 모듈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APC형 외부 광소자와 APC형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 트랜시버에서 광소자간의 광축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광 트랜시버 내에 OSA 모듈을 고정시키되, Z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Z 축 방향뿐만 아니라,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플러거블 특성을 갖는 광 트랜시버에 대해서도 APC형 광소자의 사용이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 트랜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통상적인 광 트랜시버의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APC형 구조의 광학소자 간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트랜시버의 리셉터클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트랜시버의 OSA 모듈이 X, Y 방향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트랜시버에 외부 광섬유를 결합시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 트랜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 트랜시버(110)에 광섬유(120)가 접속되며,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섬유 커넥터(122)가 광섬유(120)에 접속된다. 광섬유 커넥터(122)는 광섬유(120)와 광 트랜시버(110)의 리셉터클(미도시 됨)을 결합시킨다. 광섬유 커넥터(122)는 래치 구조 등을 통해 광 트랜시버(110)의 리셉터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광섬유의 끝단 또는 광섬유 끝단에 결합된 페룰을 광 트랜시버 내의 광섬유의 끝단 또는 광섬유 끝단에 결합된 페룰과 접촉되도록 Z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한다. 이를 위해, 광섬유 커넥터(122)는 광섬유 또는 페룰을 Z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등을 포함한다. 한편, 광섬유 커넥터(12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상세한 구성은 미국 등록 특허 5,638,474(Anti-snag latch assembly for a connector) 등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한다.
광 송신 동작을 수행하는 TOSA(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와, 광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ROSA(Receiver Optical Subassembly)를 포함하는 광 트랜시버(110)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TOSA와 접속되는 광섬유와 ROSA와 접속되는 광섬유가 별도로 존재한다.
한편, TOSA와 ROSA가 하나의 형태로 결합된 BOSA(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의 경우, 하나의 광섬유가 접속되는 구성을 갖게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이러한 BOSA 구조의 광 트랜시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통상적인 광 트랜시버의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셉터클(200)은 광 트랜시버의 OSA 모듈, 즉 TOSA, ROSA 또는 BOSA를 고정시키고, 광섬유과 각 OSA 모듈과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리셉터클(200)은 광섬유 커넥터(122)와 탈착 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200)은 OSA 모듈(230)을 고정시키는 OSA 수용부(210), 광섬유 커넥터(122)와 결합되는 후킹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OSA 모듈(230)은 광섬유가 접속되는 슬리브(232), OSA 수용부(210)에 격납되어 OSA 모듈(230)이 고정되도록 하는 플랜지부(234), OSA 모듈(230) 내부에 삽입되는 페룰(236)을 포함한다.
통상의 리셉터클(200)의 경우 OSA 모듈의 고정을 위해 OSA 수용부(210)가 플랜지부(234)와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OSA 모듈이 Z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은 물론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이동도 기대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PC 형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구성일 수 있으나, APC형 광섬유를 접속시키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APC형 구성에서는 페룰(236)과 외부 광섬유에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OSA 모듈이 완벽히 고정된 상태에서는 각 광소자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APC형 광학소자 간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간편을 위해 광섬유 또는 페룰의 접속 단면을 강조하여 도시하였으며, 실제 광섬유 또는 페룰은 원기둥 형태이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형 구조의 경우 광섬유 또는 페룰의 단면이 각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APC형 구조의 경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 예를 들면 약 8°정도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각 광소자의 단면이 구성된다. 여기서 광소자는 광섬유 또는 페룰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a)의 경우 각 광소자(30, 31)가 서로 마주보도록 특정 방향(예를 들면, Z 방향)으로 각 광소자(30, 31)를 진행시키면, 광정렬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b)의 경우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Z 방향 외에 X 방향과 Y 방향도 완벽하게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외부 광소자의 X, Y 방향과 광 트랜시버내의 광소자의 X, Y 방향을 각각 정확히 정렬한 상태에서, 외부 광소자와 광 트랜시버내의 광소자를 각각 Z 방향으로 진행시킨다고 하더라도, 미세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c)의 경우, 광소자의 광축 및 그 주변의 일부 영역을 남기고, 테이퍼 형태로 가공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a)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광소자(34, 35)를 Z축 방향으로 진행시키면, 광정렬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d)의 경우,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 Y 방향에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 트랜시버내의 광소자가 Z 축 뿐만 아니라 X 축 또는 Y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을 사용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OSA 모듈이 Z 축 뿐만 아니라 X 축 또는 Y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할 경우, 광섬유 커넥터(122)의 스프링 등을 통해 광소자를 Z 축 방향으로 진행시키고자 하는 힘에 의하여 OSA 모듈이 X 축 방향 또는 Y 축 방향으로 움직여서 자동으로 광섬유 커넥터(122)에 포함된 광소자와 정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트랜시버의 리셉터클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광 트랜시버(400)는 OSA 모듈(410)과 리셉터클(420)을 포함한다.
OSA 모듈(410)은 TOSA 모듈, ROSA 모듈 및 BOSA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OSA 모듈(410)은 슬리브(412), 플랜지부(414), 본체부(416), 광소자(418) 및 리드핀(419)를 포함한다. OSA 모듈(41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형상을 갖는다.
슬리브(412)는 광섬유 커넥터(122)에 접속되어, 광섬유 커넥터(122)에 포함된 광소자와 OSA 모듈(410)에 포함된 광소자(418)가 접속되도록 가이드한다.
플랜지부(414)는 OSA 모듈(410)에 포함된 광소자의 광축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돌출된 부분으로, 그 지름이 OSA 모듈(410)의 각 부분중 가장 크며, OSA 모듈(410)이 리셉터클(420) 내에서 적절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OSA 모듈(410)에 따라 플랜지부(414)의 두께(b) 및 돌출길이(c)는 상이해질 수 있다. 이때, 돌출길이(c)는 플랜지부(414)와 인접한 본체부(414)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길이일 수 있다. 그러나, 플랜지부(414)와 인접한 부분인 슬리브(412)의 지름이 본체부(414)보다 더 큰 경우에는 슬리브(412)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길이 일 수 있다. 즉, 플랜지부(414)와 인접한 부분 중 가장 지름이 큰 부분을 기준으로 돌출길이를 정의하도록 한다.
광소자(41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C 구조에 따라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태로 가공된 페룰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끝부분은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광소자(418) 자체는 OSA 모듈(410)에서 특정 X, Y 방향에 맞도록 정렬되어 고정된다.
리드핀(419)은 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리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리드 또는 GND를 제공하는 GND 리드 등을 포함한다. 리드핀(419)의 경우 연성이 있는 플렉서블 기판(430)을 통해 PCB 보드(440)와 접속되어, OSA 모듈(410)이 X, 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PCB 보드(440)는 광 트랜시버(400)에 내장되는 것으로, 각종 전자회로가 실장되며, OSA 모듈과 각종 신호를 주고 받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셉터클(420)은 광섬유 커넥터(122)와 접속되어, 광섬유 커넥터(122)와의 물리적 결합을 유지하는 후킹부(422), OSA 모듈(410)의 플랜지부(414)가 격납되어 OSA 모듈(410)을 적절히 고정하는 OSA 수용부(424_1, 424_2), OSA 모듈(410)이 격납되는 격납부(426)를 포함한다.
OSA 수용부(424_1, 424_2)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돌출부(425), 제 2 돌출부(426)를 포함하고, 제 1 돌출부(425) 및 제 2 돌출부(426) 사이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의 너비는 제 1 돌출부(425) 및 제 2 돌출부(426) 사이의 간격과 같다. OSA 수용부(424_1, 424_2)는 OSA 모듈(410)의 플랜지부(414)를 격납하되, 플랜지부(414)와 대향하는 제 1 돌출부(425)와 제 2 돌출부(426)가 플랜지부(414)와 모두 밀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 1 돌출부(425)와 제 2 돌출부(426)간의 간격(a)이 플랜지부(414)의 두께(b) 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한다. 그에 따라, 제 1 돌출부(425) 또는 제 2 돌출부(426)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플랜지부(414)가 접촉할 수 있으나, 양 돌출부 모두에 접촉될 수는 없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수용부(424_1, 424_2)의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간 거리는 플랜지부(414)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하여, 플랜지부가 수용부(424_1, 424_2)에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수용부의 측벽간의 거리는 플랜지부(414)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하여 유동성을 더욱 크게 한다.
한편, 도면에 따르면, 수용부(424_1, 424_2)는 제 1 수용부(424_1)와 제 2 수용부(424_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하나의 수용부만을 포함하거나, 세 개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수용부간의 간격이 균등하도록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경우 각 수용부의 중심간의 각도가 120°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용부(424_1)와 제 2 수용부(424_2)가 광 트랜시버 케이스 내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구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 트랜시버 케이스 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트랜시버의 OSA 모듈이 X, Y 방향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OSA 수용부(424)의 돌출부간의 간격이 플랜지부(414)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됨에 따라, 광축(Z축)을 기준으로 OSA 모듈(410)이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1 돌출부(425)와 제 2 돌출부(426)간의 간격(a)은 플랜지부(414)의 두께(b) 보다 크게 설정하되, OSA 모듈(410)이 X 축 방향, Y 축 방향 또는 Z 축 방향으로 유동할 때, OSA 모듈(410)의 일측 단부가 리셉터클의 내부와 간섭되는 간격보다 작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OSA 모듈(410)의 광축(Z축)을 기준으로 한 최대 유동 각도(θ)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광소자(418)의 접촉면을 기준점으로 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OSA 모듈의 최대 유동 각도(θ)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유동 각도는 OSA 모듈(410)의 슬리브(412)의 단부가 후킹부(422)에 접하게 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OSA 모듈(410)의 리드핀이 접속되는 단부가 리셉터클(420)에 접하게 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돌출부(425)와 제 2 돌출부(426)간의 간격(a)은 최대 유동 각도(θ)의 범위 내에서 OSA 모듈이 움직일 수 있도록 그 최대값을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트랜시버에 외부 광섬유를 결합시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122)에 포함된 광소자(124)와 광 트랜시버의 리셉터클(420) 내부에 격납된 OSA 모듈(410)에 포함된 광소자(418)가 접촉된다.
각 광소자(124, 418)는 수직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광섬유 커넥터(122)의 결합시에, 리셉터클(420) 내부의 OSA 수용부(424)의 구성에 의하여, OSA 모듈(410)이 X 축 또는 Y 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각 광소자(124, 418) 간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광섬유 커넥터(122)의 진행방향에 따라, OSA 모듈(410) 역시 Z 축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으며, OSA 수용부(424)의 구성에 의하여 Z 축 방향으로의 진행이 정지된다. 또한, 광섬유 커넥터(122)에는 광소자(124)를 Z 축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고 있는바, 이에 의하여 광소자(124)를 전진시키는 힘은 OSA 모듈(410)에도 전달된다. 스프링 등을 통해 OSA 모듈(410)에 전달되는 힘은, OSA 모듈(410)의 Z축 방향으로의 후퇴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OSA 수용부(424)의 구성에 따라, OSA 모듈(410)을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 결과, 광섬유 커넥터(122)의 광소자(124)와 OSA 모듈(410)의 광소자(418)의 접촉면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400: 광 트랜시버 120: 광섬유
122: 광섬유 커넥터
410: OSA 모듈 412: 슬리브
414: 플랜지 416: 본체부
418: 광소자 419: 리드핀
420: 리셉터클 422: 후킹부
424_1: 제 1 수용부 424_2: 제 2 수용부
425: 제 1 돌출부 426: 제 2 돌출부
428: 격납부 430: 플렉서블 기판
440: PCB 기판 442: 전자부품

Claims (13)

  1. APC(Angled Physical Contact)형 광소자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에 있어서,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APC형 광소자를 포함하는 OSA(Optical Subassembly) 모듈 및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OSA 모듈을 고정하고, APC형 외부 광소자를 상기 OSA 모듈에 접속시키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되,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인 광 트랜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OSA 모듈의 플랜지부의 일부를 각각 격납하는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 각각은,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인 광 트랜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의 서로 대향하는 각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 1 수용부의 측벽과 상기 제 2 수용부의 측벽간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지름보다 큰 것인 광 트랜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서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인 광 트랜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A 모듈은,
    상기 APC형 외부 광소자의 정렬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간격 내에서 X 축 방향, Y 축 방향 또는 Z 축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OSA 모듈의 유동에 따라, 상기 APC형 외부 광소자와 상기 OSA 모듈 내의 APC형 광소자가 정렬되는 것인 광 트랜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OSA 모듈이 X 축 방향, Y 축 방향 또는 Z 축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OSA 모듈의 일측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와 간섭되는 간격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것인 광 트랜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A 모듈은 상기 광 트랜시버의 PCB 기판과 플렉서블 PCB를 통해 접속되는 광 트랜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A 모듈은 TOSA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ROSA (Receiver Optical Subassembly) 및 BOSA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광 트랜시버.
  9. APC(Angled Physical Contact) 형 광소자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에 있어서,
    외부 광섬유 커넥터와 결합되는 후킹부 및
    상기 후킹부의 일단과 접속되고, 상기 광 트랜시버의 OSA(Optical Subassembly) 모듈을 수용하는 OSA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OSA 수용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OSA 모듈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인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를 각각 격납하는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 각각은,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인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의 서로 대향하는 각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 1 수용부의 측벽과 상기 제 2 수용부의 측벽간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지름보다 큰 것인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서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용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넓은 것인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OSA 모듈이 X 축 방향, Y 축 방향 또는 Z 축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OSA 모듈의 일측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와 간섭되는 간격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것인 광 트랜시버용 리셉터클.
KR1020100048515A 2010-05-25 2010-05-25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KR20110129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15A KR20110129082A (ko) 2010-05-25 2010-05-25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PCT/KR2010/003317 WO2011149124A1 (ko) 2010-05-25 2010-05-26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15A KR20110129082A (ko) 2010-05-25 2010-05-25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82A true KR20110129082A (ko) 2011-12-01

Family

ID=4500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515A KR20110129082A (ko) 2010-05-25 2010-05-25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29082A (ko)
WO (1) WO20111491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270A (ja) * 1995-09-07 1997-03-28 Kyocera Corp リセプタクル型光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H09311255A (ja) * 1996-03-21 1997-12-02 Nippon Sheet Glass Co Ltd 光モジュール
JP3355344B2 (ja) * 1997-04-15 2002-1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124A1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2232B2 (en) Strategic placement of plastic structures for EMI management of transceiver module
CN110582712B (zh) 具有集成透镜的光纤模块
US9651743B2 (en) Gradient index (GRIN) lens holders employing a recessed cover, and optical connector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US8807846B2 (en)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US9081156B2 (en) Simplified and shortened parallel cable
US10976506B2 (en) Optical transceiver
WO2013016475A1 (en) Interposer with alignment features
US8500342B2 (en) Opto-electronic communication module having retainer for aligning optical ports
US8682172B2 (en) Optoelectronic communications assembly having an electrical and optical interface
US20180306984A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system
WO2012097979A1 (en) A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 method
JP2012194481A (ja) 光コネクタ、光ファイバの実装方法、及び電子情報機器
US20170261701A1 (en) Optical module
TW201445208A (zh) 用於平行光通信模組之光學系統
WO2010050981A1 (en) Device for optically coupling photonic elements
WO2015116122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10451822B2 (en) Optica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module receptacle and optical module
US7621678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 for an optical subassembly
US8636426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system with optical transceive module
KR20110129082A (ko)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KR101102338B1 (ko) 경사 접촉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US20170195065A1 (en) Opto-isolator that uses a generally rigid structure for board-to-board alignment and optical coupling
KR101095372B1 (ko)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TW201814341A (zh) 光收發次模組用收容器
JP2017510845A (ja) 光信号をカップリング及び/又はデカップ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