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893A -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893A
KR20110128893A KR1020117022223A KR20117022223A KR20110128893A KR 20110128893 A KR20110128893 A KR 20110128893A KR 1020117022223 A KR1020117022223 A KR 1020117022223A KR 20117022223 A KR20117022223 A KR 20117022223A KR 20110128893 A KR20110128893 A KR 2011012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ergens
cells
allerg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pharmaceu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노 포사
발레리 브룬
Original Assignee
티엑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엑셀 filed Critical 티엑셀
Publication of KR2011012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immunosuppressive or immunotoler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33Antigens related to auto-immune diseases; Preparations to induce self-tole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알레르겐에 대한 Trl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REATING AN ALLERGIC OR ASTHMATIC CONDITION}
본 발명은 알레르기 및 천식의 치료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항원에 대한 인간 Tr1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를 이용하여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 질환은 무해한 항원에 대한 비정상적 면역 반응으로부터 유래하는 만성 염증 장애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빠르고 지리적으로 국한되어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알레르기 질환의 특성은 근래의 환경 및 생활 방식의 변화에 상응하는 결과임을 나타내고 있다. 환경과 생활 방식의 역할에 기초한 한 가지 가설은 중요한 면역 조절에 관한 부적합한 또는 결손된 발생은 환경 미생물에 부적절하게 노출되는 결과라고 말한다.
알레르기성 및 아토피성인 사람은 집먼지진드기 및 목초화분 등의 무해한 일반적인 환경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순환 IgE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 알레르겐에 노출된 후 이에 따른 항원 감작은 비만 세포 및 호염구의 표면에 결합된 IgE와 알레르겐의 특이적 가교 결합, 이들 세포의 탈과립 및 히스타민의 방출과 천명 및 결막염 등의 초기 또는 급성 알레르기 반응과 관계된 증상을 유발하는 기타 매개체의 방출을 이끌어낸다. 알레르기 환자에게서의 상기 알레르겐 특이적 IgE 반응의 선택적인 강화 기작에 대하여, Th2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IL-4, IL-5, IL-9 및 IL-13 등의 Th2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알레르기 환자에게서 더 높음을 볼 수 있다.
현재 알레르기 및 천식에 대한 치료는 주로 항히스타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콜티손,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콜티손,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테오필린, 크로몰린 나트륨 또는 β2-아고니스트의 사용에 기반하고 있다. 몬테류캐스트 (싱귤레어) 또는 자피르류캐스트 (아콜레이트) 등의 항류코트리엔들이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FDA 승인 치료제이다. 항콜린제, 코막힘 완화제, 비만 세포 안정제 및 호산구 주화성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기타 화합물들도 역시 통상 사용된다. 이들 약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 급성 아나필락시스의 회복에 긴요하지만 만성 알레르기 장애의 치료에는 역할이 미미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약제들은 몇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환자들 중 1/3은 이들 약제로는 최적의 질병 치료를 이루지 못한다. 알레르기 질환 치료용 기타 치료법으로는 감작 알레르겐의 반복 투여를 수반하는 알레르겐 특이적 면역 치료 (SIT)가 있다 (피하 주입 SCIT 또는 설하 투여 SLIT). 그러나, 이 치료법이 모든 환자에게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니다: 특히 중증 천식 질환 환자에게서 역효과와 몇 가지 경우의 아나필락시스가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알레르기 및 천식 질환의 치료를 위한 특이적이고 장기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발명자들은 특정 알레르겐 관련 항원에 대한 Tr1 세포의 사용에 기초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을 위한 구체적인 치료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Meiler et al.의 연구는 천연 봉침에서 기인하는 과량의 봉독에 노출된 양봉 모델을 이용하여 건강한 사람의 알레르겐에 대한 T 세포 관용 기작 분석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자들은 봉독으로 인하여, Th1 및 Th2 세포로부터 IL-10을 분비하는 Tr1 세포로의 알레르겐 특이적 T 세포의 즉각적인 전환이 수일 내에 일어난다고 설명한다. 저자들은 HR2 (히스타민 수용체 2)가 알레르겐에 대한 말초 관용에 관여하는 본질적인 수용체를 대표하는 것이고, CTLA-1 및 PD-1 역시 이 관용 기전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저자들은 양봉업자들이 극히 고농도로 특이적인 IgG4를 나타냄을 관찰하였고 이것이 중증 아나필락시스를 방지하는 한 가지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Hauben et al.의 연구는 쥐 모델의 기도 감염에서 관찰된 결과에 기초하여 Tr1 세포가 Th2 매개 병리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쥐 모델에 대한 실험은 OVA에 특이적인 Tr1 세포가 기도 감염을 유도하기 위하여 OVA로 시험한 쥐에서 IL-10을 분비함으로써 기도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상기 실험은 Tr1 세포 분화 및 IL-10 분비를 유발하는 알레르겐 특이적 치료법 (SIT)에 대한 관심을 확인시켰다.
그러므로, Tr1에 대한 이러한 지식을 기초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치료법을 제공하려고 하고, 이 치료법은 환자에게 Tr1 세포 치료법을 시행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Tr1 세포는 알레르겐 관련 항원에 특이적인 것이다. 이러한 세포 치료법은 알레르겐 관련 항원이 환자의 신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유도되고, 따라서 환자의 면역계 전체를 활성화시킬 알레르겐 관련 항원을 그에게 투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의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간의 Tr1 세포군은 인간의 Tr1 클론군인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은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흡입 알레르겐, 섭취 알레르겐 및 접촉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은 집먼지진드기, 그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은 화분, 그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은 개, 고양이, 설치류, 그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간의 Tr1 세포군은 인간의 Tr1 클론군인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간의 Tr1 세포군은 흡입 알레르겐, 섭취 알레르겐 및 접촉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간의 Tr1 세포군은 집먼지진드기, 화분, 개, 고양이, 설치류, 그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겐에 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제 또는 약학 조성물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은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결막염, 습진 및 아나필락시스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제 또는 약학 조성물은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료제 1종 이상과 함께 조합하여 유효량으로 대상체에 투여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제 또는 약학 조성물은 천식에 걸리기 쉬운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알레르겐은 식품 알레르겐이 아니고, 상기 Tr1 세포는 상기 대상체의 혈액 시료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다)
-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상기 Tr1 세포를 클로닝하는 단계,
- 전술한 단계에서 수득된 Tr1 클론들을 더 확장하는 단계,
- 상기 대상체에게 수득된 Tr1 클론을, 좋기로는 정맥 주사 경로에 의하여 주입하는 단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본 명세서에서 "Tr1 세포"라는 용어는 하기 정지상 표현형 CD4+CD25-FoxP3-을 갖고, 고농도의 IL-10과 상당한 수준의 TGF-β 활성을 분비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한다. Tr1 세포는 부분적으로, 그들의 독특한 사이토카인 프로파일 특성이 있다: 이들은 높은 수준의 IL-10, 상당한 농도의 TGF-β와 중간 수준의 IFN-γ을 생산하고, IL-4 또는 IL-2는 거의 또는 전혀 생산하지 않는다. 사이토카인 생산은 일반적으로 항CD3+ 항CD28 항체 또는 인터류킨-2, PMA + 이오노마이신 등과 같은 T 림프구의 폴리클로날 활성 인자로 활성시킨 후, 세포 배양에서 평가된다. 별법으로, 상기 사이토카인 생산은 항원 제시 세포에 의하여 제시된 특정 T-세포 항원으로 활성시킨 후, 세포 배양으로 평가된다. 고농도의 IL-10은 적어도 약 500 pg/ml로, 일반적으로 약 1, 2, 4, 6, 8, 10, 12, 14, 16, 18, 또는 20 천 (thousand) pg/ml 이상보다 크다. 상당한 수준의 TGF-β는 적어도 약 100 pg/ml로, 일반적으로 약 200, 300, 400, 600, 800 또는 1000 pg/ml 이상보다 크다. 중간 수준의 IFN-γ는 0 pg/ml 내지 최소 400 pg/ml를 포함하는 농도에 해당하는데, 일반적으로 약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또는 2000 pg/ml 이상보다 크다. 거의 또는 전혀 없는 IL-4 또는 IL-2는 약 500 pg/ml 미만으로, 좋기로는 약 250, 100, 75, 또는 50 pg/ml 미만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원"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이 향하고 있는 세포에 대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말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항원"이라는 용어는 관심 항원과 서열 상동성 또는 구조적 상동성을 갖는 합성으로 유래한 분자, 또는 천연적으로 유래한 분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미메토프 (mimetope)일 수 있다. 상기 항원의 "단편"은 더욱 짧은 펩타이드로서 항원의 임의의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항원의 "변이체"는 이들의 전체 항원 또는 단편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분자를 말하는 것이다. 변이체 항원은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변이체 펩타이드의 직접적인 화학 합성에 의하여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상체"라는 용어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효량"은 유리하거나 목적하는 임상적 결과 (예컨대, 임상적 증상의 개선)을 야기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클론" 또는 "클론군"이라는 용어는 고유의 분화된 세포로부터 유래된 분화된 세포군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치료" 또는 "처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치료되는 개체의 자연적인 과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임상적 개입을 시도하는 것과 임상 병리학의 과정 동안 수행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증상 경감, 억제, 또는 질병의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약화 또는 억제, 질병 진행률의 하락,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그리고 차도나 개선된 예후를 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이는 알레르기 또는 천식의 임상적 징후에서의 임의의 개선뿐 아니라 환자의 행복에 있어서의 임의의 개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레르기"라는 용어는 아나필락시스, 습진, 비염, 결막염, 고초열, 코막힘 및 가려움을 포함하는 징후들과 콧물 등 임의의 알레르기 질환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천식"은 호흡계에 종종 기도 수축, 염증, 과량의 점액을 동반하는 만성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기도의 협착은 천명, 숨가쁨, 흉부 조임 및 기침 등의 징후를 야기한다.
본 발명
피부 시험 및 혈액 시험 등의 알레르기 또는 천식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의 존재를 시험하기 위하여는, 알레르기 피부 시험이 혈액 알레르기 시험보다 양호한데, 그 이유는 피부 시험이 더 감도가 좋고 특이적이며, 이용이 간단하며, 저비용이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 시험은 연속적인 작은 구멍 또는 찌른 자리를 환자의 피부에 만들기 때문에 "파괴 검사 (puncture testing)" 및 "찌르기 검사 (prick testing)"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소량의 의심되는 알레르겐 및/또는 그 추출물 (화분, 목초, 진드기 단백질, 땅콩 추출물 등)을 펜 또는 염료 (잉크/염료는 그 자체로 알레르기성 반응을 야기하지 않도록 신중히 선택되어야 한다)로 표시한 피부상의 위치에 도입한다. 피부에 구멍을 내거나 찌르기 위하여 소형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장치가 사용된다. 때때로, 알레르겐은 바늘 또는 주사기에 의하여 환자의 피부에 "피부층 사이로" 주입된다. 시험을 위한 일반적인 부위로는 팔뚝 안쪽 및 등을 들 수 있다. 환자가 그 물질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보통 30분 내에 시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난다. 이 반응은 피부상의 약한 적화 현상부터 더 민감한 환자에게서는 완전한 담마진 (full-blown hive) (소위 "발적과 팽진")에 이른다. 피부 찌르기 검사 결과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중증도 정도에 따라 알레르기 전문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는 경계선성 반응, 4+는 심한 반응을 의미한다.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알레르기 혈액 시험도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시험은 "총IgE 수준" - 환자의 혈청 내에 함유된 IgE 추정치를 측정한다. 이는 방사능 및 비색 면역분석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방사능 분석은 방사면역시험 (RAST) 방법을 포함하며, 이는 혈중 IgE 항체 수준을 정량하기 위하여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한 E-결합 (항-IgE) 항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기타 새로운 방법들은 방사성 동위 원소 대신하여 비색 또는 형광 기법을 사용한다. 몇 가지 "스크리닝" 시험 방법은 알레르기 감작 추정 환자에게서 "네" 또는 "아니오"라는 응답을 주는 정성 시험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IgE 수준이 낮다고 하여 일반적으로 흡입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을 제외시키기에는 충분치 않다. ROC 곡선, 예측치 계산 및 우도비 등의 통계법들이 다양한 시험법 상호간에 관계를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들 방법들은 총IgE 수준이 높은 환자들이 알레르기 감작의 확률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종종 신중하게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특정 알레르기 시험에 의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모든 이들 방법은 알레르기 질환 또는 천식 질환의 원인인 1종 이상의 알레르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1종 이상의 인간 Tr1 세포군을 이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1종 이상의 상기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에 상기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을 투여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있어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1종 이상의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 Tr1 세포군"은 본 명세서의 정의에서 전술한 Tr1 세포에 상응하는 것이고 CD4+CD25+ 조절 T 세포 또는 FoxP3+ 조절 T 세포 (천연 또는 종래의 Treg), TGF-β 분비 Th3 세포 또는 조절 NKT 세포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상기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은 흡입 알레르겐, 식품 알레르겐을 제외한 섭취 알레르겐 및 접촉 알레르겐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흡입 알레르겐의 예로는 이하의 것들로부터의 알레르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무기문류아목 (Astigmata): 수중다리 가루 진드기 [Acarus siro (저장 진드기, Aca s 13)], 블로미아 트로피칼리스 [Blomia tropicalis (진드기, BIo t)], 큰다리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 (미국 집먼지진드기, Der f)], 더마토파고이데스 마이크로세라스 [Dermatophagoides microceras (집먼지진드기, Der m)], 세로무늬진드기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유럽 집먼지진드기, Der p)], 주름먼지진드기 [Euroglyphus maynei (집먼지진드기, Eur m)], 집고기진드기 [Glycyphagus domesticus (저장 진드기, GIy d 2)],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토르 [Lepidoglyphus destructor (저장 진드기, Lep d)], 긴털가루진드기 [Tyrophagus putrescentiae (저장 진드기, Tyr p)];
- 바퀴목 (Blattaria): 블라텔라 게르마니카 [Blattella germanica (독일 바퀴, BIa g)], 이질 바퀴 [Periplaneta americana (미국 바퀴, Per a)]
- 딱정벌레목 (Coleoptera):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아시아 무당벌레, Har a)],
- 파리목 (Diptera): 이집트 숲모기 [Aedes aegypti (황열 모기, Aed a)], 안개무늬날개깔따구 [Chironomus kiiensis (깔따구, Chi k)], 치로노무스 튬미 튬미 [Cironomus thummi thummi (깔따구, Chi t)], 포르치포미아 타이와나 [Forcipomyia taiwana (흡혈 깔따구, For t)], 글로시나 모르시탄스 [Glossina morsitans (사바나 체체 파리, GIo m)],
- 헤미디프테라 (Hemidiptera): 트리아민 노린재 [Triatoma protracta (캘리포니아 키싱 버그, Tria p)],
- 벌목 (Hymenoptera): 아피스 케라나 [Apis cerana (동부 벌집벌, Api c)], 아피스 도르사타 [Apis dorsata (대형 꿀벌, Api d)], 아피스 멜리페라 [Apis mellifera (꿀벌, Api m)], 봄부스 펜실바니쿠스 [Bombus pennsylvanicus (호박벌, Bom p)], 봄부스 테레스트리스 [Bombus terrestris (호박벌, Bom t)], 돌리초베스퓰라 아레나리아 [Dolichovespula arenaria (노랑 말벌, DoI a)], 돌리초베스퓰라 마큘라타 [Dolichovespula maculata (흰얼굴 말벌, DoI m)], 미츠메시아 필로슐라 [Myrmecia pilosula (호주 점퍼 개미, Myr p)], 폴리스테스 아뉼라리스 [Polistes annularis (말벌, Pol a)], 폴리스테스 도미뉼러스 [Polistes dominulus (지중해 종이 말벌, Pol d)], 폴리스테스 엑스클라만스 [Polistes exclamans (말벌, Pol e)], 폴리스테스 푸스카투스 [Polistes fuscatus (말벌, Pol f)], 폴리스테스 ㄱ가갈리쿠스 [Polistes gallicus (말벌, Pol g)], 폴리스테스 메트리쿠스 [Polistes metricus (말벌, Pol m)], 폴리비아 파울리스타 [Polybia paulista (말벌, Pol p)], 폴리비아 스쿠텔라리스 [Polybia scutellaris (말벌, Pol s)], 솔레놉시스 제미나타 [Solenopsis geminata (열대 불개미, Sol g)], 솔레놉시스 인빅타 [Solenopsis invicta (유입 붉은 불개미, Sol i)], 솔레놉시스 리치테리 [Solenopsis richteri (검은 불개미, Sol r)], 솔레놉시스 새비씨마 [Solenopsis saevissima (브라질 불개미, Sol s)], 베스파 크라브로 [Vespa crabro (유럽 말벌, Vesp c)], 베스파 만다리니아 [Vespa mandarinia (대형 아시아 말벌, Vesp m)], 베스퓰라 피아보필로사 [Vespula fiavopilosa (옐로우 재킷, Vesp f)], 베스퓰라 게르마니카 [Vespula germanica (옐로우 재킷, Vesp g)], 베스퓰라 마큘리프론스 [Vespula maculifrons (옐로우 재킷, ves m)], 베스퓰라 펜실바니카 [Vespula pensylvanica (옐로우 재킷, Vesp p)], 베스퓰라 스쿠아모사 [Vespula squamosa (옐로우 재킷, Vesp s)], 베스퓰라 비두아 [Vespula vidua (말벌, Ves vi)], 베스퓰라 불가리스 [Vespula vulgaris (옐로우 재킷, Ves v)],
- 이그조디다 (Ixodida): 아르가스 리플렉서스 [Argas reflexus (비둘기 진드기, Arg r)],
- 나비목 (Lepidoptera): 봄빅스 니오리 [Bombyx niori (누에나방, Bomb m)], 플로디아 인터펑텔라 [Plodia interpunctella (화랑곡나방, PIo i)], 토메토포에아 피티오캄파 [Thaumetopoea pityocampa (파인 프로세쇼너리 나방, Pine processionary moth, Tha p)],
- 좀목 (Thysanura): 레피시마 사카리나 [Lepisma saccharina (좀, Lep s)],
- 벼룩목 (Siphonaptera): 크테노체팔리데스 펠리스 펠리스 [Ctenocephalides felis felis (고양이 벼룩, Cte f)],
- 식육류 (Carnivora): 카니스 파밀리아리스 [Canis familiaris (개, Can f)], 펠리스 돔스티쿠스 [Felis domesticus (고양이, FeI d)],
- 토끼목 (Lagomorpha): 오릭토라구스 쿠니큘러스 [Oryctolagus cuniculus (토끼, Ory c)],
- 기제류 (Perissodactlyla): 에쿠우스 카발루스 [Equus caballus (가축 말, Equ c),
-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레피도르홈부스 위피아고니스 [Lepidorhombus whiffiagonis (메그림 (Megrim), 위프 (Whiff), 갈로 (Gallo), Lep w)],
- 쥐목 (Rodentia): 카비아 포르첼루스 [Cavia porcellus (기니 피그, Cav p)], 무스 무스큘러스 [Mus musculus (생쥐, Mus m)], 래터스 노르베지우스 [Rattus norvegius (쥐, Rat n)],
- 구과목: 채매사이파리스 옵튜사 [Chamaecyparis obtusa (일본 사이프러스, Cha o)], 큐프레서스 아리조니카 [Cupressus arizonica (사이프러스, Cup a)], 크립토메리아 쟈포니카 [Cryptomeria japonica (스기, Cry j)], 큐프레서스 셈페르비렌스 [Cupressus sempervirens (일반 사이프러스, Cup s)], 쥬니퍼루스 아쉐이 [Juniperus ashei (마운틴 시더 (Mountain cedar), Jun a)], 쥬니퍼루스 옥시체드러스 [Juniperus oxycedrus (프리클리 주니퍼 (Prickly juniper), Jun o)], 쥬니퍼루스 사비노이데스 [Juniperus sabinoides (마운틴 시더, Jun s)], 쥬니퍼루스 버지니아나 [Juniperus virginiana (동부 레드 시더, Jun v)],
- 용담목 (Gentianales): 일일초 (로지 페리윙클, Cat r),
- 벼목 (Poales) : 까락향기풀 (향기풀, Ant o 1), 우산 잔디 (버뮤다 그래스, Cyn d 1, Cyn d 7, Cyn d 12, Cyn d 15, Cyn d 22w, Cyn d 23, Cyn d 24), 오리새 (오차드 그래스, Dae g 1, Dae g 2, Dae g 3, Dae g 4, Dae g 5), 넓은김의털 (메도우 훼스큐, Fes p 4)), 홀쿠스 라나투스 [Holcus lanatus (벨벳 그래스, HoI 1 1, HoI 1 5)], 호르데움 불가레 [Hordeum vulgare (보리, Hor v 1, Hor v 5, Hor v 12, Hor v 15, Hor v 16, Hor v 17, Hor v 21)], 호밀풀 (라이 그래스, LoI p 1, LoI p 2, LoI p 3, LoI p 4, LoI p 5, LoI p 11), 오리자 사티바 [Oryza sativa (쌀, Ory s 1, Ory s 12)], 파스팔룸 노타룸 [Paspalum notarum (바히아 그래스, Pas n 1)], 팔라리스 아쿠아티카 [Phalaris aquatica (카나리 그래스, Pha a 1, Pha a 5)], 플레움 프라텐스 [Phleum pratense (큰조아재비, PhI p 1, PhI p 2, PhI p 4, PhI p 5, PhI p 6, PhI p 7, PhI p 11, PhI p 12, PhI p 13)], 포아 프라텐시스 [Poa pratensis (켄터키 블루 그래스, Poa p 1, Poa p 5)], 호밀 (호밀 (Rye), Sec c 1, Sec c 20), 소르굼 할레펜스 [Sorghum halepense (존슨 그래스, Sor h 1)], 트리티쿰 애스티붐 [Triticum aestivum (통밀, Tri a 12, Tn a 14, Tri a 185, Tn a 19, Tri a 25, Tri a 26, Tri a 27, Tri a 28, Tn a 29, Tri a 30)], 지 메이즈 [Zea mays (옥수수, Zea m 1 , Zea m 12, Zea m 14, Zea m 25)].
- 참나무목 (Fagales): 알누스 글루티노사 [Alnus glutinosa (오리나무, AIn g 1, AIn g 4)], 베툴라 베루코사 [Betula verrucosa (자작나무, Bet v 1, Bet v 2, Bet v 3, Bet v 4 , Bet v 5, Bet v 6, Bet v 7)], 카르피누스 베툭스 [Carpinus betuhxs (서어나무, Car b 1)].
- 꿀풀목 (Lamiales): 프락시누스 엑셀시오르 [Fraxinus excelsior (물푸레나무, Fra e l)], 리구스트럼 불가레 [Ligustrum vulgare (쥐똥나무, Lig v)], 시린가 불가리스 [Syringa vulgaris (라일락, Syr v)],
- 말피기목 (Malpighiales) : 헤비아 브라질리엔시스 [Hevea brasiliensis (파라 고무 나무 (라텍스), Hev b 1, Hev b 2, Hev b 3, Hev b 4, Hev b 5, Hev b 6, Hev b 7, Hev b 8, Hev b 9, Hev b 10, Hev b 11, Hev b 12, Hev b 13)]
- 프로테아목 (Proteales): 플라타누스 아세리폴리아 [Platanus acerifolia (런던 플레인 트리, PIa a 1, PIa a 2, PIa a 3)], 플라타투스 오리엔탈리스 [Platanus orientalis (버즘나무, PIa or 1, pla or 2, PIa or 3)]
-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
식품 알레르겐을 제외한 섭취 알레르겐의 예로는 자낭균류 (Fungi Ascomycota):
- 도티데알레스 (Dothideales): 알터나리아 알터나타 [Alternaria alternata (알터나리아 로트 펑거스 (Alternaria rot fungus), Alt a)], 클라도스포리움 클라도스포리오이데스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CIa c)], 클라도스포리움 헤르바룸 [Cladosporium herbarum (CIa h)], 큐르불라리아 루나타 [Curvularia lunata (Cur 1)],
- 유로티아목 (Eurotiales):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 [Aspergillus flavus (Asp fl)],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Aspergillus fumigatus (Asp f)], 아스페르길루스 니거 [Aspergillus niger (Asp n)], 아스페르길러스 오리자에 [Aspergillus oryzae (Asp o)], 페니실리움 브레비콤팍툼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 b)], 페니실리움 크리소게눔 [Penicillium chrysogenum (Pen ch)], 페니실리움 시트리눔 [Penicillium citrinum (Pen c)], 페니실리움 옥살리쿰 [Penicillium oxalicum (Pen o)],
- 육좌균목 (Hypocreales): 푸사리움 큘모럼 [Fusarium culmorum (Fus c)],
- 뼈버섯목 (Onygenales) : 트리코피톤 루브럼 [Trichophyton rubrum (Tri r)], 트리코피톤 톤슈란스 [Trichophyton tonsurans (Tri t)],
- 효모균목 (Saccharomycetales):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효모, Cand a)], 칸디다 보이디니이 [Candida boidinii (이스트, Cand b)],
- 튜베르클라리아목 (Tuberculariales): 에피코큠 퓨르퓨라센스 [Epicoccum purpurascens (Epi p)] 로부터의 알레르겐 및
담자균류 (Fungi Basidiomycota):
- 균심류 (Hymenomycetes) : 코프리누스 코마투스 [Coprinus comatus (쉐기 메인 (Shaggy mane), Cop c)], 실로카이브 큐벤시스 [Psilocybe cubensis (매직 머쉬룸, Psi c)],
- 유레디니오마이세츠 (Urediniomycetes) : 로도토룰라 뮤실라기노사 [Rhodotorula mucilaginosa (효모, Rho m)],
- 깜부기병균류 (Ustilaginomycetes) : 말라세지아 퓌르퓌르 [Malassezia furfur (어루러기 감염제, Mala f)], 말라세지아 심포디알리스 [Malassezia sympodialis (Mala s)], 및
항생제 (페니실린, 세파로스포린, 아미노사이드, 퀴놀론, 마크롤라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술프아미드 등), 약제 (아세틸살리실산, 백신, 모르핀 및 유도체들), 비타민 Kl 등 비타민,
-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부터의 알레르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용된 각각의 알레르겐의 상응하는 서열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서열 또는 기탁 번호를 웹사이트 www.allergen.org.에서 찾을 수 있다.
접촉 알레르겐의 예로는 중금속 (니켈, 크롬, 금 등), 라텍스, 할로탄 (halothane) 등의 합텐, 하이드라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구조가 단백질을 기초로 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후자의 화합물들은 자가 단백질 (self-protein)에 직접 삽입되어 상기 자가 단백질을 변형시킴으로써 면역원성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상기 변형된 자가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Tr1 조절 림프구를 만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이라는 용어는 우유, 계란, 땅콩, 각과류 (호두, 캐쉬 등), 생선, 패류, 콩, 밀 및 당근, 사과, 배, 아보카도, 살구, 복숭아로부터의 알레르겐 등의 식품 알레르겐을 제외하는 것이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간 Tr1 세포는 화분 (Cup, Jun), 말먼지진드기 (Der, Gly, Tyr, Lep), 개, 고양이 및 설치류 (Can, FeI, Mus, Rat)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에 대한 것이다.
이론에 얽매일 필요 없이, 본원인은 식품 알레르기를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군을 주입하면 대상체 체내에 존재하는 항원에 의하여 생체 내 활성화되고,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간의 Tr1 세포는:
a) 대상체로부터 간세포군을 단리하고,
b) IL-10의 존재 하에서 상기 간세포군을 배양함으로써 수지상세포군을 수득하고,
c) 항원에 대한 CD4+ T 세포를 Tr1 세포군으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이 존재하는 대상체로부터 단리한 CD4+ T 림프구군과 단계 b)의 세포를 접촉시키고,
d) 단계 c)의 Tr1 세포를 회수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IL-10은 50 내지 250 U/ml, 좋기로는 100 U/ml로 배양 배지에 존재한다. Tr1 세포를 수득하는 상기 방법은 문헌 Wakkach et al (Immunity 2003 May; 18(5):605-17)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덱사메타손 및 비타민 D3, 또는 단계 b)의 DC를 대신하여 면역관용성 또는 미성숙 DC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간의 Tr1 세포는:
a)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대상체로부터 단리된 CD4+ T 세포군을 적당량의 IFN-α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고,
b) Tr1 세포군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IFN-α는 배지 내에서 좋기로는 5 ng/ml로 존재한다. 단계 a)에서, 배지는 적당량의, 좋기로는 100 U/ml의 IL-10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Tr1 세포군은 분화를 위하여 IL-5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되고, IL-5는 배지 내에서 좋기로는 5 ng/ml로 존재한다. Tr1 세포를 수득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특허 US674667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간의 Tr1 세포는:
a) 인공 항원 제시 세포에 의하여 제시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의 존재 하에서 CD4+ T 세포군을 실험실 내에서 활성화시키고,
b) 10% 이상의 Tr1 세포를 포함하는, 활성화된 CD4+ T 세포를 회수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좋기로는, 상기 인공 항원 제시 세포는 HLA II계 분자 및 인간의 LFA-3 분자를 발현하고 공동 자극 분자 B7-1, B7-2, B7-H1, CD40, CD23 및 ICAM-1을 발현하지 않는다.
Tr1 세포를 수득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특허 출원 WO 02/0927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간의 Tr1 세포는:
a)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 및 적당량의 IL-10의 존재 하에서 CD4+ T 세포군을 실험실 내에서 활성화시키고,
b) Tr1 세포군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좋기로는, IL-10은 배지에 100 U/ml로 존재한다. 상기 방법은 문헌 Groux et al. (Nature 1997, 389(6652):737-4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간의 Tr1 세포는:
a)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과 함께 백혈구군 또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군을 자극하고,
b) 자극된 세포군으로부터 항원 특이적 Tr1 세포를 회수하고,
c) 필요에따라 상기 항원 특이적 Tr1 세포군을 증식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백혈구는 몇 가지 유형의 세포를 포함하고, 이들은 그 중요성, 분포, 세포수, 수명 및 잠재성에 따라 특징지워진다. 이들 유형은 다음과 같다: 다핵 또는 과립 백혈구, (여기에는 호산성, 호중성 및 호염기성 백혈구가 포함된다), 단핵 세포, 또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이들은 대형 백혈구이고 면역계의 주된 세포형을 이룬다 (백혈구 및 단핵구). 백혈구 또는 PBMC는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말초 혈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PBMC의 분리를 위하여, 원심 분리법, 좋기로는 밀도 구배 원심 분리법, 좋기로는 불연속 밀도 구배 원심 분리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특정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한다. 어떤 실시 상태에 있어서, PBMC는 통상적으로 표준 방식을 이용한 피콜-하이파끄 (Ficoll-Hypaque) 방법에 의하여 전혈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PBMC는 백혈구 분리 반출법에 의하여 회수된다.
상기 방법은 특허 출원 WO 2007/010406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간의 Tr1 세포는:
a)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의 존재 하에서 백혈구군 또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군을 간엽 줄기 세포와 함께 배양하고,
b) Tr1 세포군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PBMC 또는 백혈구 대신에 미접촉 T 세포 또는 기억 T 세포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렇게 수득된 Tr1 세포군은 인터류킨-2 및 인터류킨-4 등의 사이토카인의 존재 하에서 배양됨으로써 더 증식될 수 있다. 별법으로, 인터류킨-15 및 인터류킨-13도 역시 Tr1 세포 증식 배양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에 있어서, 인간의 Tr1세포는 WO 2005/000344호에 개시된 동정법에 의하여 특징지워질 수 있다. 상기 Tr1 세포의 동정법은 CD4 분자 및 CD18 및/또는 CD11a 및 CD49b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분자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산물이 동시 존재함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Tr1 세포는 상기 지표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ELISA, 유세포 측정법 또는 항체친화법으로 동정 및/또는 정제될 수 있다.
또한 Tr1 세포는 유세포 측정법 또는 자성 비드를 이용한 양성 선택 또는 음성 선택에 의하여 농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들이 WO 2005/000344호에 역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는 WO 2006/108882호에 개시되어 있는 실험실 내 방법에 의하여 증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 35℃ 미만의 온도 T1, 배양 배지 Mf에서, 배양 보조 곤충 세포 등의 배양 보조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온도 T1은 배양 세포 및 다음과 같은 세포 표면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것인 상기 배양 세포가 발현하는 인자들의 증식을 가능하게 한다.)
- CD3/TCR 복합체,
- CD28 단백질,
- IL-2 수용체,
- CD2 단백질,
- IL-4 수용체,
b) 단계 a)에서 수득된, 배양 배지 Mf가 제거되거나 제거되지 않은 배양 보조 세포들을, 배양 배지 Mp에 담겨져 있는 Tr1 세포군과 접촉시켜 (여기서 상기 배양 배지 Mp는 단계 a)에 인용된 인자들을 처음에는 함유하지 않는다.), Tr1 세포군, 배양 보조 세포 및 배양 배지 Mp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c) 35℃ 이상의 온도 T2에서 단계 b)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배양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온도는 Tr1 세포군은 증식하고 배양 보조 세포는 증식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이다.)
d) 증식된 Tr1 세포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세포 표면 단백질들과 상호 작용하는 인자들의 예로는:
- 변형된 항CD3 항체, 여기서 CD 헤비 체인의 항CD3 세포내 도메인은 막관통 도메인으로 교체된 것이다.
- CD80 또는 CD86 단백질,
- 배양 보조 세포에 의하여 분비된 IL-2,
- CD58 단백질,
-IL-4 및 IL-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터류킨.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상기 Tr1 세포는 T 세포를 클로닝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을 1종 이상, 또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의 클론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저장을 위하여 냉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상기 알레르겐은 화분 (Cup, Jun), 말먼지진드기 (Der, Gly, Tyr, Lep), 개, 고양이, 설치류 (Can, Fel, Mus, Rat),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좋기로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상기 알레르겐은 화분 (Cup, Jun),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좋기로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상기 알레르겐은 말먼지진드기 (Der, Gly, Tyr, Lep),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좋기로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상기 알레르겐은 개, 고양이, 설치류 (Can, Fel, Mus, Rat),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의 "변이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천연 항원과 거의 동일하고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공유하는 항원을 말한다. 천연 항원과 그 변이체 간의 최소한의 차이점은, 예컨대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및/또는 첨가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변이체들은, 예컨대 아미노산 잔기들이 유사한 측쇄를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로 교체되는, 보존적인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측쇄를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들의 패밀리는 이 기술 분야에서 정의된 것이고, 예컨대 염기성 측쇄 (예컨대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산성 측쇄 (예컨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비전하 극성 측쇄 (예컨대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타이로신, 시스테인), 비극성 측쇄 (예컨대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베타-분지상 측쇄 (예컨대 트레오닌, 발린, 이소류신) 및 방향족 측쇄 (예컨대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과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간 Tr1 세포군은 인간의 Tr1 클론군이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상기 알레르겐은 화분 (Cup, Jun), 말먼지진드기 (Der, Gly, Tyr, Lep), 개, 고양이, 설치류 (Can, Fel, Mus, Rat), 이들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의 군에서 선택된다
더욱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은, 화분 (Cup, Jun), 말먼지진드기 (Der, Gly, Tyr, Lep), 개, 고양이, 설치류 (Can, Fel, Mus, Rat),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의 군에서 선택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또는 클론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종래의 것이다.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 (1980)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및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담체는 사용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비경구 제제는 보통 물, 생리 식염수, 평형 염액, 수성 덱스트로스, 참기름, 글리세롤, 에탄올, 이들의 조합 또는 그 유사물과 같은 약학적으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유체 등의 주입 가능한 유체를 매개체로서 포함한다. 담체 및 조성물을 살균하여 제제를 투여 방식에 적합하게 한다. 생물학적 중성 담체 뿐만 아니라,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은 미량의 비독성 첨가 물질, 예컨대 습윤제 또는 가용화제, 보존제 및 pH 완충제 및 그 유사물들을 함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이다. 조성물은 액체 용액, 현탁액, 유화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상기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상기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상기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은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결막염, 습진 및 아나필락시스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간의 Tr1 세포군은 인간의 Tr1 클론군이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한 가지 인간 Tr1 세포군 또는 클론은 화분 (Cup, Jun), 말먼지진드기 (Der, Gly, Tyr, Lep), 개, 고양이, 설치류 (Can, Fel, Mus, Rat), 이들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 유래한 알레르겐들의 군에서 선택되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조성물의, 천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조성물의, 습진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조성물의, 아나필락시스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조성물의, 알레르기성 비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조성물의, 결막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생명을 위협하는 과민 반응 및 사망 가능성이라는 결과를 일으킬 수 있는 중증의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상기 전술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있어서, 상기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다.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은 좋기로는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결막염, 습진 및 아나필락시스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조성물은 비경구, 근육내, 정맥내, 복강내, 주사, 비강내 흡입, 폐 흡입, 피부내, 척추강내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좋기로는,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은 비강내 흡입, 폐 흡입, 복강내 또는 정맥내 주사 또는 환자의 림프절에 직접 주사, 좋기로는 정맥 주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의 양은 염증의 성질에 달려있고, 임상적 표준 기법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제제에 사용될 정확한 양은 투여 경로 및 질병 또는 장애의 심각성에 달려있고, 의사의 판단과 각 개인의 환경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유효 투여량은 실험실 내 또는 동물 모델 시험 시스템으로부터 도출된 용량 반응 곡선을 통하여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104/kg 내지 109/kg 의 세포가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좋기로는, 106/kg 내지 108/kg의 세포, 더욱 좋기로는 약 108/kg의 세포를 대상체에게 투여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대상체의 임상적 상태가 악화되어 재발이 증명된 때에 의약을 대상체에게 투여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을 1회 투여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을 한달에 1회 투여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을 4분기당 1회 투여한다.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을 연간 1회 내지 2회 투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되는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대상체의 세포에서 자기 유래한 인간 Tr1 세포를 포함한다.
이것은 Tr1 세포가 그들이 유래한 대상체에게 투여되거나 또는 Tr1 세포의 생산에 사용된 전구체가 Tr1 세포가 투여될 대상체로부터 유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있어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대상체의 혈액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와,
-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상기 Tr1 세포를 클로닝하는 단계와,
- 전 단계에서 수득된 Tr1 클론을 더 증식시키는 단계와,
- 그 결과 수득된 Tr1 클론을 상기 대상체에게, 좋기로는 정맥내 경로로 주입하는 단계.
좋기로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클론의 클로닝과 증식은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a) 35℃ 미만의 온도 T1, 배양 배지 Mf에서, 배양 보조 곤충 세포 등의 배양 보조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온도 T1은 배양 세포 및 다음과 같은 세포 표면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것인 상기 배양 세포가 발현하는 인자들의 증식을 가능하게 한다.)
- CD3/TCR 복합체,
- CD28 단백질,
- IL-2 수용체,
- CD2 단백질,
- IL-4 수용체,
b) 단계 a)에서 수득된, 배양 배지 Mf가 제거되거나 제거되지 않은 배양 보조 세포들을, 배양 배지 Mp에 담겨져 있는 Tr1 세포군과 접촉시켜 (여기서 상기 배양 배지 Mp는 단계 a)에 인용된 인자들을 처음에는 함유하지 않는다.), Tr1 세포군, 배양 보조 세포 및 배양 배지 Mp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c) 35℃ 이상의 온도 T2에서 단계 b)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배양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온도는 Tr1 세포군은 증식하고 배양 보조 세포는 증식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이다.)
d) 증식된 Tr1 세포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세포 표면 단백질들과 상호 작용하는 인자들의 예로는:
- 변형된 항CD3 항체, 여기서 CD 헤비 체인의 항CD3 세포내 도메인은 막관통 도메인으로 교체된 것이다.
- CD80 또는 CD86 단백질,
- 배양 보조 세포에 의하여 분비된 IL-2,
- CD58 단백질,
-IL-4 및 IL-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터류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1종 이상의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은 1종 이상의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다.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항히스타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컨대 시클레소니드, 베클로메타손, 부데소니드, 플루니솔리드, 플루티카손, 모메타손 및 트리암시놀론), 콜티손,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콜티손,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테오필린, 크로몰린 나트륨, β2-아고니스트, 항인터류킨 (예컨대 몬테류캐스트, 자피르류캐스트, 프랜류캐스트 및 질류톤),항콜린제/항무스카린제 (예컨대 이프라트로피움, 옥시트로피움 및 티오트로피움), 충혈 완화제, 비만 세포 안정화제 (예컨대, 프로모글리케이트 (크로몰린) 및 네도크로밀), 메틸크산틴 (예컨대 테오필린 및 아미노필린), 호산구 주화성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합물들 및 IgE 차단제 (예컨대 오말리주마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알레르겐 특이적 면역치료법 (SIT)과 함께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은 알레르겐 특이적 면역치료법 (SIT)와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이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특정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대상체는 천식에 걸리기 쉬운 대상이다.
천식은 환경적 및 유전적 인자들의 복합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야기된다. 또한 이들 인자는 한 개인의 천식이 얼마나 심할지 그리고 그들이 의약에 얼마나 잘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타 다른 복합적인 질병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환경적, 유전적 인자들이 천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되어 왔다. 하나 이상의 유전적 연관 연구에서 100개 이상의 유전자가 천식과 관련되어 있었다. 2005년 말까지, 25개의 유전자들이 6개 이상의 무관한 개체군에서 천식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들 유전자 중 많은 수가 면역계 또는 염증 매개와 관한 것이다. 또한 연구에 의하여 몇 가지 유전적 변이체들은 특정 환경적 노출과 조합되어진 때에만 천식을 야기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천식에 대한 위험 인자가 아닐 수도 있음이 제안되었다. 천식과 관련된 유전자들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GSTM1, IL10, CTLA-4, SPINK5, LTC4S, LTAG, RPA, NOD1, CC16, GSTP1, STAT6, NOS1, CCL5, TBX, A2R, TGFBl, IL4, IL13, CD14, ADRB2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HLA-DRB1, HLA-DQB1, TNF, FCER1B, IL4R, ADAM33.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대상체는 항히스타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콜티손,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콜티손,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테오필린, 크로몰린 나트륨, β2-아고니스트, 항류코트리엔, 항콜린제/항무스카린제, 충혈 완화제, 비만 세포 안정화제, 메틸크산틴의 군에 속하는 1종 이상의 치료제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거나 적절히 반응하지 않을 것 같은 대상이다.
"부적절한 반응",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 또는 "적절히 반응하지 않을 것 같은"이라는 표현은 어떤 대상체에 의한 실제 반응 또는 가능한 반응을 칭하는 것으로서, 그 대상체에 관한 한, 해당 치료법이 비효과적이거나, 독성이거나 또는 거의 관용적이지 못하였거나 못할 것 같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Derp-1 알레르겐으로 특이적 활성화된 후 Tr1 클론의 IL-10 생산.
도 1은 특정 알레르겐 Derp-1의 존재 하에서 T 세포 클론에 의한 IL-10 생산의 특이적인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클론들은 방사능 처리된 자기 유래 항원 제시 세포의 존재 하에서 Derp-1 알레르겐과 함께 또는 Derp-1 알레르겐 없이 활성화되었다. 48 시간 후, IL-10 생산을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2: 항Derp-1 알레르겐 Tr1 클론의 사이토카인 분비 프로파일.
Derp-1 알레르겐 특이 Tr1 세포 클론의 IL-1O, IL-4 및 IFNγ 분비를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 활성화 세포의 48 시간 후 상층액에서 측정하였다.
도 3: 항Derp-1 알레르겐 Tr1 클론의 실험실 내 억제 활성.
Derp-1 알레르겐 Tr1 클론의 억제 활성을 자기 유래의 CD4+ T 림프구와 함께 공배양한 실험에서 측정하였다.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3 일간 세포군을 공배양 하였다. 그 후, 다양한 양의 Tr1 세포의 존재 또는 비존재 하에서 CD4+ T 세포의 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CD4+ T 림프구에 Tr1 세포를 첨가하면 T 세포 증식을 강하게 억제함을 나타낸다.
도 4: 항Derp-1 알레르겐 Tr1 클론 배양 상층액의 억제 활성.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3 일간 CD4+ T 림프구를 배양하였다. 그 후, Tr1 세포 배양 상층액의 존재 하에서 CD4+ T 세포의 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CD4+ T 림프구에 Tr1 세포 배양 상층액를 첨가하면 T 세포 증식을 강하게 억제함을 나타낸다.
도 5: 항Derp-1 알레르겐 Tr1 클론 배양 상층액의 억제 활성은 모노클로날 항체 항IL-10 및 항TGF-β에 의하여 억제된다.
실시예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한 프로토콜이 주어지지 않은 모든 실험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들을 증명하기 위하여 포함되었다. 이하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기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잘 기능하도록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밝혀진 기법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하여 인식되어야 하고, 따라서 그 실시에 양호한 방식을 구성하는 것으로 사료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시라는 관점에 있어서,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개시된 특정 실시 상태에 다양한 변화를 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점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전히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실험 방법
TR1 세포 단리
건강한 환자로부터 혈액 시료를 수집하고 밀도 구배 원심 분리를 이용하여 백혈구를 단리하였다. 그 후 Derp-1 알레르겐 (SEQ ID NO: 1)의 존재 하에서 이 항원에 대한 Tr1 세포의 특이적인 증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13 일간의 배양 후, 한계 희석법에 의하여 세포군을 클로닝하였다. Derp-1에 대한 특이성 및 Tr1 사이토카인 생산 프로파일 특성에 대하여 클론들을 시험하였다.
사이토카인 실험
항원 특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원 제시 세포 (4.105)의 존재 하에서 및 특정 항원 (Derp-1 알레르겐)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서 자극시킨 T 세포의 48 시간 상층액을 샌드위치 ELISA 수행하였다. 사이토카인 생산 프로파일의 측정을 위하여, Derp-1 알레르겐 Tr1 세포 클론을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로 자극시키고 상층액을 48 시간 후 수확하였다. 항IL-4 (11B11), 항IL-10 (2A5), 항IFN-γ (XGMl.2), 비오틴 항IL-4 (24G2), 항IL-10 (SXC1), 항IFN-γ (R4-6A2) [파밍겐 벡튼 디킨슨 (Pharmingen Becton Dickinson)]를 이용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억제 연구
공배양에 있어서의 억제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양의 Eerp-1 알레르겐 특이적 Tr1 클론을 자기 유래 CD4+ T 림프구와 함께 공배양 하였다. 공배양체를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로 코팅된 비드로 자극하였다. 3일 후, 로쉐 (Roche Applied. Science, Basel, Switzerland)의 WST-1 증식 키트를 이용하여 총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자기 유래 CD4+ T 세포 증식도 역시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로 코팅된 비드로 48 시간 활성화된 Tr1 세포의 희석된 상층액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항IL-10 및 항TGF-β 모노클로날 항체를 R&D 시스템으로부터 구입하여 lO μg/ml로 사용하였다.
결과
도 1은 항원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서 Derp-1 알레르겐 특이적인 두 가지 다른 Tr1 세포군의 IL-10 생산을 보여준다. 결과는 Derp-1 알레르겐 자극이 I:-10 생산의 증가를 유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는 Derp-1 알레르겐에 대한 세포군의 특이성을 증명해 준다.
이들 Derp-1 알레르겐에 대하여 특이적인 Tr1 세포군의 사이토카인 분비 프로파일을 더 결정하기 위하여, 세포들을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의 존재 하에서 자극하였다. IL-4, IL-10 및 IFNγ의 생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48 시간 상층액에서 ELISA를 수행하였다. 도 2는 후자의 Derp-1 알레르겐 특이적 개체군에 대하여 관찰된 사이토카인 분비 프로파일이 Tr1의 사이토카인 분비 프로파일, 즉 고농도의 IL-10, 저농도의 IFNγ의 생산 및 IL-4의 미생산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후 이들 Derp-1 알레르겐 Tr1군의 억제 활성이 측정되었다. 항CD3 +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의 존재 하에서 Tr1 세포를 자기 유래의 CD4+ T 세포와 함께 공배양 하였다. 3 일간 자극한 후, 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두 가지 Tr1군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세포의 억제 활성을 확인시켜 준다.
이들 항Derp-1 Tr1 클론의 억제 활성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배양 상층액 (sup)에서도 역시 발견된다.
도 5는 이러한 억제 활성이 IL-10 및 TGF-β의 분비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실험은 Derp-1과 같은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적인 인간 Tr1 세포가 단리되고 건강한 대상체로부터 클로닝될 수 있으며 이들 Tr1 세포가 실험실 내에서 기능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쥐를 대상으로 한 자연적, 자발적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대한 이용 가능한 생체 내 모델이 아직은 없다. 생쥐에게 실험적인 알레르겐을 투여하는, 좋기로는 복강내 투여로 실험적 알레르겐에 대한 첫번째 면역을 유도한 며칠 후 기도 감염을 유발하기 위하여 비강내 또는 기관내로 알레르겐을 투여하는 인공적인 모델이 존재할 뿐이다. 이들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Tr1 세포가 생체 내에서 기능적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하여는 상기 알레르겐에 관련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앓는 대상체에 이들을 주입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들 Tr1 세포가 식품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가 환자에게 주입되었을 때 크론병을 앓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생체내에서 기능할 것이라는 증거를 제공한다.
사실, 식품 항원에 특이적인 Tr1 세포는 크론병 활성 지수 (CDAI) 220 이상의 력(歷)을 가지는 4명의 환자들에게 주입되었고, 이는 이들 환자들이 그들의 삶의 질과 행복을 저하시키는 지속적인 소화관 염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r1 세포 주입 5 주 후, CDAI의 감소, IBDQ (염증성 장 질환 설문지)에 의하여 측정된 삶의 질 향상 및 전신 염증 표지인 혈중 C반응성 단백질의 감소에 의하여 질병의 완화가 유도됨이 관찰되었다.
환자 치료 전 CDAI 치료 후 CDAI 치료 전 CRP (mg/l) 치료 후 CRP (mg/l)
1 346 155 29 4
2 286 168 13 2
3 431 262 31,9 0,9
4 435 283 5.2 <3
중증의 크론병 증세를 보이는 4 명의 환자들을 식품 항원에 대한 특이적 Tr1 세포로 치료하였다. 질병의 중증도를 측정하는 크론병 활성 지수 (CDAI) 및 염증의 수준을 측정하는 혈중 C반응성 단백질 (CRP) 농도를 치료 전후에 측정하였다. 위의 표는 4 명의 환자 모두가 CDAI 및 혈중 CRP 수준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세포 치료에 반응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데이터는 항원 특이적인 Tr1 세포가 대상체에 주입되었을 때 생체내에서 상기 대상체의 상기 항원에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SEQUENCE LISTING <110> TXCELL Foussat, Arnaud <120> COMPOSITIONS FOR TREATING AN ALLERGIC OR ASTHMATIC CONDITION <130> 78/PCT <160> 1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263 <212> PRT <213> Dermatophagoides microceras <400> 1 Leu Ser Val Val Tyr Ala Tyr Pro Ser Glu Ile Arg Thr Phe Glu Glu 1 5 10 15 Phe Lys Lys Ala Phe Asn Lys His Tyr Val Thr Pro Glu Ala Glu Gln 20 25 30 Glu Ala Arg Gln Asn Phe Leu Ala Ser Leu Glu His Ile Glu Lys Ala 35 40 45 Gly Lys Gly Arg Ile Asn Gln Phe Ser Asp Met Ser Leu Glu Glu Phe 50 55 60 Lys Asn Gln Tyr Leu Met Ser Asp Gln Ala Tyr Glu Ala Leu Lys Lys 65 70 75 80 Glu Phe Asp Leu Asp Ala Gly Ala Gln Ala Cys Gln Ile Gly Ala Val 85 90 95 Asn Ile Pro Asn Glu Ile Asp Leu Arg Ala Leu Gly Tyr Val Thr Lys 100 105 110 Ile Lys Asn Gln Val Ala Cys Gly Ser Cys Trp Ala Phe Ser Gly Val 115 120 125 Ala Thr Val Glu Ser Asn Tyr Leu Ser Tyr Asp Asn Val Ser Leu Asp 130 135 140 Leu Ser Glu Gln Glu Leu Val Asp Cys Ala Ser Gln His Gly Cys Gly 145 150 155 160 Gly Asp Thr Val Leu Asn Gly Leu Arg Tyr Ile Gln Lys Asn Gly Val 165 170 175 Val Glu Glu Gln Ser Tyr Pro Tyr Lys Ala Arg Glu Gly Arg Cys Gln 180 185 190 Arg Pro Asn Ala Lys Arg Tyr Gly Ile Lys Asp Leu Cys Gln Ile Tyr 195 200 205 Pro Pro Asn Gly Asp Lys Ile Arg Thr Tyr Leu Ala Thr Lys Gln Ala 210 215 220 Ala Leu Ser Val Ile Ile Gly Ile Arg Asp Leu Asp Ser Phe Arg His 225 230 235 240 Tyr Asp Gly Arg Thr Ile Leu Gln Ser Asp Asn Gly Gly Lys Arg Asn 245 250 255 Phe His Ala Ile Asn Ile Val 260

Claims (14)

  1.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의약.
  2.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알레르겐에 대한 인간 Tr1 세포군 1종 이상을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Tr1 세포군은 인간 Tr1 클론군인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은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흡입 알레르겐, 섭취 알레르겐 및 접촉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은 집먼지진드기, 이들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은 화분, 이들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과 관련된 알레르겐은 개, 고양이, 설치류, 이들의 단편, 변이체 및 혼합물로부터의 알레르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은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결막염, 습진 및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10.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이,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1종 이상의 치료제와 함께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천식에 걸리기 쉬운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Tr1 세포는 이들이 투여될 대상체로부터 자기 유래된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04 kg 내지 109 /kg의 Tr1 세포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인 의약 또는 약학 조성물.
  14. - 식품 알레르겐이 아닌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Tr1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와,
    -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에 관련된 선택된 알레르겐에 대한 상기 Tr1 세포를 클로닝하는 단계와,
    - 전 단계에서 수득된 Tr1 클론을 더 증식시키는 단계와,
    - 그 결과 수득된 Tr1 클론을 상기 대상체에게, 좋기로는 정맥내 경로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있어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제외한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117022223A 2009-02-23 2010-02-22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8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49409P 2009-02-23 2009-02-23
EP09305169.6 2009-02-23
EP09305169A EP2221364A1 (en) 2009-02-23 2009-02-23 Compositions for treating an allergic or asthmatic condition
US61/154,494 2009-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893A true KR20110128893A (ko) 2011-11-30

Family

ID=4071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223A KR20110128893A (ko) 2009-02-23 2010-02-22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311590A1 (ko)
EP (2) EP2221364A1 (ko)
JP (1) JP2012518627A (ko)
KR (1) KR20110128893A (ko)
CN (1) CN102325877A (ko)
AU (1) AU2010215190A1 (ko)
BR (1) BRPI1009773A2 (ko)
CA (1) CA2752869A1 (ko)
RU (1) RU2011138945A (ko)
WO (1) WO2010095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9534A1 (en) * 2010-10-08 2012-04-11 TXCell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a TR1 cell therapy in asubject
EP3882337A1 (en) * 2012-06-18 2021-09-22 Ospedale San Raffaele S.r.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minishing an immune response
WO2020102503A2 (en) 2018-11-14 2020-05-22 Flagship Pioneering Innovations V, Inc. Fusosome compositions for t cell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6670B2 (en) 2000-08-15 2004-06-08 Schering Corporation Regulatory T cells; methods
FR2824567B1 (fr) * 2001-05-11 2003-08-08 Inst Nat Sante Rech Med Procede d'obtention de lymphocytes tr1 regulateurs specifiques d'antigene
FR2856700B1 (fr) 2003-06-24 2007-06-08 Txcell Procede d'identification de lymphocytes tr1 regulateurs par la presence et la surexpression de molecules specifiques et ses applications
JP2006280307A (ja) * 2005-04-01 2006-10-19 Kyoto Univ 制御性t細胞の製造方法
EP1712615A1 (en) 2005-04-15 2006-10-18 Txcell In vitro production of a cell population using feeder cells
ES2368152T3 (es) * 2005-07-01 2011-11-14 Txcell S.A. Obtención de células tr1 específicas de antígenos de los alimentos o de autoantígenos a partir de una población de leucocitos o pbm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2869A1 (en) 2010-08-26
AU2010215190A1 (en) 2011-09-01
US20110311590A1 (en) 2011-12-22
RU2011138945A (ru) 2013-03-27
CN102325877A (zh) 2012-01-18
WO2010095043A1 (en) 2010-08-26
BRPI1009773A2 (pt) 2015-08-25
EP2221364A1 (en) 2010-08-25
EP2398899A1 (en) 2011-12-28
JP2012518627A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o et al. Roles of follicular helper and regulatory T cells in allergic diseases and allergen immunotherapy
Pilipow et al. Antioxidant metabolism regulates CD8+ T memory stem cell formation and antitumor immunity
McLachlan et al. Dendritic cell antigen presentation drives simultaneous cytokine production by effector and regulatory T cells in inflamed skin
Wang et al. IL-23 costimulates antigen-specific MAIT cell activation and enables vaccination against bacterial infection
Nei et al. GATA-1 regulates the generation and function of basophils
Putnam et al. Clinical grade manufacturing of human alloantigen-reactive regulatory T cells for use in transplantation
Gorski et al. Group 2 innate lymphoid cell production of IL-5 is regulated by NKT cells during influenza virus infection
Chu et al. Indigenous enteric eosinophils control DCs to initiate a primary Th2 immune response in vivo
Platzer et al. Dendritic cell-bound IgE functions to restrain allergic inflammation at mucosal sites
McKenna Jr et al. Optimization of cGMP purification and expansion of umbilical cord blood–derived T-regulatory cells in support of first-in-human clinical trials
Maggi T cell responses induced by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Xu et al. A defect of CD4+ CD25+ regulatory T cells in inducing interleukin-10 production from CD4+ T cells under CD46 costimulation in asthma patients
CN104487568A (zh) 人胚胎干细胞衍生的间充质样干细胞、方法及其应用
Shin et al. Ex vivo expansion of canine cytotoxic large granular lymphocytes exhibiting characteristics of natural killer cells
Girtsman et al. Natural Foxp3+ regulatory T cells inhibit Th2 polarization but are biased toward suppression of Th17-driven lung inflammation
Hu et al. Quantity and quality reconstitution of NKG2A+ natural killer cells are associated with graft-versus-host disease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Ghobadinezhad et al. The emerging role of regulatory cell-based therapy in autoimmune disease
Kasatskaya et al. Functionally specialized human CD4+ T-cell subsets express physicochemically distinct TCRs
Harpaz et al. Old mice accumulate activated effector CD4 T cells refractory to regulatory T cell-induced immunosuppression
Hippen et al. Multiply restimulated human thymic regulatory T cells express distinct signature regulatory T-cell transcription factors without evidence of exhaustion
KR20110128893A (ko)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
JP2019530439A5 (ko)
Ambrożej et al. “Liquid biopsy”-extracellular vesicles as potential novel players towards precision medicine in asthma
Grindebacke et al. Specific Immunotherapy to Birch Allergen Does not Enhance Suppression of Th2 Cells by CD4+ CD25+ Regulatory T Cells During Pollen Season
Jiang et al. Human induced-T-to-natural killer cells have potent anti-tumour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