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236A -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및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 - Google Patents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및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236A
KR20110128236A KR1020110045638A KR20110045638A KR20110128236A KR 20110128236 A KR20110128236 A KR 20110128236A KR 1020110045638 A KR1020110045638 A KR 1020110045638A KR 20110045638 A KR20110045638 A KR 20110045638A KR 20110128236 A KR20110128236 A KR 2011012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device
terminal
group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발마이어
크리스티안 퍼버
Original Assignee
아에게 파워 솔루션즈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게 파워 솔루션즈 베.파우 filed Critical 아에게 파워 솔루션즈 베.파우
Publication of KR2011012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symmetry in polyphase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50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symmetry in polyphas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Ac-Ac Convers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
2개 이상의 AC 파워 콘트롤러(22) 및 위 AC 파워 콘트롤러(22)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시퀀스 제어부(23)를 포함하는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
하나 이상의 부하(41, 42, 43, 44)를 접속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단자(31, 32, 33, 34, 35)를 포함하며 위 단자들 중 제 1 단자(31)가 직접 즉, 스위치의 중간 접속 없이, 위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출력 단자(24)에 접속된, 단자 그룹(30), 및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되고, 위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을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5, 16, 17, 18, 19)과 접속하고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5, 16, 17, 18, 19)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들(51, 52, 53, 54, 55)을 포함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
을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특히 지멘스 방법에 따라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리액터용 파워 서플라이 장치로서,
위 파워 서플라이 장치가
2개 이상의 AC 파워 콘트롤러(22) 및 위 AC 파워 콘트롤러(22)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시퀀스 제어부(23)를 포함하는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20),
하나 이상의 부하(41, 42, 43, 44)를 접속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단자들(31, 32, 33, 34, 35)을 포함하는 추가의 단자 그룹들(30)로서, 각각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 중 제 1 단자(31)가 직접, 즉 스위치의 중간 접속 없이, 위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20) 중 하나의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24)에 접속된, 추가의 단자 그룹들(30), 및
위 추가의 단자 그룹들(30)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되고, 위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을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과 접속하고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들(51, 52, 53, 54, 55)을 포함한 추가의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들(50)
을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및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POWER SUPPLY ARRANGEMENT WITH A FIRST POWER SUPPLY DEVICE AND A SECOND POWER SUPPLY DEVICE}
이 발명은
-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 2개 이상의 AC 파워 콘트롤러 및 위 AC 파워 콘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시퀀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 하나 이상의 부하를 접속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며, 위 단자들 중 제 1 단자가 직접, 즉 스위치의 중간 접속 없이, 위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단자 그룹, 및
- 위 단자 그룹에 할당되고, 단자 그룹의 단자들을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과 접속하고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들을 포함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
을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특히 지멘스 방법에 따라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리액터용 파워 서플라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독일 특허 출원 공보에 공개 번호 DE 10 2009 021 403 A1으로 그리고 실용신안 공보 DE 20 2009 003 325 U1에 공지되어 있다. 공보에 개시된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지멘스 방법에 따라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에 의해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리액터에 사용된다. 거기에 개시된 파워 서플라이 장치의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는 지멘스 방법의 증착 과정을 시작할 때 실리콘 로드에 인가될 수 있는 중간 전압(1 내지 30 kV 정격 전압)을 제공한다. 로드 쌍의 점화 후, 전류 공급은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는 다수의 입력 단자들 및 다수의 AC 파워 콘트롤러들을 포함한다. 입력 단자들은 예컨대 트랜스포머의 2차 측 탭들에 제공될 수 있는 상이한 전위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은 저전압 범위(0 내지 3 kV 정격 전압)이다.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AC 파워 콘트롤러는 한편으로는 입력 단자들의 각각 하나에 접속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AC 파워 콘트롤러는 사이리스터 콘트롤러이다. 다른 컨버터 밸브를 가진 콘트롤러도 사용될 수 있다. AC 파워 콘트롤러는 전압 시퀀스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전압 시퀀스 제어부는 예컨대 출원인의 이전 출원 및 G.K. Dubey, S.R. Doradla, A. Joshi 및 R.M.K. Sinha의 책 "Thyristorized Power Controllers"에 개시되어 있다.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은 저전압이다.
위 공보는 4개의 부하, 즉 4개의 로드 쌍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멘스 방법용 리액터는 최근에 4개 로드 쌍보다 훨씬 더 많은 로드 쌍에 대해 설계된다. 예컨대, 24 로드 쌍에 대해 설계된 리액터가 공지되어 있다. 24 로드 쌍에 대한 리액터용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예컨대 실용신안 공보 DE 20 2007 001 083 U1에 공지되어 있다. 이 실용신안 공보에 공지된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증착 공정을 시작하는 동안 중간 전압을 로드 쌍에 공급하는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실용신안 공보 DE 20 2007 001 083 U1에 공지된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로드 쌍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다수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로드 쌍들은 그룹화되며 그룹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가 할당된다. 그룹 내부에서, 로드 쌍들은 증착 공정을 시작할 때 직렬로 접속되고, 나중에 병렬로 접속된다. 직렬 접속된 로드 쌍에 공급과 병렬 접속된 로드 쌍에 공급 사이의 전환을 위해, 스위칭 수단들이 제공된다. 특히, 로드 쌍의 병렬 작동과 직렬 작동 사이의 전환 때문에, 실용신안 공보 DE 20 2007 001 083 U1에 공지된 파워 서플라이 장치가 복잡해진다.
이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더 많은 수의 로드 쌍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전술한 방식의 파워 서플라이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위 과제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가
- 2개 이상의 AC 파워 콘트롤러 및 위 AC 파워 콘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시퀀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
- 하나 이상의 부하를 접속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는 추가의 단자 그룹들로서, 각각의 단자 그룹의 단자들 중 제 1 단자가 직접, 즉 스위치의 중간 접속 없이, 위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추가의 단자 그룹들, 및
- 위 추가의 단자 그룹들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되고, 단자 그룹의 단자들을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과 접속하고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 추가의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들
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파워 서플라이 장치, 특히 위 파워 서플라이 장치의 단자 그룹의 단자들에 접속 가능한 부하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단자 그룹의 단자들이 차례로 단자 그룹에 할당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에 접속되는 한편, 나머지 단자 그룹들의 단자들은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로부터 분리된다. 단자 그룹의 단자들이 위 단자 그룹에 할당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접속된 후에, 위 단자들은 위 단자 그룹에 할당된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다.
바람직하게는 단자 그룹의 각각의 단자가 관련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들 중 하나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 중 정확히 하나의 출력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이 발명의 특히 적합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자 그룹은 제 2 단자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 그룹의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는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기준 전위에 접속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장치의 각각의 단자 그룹은 2*n+1의 단자 수를 가질 수 있고, 위 식에서 n은 자연수이다. 2*n+1 단자들의 제 1 부분 그룹인, 바람직하게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포함하는 n+1 단자들은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에 의해 기준 전위와 접속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장치의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는 2*m+1의 출력 단자 수를 가지며, 위 식에서 m은 자연수이다. 수 m과 수 n은 동일할 수 있다. 제 1 출력 단자 및 제 2 출력 단자는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단자 그룹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출력 단자 및 제 2 출력 단자는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제 1 전위에 접속될 수 있다.
2*m+1 출력 단자들의 제 1 부분 그룹인, 제 1 출력 단자 및 제 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p+1 출력 단자들은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하나의 전위 또는 제 1 전위에 접속되고, 위 식에서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2*m+1 출력 단자의 제 2 부분 그룹인, p 출력 단자들은 제 2 전위에 접속될 수 있다.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들에 제공될 수 있는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정격 전압은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제 1 부분 그룹의 출력 단자들과 제 2 부분 그룹의 출력 단자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정격 전압의 적어도 m배일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다수의 2차 측 탭들을 가진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측 탭들의 외부 탭은 하나 이상의 단자 그룹의 제 2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나머지 2차 측 탭들은 바람직하게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입력 단자들과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3개의 트랜스포머를 포함하고, 위 트랜스포머들은 1차 측에서 삼각 결선되고, 3상 네트워크의 상이한 외부 도체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의 2차 측에는 가능한 동일한 수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가 접속됨으로써, 트랜스포머들이 동일하게 부하를 받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대칭으로 부하를 받는다.
이 발명에 따라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주파수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더 많은 수의 로드 쌍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장치에 대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장치의 회로도.
도 1에 도시된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입력 단자들(18)을 포함하고, 위 입력 단자들은 3극 스위치를 통해 3상 네트워크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다.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 내부에서 입력 단자들(18)은 주파수 컨버터(16)를 통해 제 1 쌍 및 제 2 쌍의 트랜스포머들(17)에 접속된다. 각각의 쌍은 제 1 트랜스포머(17a) 및 제 2 트랜스포머(17b)를 갖는다. 트랜스포머들(17)은 2차 코일들을 가지며, 위 2차 코일들의 탭들은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에 접속된다.
상이한 쌍의 트랜스포머들(17)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11) 및 제 2 출력 단자(15)는 트랜스포머(17)의 2차 코일의 하나의 탭에만 접속된다. 제 1 출력 단자(11)는 제 1 쌍의 제 1 트랜스포머(17a)에 접속되며, 제 2 출력 단자(15)는 제 2 쌍의 제 2 트랜스포머(17b)에 접속된다. 제 3 출력 단자(13)는 제 1 쌍의 제 2 트랜스포머(17b)의 탭 및 제 2 쌍의 제 1 트랜스포머(17a)의 탭에 접속된다. 나머지 출력 단자들(12, 14)은 제 1 트랜스포머(17a)의 각각 하나의 탭 및 제 1 쌍 또는 제 2 쌍의 제 2 트랜스포머(17b)의 하나의 탭에 접속된다. 한 쌍의 트랜스포머들의 2차 코일들은 반대 방향으로 감기므로, 트랜스포머들(17)의 1차 코일들에 대한 입력 전압이 동일할 때 반대 전압이 한 쌍의 2개의 트랜스포머들(17)의 2차 코일들을 통해 강하한다. 따라서, 제 1 출력 단자(11), 제 2 출력 단자(15) 및 제 3 출력 단자(13)는 동일한 전위에 접속된다. 나머지 출력 단자들(12, 14)도 동일한 전위에 접속된다. 5개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에는 4개의 부하들(41, 42, 43, 44)이 접속된다.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또한 3개의 트랜스포머들(70)을 포함한다. 트랜스포머들(70)의 1차 코일들은 삼각 결선되고, 탭들(71, 72)을 통해 3상 네트워크의 3개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다. 3극 스위치를 통해 트랜스포머들(70)이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들(70)의 2차 코일들은 탭들(73, 74, 75, 76, 77, 78)을 갖는다. 위 탭들(73 내지 78)은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입력 단자들(21)과 접속된다.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입력 단자들(21)은 정확히 하나의 트랜스포머(70)의 2차 측 탭들(73 내지 78)과 접속된다. 물론, 트랜스포머(70)에는 다수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가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가 각각의 트랜스포머(70)에 접속되는 것이 도시된다. 각각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는 출력 단자(24)를 포함한다.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다수의 단자 그룹(3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에는 하나의 단자 그룹(30)이 할당되거나 반대로 단자 그룹에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가 할당된다. 각각의 단자 그룹(30) 내에 제 1 단자(31) 및 제 2 단자(35)가 제공된다. 각각의 단자 그룹(30)의 제 1 단자(31)는 관련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출력 단자(24)와 접속된다. 각각의 단자 그룹(30)의 제 2 단자(35)는 트랜스포머(70)의 2차 측 탭(79)에 접속되고,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된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가 위 트랜스포머(70)에 접속된다.
단자 그룹들(30)의 모든 단자들(31) 내지 (35), 즉 제 1 단자(31) 및 제 2 단자(35)는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스위칭 수단(51 내지 55)을 통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내지 15)에 접속되거나 또는 위 스위칭 수단(51 내지 55)에 의해 출력 단자들(11 내지 15)로부터 분리된다. 각각의 단자 그룹(30)에는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이 할당되거나 또는 반대로 위 스위칭 수단 그룹에 각각의 단자 그룹이 할당된다. 스위칭 수단(51 내지 55)은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이다.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스위칭 수단들(51 내지 55)은 중앙 제어부(5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56)는 항상 단일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스위칭 수단들(51 내지 55)만이 폐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동시에 하나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내지 35)만이 그것에 할당된 스위칭 수단(50 내지 55)을 통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 수단들(51 내지 55) 중 어떤 것도 폐쇄되지 않음으로써, 단자 그룹들(30) 중 하나의 단자 그룹의 어떤 단자들(31 내지 35)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와 접속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들(60)을 포함할 수 있고, 위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들 중 각각 하나의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60)이 하나의 단자 그룹(30)에 할당된다. 각각의 단자 그룹(30)의 제 1 단자(31)와 제 2 단자(35)는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들(60) 중 하나의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61, 62)을 통해 기준 전위에 접속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내지 35)이 스위칭 수단(51 내지 55)을 통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에 접속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또한, 위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작동할 수 있는 방법이 간략히 설명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단자 그룹(30)이 먼저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에 접속되고, 이를 위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에 접속된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은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스위칭 수단(51, 52, 53, 54, 55)을 통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에 접속된다. 하나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에 접속되지 않으면,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스위칭 수단들(51, 52, 53, 54, 55)이 개방된다.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이 예정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부하(41, 42, 43, 44)로서 접속된 실리콘 로드 쌍의 점화까지,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에 접속된 후에, 스위칭 수단들(51, 52, 53, 54, 55)이 개방된다. 그리고 나서, 전류 공급은 단자 그룹(30)에 할당된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를 통해 이루어진다.
10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11 제 1 출력 단자
12 출력 단자
13 제 3 출력 단자
14 출력 단자
15 제 2 출력 단자
16 주파수 컨버터
17 트랜스포머
18 입력 단자들
20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21 입력 단자들
22 AC 파워 콘트롤러
23 전압 시퀀스 제어
24 출력 단자
30 단자 그룹
31 제 1 단자
32, 33, 34 단자
35 제 2 단자
41, 42, 43, 44 부하
50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
51, 52, 53, 54, 55 스위칭 수단
56 스위칭 수단의 제어부
60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
61, 65 스위칭 수단
70 트랜스포머
71, 72 1차 측 단자
73, 74, 75, 76, 77, 78, 79 2차 측 단자

Claims (15)

  1. -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
    - 2개 이상의 AC 파워 콘트롤러(22) 및 위 AC 파워 콘트롤러(22)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시퀀스 제어부(23)를 포함하는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
    - 하나 이상의 부하(41, 42, 43, 44)를 접속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단자(31, 32, 33, 34, 35)를 포함하며 위 단자들 중 제 1 단자(31)가 직접 즉, 스위치의 중간 접속 없이, 위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출력 단자(24)에 접속된, 단자 그룹(30), 및
    -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되고, 위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을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5, 16, 17, 18, 19)과 접속하고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5, 16, 17, 18, 19)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들(51, 52, 53, 54, 55)을 포함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
    을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특히 지멘스 방법에 따라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리액터용 파워 서플라이 장치에서,
    위 파워 서플라이 장치가
    - 2개 이상의 AC 파워 콘트롤러(22) 및 위 AC 파워 콘트롤러(22)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시퀀스 제어부(23)를 포함하는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20),
    - 하나 이상의 부하(41, 42, 43, 44)를 접속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단자들(31, 32, 33, 34, 35)을 포함하는 추가의 단자 그룹들(30)로서, 각각의 추가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 중 제 1 단자(31)가 직접, 즉 스위치의 중간 접속 없이, 위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20) 중 하나의 추가의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출력 단자(24)에 접속된, 추가의 단자 그룹들(30), 및
    - 위 추가의 단자 그룹들(30)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되고, 위 추가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을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과 접속하고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들(51, 52, 53, 54, 55)을 포함한 추가의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들(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2. 제 1항에서, 하나의 단자 그룹(30)의 각각의 단자(31, 32, 33, 34, 35)는 관련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51, 52, 53, 54, 55)을 통해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 중 정확히 하나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각각의 단자 그룹(30)은 제 2 단자(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4. 제 3항에서, 각각의 단자 그룹(30)의 위 제 1 단자(31) 및 위 제 2 단자(35)는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60)의 스위칭 수단(61, 65)을 통해 기준 전위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5. 제 4항에서, 각각의 단자 그룹(30)은 2*n+1의 단자 수를 가지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6. 제 5항에서, 2*n+1 단자 중, 위 제 1 단자(31) 및 위 제 2 단자(35)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그룹인 n+1 단자들은 위 제 2 스위칭 수단 그룹(60)의 스위칭 수단에 의해 기준 전위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는 2*m+1의 출력 단자(11, 12, 13, 14, 15) 수를 가지며, m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8. 제 7항에서, 제 1 출력 단자(11) 및 제 2 출력 단자(15)는 위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위 단자 그룹(30)의 위 제 1 단자(31) 및 위 제 2 단자(35)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9. 제 8항에서, 위 제 1 출력 단자(11) 및 위 제 2 출력 단자(15)는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제 1 전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2*m+1 출력 단자들 중, 위 제 1 출력 단자(11) 및 위 제 2 출력 단자(15)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그룹인 p+1 출력 단자들은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하나의 전위 또는 위 제 1 전위에 접속되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11. 제 10항에서, 2*m+1 출력 단자들 중, 제 2 부분 그룹인 p 출력 단자들은 제 2 전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12. 제 11항에서, 위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출력 단자들에 제공될 수 있는 위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정격 전압은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위 제 1 부분 그룹의 출력 단자들과 위 제 2 부분의 출력 단자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정격 전압의 적어도 m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13. 제 3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위 파워 서플라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70)를 포함하고, 위 트랜스포머는 다수의 2차 측 탭들(73, 74, 75, 76, 77, 78, 79)을 포함하며, 위 2차 측 탭들(73, 74, 75, 76, 77, 78, 79)의 외부 탭(79)은 하나 이상의 단자 그룹(30)의 제 2 단자(35)와 접속되고, 나머지 2차 측 탭들(73, 74, 75, 76, 77, 78)은 위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의 입력 단자들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장치.
  14. 특히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장치의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에 접속될 수 있는 부하들(41, 42, 43, 44, 4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서,
    위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은 차례로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된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스위칭 수단(51, 52, 53, 54, 55)에 의해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에 접속되는 한편, 나머지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은 위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10)의 위 출력 단자들(11, 12, 13, 14, 1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15. 제 14항에서, 단자 그룹(30)의 단자들(31, 32, 33, 34, 35)이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된 위 제 1 스위칭 수단 그룹(50)의 위 스위칭 수단(51, 52, 53, 54, 55)을 통해 접속된 후에, 위 단자들은 위 단자 그룹(30)에 할당된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20)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KR1020110045638A 2010-05-21 2011-05-16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및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 KR20110128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00163555 EP2388236A1 (de) 2010-05-21 2010-05-21 Stromversorgung mit einer ersten und einer zweiten Spannungsversorgung
EP10163555.5 2010-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236A true KR20110128236A (ko) 2011-11-29

Family

ID=4322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638A KR20110128236A (ko) 2010-05-21 2011-05-16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및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41146B2 (ko)
EP (1) EP2388236A1 (ko)
JP (1) JP2011250680A (ko)
KR (1) KR20110128236A (ko)
CN (1) CN102255514A (ko)
CA (1) CA2740319A1 (ko)
RU (1) RU2011120444A (ko)
TW (1) TW2012124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2533A1 (de) * 2010-02-23 2011-08-31 AEG Power Solutions B.V. Stromversorgungsanordnung, insbesondere zur Versorgung eines Reaktors zur Herstellung von Polysilicium nach dem Siemens-Verfahren
EP2549638A1 (de) * 2011-07-19 2013-01-23 AEG Power Solutions B.V. Stromversorgungsanordnung für einen Reaktor zur Polysiliciumherstellung mit einem Frequenzumrichter
EP2660964A1 (de) * 2012-05-04 2013-11-06 AEG Power Solutions B.V. Stromversorgungsanordnung mit einer ersten und einer zweiten Stromversorgungseinrichtung, wobei die zweite Stromversorgungseinrichtung an die erste Stromversorgungseinrichtung angeschlossen ist
EP2698800B1 (de) * 2012-08-16 2014-10-08 AEG Power Solutions GmbH Stromversorgungsanordnung mit einem Transformator mit einem Transformatorkern mit im Polygon angeordneten Schenkeln
CN109491486B (zh) * 2018-10-24 2022-05-17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输出功率的供电方法和供电电路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2338A (en) * 1983-07-15 1985-12-31 Osaka Titanium Co., Ltd. Heating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rods
JPH0187129U (ko) * 1987-11-27 1989-06-08
JPH0650507Y2 (ja) * 1987-12-07 1994-12-21 大阪チタニウム製造株式会社 多結晶シリコン製造用電源装置
DE4337956C1 (de) * 1993-11-06 1995-01-12 Licentia Gmbh Leistungssteller
US6067482A (en) * 1999-01-08 2000-05-23 Hussmann Corporation Load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ommercial refrigeration
US6583521B1 (en) * 2000-03-21 2003-06-24 Martin Lagod Energy management system which includes on-site energy supply
DE20318061U1 (de) 2003-11-21 2004-02-19 Aeg Svs Power Supply Systems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Versorgung von einer ungeraden Anzahl von parallel oder in Reihe geschalteten Lasten mit elektrischer Energie
DE202004004655U1 (de) 2004-03-23 2004-05-27 Aeg Svs Power Supply Systems Gmbh Schaltungsanordnung
DE202004014812U1 (de) * 2004-09-21 2004-11-18 Aeg Svs Power Supply Systems Gmbh Anordnung zur Versorgung von veränderlichen Lasten
US20060071554A1 (en) * 2004-09-27 2006-04-06 Mcnamara James L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E502007003839D1 (de) 2007-01-18 2010-07-01 Aeg Power Solutions Bv Schaltungsanordnung zur Versorgung von veränderlichen Lasten aus drei Phasen
DE102009021403B4 (de) 2008-05-21 2013-05-08 Aeg Power Solutions B.V. 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s Reaktors mit elektrischer Leistung zum Erzeugen von Siliziumstäben aus Silizium-Dünnstäben nach dem Siemens-Verfahren
WO2009153657A1 (en) * 2008-06-18 2009-12-23 Desert Star 226 (Pty) Ltd Power system
DE202009003325U1 (de) 2009-03-11 2009-06-18 Aeg Power Solutions Gmbh Vorrichtung zum Zünden und zur Inbetriebnahme von Siliziumstä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0319A1 (en) 2011-11-21
US8441146B2 (en) 2013-05-14
JP2011250680A (ja) 2011-12-08
EP2388236A1 (de) 2011-11-23
US20110273013A1 (en) 2011-11-10
RU2011120444A (ru) 2012-11-27
CN102255514A (zh) 2011-11-23
TW201212466A (en)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7352B (zh) 无级可调饱和补偿电抗器
KR20110128236A (ko) 제 1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 및 제 2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장치
JP2011172470A (ja) モジュール式給電装置および特にポリシリコン製造のための反応炉用モジュール式給電装置
CA2783075A1 (en) Power supply arrangement for a reactor for producing polysilicon with a frequency converter
RU201010893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и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кремниевых стержней
RU123598U1 (ru) Трехфазный управляемый реактор
RU2622890C1 (ru) Способ включения, выключе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ой подстанции
US20110204718A1 (en) Power supply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supplying power to a reactor for producing polysilicon
US9136776B2 (en) Current supply arrangement for the rectifying three-phase AC current into multi-pulse DC current
US20130293010A1 (en) Current supply arrangement with a first and a second current supply device, wherein the second current supply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supply device
CN105164769B (zh) 设置有用于调节带负载变压比的装置的变压器
US20140049110A1 (en) Matrix convert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c voltage in a second ac voltage grid from an ac voltage in a first ac voltage grid by means of a matrix converter
WO2018192845A1 (en) Longitudinal voltage regulation at the line terminals of a phase shifting transformer
RU26136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RU2008137321A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трехфазного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1552116B (zh) 分磁路变压器
RU26482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RU26133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US20130027019A1 (en) Power supply with means for increasing a voltage
MD3823G2 (ro) Instalaţie de reglare a decalajului de fază cu două transformatoare
RU2641649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мметрирования и стабилизации трехфаз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RU2518149C2 (ru) Управляемый реактор с трехстержневым магнитопроводом
KR101133633B1 (ko) 전원장치 및 그 구동 방법
RU2683246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вномер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днофазной нагрузки по фазам трехфазной сети
RU107005U1 (ru) Фазо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