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448A - 전압 보상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압 보상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448A
KR20110126448A KR1020100046126A KR20100046126A KR20110126448A KR 20110126448 A KR20110126448 A KR 20110126448A KR 1020100046126 A KR1020100046126 A KR 1020100046126A KR 20100046126 A KR20100046126 A KR 20100046126A KR 20110126448 A KR20110126448 A KR 2011012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commercial
compensation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854B1 (ko
Inventor
최진하
임준영
박진수
홍길원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8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입력 전압을 보상하여 공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보상 전압 발생부와 전압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전압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입력 전원이 불안정하여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때에만 보상 전압을 발생하고, 일정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보상 전압을 발생하지 아니함으로써 효율이 높이고,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를 보상하고자 하는 전압에 대한 크기로 설계하여 크기를 줄인다.

Description

전압 보상 공급 장치{APPARATUS FOR COMPENSATING AND SUPPLYING VOLTAGE}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인 상용 교류 전원의 전압 불안정에 관계없이 인버터 등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보상하는 장치에는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상용 교류 전압을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DC 링크 커패시터의 후단에 직류-직류 변환 유닛(DC-DC Converter)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DC 링크 전압을 보상하는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상용 교류 전원과 DC 링크 커패시터의 사이에 풀-브리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를 구비하여 양방향 전압 보상을 수행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서, 전자의 경우에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의 용량이 부하의 100%에 해당하므로, 효율이 낮고, 그 용량 및 크기가 큰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풀-브리지 컨버터를 이용함으로써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 전원이 불안정하여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보상 전압을 발생하여 부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용 교류 전압이 미리 설정한 일정 범위의 하한보다 낮아지면 양의 전압을 보상하고, 미리 설정한 상한보다 높아지면 음의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상 전압 발생부와, 상기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과,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제1 평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과,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는 제2 평활 유닛과, 상기 제2 평활 유닛으로부터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유닛과, 스위칭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상 전압 발생부와, 상기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와, 상기 전압 검출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에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부와,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과,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제1 평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과,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는 제2 평활 유닛과,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평활 유닛으로부터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은,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스텝다운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입력 전원이 불안정하여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때에만 보상 전압을 발생하고, 일정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보상 전압을 발생하지 아니함으로써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별도의 보상 전압 발생부를 보상하고자 하는 전압에 대한 크기로 설계함으로써 크기가 작고, 전체 출력 전압이 아닌 보상하고자 하는 전압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손실이 작고,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회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서 양의 전압을 보상하여 공급하는 회로의 예를 보인 도;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전압 보상 공급 장치에서 음의 전압을 보상하여 공급하는 회로의 예를 보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100)의 상용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200)와,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상 전압 발생부(300)와, 상기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변환부(20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210)과,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제1 평활 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AC-DC Converter)(210)은, 다이오드 정류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입력 전원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직류 전압은 실제로는 맥류이다. 상기 제1 평활 유닛(220)은, DC 링크 커패시터 또는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맥류 형태의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여 제1 직류 전압을 상기 전압 공급부(400)에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310)과,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는 제2 평활 유닛(320)과, 상기 제2 평활 유닛으로부터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400)에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AC-DC Converter)(310)은, 다이오드 정류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입력 전원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직류 전압은 실제로는 맥류이다. 상기 제2 평활 유닛(320)은, DC 링크 커패시터 또는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310)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맥류 형태의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에 출력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DC-DC Converter)(330)은, 상기 제2 평활 유닛(320)을 통해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일정 크기를 갖는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400)에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은,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은,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칭 소자(S5)를 구비한 스텝다운 컨버터(Step-down Converter)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부(200)와,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유닛(700)은 상기 전압 변환부(200)와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의 접지를 달리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데, 예를 들어 고주파 트랜스포머 등을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1 내지 S4)를 구비한 풀-브리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상기 전압 변환부(200)로부터 출력된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로부터 출력된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인버터(Inverter) 등의 부하에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이 미리 설정한 일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 S1과 S4를 턴온하고, 스위칭 소자 S2와 S3를 턴오프하면 양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가능하다. 반면, 입력 전압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 S1과 S4를 턴오프하고, S2와 S3를 턴온하면, 음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동작하도록 형성된 다이오드의 조합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다이오드 D401과 D402로 구성되어 제1 직류 전압과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출력하는데, 양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다이오드 D403과 D404로 구성되어 음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200)와,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유닛(500)과, 스위칭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상 전압 발생부(300)와, 상기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400)와, 상기 전압 검출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에 출력하는 제어 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부와,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 유닛(700)은 상기 전압 변환부(200)와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의 접지를 달리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상기 전압 공급부(400)가 제1 직류 전압과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 유닛(700)으로는, 예를 들어 고주파 트랜스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변환부(20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210)과,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제1 평활 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AC-DC Converter)(210)은, 다이오드 정류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입력 전원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직류 전압은 실제로는 맥류이다. 상기 제1 평활 유닛(220)은, DC 링크 커패시터 또는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맥류 형태의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여 제1 직류 전압을 상기 전압 공급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전압 검출 유닛(500)은 상기 입력 전원의 상용 교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유닛(600)에 검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 유닛(600)은 상기 검출된 상용 교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 내인지를 비교하여 부하로 출력되는 전압의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600)은, 상기 검출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보상할 전압의 크기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 범위는 사용 환경, 설치 환경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Vpeak, Vrms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압 검출 유닛(500)은 상기 상용 전원(100)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전압 변환부(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310)과,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는 제2 평활 유닛(320)과,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평활 유닛으로부터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AC-DC Converter)(310)은, 다이오드 정류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입력 전원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직류 전압은 실제로는 맥류이다. 상기 제2 평활 유닛(320)은, DC 링크 커패시터 또는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310)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맥류 형태의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에 출력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DC-DC Converter)(330)은, 상기 제어 유닛(600)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평활 유닛(320)을 통해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일정 크기를 갖는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4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신호는 보상 전압의 크기를 근거로 결정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이다. 즉, 상기 제어 유닛(600)은 상기 스위칭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보상 전압의 크기를 제어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은,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칭 소자(S5)를 구비한 스텝다운 컨버터(Step-down Convert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텝다운 컨버터는 Buck Converter로서, MOSFET과 같은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와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 상기 스위칭 소자의 개폐 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에너지를 저장하는 LC회로, 및 이와 병렬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다이오드(D30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600)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S5)를 턴온하면, 턴온 시간동안 제2 직류 전압을 상기 전압 공급부(40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턴온 시에 고주파를 발생하는데, 고주파 신호는 후단에 연결된 L과 C로 구성된 저주파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를 통해 제거된 다음 제2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제어 유닛(600)이 상기 스위칭 소자(S5)를 턴오프하면, 상기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된다. 이때, 상기 LC회로와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D301)에 의해 전류 흐름의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보상 공급 장치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330)을 이용하여 부하에 필요한 전압 수요에 따라 필요한 직류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효율을 증대하고, 특히 입력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들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1 내지 S4)를 구비한 풀-브리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상기 전압 변환부(200)로부터 출력된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300)로부터 출력된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인버터(Inverter) 등의 부하에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이 미리 설정한 일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 S1과 S4를 턴온하고, 스위칭 소자 S2와 S3를 턴오프하면 양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가능하다. 반면, 입력 전압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 S1과 S4를 턴오프하고, S2와 S3를 턴온하면, 음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동작하도록 형성된 다이오드의 조합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다이오드 D401과 D402로 구성되어 제1 직류 전압과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출력하는데, 양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공급부(400)는 다이오드 D403과 D404로 구성되어 음의 방향으로 전압 보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설치 환경의 입력 전원의 특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싼 풀-브리지 컨버터가 아닌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효율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전압을 보상하여 공급하는 장치는, 보상 전압 발생부와 전압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전압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입력 전원이 불안정하여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때에만 보상 전압을 발생하고, 일정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보상 전압을 발생하지 아니함으로써 효율이 높인다.
100 : 상용 교류 전원 200 : 전압 변환부
300 : 보상 전압 발생부 400 : 전압 공급부
500 : 전압 검출 유닛 600 : 제어 유닛
700 : 절연 유닛 210 :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
220 : 제1 평활 유닛 310 :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
320 : 제2 평활 유닛 330 : 직류-직류 변환 유닛

Claims (12)

  1. 상용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상 전압 발생부; 및
    상기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 및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제1 평활 유닛;을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는 제2 평활 유닛; 및
    상기 제2 평활 유닛으로부터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부는,
    풀-브리지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동작하도록 형성된 다이오드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6. 상용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유닛;
    스위칭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상 전압 발생부;
    상기 제1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합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 및
    상기 전압 검출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에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와,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 및
    상기 제1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제1 평활 유닛;을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전압 발생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
    상기 제2 교류-직류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는 제2 평활 유닛;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평활 유닛으로부터 평활화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공급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 유닛은,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스텝다운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11.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부는,
    풀-브리지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12.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동작하도록 형성된 다이오드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보상 공급 장치.
KR1020100046126A 2010-05-17 2010-05-17 전압 보상 공급 장치 KR10113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126A KR101134854B1 (ko) 2010-05-17 2010-05-17 전압 보상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126A KR101134854B1 (ko) 2010-05-17 2010-05-17 전압 보상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448A true KR20110126448A (ko) 2011-11-23
KR101134854B1 KR101134854B1 (ko) 2012-04-13

Family

ID=4539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126A KR101134854B1 (ko) 2010-05-17 2010-05-17 전압 보상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31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118498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536A (en) 1991-12-17 1994-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ystem for parallel operation of AC/DC convertrs
JP3304944B2 (ja) 2000-02-07 2002-07-22 株式会社ニプロン 無停電性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7259476B2 (en) 2005-04-26 2007-08-21 Always “On” UPS Systems Inc. DC and AC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WI342652B (en) * 2008-01-07 2011-05-21 Ablerex Electronics Co Ltd Ups system having a function of parallel ope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31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118498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854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3757B2 (en) AC/DC converter with a PFC and a DC/DC converter
JP6490093B2 (ja) 電力変換装置
US10211719B2 (en) Power converter
US8503204B2 (en) Power converter circuit
KR100806774B1 (ko) Ac/dc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ac/dc 변환 방법
JP5547603B2 (ja) 電源装置
JP2013021861A (ja)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061907A (ko) 역률 개선 회로
JP2008199808A (ja)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US863010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provided the same
KR20150067510A (ko) 배터리용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4075875A (ja) 直流電源装置
US20150084608A1 (en) Voltage detection method and circuit and associated switching power supply
KR101572873B1 (ko)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양방향 인버터
JP4854556B2 (ja) 電源装置
KR20120064528A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ehler et al. Auxiliary power supply for solid state transformers
TWI551024B (zh) 交流-直流電力轉換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134854B1 (ko) 전압 보상 공급 장치
US7948306B2 (en) Active power filter method and apparatus
EP2517345A1 (en) Groundable dc/dc converter
US9490637B2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KR101609726B1 (ko) 고역률 스위칭 정류기의 제어회로
US20220200480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system, and program
JP2014220876A (ja) 電子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