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297A -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297A
KR20110126297A KR1020100045896A KR20100045896A KR20110126297A KR 20110126297 A KR20110126297 A KR 20110126297A KR 1020100045896 A KR1020100045896 A KR 1020100045896A KR 20100045896 A KR20100045896 A KR 20100045896A KR 20110126297 A KR20110126297 A KR 2011012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ll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배
Original Assignee
이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배 filed Critical 이홍배
Priority to KR102010004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6297A/ko
Publication of KR2011012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4Call input for a preferential elevator car or indicating a special requ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서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가 각자의 집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하고 있는 운행층을 호출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호출 및 예약하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SYSTEM FOR CALLING ELEVATOR}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서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가 각자의 집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elevator)는,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垂直通路) 안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로, 승강기라고도 하며, 영국에서는 리프트(lift)라고 한다.
엘리베이터의 역사는 기원전부터 여러 가지 형태로 시작되었다. 깊은 우물에서 물을 퍼 올리기 위해 두레박에 밧줄을 매달아 회전하는 원형 바퀴에 걸어 손으로 밧줄을 당겨 두레박을 끌어올리거나, 무겁고 커다란 석재(石材)를 고정 도르래(풀리)에 밧줄을 묶어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장치 등은 엘리베이터의 원시적 형태로 볼 수 있다. BC 20년경 아르키메데스가 밧줄과 도르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최초로 고안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나폴레옹은 여왕의 의자에 밧줄을 매달아 상하로 작동시켜 여왕이 계단을 이용하지 않고 건물의 층간(層間)을 이동할 수 있게 했다고 전한다. 엘리베이터가 실용화된 것은 19세기에 들어와서이다. 처음에는 수력이나 수압이 이용되었으며, 단계적으로 증기기관을 거쳐 현재의 전동기(電動機)에 의한 구동방식이 일반화되었다. 전동기에 의한 동력발생 엘리베이터는 1880년 독일의 지멘스(Giemens AG)가 제작하여 만하임에서 열린 박람회에 출품하여 실제로 운전해 보였다. 한국에서는 1914년 조선호텔에 설치된 것이 처음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또는 빌딩의 고층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복도 또는 로비로 걸어 나가 직접 상/하 호출버튼을 눌러 엘리베이터를 호출해야하는바, 일이 급한 호출자(거주자)는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기 전까지 아무런 의미 없이 시간을 낭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추운 날은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기 전까지 추위에 떨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층건물에서 거주하는 거주자의 응급사항이 발생할 경우, 초조하게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기를 기다려야 하는바,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동안 응급자의 생명이 위독해 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서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가 각자의 집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하고 있는 운행층을 호출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호출 및 예약하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 또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으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무선으로 호출 및 예약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50)와; 상기 메인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20)의 알고리즘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이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감지부(7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도어센서(9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은 아파트 또는 빌딩의 고층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집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바, 호출자(거주자)는 복도 또는 로비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 복도 또는 로비에서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기 전까지 추위에 떨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응급사항이 발생할 경우, 집 안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층까지 호출을 해 놓을 수 있는바, 응급자의 위급사항을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응급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호출제어버튼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호출제어버튼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호출제어버튼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예를들어, 거실, 방, 부엌 등)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하고 있는 운행층을 호출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호출 및 예약하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 또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으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무선으로 호출 및 예약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50)와;
상기 메인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20)의 알고리즘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이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감지부(7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도어센서(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50)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40-1)와;
상기 무선수신부(4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의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40-3)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3)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5)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을 예약하는 버튼(40-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제어부(40-3)에는 호출층의 예약을 취소하는 취소버튼(도시는 생략함)이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호출제어버튼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제2실시예는,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예를들어, 거실, 방, 부엌 등)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하고 있는 운행층을 호출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호출 및 예약하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유선으로 연결되되, 호출자가 호출층을 유선으로 호출 및 예약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컴퓨터(PC)(100)와;
상기 메인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20)의 알고리즘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이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감지부(7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도어센서(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은,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유선으로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수신부(40-9)와;
상기 유선수신부(4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의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40-3)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3)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5)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을 예약하는 버튼(40-7)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예를 들어, 거주자가 20층에 살 경우)가 집 안의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30)를 보고 난 후, 현재 엘리베이터가 몇 층(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10층을 올라오고 있을 경우)을 운행하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그리고, 거주자가 집 안의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되어 있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버튼(40-7)을 누른다.
상기 버튼(40-7)의 조작에 따라,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제어부(40-3)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예약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용 서버(10)로 보낸다.
여기서, 거주자가 호출층의 예약을 취소하고 싶으면, 취소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누르면 된다.
또한, 거주자가 집 안의 거실 또는 방에 있을 경우, 거주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50)(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됨)를 사용하여 집 안에 설치되어 있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으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무선으로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50)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가 발생 되면,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무선수신부(40-1)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3)로 보낸다. 따라서,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제어부(40-3)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예약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용 서버(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는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고,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메인제어부(2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로 강제호출명령을 발생시키고, 위치감지부(70)를 통하여 동시에 복수의 엘리베이터(8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들 중에서 호출층에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예들들어, 거주자는 20층에 살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10층으로 올라오는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 이면, 10층으로 운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선택).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다 수의 호출자(예를 들어, 2 ∼ 3명의 호출자)가 동시에 똑같은 엘리베이터를 층을 달리하여 호출할 경우 최초 호출한 호출자 것을 인식하다가 윗층 호출자가 호출하였으면 가장 높은층의 호출자부터 태우고 내려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선택된 엘리베이터(80)가 호출층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호출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게 되면 강제호출명령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도어센서(90)를 통하여 호출자가 엘리베이터를 관통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엘리베이터를 관통하였으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버튼 조작이 있다면(예를들어, 1층을 누를 경우) 호출층(예를들어, 1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호출자가 부주의하여 호출하는 호출층의 버튼을 잘못 누를 경우, 호출하는 층을 다시 누르면 취소가 된다.
한편,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건물의 복도 또는 로비 또는 주차장에 있을 경우, 거주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50)(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됨)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용 서버(10)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무선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50)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가 발생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는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고,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메인제어부(2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로 강제호출명령을 발생시키고, 위치감지부(70)를 통하여 동시에 복수의 엘리베이터(8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들 중에서 호출층에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예들들어, 호출자가 1층에 있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10층으로 내려오는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 이면, 10층으로 운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선택).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선택된 엘리베이터(80)가 호출층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호출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게 되면 강제호출명령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도어센서(90)를 통하여 호출자가 엘리베이터를 관통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엘리베이터를 관통하였으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버튼 조작이 있다면(예를들어, 20층을 누를 경우) 호출층(예를들어, 20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
다른 한편, 거주자가 집 안의 거실 또는 방에 있을 경우, 거주자가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된 컴퓨터(PC)(100)(여기서, 상기 컴퓨터는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됨)를 사용하여 집 안에 설치되어 있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으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한다.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가 발생 되면,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유선수신부(40-9)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3)로 보낸다. 따라서,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의 제어부(40-3)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예약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용 서버(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는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고,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메인제어부(2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로 강제호출명령을 발생시키고, 위치감지부(70)를 통하여 동시에 복수의 엘리베이터(8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들 중에서 호출층에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예들들어, 거주자는 20층에 살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10층으로 올라오는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 이면, 10층으로 운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선택).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선택된 엘리베이터(80)가 호출층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호출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게 되면 강제호출명령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는 도어센서(90)를 통하여 호출자가 엘리베이터를 관통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엘리베이터를 관통하였으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버튼 조작이 있다면(예를들어, 1층을 누를 경우) 호출층(예를들어, 1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엘리베이터용서버 20 : 메인제어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호출제어버튼수단
40-1 : 무선수신부 40-3 : 제어부
40-5 : 전원부 40-7 : 버튼
40-9 : 유선수신부
50 : 이동통신단말기 60 :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
70 : 위치감지부 80 : 엘리베이터
90 : 도어센서 100 : 컴퓨터

Claims (4)

  1.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하고 있는 운행층을 호출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호출 및 예약하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 또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으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무선으로 호출 및 예약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50)와;
    상기 메인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20)의 알고리즘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이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감지부(7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도어센서(90)로 구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50)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40-1)와;
    상기 무선수신부(4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의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40-3)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3)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5)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을 예약하는 버튼(40-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3. 호출자(거주자)의 호출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호출층을 예약하고 그 예약을 인식하는 엘리베이터용서버(1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부터 인식된 호출 및 예약데이터를 받아 엘리베이터 호출 및 예약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하고 있는 운행층을 호출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가정집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서버(10)로 호출자가 호출층을 호출 및 예약하는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과 유선으로 연결되되, 호출자가 호출층을 유선으로 호출 및 예약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호출 및 호출취소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컴퓨터(PC)(100)와;
    상기 메인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20)의 알고리즘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이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감지부(7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호출층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엘리베이터(80)와;
    상기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도어센서(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40)은,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유선으로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수신부(40-9)와;
    상기 유선수신부(4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제어버튼수단의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40-3)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3)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5)와;
    상기 제어부(4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호출 및 호출층을 예약하는 버튼(40-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KR1020100045896A 2010-05-17 2010-05-17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KR20110126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96A KR20110126297A (ko) 2010-05-17 2010-05-17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96A KR20110126297A (ko) 2010-05-17 2010-05-17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97A true KR20110126297A (ko) 2011-11-23

Family

ID=4539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896A KR20110126297A (ko) 2010-05-17 2010-05-17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62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396A1 (en) * 2013-12-06 2015-06-11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request using wireless programmable device
KR20170028004A (ko) 2015-09-03 2017-03-13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 운용고지 시스템
KR101961210B1 (ko) 2018-04-27 2019-03-22 (주)금영제너럴 버튼형 비콘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시스템 및 방법
WO2019103162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용 수신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396A1 (en) * 2013-12-06 2015-06-11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request using wireless programmable device
CN105813969A (zh) * 2013-12-06 2016-07-27 奥的斯电梯公司 使用无线可编程装置进行的服务请求
US10392223B2 (en) 2013-12-06 2019-08-27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request using wireless programmable device
CN105813969B (zh) * 2013-12-06 2021-05-25 奥的斯电梯公司 使用无线可编程装置进行的服务请求
KR20170028004A (ko) 2015-09-03 2017-03-13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 운용고지 시스템
WO2019103162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용 수신기
KR101961210B1 (ko) 2018-04-27 2019-03-22 (주)금영제너럴 버튼형 비콘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018B2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86320B1 (ko)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사용자를 할당하는 방법
JP2005280906A (ja) 携帯端末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10126297A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
CN108083040B (zh) 一种联动式电梯外呼控制系统及电梯控制器
JP2013151361A (ja) 昇降機器運転管理システム
JP201621618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リモコ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414292A (zh) 电梯系统的控制系统、电梯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JP2022159567A (ja) エレベーター
CN103534190B (zh) 电梯装置
WO201616578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llocating destination calls
KR20170028004A (ko)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 운용고지 시스템
CN202897699U (zh) 一种带楼层呼叫的施工升降机控制系统
CN103848296A (zh) 一种垂直升降式电梯的控制方法
JP6781299B1 (ja) 昇降機制御方法、及び昇降機制御装置
JP737825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JP6780042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給電方法
CN209177806U (zh) 一种便捷式升降平台
JP7062399B2 (ja) 非接触給電エレベーター
CN202744117U (zh) 基于手机客户端的电梯操控系统
JP595551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308220A (ja) エレベータ
KR200258255Y1 (ko) 승강기제어시스템
JP508437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4408706B (zh) 一种楼道轨道电梯智能运行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