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814A - 니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니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814A
KR20110125814A KR1020100045393A KR20100045393A KR20110125814A KR 20110125814 A KR20110125814 A KR 20110125814A KR 1020100045393 A KR1020100045393 A KR 1020100045393A KR 20100045393 A KR20100045393 A KR 20100045393A KR 20110125814 A KR20110125814 A KR 2011012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eedle assembly
needle
coupl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534B1 (ko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102010004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5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니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내부에 관통홀과 걸림턱이 형성된 메인 몸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과 하부에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높이 변환 부재; 상기 기둥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메인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높이를 변환 시키는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를 메인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수용홈에 결합되며 다수의 니들을 갖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니들 조립체{Needle assembly}
본 발명은 니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젊은 여성들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니들을 이용하여 얼굴 피부에 상처 또는 구멍을 내고, 재생 크림을 통해 피부가 재생되도록 하거나피부에 영양분이나 약물을 전달하는 시술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이 피부에 침투해서 피부를 자극하게 되면 피부의 세포증식이 향상되어 피부톤을 개선하거나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또한 화상이나 흉터를 치료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니들 조립체는 개인의 피부 타입에 맞게 니들을 균일한 깊이로 피부에 자극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니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니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니들 조립체는 내부에 관통홀과 걸림턱이 형성된 메인 몸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과 하부에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높이 변환 부재; 상기 기둥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메인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높이를 변환 시키는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를 메인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수용홈에 결합되며 다수의 니들을 갖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는 기둥형태의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회전 몸체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몸체의 상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몸체의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측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측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부홀에는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링 형태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스프링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니들 조립체는 내부에 관통홀과 걸림턱이 형성된 메인 몸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과 하부에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높이 변환 부재; 상기 기둥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메인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높이를 변환 시키는 회전 손잡이; 및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수용홈에 결합되며 다수의 니들을 갖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는 기둥형태의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회전 몸체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몸체의 하단에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메인 몸체의 걸림턱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몸체에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는 회전 손잡이를 돌려서 높이 조절 부재와 니들이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피부에 침투되는 니들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는 회전 손잡이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 손잡이를 메인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에서 메인 몸체 및 니들 커버가 제외된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100)는 메인 몸체(110), 높이 변환 부재(120), 너트(130), 회전 손잡이(140), 고정 부재(150) 및 니들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조립체(100)는 상기 니들부(160)에 결합되는 니들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몸체(110)는 상부(111)에서 하부(112)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의 일부에는 걸림턱(110a)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몸체(110)의 상부(111)에 회전 손잡이(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110)의 하부(112)에 높이 변환 부재(120)가 더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10a)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하부(112)에 삽입된다.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회전 손잡이(140) 및 니들부(16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돌림으로써, 높이가 변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니들부(160)의 높이도 함께 변하게 된다.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몸체(121),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형성된 기둥(122) 및 상기 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123)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21)는 대략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21)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걸림턱(110a)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기둥(122)은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122)에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122a)에는 너트(1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나사산(122a)에 결합된 너트(130)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변하게 된다.
상기 수용홈(123)은 상기 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된 홈이다. 상기 수용홈(123)은 상기 몸체(121)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사각형 형태의 홈이며, 상기 수용홈(123)에는 니들부(160)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너트(130)는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기둥(122)에 형성된 나사산(122a)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너트(130)는 회전 손잡이(14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너트(130)는 높이 변환 부재(120)와 회전 손잡이(140) 사이에 위치해 높이 변환 부재(120)와 회전 손잡이(14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130)는 육각 너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 손잡이(140)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상부(111)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140)는 기둥 형태의 회전 몸체(141), 상기 회전 몸체(141)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142) 및 상기 회전 몸체(141)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14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몸체(141)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몸체(110)의 상부(11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 몸체(141)의 하부에는 고정홈(14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41a)에는 고정 부재(150)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메인 몸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2)는 상기 회전 몸체(141)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42)는 상기 회전 몸체(14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142)가 메인 몸체(110)에 삽입됐을 때, 상기 메인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손잡이(142)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잡고 돌리기 편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홈(143)은 상기 회전 몸체(110)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홈(143)에는 상기 너트(13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홈(143)은 상기 너트(130)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130)가 너트홈(143)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너트(1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140)는 상기 너트(130)를 통해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와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 손잡이(140)의 너트홈(143)에 상기 너트(130)가 고정되고, 상기 너트(130)는 높이 변환 부재(120)의 기둥(122)이 형성된 나사산(122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 손잡이(140)는 높이 변환 부재(120)와 결합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돌려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높이를 변환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메인 몸체(110)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50)는 상기 회전 몸체(141)에 형성된 고정홈(141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메인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 부재(150)는 링 형태의 고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150)가 고정되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회전 손잡이(140)가 상기 메인 몸체(1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회전 손잡이(140)는 메인 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니들부(160)는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123)에 결합된다. 상기 니들부(160)는 니들 몸체(161) 및 니들(162)을 포함한다.
상기 니들 몸체(161)는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수용홈(123)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23)에 결합된다. 상기 니들 몸체(161)의 하부에는 다수의 니들(162)이 고정된다.
상기 니들(needle, 162)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니들(162)은 사람의 피부를 자극하여 문신이나 피부 미백과 같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니들부(160)는 상기 수용홈(123)에 결합되며,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니들부(160)의 위치가 함께 변하게 된다. 평상시에 상기 니들부(160)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니들(162)이 메인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돌려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높이를 낮추면,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니들부(160)의 높이도 낮아지게 되어 상기 니들(162)이 메인 몸체(110) 밖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와 결합된 너트(130)의 위치는 기둥(122)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 및 니들부(160)의 높이가 높아지며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상기 회전 손잡이(140)를 돌림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니들(162)이 메인 몸체(110) 밖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니들 커버(170)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하부(112) 및 상기 니들부(160)에 결합되며, 상기 니들부(160)에 형성된 니들(162)을 보호하는 커버이다. 상기 니들 조립체(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니들 커버(170)를 닫아 상기 니들(162)을 보호하고, 상기 니들 조립체(100)를 사용할 때는 상기 니들 커버(170)를 열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100)는 회전 손잡이(140)를 돌림으로써, 높이 조절 부재(120)와 니들(16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100)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피부에 침투되는 니들(16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에서 메인 몸체 및 니들 커버가 제외된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2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니들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200)는 메인 몸체(210), 높이 변환 부재(120), 너트(130), 회전 손잡이(240), 고정 부재(250) 및 니들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조립체(200)는 상기 니들부(160)에 결합되는 니들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몸체(210)는 상부(211)에서 하부(212)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의 일부에는 걸림턱(210a)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몸체(210)의 상부(211)에 회전 손잡이(2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210)의 하부(212)에 높이 변환 부재(120)가 더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상기 메인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210a)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210)의 외측에는 측부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홈(213)은 고정 부재(2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다. 상기 측부홈(213)은 상기 메인 몸체(210)의 일측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240)는 상기 메인 몸체(210)의 상부(211)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240)는 기둥 형태의 회전 몸체(241), 상기 회전 몸체(241)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242) 및 상기 회전 몸체(241)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2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242) 및 너트홈(243)은 도 1b에 도시된 니들 조립체(100)의 손잡이(142) 및 너트홈(14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 몸체(241)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몸체(210)의 상부(21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 몸체(241)의 상부에는 고정홈(24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41a)에는 고정 부재(250)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메인 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50)는 상기 메인 몸체(210)에 형성된 측부홈(213)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 몸체(241)에 형성된 고정홈(241a)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메인 몸체(2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 부재(250)는 상기 측부홈(213) 및 고정홈(241a)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메인 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50)는 스프링 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50)는 상기 측부홈(213) 및 고정홈(241a)에 삽입될 때 수축된 상태로 있다가, 삽입되고 나서는 팽창하여 상기 측부홈(213) 및 고정홈(241a)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250)에 의해서 상기 회전 손잡이(240)가 상기 메인 몸체(2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회전 손잡이(240)는 메인 몸체(2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3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니들 조립체(2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300)는 메인 몸체(310), 높이 변환 부재(120), 너트(130), 회전 손잡이(240), 고정 부재(450) 및 니들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조립체(300)는 상기 니들부(160)에 결합되는 니들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몸체(310)는 상부(311)에서 하부(312)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의 일부에는 걸림턱(310a)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몸체(310)의 상부(311)에 회전 손잡이(2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310)의 하부(312)에 높이 변환 부재(120)가 더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변환 부재(120)는 상기 메인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310a)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310)의 외측에는 측부홀(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홀(313)은 고정 부재(3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이다. 상기 측부홀(313)은 상기 메인 몸체(310)의 양측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홀(313)에는 나사탭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부재(350)는 상기 메인 몸체(310)에 형성된 측부홀(313)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 몸체(241)에 형성된 고정홈(241a)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메인 몸체(3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 부재(350)는 상기 측부홀(313) 및 고정홈(341a)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메인 몸체(3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50)는 나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350)는 상기 측부홀(313)에 형성된 나사탭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회전 손잡이(240)에 형성된 고정홈(241a)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250)에 의해서 상기 회전 손잡이(240)가 상기 메인 몸체(3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 손잡이(24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회전 손잡이(240)는 메인 몸체(3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4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니들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 조립체(400)는 메인 몸체(110), 높이 변환 부재(120), 너트(130), 회전 손잡이(440) 및 니들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조립체는 상기 니들부(160)에 결합되는 니들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440)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상부(111)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440)는 기둥 형태의 회전 몸체(441), 상기 회전 몸체(441)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442), 상기 회전 몸체(441)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443) 및 상기 회전 몸체(441)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 돌기(4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442) 및 너트홈(443)은 도 1b에 도시된 니들 조립체(100)의 손잡이(142) 및 너트홈(14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 몸체(441)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몸체(110)의 상부(11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 몸체(441)의 하부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결합홀(441a)이 앞뒤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440)가 메인 몸체(110)에 삽입될 때, 상기 회전 몸체(441)는 상기 결합홀(441a)에 의해 하단이 좁아짐으로써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344)는 상기 회전 몸체(441)의 하단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344)는 상기 메인 몸체(110)의 걸림턱(110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손잡이(440)를 메인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니들 조립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니들 조립체 110: 메인 몸체
120: 높이 변환 부재 121: 몸체
122: 기둥 123: 수용홈
130: 너트 140: 회전 손잡이
141: 회전 몸체 142: 손잡이
143: 너트홈 150: 고정 부재
160: 니들부 161: 니들 몸체
162: 니들 170: 니들 커버

Claims (14)

  1. 내부에 관통홀과 걸림턱이 형성된 메인 몸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과 하부에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높이 변환 부재;
    상기 기둥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메인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높이를 변환 시키는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를 메인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수용홈에 결합되며 다수의 니들을 갖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는
    기둥형태의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회전 몸체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상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측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측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홀에는 나사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링 형태의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스프링 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11. 내부에 관통홀과 걸림턱이 형성된 메인 몸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과 하부에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높이 변환 부재;
    상기 기둥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메인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높이를 변환 시키는 회전 손잡이; 및
    상기 높이 변환 부재의 수용홈에 결합되며 다수의 니들을 갖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는
    기둥형태의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회전 몸체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너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하단에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메인 몸체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조립체.
KR1020100045393A 2010-05-14 2010-05-14 니들 조립체 KR10117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93A KR101177534B1 (ko) 2010-05-14 2010-05-14 니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93A KR101177534B1 (ko) 2010-05-14 2010-05-14 니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14A true KR20110125814A (ko) 2011-11-22
KR101177534B1 KR101177534B1 (ko) 2012-08-27

Family

ID=4539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393A KR101177534B1 (ko) 2010-05-14 2010-05-14 니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5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092A (ko) * 2014-03-13 2015-09-23 김근식 피부자극기
KR20220000522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메디젯 약물 전달 장치
KR20220003368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메디젯 약물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98B1 (ko) * 2020-11-20 2023-06-23 울산과학기술원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209Y1 (ko) 2001-07-27 2001-11-23 정인근 의약품주입장치
KR200259052Y1 (ko) 2001-09-07 2001-12-31 황신타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드 부재의 잠금 구조물
KR200384317Y1 (ko) 2005-02-07 2005-05-13 김은영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02155B1 (ko) * 2006-12-06 2008-02-12 하지훈 피부치료용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092A (ko) * 2014-03-13 2015-09-23 김근식 피부자극기
KR20220000522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메디젯 약물 전달 장치
KR20220003368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메디젯 약물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534B1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947B1 (ko)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KR101177534B1 (ko) 니들 조립체
KR101475301B1 (ko) 고주파 멀티주사장치
KR101494219B1 (ko) 약물 흡수 유도장치
ES2204338A1 (es) Aplicador para utilizacion en reflexoterapia.
CN105455883A (zh) 一种穿刺架
CN104941189B (zh) 一种改进的娃娃植发的工具
CN107875509B (zh) 经颅直流电刺激系统
KR20140031572A (ko) 반영구 화장미용 수동 시술기
CN108095257B (zh) 一种耳钉
TWI664960B (zh) Head massage device
CN203303335U (zh) 组合式针灸贴
TWM479725U (zh) 具有複數切削槽之骨釘結構
JP3229181U (ja) 頭部ストレス緩和機
KR200492639Y1 (ko) 두피 지압기
JP2001276156A (ja) 頭皮マッサージ具
KR101511850B1 (ko) 멀티니들허브를 갖는 피부재생기
KR100759083B1 (ko) 복합 자기장 지압구
KR102061000B1 (ko)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200475860Y1 (ko) 주사 바늘
CN102319484A (zh) 一种具有复合治疗功能的治疗仪
CN215689831U (zh) 一种砭石艾灸一体化灸疗装置
KR101721659B1 (ko) 쑥 침기
CN104523226A (zh) 测痛装置
CN202236900U (zh) 一种具有复合治疗功能的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