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728A - 비강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비강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728A
KR20110125728A KR1020100045243A KR20100045243A KR20110125728A KR 20110125728 A KR20110125728 A KR 20110125728A KR 1020100045243 A KR1020100045243 A KR 1020100045243A KR 20100045243 A KR20100045243 A KR 20100045243A KR 20110125728 A KR20110125728 A KR 20110125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ser
laser
unit
switching unit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377B1 (ko
Inventor
김진성
정성호
이석희
박재우
문영민
김성훈
한가진
전용호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4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3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을 발진시켜 비강 내부로 조사시킴으로써, 비강 내의 염증 치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비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레이저와, 반도체 레이저가 레이저 빔을 발진하도록 반도체 레이저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반도체 레이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를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로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 중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기초하여,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발진되도록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강 치료장치{APPARATUS FOR TREATING NASAL CAVITY}
본 발명은, 비강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강 내부에 발생된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비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는 광선 치료요법은 인체에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조사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요법이다. 광선 치료요법으로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등의 다양한 파장 영역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광선 치료요법에 사용되는 광원은 출력 조절이 용이한 레이저가 사용된다.
이러한 광선 치료요법은 비강 내의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비강 치료장치에도 응용된다. 비강 치료장치는 비강 내의 비염, 즉 코 안쪽 빈 공간인 비강의 표면상에 비점막이 생긴 염증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레이저를 사용하는 비강 치료장치는 직접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비강 안에 레이저의 조사에 따라 경락을 자극하여 콧물을 배출시키고 코 막힘을 해소하여 주는 효능과 함께 온열 효과도 동반되어 비강 내부의 기혈을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비강 치료장치는 거의 대부분 632.8 nm 파장의 적색 헤륨-네온 레이저를 이용하였는데, 이 경우 레이저로부터 발진된 빔은 직접 환부에 조사되거나 레이저 빔을 안내하는 빔 가이드와 그 종단부에 장착된 집광 렌즈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방식으로 시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비강 치료장치는 비강 입구에서만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비갑개, 중비갑개 및 하비갑개로 나뉜 비강 내부 및 비인두 부위의 광범위한 조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강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비갑개, 중비갑개 및 하비갑개로 나뉘어진 비강 내부의 전 영역에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비강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레이저 빔을 발진하도록 상기 반도체 레이저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로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 중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기 연속 모드와 상기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발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비강 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비강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로 마련된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발진된 레이저 빔을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침은,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수령하여 상기 삽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광섬유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 광섬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광섬유가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광섬유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입사시키는 광커넥터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광커넥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광커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연속 모드의 선택 후,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 출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펄스 모드의 선택 후, 상기 반도체 레이저의 펄스 빈도수가 조절되어 발진되도록 스위칭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레이저의 펄스 빈도수가 설정되면,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설정된 펄스 빈도수에 대응되는 펄스의 첨두값으로 발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은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와, 비강 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비강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로 마련된 삽입부를 가지며 레이저 빔을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침과,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레이저 빔을 발진하여 상기 레이저 침에 안내하도록 상기 반도체 레이저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로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 중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상기 연속 모드와 상기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발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을 발진시켜 비강 내부로 조사시킴으로써, 비강 내의 염증 치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강 내부로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로 마련된 삽입부 전체 영역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비강 내 전체 영역을 치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치료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제어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반도체 레이저의 발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레이저 침의 개략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이저 침의 작동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제어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반도체 레이저의 발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장치(100)는 본체(110), 전원부(120), 반도체 레이저(130), 레이저 침(150), 스위칭부(160), 구동부(170), 메모리(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비강 치료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전원부(120)의 전원스위치(122), 디스플레이부(140), 스위칭부(160) 및 비강 치료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램프가 배치된다. 물론, 본체(110)는 비강 내부에 삽입되는 레이저 침(150)과 연결된다.
전원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전원스위치(122) 및 전원공급부(124)를 포함한다. 전원부(120)는 반도체 레이저(130)가 발진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스위치(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전원스위치(122)는 비강 치료장치(100)의 시술자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122)는 버튼식으로 마련되어,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On 또는 Off 신호를 제공한다.
전원공급부(124)는 전원스위치(122)로부터 제공된 On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전원공급부(124)는 전원스위치(122)로부터 작동 신호를 인가 받으면 + 5V의 전원을 후술할 구동부(170)의 정전류 공급부(172)로 공급한다.
반도체 레이저(130)는 반도체에 과잉 운반자를 대량으로 주입했을 경우, 전자와 양공이 에너지 갭을 넘어서 재결합할 때 발광하는 효과를 이용하는 레이저이다. 반도체 레이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658 nm의 대역의 파장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사용되는 반도체 레이저(130)는 소형이고 비교적 값이 싸며, 응답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제어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반도체 레이저(130)로부터 발진된 레이저 빔은 후술할 레이저 침(150)에 의해서 비강 내로 조사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40)는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비강 치료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연속 모드 상태에서의 출력량 또는 레이저 빔의 펄스 빈도수를 조절하는 펄스 모드 상태에서의 펄스 빈도수가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기의 레이저 침의 개략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이저 침의 작동 사시도이다.
레이저 침(150)은 비강 내부로 삽입되어, 반도체 레이저(130)로부터 발진된 레이저 빔을 비강 내부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침(150)은 삽입부(152), 가이드 광섬유(154), 광커넥터(156) 및 홀더(158)를 포함한다. 레이저 침(150)은 비강 내부의 삽입 길이에 대응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이저 침(150)은 1개 또는 1개를 초과한 복수 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52)는 비강 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직접적으로 비강 내부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삽입부(152)는 플라스틱 광섬유(POF: plastic optical fiber)로 마련된다. 즉, 삽입부(152)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수지로 제작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로 마련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잡음이나 장해를 받지 않으므로, 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이저 빔의 조사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삽입부(152)는 일반적인 비강에 대응되도록 15cm 길이와 2.5mm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삽입부(15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이저 빔의 전체적인 조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미세한 흠이 형성된다. 이렇게, 삽입부(152)의 내부에 형성된 미세한 흠은 레이저 빔을 산란시켜 삽입부(152)의 전면 및 측면 방향에 대해 비강 내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조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 광섬유(154)는 반도체 레이저(130)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수령하여 삽입부(152)로 안내한다. 그리고, 광커넥터(156)는 삽입부(152)와 가이드 광섬유(154)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 광섬유(154)를 지지하며, 가이드 광섬유(154)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삽입부(152)의 내부로 입사시킨다. 광커넥터(156)로는 가이드 광섬유(154)의 심선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광 페룰(ferrule)이 사용될 수 있다.
홀더(holder)(158)는 삽입부(152)와 광커넥터(156) 사이에 배치되어, 삽입부(152)와 광커넥터(156)를 상호 연결한다. 홀더(158)는 삽입부(152)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삽입부(152)의 손상 등이 발생될 때 교체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위칭부(160)는 구동부(170)로부터 반도체 레이저(130)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스위칭부(160)는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의해 푸쉬 및 회전되는 푸쉬 & 로터리 버튼으로 마련된다. 스위칭부(160)는 연속 모드 선택 후, 반도체 레이저(13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 출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반면, 스위칭부(160)는 펄스 모드의 선택 후, 반도체 레이저(130)의 펄스 빈도수가 조절되어 발진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160)에 대한 상세한 작동과정은 후술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할 때 함께 하기로 한다.
구동부(170)는 반도체 레이저(130)가 빔을 발진하도록 반도체 레이저(13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구동부(170)는 정전류 공급부(172) 및 전류 보상기(174)를 포함한다.
정전류 공급부(172)는 전원공급부(124)로 공급된 전류를 정전류로 변환하여 반도체 레이저(13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전류 공급부(172)는 반도체 레이저(130)에 과전류 등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류를 정전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전류 보상기(174)는 반도체 레이저(130) 내부의 광 수신기(미도시)에 의해 그 평균값이 측정되어 평균 출력에 변화분이 발생되는 경우, 증감분의 전압 신호의 연산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여 제어부(190)로 피드백 시킨다. 이렇게 전류 보상기(174)에 의해 변환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190)는 이에 상응하는 보상된 신호를 정전류 공급부(172)로 주입한다.
여기서, 정전류 공급부(172)는 두 개 이상의 반도체 레이저(130)를 동시에 구동하고자 할 경우, 추가 설치가 될 수 있다.
메모리(180)는 스위칭부(160)의 스위칭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130)를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로 구동시키는 구동부(170)의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180)에 저장된 작동 프로그램은 펌웨어(firmware) 기반으로 마련된다. 이에, 메모리(180)에 저장된 작동 프로그램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되어 비강 치료장치(100)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80)는 제어부(190)와 통합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ROM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60)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메모리(180)에 저장된 구동부(170)의 작동 프로그램 중 스위칭부(160)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기초하여, 반도체 레이저(130)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선택적으로 연속 모드 및 펄스 모드로 발진되도록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60)의 스위칭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반도체 레이저(130)가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도록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연속 모드의 선택 시, 반도체 레이저(130)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하고, 펄스 모드 선택 시 펄스 빈도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60)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130)의 펄스 빈도수가 설정되면, 반도체 레이저(130)가 설정된 펄스 빈도수에 대응되는 펄스의 첨두값이 발진되도록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 전면에 배치된 전원스위치(122)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해 주면 비강 치료장치(100)는 구동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스위칭부(160)를 1초간 눌러서 시스템을 On 상태로 켜면 "삑~" 소리가 발생되며, 제어부(190)에 의해 전원공급부(124)에서 +5V의 전원이 공급되어 658nm 반도체 레이저(130)의 발진을 위한 구동부(170)가 작동된다. 여기서, 스위칭부(160)는 푸시버튼기능과 다이얼식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가 사용된다.
메모리(18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스위칭부(1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펄스 모드가 선택되어 제어부(190)는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속 모드가 선택되어 제어부(190)는 구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스위칭부(160)에 의해 연속 모드가 선택된 경우, 스위칭부(160)를 누르면 레이저 빔의 출력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며, 스위칭부(1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레이저 빔의 출력을 높이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레이저 빔의 출력을 낮추게 된다.
한편, 연속 모드에서 펄스모드로 변경을 할 경우, 스위칭부(160)를 다시 누른 후 스위칭부(1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펄스 모드로 변경된다. 펄스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펄스 빈도수가 조절된다. 펄스 빈도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일의 자리씩 또는 십의 자리씩 또는 백의 자리씩 조절이 가능하도록 메모리(180)에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펄스 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스위칭부(160)를 누르면 펄스 빈도수를 1Hz씩 높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스위칭부(1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1HzTlr 증가하여 1000Hz까지 펄스 빈도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위칭부(160)를 다시 누르면 펄스 빈도수는 10Hz씩 증가하여 1000Hz까지 조절이 가능하고, 다시 스위칭부(160)를 누르면 100Hz씩 증가하여 1000Hz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펄스 빈도수가 설정되면,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스위칭부(160)를 다시 누르게 된다. 펄스 빈도수가 조절된 펄스의 첨두값은 최대 -10V에서 +10V까지 펄스 발생이 가능하다.
여기서, 연속 모드 및 펄스 모드 상의 레이저 빔의 출력의 일부는 반도체 레이저(130) 내부에 장착된 광 수신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측정되며, 출력이 설정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출력값과 설정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전압신호가 감소되어 정전류 공급부(172)에 입력됨으로써, 반도체 레이저(13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일정한 레이저 빔의 출력이 유지된다. 반면, 레이저 빔의 출력이 설정값보다 떨어지게 되면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정전류 공급부(172)는 반도체 레이저(130)에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강 치료장치(100)는 피드백 제어를 통한 일정한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과정을 통해 반도체 레이저(130)로부터 발진된 레이저 빔은 레이저 침(150)으로 조사된다. 레이저 침(150)의 가이드 광섬유(154)를 통해 레이저 빔은 삽입부(152)로 안내된다.
그러면, 삽입부(152) 내부에는 미세한 흠이 형성되어 삽입부(152) 전체 영역에서 레이저 빔은 산란된다. 삽입부(152) 내부에서 산란된 레이저 빔은 삽입부(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조사됨과 함께 말단에서 조사된다. 이에, 비강 내부 전역으로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효과적으로 비강 내의 염증 등을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비강 치료장치 130: 반도체 레이저
150: 레이저 침 152: 플라스틱 광섬유
154: 가이드 광섬유 156: 광커넥터
158: 홀더 160: 스위칭부
170: 정전류 공급부 174: 전류 보상기
180: 메모리 190: 제어부

Claims (8)

  1. 반도체 레이저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레이저 빔을 발진하도록 상기 반도체 레이저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로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 중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상기 연속 모드와 상기 펄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로 발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비강 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비강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로 마련된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발진된 레이저 빔을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침은,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수령하여 상기 삽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광섬유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 광섬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광섬유가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광섬유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입사시키는 광커넥터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광커넥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광커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연속 모드의 선택 후,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 출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펄스 모드의 선택 후, 상기 반도체 레이저의 펄스 빈도수가 조절되어 발진되도록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레이저의 펄스 빈도수가 설정되면,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설정된 펄스 빈도수에 대응되는 펄스의 첨두값으로 발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은 펌 웨어(firm ware) 업그레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8. 반도체 레이저와;
    비강 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비강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로 마련된 삽입부를 가지며, 레이저 빔을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침과;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레이저 빔을 발진하여 상기 레이저 침에 안내하도록 상기 반도체 레이저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연속 모드와 펄스 모드로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구동부의 작동 프로그램 중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선택적으로 상기 연속 모드 및 상기 펄스 모드로 발진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치료장치.
KR1020100045243A 2010-05-14 2010-05-14 비강 치료장치 KR10116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243A KR101163377B1 (ko) 2010-05-14 2010-05-14 비강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243A KR101163377B1 (ko) 2010-05-14 2010-05-14 비강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28A true KR20110125728A (ko) 2011-11-22
KR101163377B1 KR101163377B1 (ko) 2012-07-12

Family

ID=4539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243A KR101163377B1 (ko) 2010-05-14 2010-05-14 비강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46B1 (ko) * 2012-09-24 2014-05-28 김승제 비염 치료용 레이저빔 조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32A1 (ko) * 2016-02-15 2017-08-24 (주)미린트 비염 치료기의 광 출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568A (ja) 1999-10-28 2001-05-08 Olympus Optical Co Ltd 鼻腔内治療用レーザプローブ
KR100971358B1 (ko) 2008-07-01 2010-07-20 광주과학기술원 침습형 이중 파장 레이저 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46B1 (ko) * 2012-09-24 2014-05-28 김승제 비염 치료용 레이저빔 조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377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4940B2 (ja) 改良型ハンドヘルド式レーザ装置
JP4976485B2 (ja) 掃引ビームスポット及び汎用キャリッジを備えた走査型治療レーザー
US10379341B2 (en) Multiple aperture hand-held laser therapy apparatus
US6872221B2 (en) Therapeutic low level laser apparatus and method
US6673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laser light
US20100004645A1 (en) Invasive dual-wavelength laser acupuncture
US20050245998A1 (en) Hand held pulse laser for therapeutic use
KR101558180B1 (ko)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811830B1 (ko) 라이트 펜 디스펜서
KR101163377B1 (ko) 비강 치료장치
KR101612330B1 (ko)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72632A (ko) 치과용 광치료 장치
EP1257324B1 (en) Improved laser comb design/function
KR20110009329U (ko) 다기능 칫솔
EP2991731B1 (en) Multiple aperture hand-held laser therapy apparatus
KR20160024207A (ko) 탈부착형 헤드를 이용한 휴대형 광 치료장치
JP5977740B2 (ja) スペクトル掃引型光架橋装置
KR100866240B1 (ko) 반도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침
KR101776847B1 (ko) 관절염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적 레이저 침 시스템
KR200444888Y1 (ko) 발광장치
US20100030201A1 (en)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KR101724079B1 (ko)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두피 관리 장치
KR20210082964A (ko) 백반증 치료 장치 및 치료 방법
CN215025349U (zh) 半导体光疗导光装置及治疗仪
KR102386722B1 (ko) 헬멧형 두피관리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