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294A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294A
KR20110125294A KR1020100044729A KR20100044729A KR20110125294A KR 20110125294 A KR20110125294 A KR 20110125294A KR 1020100044729 A KR1020100044729 A KR 1020100044729A KR 20100044729 A KR20100044729 A KR 20100044729A KR 20110125294 A KR20110125294 A KR 2011012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signal
button
consona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3645B1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10004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645B1/en
Priority to PCT/KR2011/003512 priority patent/WO2011142606A2/en
Publication of KR2011012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2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apparatus, record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he touch screen are provided to secure a wide space for consonant buttons by eliminating the one line of vowel buttons. CONSTITUTION: An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200) outputs characters in which are inputted by a keypad manipulation. An input detection unit senses a touch and a drag signal or a touch and pressure signal in which are applied in the key pad.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in a vowel button, a control unit selects a vowel stroke. When the drag or the pressure signal is applied in the vowel button,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other vowels according to the drag or the pressure signal.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abou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음버튼으로 모든 종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방법과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by using a keypa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a device and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re recor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text input method, a text input device, and a program implementing the text input method are recorded.

초기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문자를 출력하는 액정화면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는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문자를 입력하여 왔다. 그러나 키패드 기능과 액정화면 기능이 합쳐진 터치스크린이 상용화되면서, 최근 들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In the ear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keypad for inputting text and an LCD screen for outputting text ar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user has inputted text by pressing a button included in the keypad. However, as a touch screen combining a keypad function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function is commercializ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이때,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키패드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데, 그 중에서 천지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버튼이 배열된 키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keypad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 variety of structures according to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characters, of which keypads with buttons are arranged so that characters can be input in a natural wa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천지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종래의 키패드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keypad structure that can input characters in a heavenly manner.

도 1은 종래의 천지인 방식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touch screen on which a conventional keypad is display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0)와,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창(20)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키패드(10)는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자음버튼(12)과, 'ㅣ, ㆍ, ㅡ'를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세 개의 모음버튼(14)이 구비된다. 각 모음버튼(14)에는 'ㅣ'와 'ㆍ'과 'ㅡ'이 각각 맵핑되며, 사용자는 세 개의 모음버튼(14)을 적절한 순서로 터치함으로써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ㅣ, ㆍ, ㅡ'를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01211호 '콤팩트 키보드의 한글코드 입력장치'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 a keypad 10 for inputting text and an output window 20 for outputting the input text are output to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keypad 10 includes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14 for inputting a vowel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2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 ㅡ'. Each vowel button 14 is mapped with ㅣ, ㆍ, and ㅡ, respectively, and the user can input vowels by touching the three vowel buttons 14 in the proper order. The method of inputting a vowel by combining 'ㅣ, ㆍ, ㅡ' is known fro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01211 'Hangul code input device of a compact keyboard' and is commercializ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ㅣ'와 'ㆍ'과 'ㅡ'이 각각 맵핑된 세 개의 모음버튼(14)으로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은 입력규칙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음 입력을 위해 세 개의 모음버튼(14)을 번갈아가며 수회에 걸쳐 터치해야 하므로 문자입력에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타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 버튼(12, 14)의 크기를 키워야 하는데, 모음 입력을 위해서는 세 개의 모음버튼(14)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각 버튼(12, 14)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As such, the method of inputting a vowel with three vowel buttons 14 mapped with 'ㅣ', '·', and '-' respectively has the advantage of easy input rules. ), It takes a lot of time to input text because you have to touch it several times.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a typo, the size of each button 12 and 14 should be increased. However, since three vowel buttons 14 are required for vowel input,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size of each button 12 and 14. There are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음버튼을 하나로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자음버튼이 위치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모음입력을 보다 간편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문자입력방법과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ducing or eliminating the vowel buttons to ensure a wider space for the consonant button is located, and by making the vowel input more simple and accurate character inpu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text input method, a text input device, and a program implementing the text input method are recor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nputting Hangul using a keypad output on a touch screen,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과, 모음자획 ㅣ, ㆍ, ㅡ 이 할당된 하나의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on a touch screen, the keypad includ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one vowel button to which vowel strokes |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나머지 두 개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되,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제2 단계;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y vowel stroke of 'ㅣ, ㆍ, ㅡ' is selected, an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touch screen surface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 second step in which the remaining two vowel strokes are selected, and different vowel strok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상기 제2 단계에서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모음이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둘 이상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3 단계;When one vowel stroke is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 corresponding short vowe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nd when two or more vowel strokes are selected in the second step, the vowel stroke has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short vowel or a double vowel and outputting i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를 포함한다.
It includes.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에 좌향 드래그신호 또는 좌향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모음버튼에 우향 드래그신호 또는 우향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다른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second step, '·' is selected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any one of 'ㅣ, ㅡ' is selected when a left drag signal or a leftward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When the right drag signal or the right pus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the other one of 'ㅣ, ㅡ' is selected.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에 좌우방향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ㅡ'가 선택되며, 상기 모음버튼에 상하방향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second step, '·' is selected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 is selected when a left or right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the vowel button is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ure signal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applied, 'ㅣ' is selected.

상기 제2 단계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또는 'ㅡ'가 선택되고,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ㆍ'이 추가로 선택된다.
In the second step, 'ㅣ' or '-' is selecte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 is additionally selected when the drag direction or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do.

상기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사전에 설정된 방향으로 변경되면, 추가로 선택된 'ㆍ'이 이전에 선택된 'ㅣ' 또는 'ㅡ'보다 먼저 선택된 것으로 설정된다.
W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to a preset direction, the additionally selected '·' is set to be selected before the previously selected '|' or '-'.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기 이전에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어 자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nsonant by applying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before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상기 제3 단계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되었을 때 상기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상기 자음과 조합되어 하나의 글자로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The third step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 single vowel or double vowel is generated, the single vowel or double vowel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output as a single letter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기 이전에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어 자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음버튼 터치와 상기 모음버튼 터치는 각각 별개의 접촉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이루어진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다가 상기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된 이후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해제 되었을 때 생성된 자음과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조합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nsonant by applying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before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made in the second step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released after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is generated, the third step is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When this is released, the consonant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hort vowel or double vowel are combined and output.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기 이전에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어 자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nsonant by applying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before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상기 자음과 조합되도록 구성되며,The third step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ed by the vowel button operation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상기 모음버튼을 조작한 접촉수단이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접촉수단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제3 단계에서 조합된 글자의 종성으로 결합된다.
When the contact means for operating the vowel button is dragged to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is terminated is performed. Combined into the finality of the letters combined in step 3.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alphabet using the keypad output on the touch screen,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on the touch screen a keypad includ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outputting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to an input text output window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touched;

상기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in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and outputting them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를 포함한다.
It includes.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A, E, I, O, U'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The third step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y one of 'A, E, I, O, U'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or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상기 제3 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The third step may b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within a preset time.

상기 제3 단계에서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한 접촉수단이 다른 자음버튼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접촉수단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e third step, if the contact means applying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is dragged to another consonant button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is terminated. 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button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alphabet using the keypad output on the touch screen,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과, 모음이 할당된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a vowel button assigned to a vowel on a touch screen;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in which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and displayed on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를 포함한다.
It includes.

상기 제2 단계는,The second step,

상기 모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A, E, I, O, U' 중 어느 하나가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고, 상기 모음버튼이 터치된 이후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추가로 인가되었을 때 'A, E, I, O, U' 중 나머지 네 개가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vowel button is touched, any one of 'A, E, I, O, U' is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after the vowel button is touched, the drag signal or the touch screen surface is followed by the vowel button. When the pressure signal of the direction is additionally applied, the remaining four of 'A, E, I, O, U'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ure direction of the pressure signal .

상기 제2 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step may b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within a preset time.

상기 모음버튼을 조작한 접촉수단이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접촉수단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한다.
When the contact means for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is dragged to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the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is terminated is input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text output window.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는,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과 모음자획 ㅣ, ㆍ, ㅡ 이 할당된 하나의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입력문자 출력창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A touch screen including a keypad hav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one vowel button to which vowel strokes ㅣ,... Are assigned, and an input text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characters inputted by the keypad operation;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An input sensing unit for classifying and sensing a touch signal and a drag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classifying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nd a pressurization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 중 상기 모음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부위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나머지 두 개의 모음자획을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선택하며,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모음을 생성하여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고 둘 이상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는 제어부;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touch screen where the vowel button is displayed, a vowel stroke of any one of 'ㅣ, ㆍ, ㅡ' is selected and a drag signal or a pressure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selected to the vowel button. When is applied, select the remaining two vowel strokes of 'ㅣ, ㆍ, ㅡ'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respectively, and if one vowel stroke is selected, a corresponding short vowel is generated to output the input character. A control unit which outputs to a window and generates a single vowel or a double vowel having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when two or more vowel strokes are selected and outputs them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를 포함한다.
It includ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ㅣ, ㅡ'를 각각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lect '·'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select 'ㅣ, ㅡ'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or a pressing direction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do.

상기 제어부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ㆍ'를 추가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may select any one of 'ㅣ, ㅡ'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further select '·' w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It is compo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생성하여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며, 상기 자음버튼 터치와 상기 모음버튼 터치가 각각 별개의 접촉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상기 모음버튼 조작에 의한 단모음 또는 복모음 생성 시까지 유지되면, 상기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자음과 상기 모음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and outputs the consonant button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the consonant button touch and the vowel button touch are made by separate contact means. If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is maintained until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ion by the vowel button operation, the consonant and the vowel button generated by the consonant button operation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is released And a combination of short vowels or double vowels generated by the operation to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는,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입력문자 출력창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keypad having a consonant button, and an input text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ext input by the keypad operation;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An input sensing unit for classifying and sensing a touch signal and a drag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classifying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nd a pressurization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 중 상기 자음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부위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고, 상기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상기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는 제어부;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displayed,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is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a pressing signal or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a push direction of the press signal when a signal is input;

를 포함한다.
It includes.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으로부터 또 다른 자음버튼까지의 드래그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추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drag signal from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to another consonant button is input,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further output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is completed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s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within a preset time.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는,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입력문자 출력창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a consonant button and a vowel button, and an input text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ext input by the keypad operation;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An input sensing unit for classifying and sensing a touch signal and a drag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classifying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nd a pressurization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 중 상기 자음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부위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상기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는 제어부;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displayed,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is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a drag signal is pressed on the vowel button or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a push direction of the press signal when a signal is input;

를 포함한다.
It includes.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으로부터 또 다른 자음버튼까지의 드래그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추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further output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after the dragging is completed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when a drag signal from one consonant button or a vowel button to another consonant button is input.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ag signals or press signal inputs applied to the vowel buttons within a preset time.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과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이용하면, 모음버튼을 하나로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자음버튼이 위치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모음입력을 보다 간편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y using th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e program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corded, the space where the consonant buttons are located can be more secured by reducing or eliminating the vowel buttons. By making vowel input simp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haracter input can be done more easily and accurately.

도 1은 종래의 천지인 방식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구성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3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3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4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5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으로 영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구성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6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모음버튼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모음 입력 후 자음을 추가로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7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자음버튼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7 실시예에 따라 모음을 입력한 후 자음을 추가로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1 illustrates a touch screen on which a conventional keypad is displayed.
2 illustrates a touch screen in which a keypad is configured to input Korean characters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hape of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a shape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hape of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shap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shape of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show shapes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a shape for operating a vowel butt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 shap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 touch screen in which a keypad is configured to input English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a shap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owel button shown in FIG. 14.
16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a consonant is further input after vowel input.
17 shows a shap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sonant button shown in FIG. 17.
19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a consonant is additionally input after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100)가 구성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모음버튼(120)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2 illustrates a touch screen in which a keypad 100 is configured to input Korean characters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shape of operating the vowel button 120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a shape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100)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문자입력메뉴를 선택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00)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키패드(100)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110)과 하나의 모음버튼(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자음버튼(110)에는 자음이 각각 할당되고, 상기 모음버튼(120)에는 모음자획 ㅣ, ㆍ, ㅡ 이 할당된다. 사용자는 자음버튼(110) 조작을 통해 자음을 입력하고, 모음버튼(120) 조작을 통해 'ㅣ'와 'ㆍ'와 'ㅡ'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모음을 생성하여 입력한다. 3개의 모음자획 즉, 'ㅣ, ㆍ, ㅡ'를 이용하여 모음을 생성하는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01211호 '콤팩트 키보드의 한글코드 입력장치'를 통해 공지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using the keypad 100 output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character input menu is selected, the keypad 1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The keypad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110 and one vowel button 120. The consonant buttons 110 are assigned with consonants, and the vowel buttons 120 have vowel strokes. , ㆍ, ㅡ are assigned. The user inputs consonan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generates and inputs a vowel by appropriately selecting and combining 'ㅣ', '·', and '-'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owel button 120. The principle of creating a vowel using three vowel strokes, namely, 'ㅣ, ㆍ, ㅡ' is known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01211 'Hangul code input device of a compact keyboard'. Is omitted.

이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01211호에 개시된 종래의 키패드(100)는 'ㅣ' 선택을 위한 키버튼과, 'ㆍ' 선택을 위한 키버튼과, 'ㅡ' 선택을 위한 키버튼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데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키패드(100)는 'ㅣ, ㆍ, ㅡ'가 하나의 모음버튼(120)에 할당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단순히 모음키에 터치신호가 인가될 때에만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모음키에 드래그신호 또는 터치스크린 표면방향으로의 가압신호가 인가될 때에도 모음자획이 선택되되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keypad 100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201211 is provided with a key button for the 'ㅣ' selection, a key button for the '·' selection, and a key button for the '-' selection,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keypad 100 for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ㅣ, ·, ㅡ' is assigned to one vowel button 120. That is,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elect any vowel stroke of 'ㅣ, ㆍ, ㅡ' only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key, but the drag signal or the touch screen surface on the vowel key. The vowel stroke is selected even when the pressing signal in the direction is applied, b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stroke of different type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접촉수단(P)이 모음키에 접촉되어 움직이지 아니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터치스크린의 표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상기 모음키를 가압하였을 때, 상기 모음키로 인가되는 가압력은 터치스크린 표면에 수직을 이루는 성분과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방향을 따르는 성분(터치스크린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의 성분)으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 표면방향으로의 가압신호라 함은, 터치스크린의 표면방향을 따르는 성분의 힘에 의해 상기 모음키에 입력되는 신호를 뜻한다. 한편, 드래그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드래그방향을 감지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방향별로 각각 상이한 입력신호로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과, 터치스크린 표면방향으로의 가압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가압방향을 감지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방향별로 각각 상이한 입력신호로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은 이미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창 출력방법은 상기 모음키에 드래그신호 또는 터치스크린 표면방향으로의 가압신호가 입력될 때 모음자획이 선택되도록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음키에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만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When the vowel key is pressed in an oblique direction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while the contact means P is in contact with the vowel key and does not mov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vowel key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surface. It can be interpreted by dividing into a component forming a component and a component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compon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pressing signal toward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signal input to the vowel key by a force of a component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On the other hand, when a drag signal is input, a touch screen that senses a drag direction and receives the input signal as a different input signal for each direction, and a signal that is input by detecting a pressing direction when a pressing signal toward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input Since the touch screen that accepts as different input signals for each direction is already widely commercializ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haracter input window out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lect a vowel stroke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toward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input to the vowel key, but in this embodiment, a drag signal is input to the vowel key. Only case is described representa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모음버튼(120)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나머지 두 개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되,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촉수단(P)으로 상기 모음버튼(120)을 터치하였을 때 'ㆍ'가 입력되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촉수단(P)을 좌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ㅣ'가 입력되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촉수단(P)을 우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ㅡ'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수단(P)은 손가락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될 수도 있고,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별도의 도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수단(P)을 좌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ㅣ'가 입력되고 접촉수단(P)을 우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ㅡ'가 입력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접촉수단(P)을 좌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ㅡ'가 입력되고 접촉수단(P)을 우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ㅣ'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접촉수단(P)으로 상기 모음버튼(120)을 터치하였을 때 'ㅡ'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접촉수단(P)을 좌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ㆍ'가 입력되며, 사용자가 접촉수단(P)을 우측으로 드래그시켰을 때 'ㅣ'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신호의 종류 및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모음자획은 사용자의 편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any vowel stroke of 'ㅣ, ·, ㅡ' is selected, and a drag signal or When the pressing signal in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he remaining two vowel strokes of 'ㅣ, ㆍ, ㅡ' are selected, and different vowel strok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Steps.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vowel button 120 with the contact means P, '·' is input, and as shown in (a) of FIG. 3, the user moves the contact means P to the left. When dragging, '|' is input, and as shown in (b) of FIG. 3, '-' may be input when the user drags the contact means P to the right. In this case, the contact means P may be a part of the user's body such as a finger, or may be a separate tool such as a stylus pen.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ㅣ' is input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to the left and 'ㅡ' is input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to the right is described. ) May be set to input 'ㅡ' when dragging to the left and 'ㅣ' input when dragging the contact means P to the right. Furthermore, '-' is input when the user touches the vowel button 120 with the contact means P, and '·' is input when the user drags the contact means P to the left.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to the right, 'ㅣ' may be configured to be input. That is, the vowel strok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direction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may be variously changed by the user's convenience.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음자획이 선택되면 선택된 모음자획에 해당하는 모음이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된다. 이때, 선택된 모음자획이 도 3의 (a)와 같이 'ㅣ'인 경우에는 단모음 'ㅣ'가 그대로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되고, 선택된 모음자획이 도 3의 (b)와 같이 'ㅡ'인 경우에는 단모음 'ㅡ'가 그대로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된다. 그러나 선택된 모음자획이 둘 이상이 경우에는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된다. 즉, 모음자획 'ㅣ'와 'ㆍ'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ㅏ'라는 모음이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되고, 'ㆍ'가 2회 선택되고 'ㅣ'가 2회 선택되면 'ㅖ'라는 모음이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되며, 'ㅡ', 'ㆍ', 'ㆍ', 'ㅣ'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ㅝ'라는 모음이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된다. As mentioned above, when the vowel stroke is selecte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stroke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t this time, when the selected vowel stroke is 'ㅣ' as shown in FIG. 3 (a), the short vowel 'ㅣ' is outputted as it is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nd the selected vowel stroke is shown as '(b)' of FIG. 'ㅡ' short vowel 'ㅡ' is output as it is in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However, if more than one vowel stroke is selected, a single vowel or a double vowel having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That is, when the vowel stroke 'ㅣ' and '·' are sequentially selected, a vowel '라는'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 is selected twice and 'ㅣ' is selected twice. When it is selected, a vowel 'ㅖ'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When 'ㅡ', '·', '·', and 'ㅣ' are sequentially selected, a vowel 'ㅝ' is generated and inputted. The character output window 200 is output.

이와 같이 생성되는 모음이 자음과 조합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ㄱ'이 입력된 상태에서 모음키에 좌향 드래그신호가 입력되어 모음자획 'ㅣ'가 선택되면, 'ㄱ'에 'ㅣ'가 조합되어 '기'라는 글자가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된다. 또한 'ㄱ'이 입력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키에 좌향 드래그신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키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ㅣ'와 'ㆍ'가 필기 순서로 결합되어 'ㅏ'라는 모음이 생성되고, 생성된 모음 'ㅏ'는 'ㄱ'과 조합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가'라는 글자가 출력된다. 3개의 모음자획 즉, 'ㅣ, ㆍ, ㅡ'이 선택되었을 때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모음이 생성되며, 생성된 모음이 자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글자를 이루는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01211호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vowel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m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 4, when the left drag signal is input to the vowel key in a state in which the letter 'a' is input and the vowel stroke 'ㅣ' is selected, the letter 'ki' is input by combining 'ㅣ' to 'ㄱ'. The character output window 200 is output. In addition, whe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left drag signal to the vowel key as shown in FIG. 4 and the process of applying the touch signal to the vowel key as shown in FIG. ㅣ 'and' · 'are combined in a handwriting order to generate a vowel' ㅏ ', and the generated vowel' ㅏ 'is combined with' ㄱ 'to output the letter' ga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do. When three vowel strokes, that is, 'ㅣ, ㆍ, ㅡ' are selected, a vowel with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is created. It is mentioned in detail in Patent No. 10-0201211,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하나의 모음버튼(120)으로 3종류의 모음자획'ㅣ, ㆍ, ㅡ'을 모두 선택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100) 상에서 모음버튼(120)이 차지하는 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키패드(100) 상의 여유공간이 확보되면, 각 키버튼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오타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기능키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ll three kinds of vowel strokes' ㅣ,. The space taken up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free space on the keypad 100 is secured as described above, a typo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size of each key button, and a separate function key can be added, so that character input can be made faster and easier.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120)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6 illustrates a shape of operating the vowel button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llustrates a shape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how.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ㅣ' 또는 'ㅡ'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한 후,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을 변경시켰을 때 'ㆍ'이 추가로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to select 'ㅣ' or 'ㅡ' and t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 This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selected.

예를 들어 모음버튼(120)에 좌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여 'ㅣ'를 선택한 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방향을 상향으로 변경하는 경우 'ㆍ'이 추가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ㅣ'와 'ㆍ'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면, 'ㅣ'와 'ㆍ'가 필기 순서로 결합되어 'ㅏ'라는 모음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모음버튼(120)에 우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여 'ㅡ'를 선택한 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방향을 하향으로 변경하는 경우 'ㆍ'이 추가로 선택되어 'ㅜ'라는 모음이 생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fter selecting the 'ㅣ' by applying a left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and changing the drag direction upward as shown in FIG. 6A, '·' may be additionally selected. . In this way, when 'ㅣ' and '·' are continuously selected, 'ㅣ' and '·' may be combined in a writing order to generate a vowel 'ㅏ'. In addition, when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downward by applying the right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and selecting '-', as shown in FIG. 6 (b), '·' is additionally selected and thus 'TT' May be created.

한편, 상기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사전에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 변경되면, 추가로 선택된 'ㆍ'이 이전에 선택된 'ㅣ' 또는 'ㅡ'보다 먼저 선택된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음버튼(120)에 좌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여 'ㅣ'를 선택한 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방향을 상향으로 변경하면 'ㆍ'이 추가되어 'ㅏ'라는 모음이 생성되고, 'ㅣ'를 선택한 후 드래그방향을 하향으로 변경하면 'ㆍ'이 추가되되 'ㆍ'이 'ㅣ'보다 먼저 선택된 것으로 설정되어 'ㅓ'라는 모음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버튼(120)에 우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여 'ㅡ'를 선택한 후 드래그방향을 하향으로 변경하면 'ㅜ'라는 모음이 생성되지만, 모음버튼(120)에 우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여 'ㅡ'를 선택한 후 드래그방향을 상향으로 변경하면 'ㅗ'라는 모음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버튼(110)을 터치하여 'ㄴ'을 입력한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수단(P)을 모음버튼(120) 상에서 좌향으로 드래그하다가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ㆍ'과 'ㅣ'의 필기순서를 갖는 'ㅓ'가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나'가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additionally selected '·' may be set to be selected earlier than the previously selected '|' or '-'. For example, after selecting the 'ㅣ' by applying a left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and changing the drag direction upward as shown in FIG. When the vowel is generated and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downward after selecting 'ㅣ', '·' is added but '·' is set to be selected before 'ㅣ' so that the 'vo' can be generated. Similarly, as shown in (b) of FIG. 6,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with a right drag signal selected '-' and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downward, a vowel 'TT' is generated, but the vowel button 120 )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right and selecting 'ㅡ' and then changing the drag direction upward, a collection of '라는'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after touching the consonant button 110 to input 'b' and dragging the contact means P to the left on the vowel button 120 as shown in FIG. 'ㅓ' having a writing order of 'ㅣ' is generated, and 'I' is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이와 같이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변경되는지에 따라 'ㆍ'의 선택 순서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한 번의 드래그 또는 가압 조작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if the selection order of '·' can be changed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the user can input various kinds of vowels through a single dragging or pressing operation.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easily enter characters.

한편, 자음버튼(110) 조작에 의해 생성된 자음과 모음버튼(120)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의 조합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음버튼(120) 조작에 의해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되는 즉시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음버튼(110) 터치와 상기 모음버튼(120) 터치가 각각 별개의 접촉수단(P)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자음버튼(110)과 접촉수단(P) 간의 접촉이 상기 모음버튼(120) 조작에 의한 단모음 또는 복모음 생성 시까지 유지되면, 상기 자음버튼(110) 터치가 해제되었을 때 즉, 사용자가 상기 자음버튼(110)에 접촉되어 있던 접촉수단(P)을 상기 자음버튼(110)으로부터 떼었을 때, 자음버튼(110) 조작에 의해 생성된 자음과 모음버튼(120)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조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음버튼(110) 터치가 해제되었을 때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도록 설정되면, 사용자는 모음버튼(120) 조작이 완료될 때까지 자음버튼(110)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생성된 자음과 모음을 하나로 조합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자음버튼(110) 터치가 해제된 이후 모음버튼(120)을 조작함으로써 자음과 모음을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short vowel or the double vowe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vowel button 120 is, as mentioned above, the short vowel by the operation of the vowel button 120 as mentioned above. Alternatively, it may be set to be made immediately after the double vowel is generated, or may be set to be made at the time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touch of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vowel button 120 are made by separate contact means P, respectively, but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contact means P is the vowel button. When it is maintained until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ion by the operation, when the touch of the consonant button 110 is released, that is, the user touches the contact means P that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separated from 110, the consonant generated by the consonant button 110 operation and the single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ed by the vowel button 120 operation may be combined. Wh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are set to be combined when the consonant button 11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keep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generated by touching the consonant button 110 until the vowel button 120 is completed. The vowels may be combined into one, and the consonants and vowels may be input separately by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s 120 after the touch of the consonant button 110 is released.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3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120)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3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8 illustrates a shape of operating the vowel button 1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illustrat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 input is show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모음자획'ㅣ, ㆍ, ㅡ'을 선택하기 위하여 모음버튼(120)을 조작하는 방식이 모음자획의 형상에 맞춰 설정될 수 있다. 즉, 'ㆍ'은 하나의 점 형상이므로 점접촉을 이루는 터치신호가 모음버튼(120)에 인가되었을 때 'ㆍ'이 선택되고, 'ㅣ'은 상하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므로 상하방향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모음버튼(120)에 인가되었을 때 'ㅣ'이 선택되며, 'ㅡ'는 좌우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므로 좌우방향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ㅡ'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음버튼(120)을 터치하는 조작으로 'ㆍ'을 선택할 수 있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드래그하는 조작을 통해 'ㅣ'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드래그하는 조작을 통해 'ㅡ'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을 입력한 후 모음자획 'ㅣ'와 동일한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기'라는 글자가 출력된다.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120 to select the vowel stroke '|, 占,-'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owel stroke. That is, since '·' is a single point shape, '·' is selected when a touch signal for point contact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and 'ㅣ' is a bar shape having a length up and down, and thus dragg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ㅣ' is selected when a signal or pressing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and 'ㅡ' is selected when a drag signal or pressing sign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since 'ㅡ' is a bar shape having a length from side to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 by touching the vowel button 120, and select 'ㅣ' by dragging up and down as shown in FIG. 8A. As shown in (b), '-' can be selected by dragging left and right. For example, after inputting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ch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vowel stroke 'ㅣ' after inputting 'ㄱ' as shown in FIG. 9,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displays' The word gi is printed.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음자획'ㅣ, ㆍ, ㅡ'의 선택을 위한 조작이 모음자획'ㅣ, ㆍ, ㅡ'의 형상에 맞춰 설정되면, 사용자는 모음버튼(120) 조작패턴을 별도로 숙지하지 아니하고서도 모음자획'ㅣ, ㆍ, ㅡ'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mentioned above, when the manipulation for selecting the vowel stroke 'ㅣ, ㆍ, ㅡ' is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owel stroke 'ㅣ, ㆍ, ㅡ', the user does not know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vowel button 120 separately.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select vowel stroke 'ㅣ, ㆍ, ㅡ'.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4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120)을 조작하는 형상을 도시한다.11 illustrates a shape of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1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상하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다가 좌우방향으로 드래그방향을 변경하거나, 좌우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다가 상하방향으로 드래그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ㆍ'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버튼(120)에 상하방향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다가 우측으로 드래그방향을 변경하면 'ㅣ'과 'ㆍ'의 필기순서를 갖는 'ㅏ'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음버튼(120)에 좌우방향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다가 하향으로 드래그방향을 변경하면 'ㅡ'와 'ㆍ'의 필기순서를 갖는 'ㅜ'가 생성될 수 있다.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g signal is in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the drag signal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drag signal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is additionally input. It may be configured to.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1, when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o the right while inputting a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ㅏ' having a writing order of 'ㅣ' and '·' is generated. Can be. Similarly, when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downward while inputting a left and right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TT' having a writing order of '-' and '·' may be generated.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추가적으로 선택되는 'ㆍ'의 선택순서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음버튼(120)에 좌우방향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다가 하향으로 드래그방향을 변경하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ㅜ'가 생성되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버튼(120)에 좌우방향 드래그신호를 입력하다가 상향으로 드래그방향을 변경하면 'ㅡ'와 'ㆍ'의 선택순서가 변경되어 'ㆍ'과 'ㅡ'가 순차적으로 선택된 것으로 설정되어 'ㆍ'과 'ㅡ'의 필기순서를 갖는 'ㅗ'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래그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변경되는지에 따라 추가적으로 선택되는 'ㆍ'의 순서가 변경되는 과정 및 조건은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lection order of '·' additionally selected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downward while inputting a left and right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TT' is generated as mention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1B, the vowel button ( If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upward while inputting the left and right drag signal to 120), the selection order of 'ㅡ' and '·' is changed so that '·' and 'ㅡ' are sequentially selected so that '·' and 'ㅡ' are selected. 'ㅗ' having a writing order of 'may be configured to be generated. Processes and conditions in which the order of additionally selected '·' is changed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are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5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12 illustrates a shap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글의 자음은 초성과 종성으로 구분되어 결합되는데,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되는 자음이 초성으로 활용될 것인지 또는 종성으로 활용될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문자 입력에 많은 오타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Hangul consonants are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the final consonants, and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can not distinguish whether the input consonant is used as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nal consonant, so that many typos occur in the character input. have.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자음을 종성으로 한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모음버튼(120)을 조작한 접촉수단(P)이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110)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110)과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접촉수단(P)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종성으로 활용되도록 한정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consonants being input to the finality so as to solve such disadvantages. That is,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means P which manipulates the vowel button 120 is dragged to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110, and then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with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contact is released,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he drag end of the contact means (P) can be limited to be utilized as the terminal.

예를 들어 자음버튼(110)과 모음버튼(120)을 조작하여 '가'를 입력한 이후, 모음버튼(120)에 접촉되어 있는 접촉수단(P)을 'ㄴ'이 할당된 자음버튼(110)까지 드래그한 후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 즉, 'ㄴ'은 '가'의 종성으로 결합되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간'이라는 글자가 출력된다. 이때, 드래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건은, 접촉수단(P)이 일정시간 이상 정지한 경우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접촉수단(P)과 자음버튼(110) 간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가 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fter inputting 'ga' by operating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vowel button 120, the consonant button 110 to which the contact means P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120 is assigned 'b' After the drag to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hat is, 'b' is combined with the finality of 'ga' is the character 'gan' is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In this case,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that the drag is completed may be a case where the contact means P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ay be a case where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means P and the consonant button 110 is released. have.

이와 같이 입력되는 자음을 종성용으로 한정할 수 있으면,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f the consonants to be input in this way can be limited to the final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be faster and more accurate character input.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으로 영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100)가 구성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하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6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하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모음버튼(120)의 확대도이고, 도 16은 모음 입력 후 자음을 추가로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FIG. 13 illustrates a touch screen in which a keypad 100 is configured to input English by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llustrates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owel button 120 shown in FIG. 14, and FIG. 16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a consonant is additionally input after vowel input.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이 영어 입력용으로 적용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100)에는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110)과 모음이 할당된 모음버튼(120)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모음버튼(120)에는 5개의 모음 'A, E, I, O, U'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nglish input, the keypad 1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cludes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110 assigned with consonants and a vowel button 120 assigned with vowels. . At this time, five vowels 'A, E, I, O, U' are assigned to the vowel button 120, and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touch screen surface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When selected,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and displayed on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K'를 입력한 후 모음버튼(120)에 상향 드래그신호 또는 상향 가압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KA'가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음버튼(120)에 터치신호가 인가될 때 'U'가 입력되고,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상하좌우로 인가되는 경우 'A, O, E, I'가 각각 입력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터치신호가 인가될 때 입력되는 모음의 종류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는 방향별로 입력되는 모음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inputting 'K' as shown in FIG. 14, when an upward drag signal or an upward pressure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KA' is in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U' is input, an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up, down, left, and right, 'A, O, E, Although only I 'is input, the type of the vowel input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or the type of the vowel inp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음버튼(120)이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일측 방향으로 1회 인가하는 경우 'A'가 입력되고,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일측 방향을 2회 인가하는 경우 'O'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different vowels are inp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to which the vowel button 120 is applied is described. However,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is describ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different vowels may be input. For example, 'A' is input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once in one direction, and 'O' is applied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twice in one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pu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모음버튼(120) 조작을 통해 모음을 입력한 후 상기 모음버튼(120)을 조작한 접촉수단(P)이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110)까지 드래그되었을 때, 상기 접촉수단(P)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버튼(110)과 모음버튼(120)을 조작하여 'KA'를 입력한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수단(P)을 'N'이 할당된 자음버튼(110)까지 드래그하였을 때,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위치하는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 즉, 'N'이 추가로 입력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KAN'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건은, 접촉수단(P)이 일정시간 이상 정지한 경우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접촉수단(P)과 자음버튼(110) 간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putting the vowe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owel button 120, the contact means (P) operating the vowel button 120 has been dragged to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P is terminat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may be further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For example, after inputting 'KA' by operating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vowel button 120, as shown in FIG. 16,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assigned to 'N'. In this case,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positioned at the point at which the drag is finished, 'N' is additionally input, and 'KAN' may be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In this case,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that the drag is completed may be a case where the contact means P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ay be a case where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means P and the consonant button 110 is released. have.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7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자음버튼(110)의 확대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7 실시예에 따라 모음을 입력한 후 자음을 추가로 입력하는 형상을 도시한다.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sonant button 110 shown in FIG. 17, and FI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 shape in which an additional consonant is input after a vowel is input.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11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별로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자음버튼(110)에 상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과 더불어 모음이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input for each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That is,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upwar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he vowel may be additionally input together with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o which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K'가 할당된 자음버튼(11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 즉, 'K'와 더불러 'A'라는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음버튼(11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상하좌우로 인가되는 경우 'A, O, E, I'가 각각 입력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는 방향별로 입력되는 모음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11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상향으로 1회 인가하는 경우 'A'가 입력되고,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상향을 2회 인가하는 경우 'U'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o which 'K' is assigned, as shown in FIG. 17,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hat is, the 'K' The vowel 'A' may be configured to be additionally ente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A, O, E, I' is input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up, down,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is applied. The type of vowel input for each direc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different vowels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ag signals or pressure signal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For example, 'A' is input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upward to the vowel button 120 once, and 'U' is input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twice. It may be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110) 조작을 통해 모음을 입력한 후 상기 자음버튼(110)을 조작한 접촉수단(P)이 다른 하나의 자음버튼(110)까지 드래그되었을 때, 상기 접촉수단(P)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K'가 할당된 자음버튼(110)을 조작하여 'KA'를 입력한 후 접촉수단(P)을 'N'이 할당된 자음버튼(110)까지 드래그하였을 때,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위치하는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 즉, 'N'이 추가로 입력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KAN'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건은, 접촉수단(P)이 일정시간 이상 정지한 경우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접촉수단(P)과 자음버튼(110) 간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putting the vowe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button 110, the contact means (P) operating the consonant button 110 has been dragged to the other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P is terminat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may be further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after inputting 'KA' by operating the consonant button 110 to which 'K' is assigned, drag the contact means P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o which 'N' is assigned. In this case,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positioned at the point at which the drag is finished, 'N' is additionally input, and 'KAN' may be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In this case,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that the drag is completed may be a case where the contact means P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ay be a case where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means P and the consonant button 110 is released. have.

이와 같이 자음버튼(11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키패드(100)에 모음버튼(120)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100)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vowel button 120 is configured to input a vowel by applying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110 as described above, the vowel button 120 may be omitted from the keypad 100, and thus, the keypad 100 may be used more wid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더 나아가, 복수 개의 자음이 할당되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자음을 출력하는 복수자음버튼(13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는 두 개 이상의 자음이 할당되며,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할당된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디폴트로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할당된 자음 중 다른 하나의 자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선택 가능한 자음이 둘 이상인 경우 즉,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 세 개 이상의 자음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자음이 선택된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consonants may be allocated, but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for outputting differen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two or more consonants are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and any one of the consonants (default consonants assigned by default) selected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is selected. The consonan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to select another consonant among consonants assigne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to be displayed on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In this case, when two or more consonants are selectable as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that is, when three or more consonants are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When is applied, different consonant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 direction.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복수자음버튼(130)에 'V, W, X, Y, Z' 자음이 할당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 터치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의 가운데에 표시된 'V'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복수자음버튼(130)의 상하좌우 측에 표시된 'W, Z, X, Y'가 각각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나 복수자음버튼(130)에 다수 개의 자음을 할당시키면, 키패드(100)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V, W, X, Y, Z' consonants are assigned to one consonant button 130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applies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130. When the 'V'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consonant button 130 is selected, and the user applies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W, Z, X, Y' display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are selected respectively. In this way, by assigning a plurality of consonants to the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13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keypad 100 can be used more widely.

또한, 키패드(10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자음버튼(110)을 상기 언급한 복수자음버튼(13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자음버튼(110)이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자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키패드(100)의 공간을 보다 현저히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ll the consonant buttons 110 displayed on the keypad 100 may be set to the aforementioned multi-consonant buttons 130. As such, if all the consonant buttons 110 ar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kinds of consonan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the space of the keypad 100 can be utilized more widely.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implementations.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20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는 도 2 내지 도 19에 도시된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키패드(100)와 입력문자 출력창(200)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1)과, 상기 터치스크린(1)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1)으로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터치스크린(1) 표면(더 명확하게는 키패드(100)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2)와, 상기 키패드(10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음과 모음을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키는 제어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character input method shown in Figures 2 to 19, the touch screen (1) is displayed on the keypad 100 and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nd The touch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1 and the drag signal are separately detected or along the touch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1 and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1 (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keypad 100). And an input sensing unit (2) for distinguishing and detecting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nd a controller (3) for out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according to the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100). do.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가 천지인 방식의 문자입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100)에는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110)과, 모음자획 ㅣ, ㆍ, ㅡ 이 할당된 하나의 모음버튼(120)이 구비된다.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mplement a character input of the celestial manner, the keypad 100 has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110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a vowel stroke |,. The vowel button 120 is provided.

이때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자음버튼(110)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을 생성하여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는, 상기(120)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나머지 두 개의 모음자획을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선택하며,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모음을 생성하여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하고 둘 이상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the control unit 3 generates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outputs i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In addition,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120, the control unit 3 selects any vowel stroke of 'ㅣ, ·, ㅡ' and drags the signal to the vowel button 120 or the touch screen 1. When the pressing signal in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is applied, the remaining two vowel strokes of 'ㅣ, ㆍ, ㅡ' are resp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and when one vowel stroke is selected Generate short vowels and output them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nd when two or more vowel strokes are selected, generate short vowels or double vowels with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and output them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It is compos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가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생성하여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하나의 모음버튼(120)만을 조작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을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controller 3 is configured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short vowels or double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and output them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the user may select one. By operating only the vowel button 120, all kinds of vowels can be input,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acter input can be more easily and quickly.

이때, 상기 제어부(3)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모음자획을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모음버튼(120)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ㅣ, ㅡ'를 각각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한 번의 모음버튼(120) 조작을 통해 둘 이상의 모음자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는 터치스크린(1) 표면을 따르는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ㆍ'를 추가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 selects '·'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and drags the vowel button 120 so that a user can easily distinguish and select a vowel stroke. Alternatively, when the pressing signal is applied, 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 'ㅣ, ㅡ'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roller 3 can input two or more vowel strokes through one manipulation of the vowel button 120,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s appli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1. 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y one of the ',', and to further select '·' w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또한, 상기 자음버튼(110) 터치와 상기 모음버튼(120) 터치가 각각 별개의 접촉수단(P)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자음버튼(110)과 접촉수단(P) 간의 접촉이 상기 모음버튼(120) 조작에 의한 단모음 또는 복모음 생성 시까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자음버튼(110)과 접촉수단(P) 간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 조작에 의해 생성된 자음과 상기 모음버튼(120)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 자음버튼(110)과 접촉수단(P) 간의 접촉 해제 시점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생성된 자음과 모음을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킬 수도 있고, 생성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글자로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of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vowel button 120 are made by separate contact means P, respectively, but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contact means P is the vowel button 120. When maintained until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ion by the operation, the controller 3 is a consonan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contact means (P) is released And a combination of short vowels or double vowels generated by the vowel button 120 operation to be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When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s configured to be made at the time of release of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contact means P, the user can independently output the generated consonants and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Alternatively, a combination of the generated consonants and vowels may be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s a single characte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가 영어입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100)에는 알파벳 중 자음이 할당된 자음버튼(110)과 알파벳 중 'A, E, I, O, U'가 할당된 하나의 모음버튼(12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는 상기 터치스크린(1) 중 상기 자음버튼(110)이 디스플레이된 부위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키고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 표면(더 명확하게는 키패드(100)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상기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mplement the English input, the keypad 100, the consonant button 110 is assigned a consonant of the alphabet and 'A, E, I, O, U' of the alphabet Is provided with a single vowel button 120 and the control unit 3 is connec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touch screen 1 on which the consonant button 110 is displayed. The assigned consonants are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nd the vowel button 120 has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1 (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keypad 100). When it is input, it is configured to output different types of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direction of the press sig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가 영어입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드래그를 통해 자음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는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110) 또는 모음버튼(120)으로부터 또 다른 자음버튼(110)까지의 드래그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추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mplement English input, the control unit 3 further inputs from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110 or the vowel buttons 120 so as to additionally input consonants by dragging. When a drag signal to another consonant button 110 is input,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in which the drag is completed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또한, 상기 제어부(3)는,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뿐만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within a preset time. 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가 자음버튼(110) 조작을 통해 모음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100)에는 자음버튼(11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는 상기 터치스크린(1) 중 상기 자음버튼(110)이 디스플레이된 부위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키고 상기 자음버튼(110)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상기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vowel inpu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button 110, the keypad 100 is provided with a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control unit 3 includes the touch screen ( 1)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consonant button 110 is displayed,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is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and the drag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110. Alternatively, when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1 is input,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It can be configured to.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가 자음버튼(110) 조작을 통해 모음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드래그를 통해 자음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는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110)으로부터 또 다른 자음버튼(110)까지의 드래그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 추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put the vowel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button 110, the control unit 3 is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 ( When the drag signal from the consonant button 110 to another consonant button 110 is input,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in which the drag is completed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또한, 상기 제어부(3)는, 자음버튼(11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뿐만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11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the drag signal or pressing signal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제어부(3)는 도 2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입력감지부(2)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터치스크린(1)의 출력을 제어한다. 모음버튼(120) 또는 자음버튼(110)에 입력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생성되는 과정과, 자음버튼(110)에서 종료되는 드래그에 의해 자음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과정 등은 도 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제어부(3)가 입력문자 출력창(200)으로 문자를 출력시키는 제어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control unit 3 included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from the input sensing unit 2 so as to implement various character input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9. Control the output of the touch screen (1). The process of creating a vowe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input to the vowel button 120 or the consonant button 110, and the process of additionally inputting the consonant by dragging terminated from the consonant button 110 are illustra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9,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character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by the controller 3 will be omitted.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블록도이다.21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경우 상기 키패드(100)와 입력문자 출력창(200)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터치스크린(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dy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keypad 100 and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are connected to one touch screen 1 as shown in FIG. 20.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isplayed.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1)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키패드(100)를 조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에는 입력문자 출력창(200)만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키패드(100)는 터치스크린(1)과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키패드(100)가 터치스크린(1)과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100)는 상기 터치스크린(1)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패드(100)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00)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외부로부터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와 가압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되 화면출력 기능은 없는 신호입력장치의 한 종류) 구조 또는 터치스크린(외부로부터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와 가압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면서 화면출력까지 가능한 신호입력장치의 한 종류) 구조를 갖는 터치식 키패드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user needs to operate the keypad 100 at a point away from the touch screen 1, only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 as shown in FIG. 21. The keypad 10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touch screen 1. As such, when the keypad 100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ouch screen 1, the keypad 100 is preferably connected wirelessly or by wir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ouch screen 1. In addition, the keypad 100 may receive a touch signal (a touch signal, a drag signal and a press signal from the outside, but a signal without a screen output function) so that a user may input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to the keypad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 applied to a touch keypad having a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or a touch screen (a type of signal in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touch signal, a drag signal and a press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screen).

한편, 입력문자 출력창(200)은 단순히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외부로부터 터치신호나 드래그신호, 가압신호를 인가받는 역할은 수행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100)와 입력문자 출력창(200)이 별도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은 터치스크린(1)에 디스플레이되지 아니하고 일반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00 merely serves to output the input character only does not play a role of receiving a touch signal, a drag signal, a pressing signal from the outside. Therefore, as shown in FIG. 21, when the keypad 100 and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ar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200 is no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 and is a general liquid crystal.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키패드 110 : 자음버튼
120 : 모음버튼 130 : 복수자음버튼
200 : 입력문자 출력창
100: keypad 110: consonant button
120: vowel button 130: plural consonant button
200: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Claims (31)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과, 모음자획 ㅣ, ㆍ, ㅡ 이 할당된 하나의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나머지 두 개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되,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모음이 생성되어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둘 이상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Hangul using a keypad output on a touch screen,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on a touch screen, the keypad includ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one vowel button to which vowel strokes |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y vowel stroke of 'ㅣ, ㆍ, ㅡ' is selected, an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touch screen surface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 second step in which the remaining two vowel strokes are selected, and different vowel strok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When one vowel stroke is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 corresponding short vowe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nd when two or more vowel strokes are selected in the second step, the vowel stroke has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short vowel or a double vowel and outputting i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에 좌향 드래그신호 또는 좌향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모음버튼에 우향 드래그신호 또는 우향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다른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ep, '·' is selected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any one of 'ㅣ, ㅡ' is selected when a left drag signal or a leftward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Characteristic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ㅣ, ㅡ' is selected when the rightward drag signal or the rightward pressure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버튼에 좌우방향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ㅡ'가 선택되며, 상기 모음버튼에 상하방향의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ep, '·' is selected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 is selected when a left or right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the vowel button is selected.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ㅣ'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또는 'ㅡ'가 선택되고,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ㆍ'이 추가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ep, 'ㅣ' or '-' is selecte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 is additionally selected when the drag direction or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사전에 설정된 방향으로 변경되면, 추가로 선택된 'ㆍ'이 이전에 선택된 'ㅣ' 또는 'ㅡ'보다 먼저 선택된 것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w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to a preset direction, the additionally selected '·' is set to be selected earlier than the previously selected 'ㅣ' or 'ㅡ'.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기 이전에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어 자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되었을 때 상기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상기 자음과 조합되어 하나의 글자로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nsonant by applying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before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s are generated, the single vowel or the double vowel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and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s one le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기 이전에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어 자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음버튼 터치와 상기 모음버튼 터치는 각각 별개의 접촉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이루어진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다가 상기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생성된 이후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해제 되었을 때 생성된 자음과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조합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generating a consonant by applying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before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Configured to be made by means,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made in the second step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released after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is generated, the third step is a consonant generated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is released And the generated short vowels or the double vowels are combined and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기 이전에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어 자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이 상기 자음과 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음버튼을 조작한 접촉수단이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접촉수단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제3 단계에서 조합된 글자의 종성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nsonant by applying a touch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before the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The third step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ort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ed by the vowel button operation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When the contact means for operating the vowel button is dragged to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is terminated is performed.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bined by the finality of the letters combined in step 3.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2 단계;
상기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alphabet using the keypad output on the touch screen,
A first step of displaying on the touch screen a keypad includ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 second step of outputting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to an input text output window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touched;
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when the drag signal or the pressing signal in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and outputting them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A, E, I, O, U'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step is a character inpu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E, I, O, U'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or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W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third step is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within a preset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를 인가한 접촉수단이 다른 자음버튼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접촉수단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third step, if the contact means applying the drag signal or the press signal to the consonant button is dragged to another consonant button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is terminated. 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button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과, 모음이 할당된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alphabet using the keypad output on the touch screen,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a vowel button assigned to a vowel on a touch screen;
A second step in which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and displayed on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에는 두 개 이상의 자음이 할당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할당된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과정과, 상기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할당된 자음 중 다른 하나의 자음이 선택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sonant button is assigned two or more consonants,
In the second step,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one consonant of the assigned consonants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nd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And selecting another consonant among the allocated consonants and displaying the consonants in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에는 세 개 이상의 자음이 할당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자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ree or more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In the second step,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a different consona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or a pressing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A, E, I, O, U' 중 어느 하나가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고, 상기 모음버튼이 터치된 이후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추가로 인가되었을 때 'A, E, I, O, U' 중 나머지 네 개가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step comprises:
When the vowel button is touched, any one of 'A, E, I, O, U' is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after the vowel button is touched, the drag signal or the touch screen surface is followed by the vowel button. When the pressure signal of the direction is additionally applied, the remaining four of 'A, E, I, O, U'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pressure direction of the pressure signal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cond step is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within a preset tim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버튼을 조작한 접촉수단이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까지 드래그된 후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거나 상기 자음버튼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접촉수단의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contact means for manipulating the vowel button is dragged to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the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ging of the contact means is terminated is inputted. Character input method further comprises a third step output to the character output window.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문자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자음이 할당된 둘 이상의 자음버튼과 모음자획 ㅣ, ㆍ, ㅡ 이 할당된 하나의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입력문자 출력창;
상기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ㅣ, ㆍ, ㅡ' 중 어느 하나의 모음자획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ㆍ, ㅡ' 중 나머지 두 개의 모음자획을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 또는 가압신호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선택하며, 하나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고 둘 이상의 모음자획이 선택되는 경우 모음자획들의 선택 순서와 동일한 필기순서를 갖는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 keypad having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one vowel button to which vowel strokes |
An input text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ext input by the keypad operation;
An input sensing unit for classifying and sensing a touch signal and a drag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or classifying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and a pressurization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one of the vowel strokes is selected, an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Select the remaining two vowel strok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or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and if one vowel stroke is selected, a corresponding short vowe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hort vowel or a double vowel having the same writing order as the selection order of the vowel strokes and outputting the vowel stroke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ㆍ'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에 따라 'ㅣ, ㅡ'를 각각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lect '·'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select 'ㅣ, ㅡ'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or a pressing direction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ㅣ,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드래그방향 또는 가압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ㆍ'를 추가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lect any one of 'ㅣ, ㅡ'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s appli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and further select '·' when the dra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is change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생성하여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며,
상기 자음버튼 터치와 상기 모음버튼 터치가 각각 별개의 접촉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상기 모음버튼 조작에 의한 단모음 또는 복모음 생성 시까지 유지되면, 상기 자음버튼과 접촉수단 간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자음과 상기 모음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단모음 또는 복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unit,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When the consonant button touch and the vowel button touch are each made by separate contact means and the contact betw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is maintained until the generation of a single vowel or double vowel by the vowel button operatio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contact means And a consonant generated by the consonant button operation and a single vowel or double vowel generated by the vowel button operation to be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when the contact is released.
자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입력문자 출력창;
상기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고, 상기 자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상기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 keypad having a consonant button;
An input text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ext input by the keypad operation;
An input sensing unit for classifying and sensing a touch signal and a drag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or classifying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and a pressurization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is output to the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an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is input to the consonant button, the drag signal is dragge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으로부터 또 다른 자음버튼까지의 드래그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추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n the drag signal from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to another consonant button is input,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output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after the dragging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Input devic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자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within a preset time.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입력문자 출력창;
상기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드래그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신호와 상기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자음버튼에 터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고,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 또는 상기 키패드 표면을 따르는 방향의 가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신호의 드래그방향 또는 상기 가압신호의 가압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출력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 keypad having a consonant button and a vowel button;
An input text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ext input by the keypad operation;
An input sensing unit for classifying and sensing a touch signal and a drag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or classifying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keypad and a pressurization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When a touch signal is applied to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is output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nd when a drag signal or a pressing signal in a direction along the keypad surface is input to the vowel button, the drag signal is dragge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signal;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으로부터 또 다른 자음버튼까지의 드래그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에 추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output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after the dragging to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when a drag signal from one consonant button or a vowel button to another consonant button is input. Character input device.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 또는 가압신호 입력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a drag signal or a press signal input frequency applied to the vowel button within a preset time.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와 입력문자 출력창은 하나의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9, wherein
The keypad and input text output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one touch screen.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과 분리된 터치패널 구조 또는 터치스크린 구조를 갖는 터치식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9, wherein
The keypad may be a touch keypad having a touch panel structure or a touch screen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input text output window.
KR1020100044729A 2010-05-13 201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KR101253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29A KR101253645B1 (en) 2010-05-13 201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PCT/KR2011/003512 WO2011142606A2 (en) 2010-05-13 2011-05-12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nd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recor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29A KR101253645B1 (en) 2010-05-13 201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294A true KR20110125294A (en) 2011-11-21
KR101253645B1 KR101253645B1 (en) 2013-04-11

Family

ID=4539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29A KR101253645B1 (en) 2010-05-13 201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6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74B1 (en) * 2012-05-12 2014-07-22 봉래 박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el charac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215A (en)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character input method
KR20100039650A (en)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screen
KR20100024471A (en) * 2010-02-12 2010-03-05 김정욱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initial phoneme, a medial vowel or a final phoneme of hangul at a time using a touch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74B1 (en) * 2012-05-12 2014-07-22 봉래 박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el charac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645B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0482B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KR201000273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KR101248752B1 (en) Text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1596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KR1012536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KR100656779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101744124B1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ual fuction of inputs and ouputs in character outputs area
KR20120083293A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US10430029B2 (en) Character input assist device
KR10089397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1570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KR20120004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touch-screen
KR20120097921A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EP2524283A1 (en) Virtual keyboard
JP20121088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device operation method
KR20100023548A (en)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100772282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1522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put window using touchscreen
KR20100027195A (en) Method for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KR101260998B1 (en) Signal input apparatus having signal input part and signal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101546687B1 (en) Method of hangul input using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KR101075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JP2016218890A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