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162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162A
KR20110125162A KR1020110012565A KR20110012565A KR20110125162A KR 20110125162 A KR20110125162 A KR 20110125162A KR 1020110012565 A KR1020110012565 A KR 1020110012565A KR 20110012565 A KR20110012565 A KR 20110012565A KR 20110125162 A KR20110125162 A KR 2011012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portable terminal
terminal
hand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735B1 (ko
Inventor
신용주
이재호
류완상
김다정
윤지연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05,174 priority Critical patent/US8644779B2/en
Priority to JP2011107139A priority patent/JP5795491B2/ja
Publication of KR2011012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인체 영향(Body Effect)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이루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방법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 리시버 사용 여부, 스피커 사용 여부, 근접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수신 여부 및 슬라이드 상태 중에서 하나 이상과 통화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TMN(Tunable Matching Network)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에 따라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인체 영향(Body Effect)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이루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을 위한 송수신 장치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와 송신 회로 간 부정합(mismatching)은 상기 송수신 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이러한 안테나 부정합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고정된 LC(L: Inductor, C: Capacitor) 회로를 이용한 FMN(Fixed Matching Network)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FMN 방식을 사용할 경우, 안테나 정합을 위한 최적의 LC 회로 소자값을 찾기 위해 단말 개발 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더욱이, 전계 상황에 따라 LC 회로 소자값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RF(Radio Frequency) 성능문제, 특히, 약전계의 경우 호 드랍(Call Drop), 묵음(Mute) 발생 등의 성능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FMN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 TMN(Tunable Matching Network) 방식이다. 상기 TMN 방식은 고정된 LC 회로가 아닌 가변 LC 회로를 이용하며, 전계 상황 및 사용자 환경에 따라 최적의 LC 회로 소자값으로 안테나 정합을 이룸으로써, 안테나 변경 없이 다양한 전계 상황에서 RF 성능개선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TMN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실제 환경에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사용 방식에 따른 안테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안테나 방사 성능은 사용자의 인체 영향(Body Effect)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와 같은 환경 인터페이스(Environmental Interface)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된 최적의 안테나 정합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TMN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위와 같은 환경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TMN 회로(즉, LC 회로)를 조정(tuning)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인체 영향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이루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인체 영향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대역(Band), 채널(Channel),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Mode, 예를 들어 통화모드, 유휴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Set, 예를 들어 슬라이드 업, 슬라이드 다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Position,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부분에 위치,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위치, 사용자의 인체 영향이 없는 곳에 위치) 등에 따른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들을 저장한 참조 테이블(Look Up Table)을 기반으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Set, 예를 들어 슬라이드 업, 슬라이드 다운),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Mode, 예를 들어 통화모드, 유휴모드), 리시버(receiver)의 사용 여부, 라우드 스피커(Loudspeaker)의 사용여부, 이어 잭(Ear Jack)의 연결 여부, 블루투스(Bluetooth) 오디오의 연결여부 등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Position,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부분에 위치(Hand),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위치(Head+Hand), 사용자의 인체 영향이 없는 곳에 위치(Free))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 여부, 근접 센서의 동작 여부 및 USB 연결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상태를 Free, Hand, Head+Hand 및 USB 최적화(Optimization)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방법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 리시버 사용 여부, 스피커 사용 여부 및 근접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수신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과 통화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TMN(Tunable Matching Network)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에 따라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는 핸드(Hand) 상태, 헤드 앤 핸드(Head+hand) 상태, USB 최적화(Optimization) 상태 및 프리(Free)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된다. 상기 핸드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사용자의 손에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헤드 앤 핸드(Head+hand)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사용자의 머리에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프리(Free) 상태는 단말기가 유휴 모드에 있는 상태이고, 상기 USB 최적화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프리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USB 최적화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테스트 모드인 동안 상태 결정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 상기 프리 상태 및 상기 USB 최적화 상태 중에서 상기 상태 결정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프리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이고 상기 리시버가 사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이고 상기 스피커가 사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 리시버 사용 여부, 스피커 사용 여부 및 근접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수신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과 통화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이용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TM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인체 영향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안테나 정합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다양한 전계 상황에서 RF 성능(Performance)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사 전력(Reflected Power)을 최소화하여 송신 전력 측면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전류소모가 최소화되고, 배터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율 및 묵음(Mute)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모드에서 안테나 정합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말 상태 결정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인체 영향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이루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대역(Band), 채널(Channel),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Mode, 예를 들어 통화모드, 유휴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Set, 예를 들어 슬라이드 업, 슬라이드 다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Position,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부분에 위치,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위치, 사용자의 인체 영향이 없는 곳에 위치) 등에 따른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들을 저장한 참조 테이블(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한다. 참조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슬라이드 상태는 단말기가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예컨대, 바(bar) 타입의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고려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서비스망(Service Network)별로 해당 서비스망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대역이 존재하고, 각 대역별로 다수의 채널이 존재하며, 인접 채널간 방사 성능의 편차가 미미하다. 따라서, 상기 참조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서비스망 대역별로 해당 대역의 전체 채널에 대해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모두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양을 고려할 때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망 대역별로 해당 대역의 전체 채널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여기서, 서비스망 대역별 채널 그룹의 개수는 각 대역별 대역폭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과 WCDMA 망에서 지원하는 대역별 채널 그룹의 개수는 하기 <표 1>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예를 들어, PCS 1900 대역에 대한 참조 테이블은, 하기 <표 2>와 같이, 대역, 채널,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등에 따른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모드 파라미터의 경우, Call과 Idle은 각각 통화모드 및 유휴모드를 의미한다. 슬라이드 상태 파라미터의 경우, S/U 및 S/D는 각각 슬라이드 업과 슬라이드 다운을 의미한다. 위치 파라미터의 경우, Free는 사용자의 인체 영향이 없는 곳에 단말이 위치함을 의미하고, Hand는 사용자의 손 부분에 단말이 위치함을 의미하며, H+H(Head + Hand)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단말이 위치함을 의미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슬라이드 상태,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 리시버(receiver)의 사용 여부, 라우드 스피커(Loudspeaker)의 사용 여부, 이어 잭(Ear Jack)의 연결 여부 및 블루투스(Bluetooth) 오디오의 연결 여부 등에 따라 하기 <표 3>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모드 파라미터의 경우, 'O'는 통화모드, 'X'는 유휴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업 상태의 Case 9는 단말기가 통화모드이고, 리시버가 사용되며, 라우드스피커가 사용되지 않으며, 이어잭 및 블루투스 오디오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S/U H+H 즉, 슬라이드 업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단말이 위치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업 상태의 Case 13의 경우, 단말기가 통화모드이고, 라우드 스피커가 사용되며, 리시버가 사용되지 않으며, 이어 잭 및 블루투스 오디오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S/U Hand 즉, 슬라이드 업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 부분에 단말이 위치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휴대용 단말기에 근접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이 구현되어 있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정의함에 있어서, 더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계 101에서 전원이 온(ON) 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101에서, 전원 온이 감지될 시,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3로 진행하여 메모리에서 참조 테이블을 추출한다. 여기서, 참조 테이블은 예를 들어,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서비스망 대역별로 해당 대역의 전체 채널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참조 테이블을 구성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5에서는 서비스망을 검색하고, 단계 107에서는 검색된 서비스 망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하는 대역 및 채널을 확인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에서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상태를 결정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등을 결정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 리시버의 사용 여부, 라우드 스피커의 사용 여부, 이어 잭의 연결 여부 및 블루투스(Bluetooth) 오디오의 연결 여부 등을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11에서는 추출된 참조 테이블을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 대역 및 채널, 그리고 결정된 단말 자신의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13에서는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으로 안테나 정합을 수행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에 대응하는 LC 회로 소자값으로 안테나 정합을 수행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상기 안테나 정합 시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먼저, 통화모드일 때 휴대용 단말기는 상향링크 송신 시간, 하향링크 수신 시간, 수신 모니터링 실행 시간을 제외하여 안테나 정합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통화모드에서 프레임 내 8개의 클럭(Clock)이 발생하고, 0번 클럭에서 상향링크 송신이 이루어지며, 2번 클럭에서 수신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5번 클럭에서 하향링크 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런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 4, 7번 클럭에서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유휴모드일 때 휴대용 단말기는 대역 변경, 채널 변경 및 단말 상태 변경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안테나 정합이 요구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시점에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안테나 정합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안테나 정합 시점에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모뎀(202), RF(Radio Frequency)처리부(204), TMN부(206) 및 메모리(2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송신 신호를 모뎀(202)으로 제공하고, 모뎀(202)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 이외에도,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인체 영향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00)는 단말의 상태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등을 결정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 리시버의 사용 여부, 라우드 스피커의 사용 여부, 이어 잭의 연결 여부 및 블루투스(Bluetooth) 오디오의 연결 여부 등을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단말기의 상태를 프리(Free) 상태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단말기가 유휴 모드에서 통화 모드로 전환되면, 슬라이드 상태를 체크하고 메모리를 리딩(reading)하여 리시버의 사용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슬라이드 상태가 업 상태이고 메모리 리딩 결과 리시버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상태를 S/U H+H 상태로 결정한다. 이때, 입력부로부터 리시버에서 스피커로 전환하도록 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상태를 S/U H+H에서 S/U Hand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200)는 메모리(208)에서 참조 테이블을 추출하고, 추출된 참조 테이블을 기반으로, 사용 대역 및 채널, 그리고 결정된 단말의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한 후,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TMN부(206)로 제공한다. 여기서,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TMN부(206)로 제공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아닌, 물리 계층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대역 변경, 채널 변경 또는 단말 상태 변경에 따라 안테나 정합 수행이 요구되는 경우, TMN부(206)는 해당 안테나 정합 시점에 바로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모뎀(202)은 송수신 신호에 대한 기저대역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한다.
RF처리부(204)는 송수신 신호에 대한 RF 대역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04)는 RF 대역 송수신 신호의 증폭, RF 대역 신호 및 기저대역 신호 간 변환 등을 수행한다.
TMN부(206)는 안테나 정합을 위하여 안테나 및 RF처리부(204) 사이의 경로상에 설계된 가변 LC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으로 안테나 정합을 수행한다. 즉, TMN부(206)는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에 대응하는 LC 회로 소자값으로 안테나 정합을 수행한다.
여기서, TMN부(206)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안테나 정합 시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먼저, 통화모드일 때 상기 TMN부(206)는 상향링크 송신 시간, 하향링크 수신 시간 및 수신 모니터링 실행 시간을 제외하여 안테나 정합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유휴모드일 때 TMN부(206)는 대역 변경, 채널 변경 및 단말 상태 변경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안테나 정합이 요구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시점에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08)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08)는 사용자의 인체 영향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08)는 참조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참조 테이블은 예를 들어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서비스망 대역별로 해당 대역의 전체 채널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그룹별로 참조 테이블을 구성하고, 구성된 참조 테이블을 메모리(208)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 개수는 해당 대역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2와 같은 장치 구성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RF 성능(TRP/TIS)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GSM850, DCS1800 및 PCS1900는 서로 다른 서비스망 대역을 나타내며, Ref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MN 방식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고, TMN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MN 방식을 적용한 경우를 의미한다. TRP(Total Radiated Power) 및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는 자유공간상에서 무선 통신 기기의 송신 성능 및 수신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TRP는 BER(Bit Error Rate)가 2.44%가 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의미한다. TRP 및 TIS의 값이 높을수록 안테나 정합이 잘 이루어짐으로써 반사 전압이 최소화가 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RF 성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도 2와 같은 장치 구성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율 및 묵음(Mute)율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pat00005
<표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MN 방식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대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MN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송수신율 및 묵음(Mute)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며, 전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MN 방식을 적용한 경우 더 우세하거나 동등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말 상태 결정 과정(단계 109)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단말기는 메모리에서 참조 테이블을 추출한다. 그런 다음 실시간 운영체제(RTOS; Real Time Operating System)를 통하여 우선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대역(Band)을 체크하고 채널을 선택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상태를 체크한다. 예를 들자면, 휴대용 단말기는 실시간 운영체제를 통하여 단말기의 모드가 통화 모드인지 유휴 모드인지를 체크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비실시간 운영체제(Non-RTOS)를 통하여 근접 센서(Porximity Sensor)의 동작 여부 및 USB 연결 여부를 체크한다.
이러한 단말기 모드, 근접 센서의 동작 여부 및 USB 연결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상태는 하기 <표 6>와 같이, Free, Hand, Head+hand 및 USB 최적화(Optimization) 이렇게, 4 가지의 경우로 결정될 수 있다.
모드 근접센서 USB 상태
Idle Don't care X Free
Call X X Hand
Call O X Head+Hand
Call Don't care O USB optimization
Don't care Don't care Don't care 테스트 모드(Key string test mode)
1. Free
2.Hand
3. Head
3.Head+Hand
4. USB Optimization
여기서, 근접센서의 파라미터 'O'는 외부 물체가 근접센서에 근접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X'는 외부 물체가 근접 센서에 근접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USB의 파라미터 'O'는 단말기의 USB 커넥터로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X'는 단말기의 USB 커넥터로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Don't care'는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파라미터를 고려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1에서 모드를 확인한다. 단계 1091에서의 확인 결과 유휴 모드이면 단계 1092로 진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2에서 단말기의 상태를 Free 상태로 결정한 다음, 앞서 설명한 단계 111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2를 수행함에 있어서, 근접센서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유휴 모드이면 USB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1에서의 확인 결과 통화 모드이면 단계 1093으로 진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3에서 USB 연결 여부를 확인 한다. 단계 1093에서의 확인 결과 USB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단계 1094로 진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4에서 단말기의 상태를 USB Optimization 상태로 결정한 다음 단계 111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4를 수행함에 있어서, 근접센서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3에서의 확인 결과 USB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1095로 진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5에서 근접센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1095에서의 확인 결과 근접 센서가 동작하지 않으면 단계 1096으로 진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6에서 단말기의 상태를 Hand 상태로 결정한 다음 단계 111로 진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95에서의 확인 결과 근접 센서가 동작하면 단계 1097로 진행한다. 여기서, 근접 센서가 동작한다는 것은 근접 센서로 외부 물체가 가까이 접근함에 따라 근접 센서가 단말기의 제어부로 근접 신호를 출력함을 의미한다. 단말기는 단계 1097에서 단말기의 상태를 Head+Hand 상태로 결정한 다음 단계 111로 진행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부로부터 특정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RF 성능 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Key string test mode)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테스트 모드이면 통화 여부, 근접 센서 동작 여부 및 USB 연결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이러한 테스트 모드일 때, 단말기의 상태를 사용자 임의대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단말기를 테스트 모드로 전환한 후, 단말기의 상태를 Free, Hand, Head, Head+Hand 및 USB Optimization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번호키 1번을 눌러 단말기의 상태를 Free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300), 모뎀(310), RF 처리부(320), TMN부(330), 메모리(340), 근접 센서(350), 커넥터(360), 입력부(370) 및 표시부(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00)는 근접 센서(350)로부터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커넥터(360)로부터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300)는 통화 여부, 근접 센서의 동작 여부 및 USB 연결 여부 등에 따라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단말기의 상태를 프리(Free) 상태로 결정한다.
제어부(300)는 단말기가 유휴 모드에서 통화 모드로 전환되면,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 및 근접 센서의 동작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기의 상태를 USB 최적화 상태로 결정한다. 반면,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근접 센서(350)로부터 근접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상태를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한다. 만약 근접 센서(350)로부터 근접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상태를 헤드 앤 핸드 상태에서 핸드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370)로부터 특정 입력 신호 예컨대, #7800*#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상태를 테스트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300)는 단말기의 모드가 테스트 모드로 전환되면, 테스트 모드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38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테스트 모드일 때 입력부(370)로부터 상태 결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태 결정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로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테스트 모드이면,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함에 있어 통화 여부, 근접 센서 동작 여부 및 USB 연결 여부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300)는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테이블(341)을 기반으로, 사용 대역, 채널 및 결정된 단말기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한 후, 결정된 TMN 회로 조정 값을 TMN부(330)로 제공한다.
모뎀(310), RF 처리부(320), TMN부(330) 및 메모리(340)는 앞서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해당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 테이블(341)은 Free, Hand, Head+Hand 및 USB Optimization 상태에 따른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들로 구성된다.
근접 센서(350)는 발광부, 수광부 및 차단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된 전자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350)는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근접 센서(35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 신호를 고려하여 입력부(370) 예컨대,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감지 신호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근접 센서(350)의 발광부는 외부의 임의의 물체까지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역할을 하고, 근접 센서(350)의 수광부는 외부 물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근접 센서(350)의 차단막은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설치되며,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수광부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근접 센서(35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근접 센서(350)는 적외선을 사용하여 외부 물체가 일정 거리 이상 감지 영역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IR 센서(Infrared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근접 센서(350)의 발광부는 적외선(IR)을 방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접 센서(350)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차단막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근접 센서(35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즉, 근접 센서(350)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 근접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근접 센서(350)의 상부에는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는 근접 센서(350)의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빛과 외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근접 센서(350)의 수광부로 들어오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근접 센서(350)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36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되면,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60)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를 고려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6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300)로 출력하고,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커넥터(360)는 USB 단자, 이어 잭, 블루투스 모듈, TA(Terminal Adapter) 단자 및 충전 등을 위한 Dock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장치 구성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RF 성능(TRP/TIS)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GSM850, GSM900, DCS1800, PCS1900, WCDMA2100, WCDMA1900 및 WCDMA900은 서로 다른 서비스망 대역을 나타낸다. Voda Spec.은 유럽 이동통신사업자인 Voda에서 정해놓은 규격을 의미한다. Default ANT는 본 발명에서 제한한 TMN 방식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고, with Tunable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MN 방식을 적용한 경우를 의미한다. Free Space는 앞서 정의한 Free 상태를 의미하고, Head Phantom은 단말기를 인체 모형의 머리에 부착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표 7에서 왼쪽 결과 값은 TRP를 의미하고 오른쪽 결과 값은 TIS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200: 제어부 202: 모뎀
204: RF 처리부 206: TMN부
208: 메모리
300: 제어부 310: 모뎀
320: RF 처리부 330: TMN부
340: 메모리 350: 근접 센서
360: 커넥터 370: 입력부
380: 표시부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 리시버 사용 여부, 스피커 사용 여부 및 근접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수신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과 통화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TMN(Tunable Matching Network)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에 따라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상태를 핸드(Hand) 상태, 헤드 앤 핸드(Head+hand) 상태 및 프리(Free)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드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사용자의 손에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헤드 앤 핸드(Head+hand)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사용자의 머리에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프리(Free) 상태는 단말기가 유휴 모드에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된 USB 최적화(Optimization)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프리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USB 최적화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테스트 모드인 동안 상태 결정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 상기 프리 상태 및 상기 USB 최적화 상태 중에서 상기 상태 결정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프리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이고 상기 리시버가 사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이고 상기 스피커가 사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 참조 테이블을 기반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비스망 대역별로 해당 대역의 전체 채널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상기 참조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화 모드인 동안 상향 링크 송신 시간, 하향 링크 송신 시간 및 수신 모니터링 실행 시간이 아닌 다른 시간에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연결 여부, 리시버 사용 여부, 스피커 사용 여부 및 근접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수신 여부 중에서 하나 이상과 통화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이용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TM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상태를 핸드(Hand) 상태, 헤드 앤 핸드(Head+hand) 상태 및 프리(Free)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핸드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사용자의 손에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헤드 앤 핸드(Head+hand)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사용자의 머리에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프리(Free) 상태는 단말기가 유휴 모드에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는,
    통화 모드인 중에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된 USB 최적화(Optimization)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프리 상태로 결정하고,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USB 최적화 상태로 결정하며,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로 결정하며,
    통화 모드인 중에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가 테스트 모드인 동안 상태 결정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 상기 프리 상태 및 상기 USB 최적화 상태 중에서 상기 상태 결정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유휴 모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프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이고 상기 리시버가 사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헤드 앤 핸드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이고 상기 스피커가 사용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핸드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 참조 테이블을 기반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망 대역별로 해당 대역의 전체 채널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상기 참조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및 통화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최적의 TMN 회로 조정 값을 이용하여 안테나 정합을 수행하는 TM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12565A 2010-05-12 2011-02-11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60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05,174 US8644779B2 (en) 2010-05-12 2011-05-11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in mobile device
JP2011107139A JP5795491B2 (ja) 2010-05-12 2011-05-12 携帯端末においてアンテナ整合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24 2010-05-12
KR20100044624 2010-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162A true KR20110125162A (ko) 2011-11-18
KR101760735B1 KR101760735B1 (ko) 2017-07-24

Family

ID=4539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65A KR101760735B1 (ko) 2010-05-12 2011-02-11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0939B2 (en) 2015-11-24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699A (ja) * 2007-05-15 2008-11-27 Nec Saitama Ltd 携帯無線機及び携帯無線機のアンテナ整合回路の切り替え方法
JP5264372B2 (ja) * 2008-08-28 2013-08-14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電話端末及びアンテナ整合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0939B2 (en) 2015-11-24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259304B2 (en) 2015-11-24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735B1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491B2 (ja) 携帯端末においてアンテナ整合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439151B2 (en) Method for intelligently switching on/off mobile terminal antenna and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US10122081B2 (en) Hand grip sensor for external chassis antenna
US9179299B2 (en) Adjustable wireless circuitry with antenna-based proximity detector
US841729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based radio power control
CN108282166B (zh) 天线共存互扰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069037B2 (en) Methods for testing wireless electronic devices using automatic self-test mode
CN103797726A (zh) 具有自适应切换标准的天线切换系统
CN103036587B (zh) 具有服务获取天线切换的电子设备
CN108808212B (zh) 天线系统和移动终端
KR20090057559A (ko) 두 안테나 수신감도 변화 차이를 이용한 근접 센싱 방법 및장치
US10249939B2 (en) Antenna devices
KR102592678B1 (ko) 안테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953389B (zh) 天线调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终端
KR10176073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33509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핸드 이펙트 감소 장치및 방법
KR20210090050A (ko)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8587A (ko)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정합장치 및 방법
US201300297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capable of adaptively adjusting circuit configuration thereof according to change in surroundings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23016062A1 (zh) 天线控制电路、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215418564U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EP4307564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oximity of body tissue relative to an antenna
KR20240044288A (ko) 안테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5118301A (zh) 射频电路和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