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910A -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910A
KR20110123910A KR1020100043393A KR20100043393A KR20110123910A KR 20110123910 A KR20110123910 A KR 20110123910A KR 1020100043393 A KR1020100043393 A KR 1020100043393A KR 20100043393 A KR20100043393 A KR 20100043393A KR 20110123910 A KR20110123910 A KR 2011012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requency band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3910A/ko
Priority to US13/094,069 priority patent/US20110275373A1/en
Publication of KR2011012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시스템의 셀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셀 선택 방법은, 단말이 제1 시스템의 셀 및 제2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TERMINAL SUPPORTING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ELL SEL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으로 셀간의 중첩관계를 추정하여 셀을 선택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후보 기술 중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전송을 기반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하는 기술이다. 본 시스템은 최대 20MHz 대역폭 기준으로 하향링크 최대 전송속도 100Mbps, 상향링크 5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본 시스템의 특징으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며,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로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속 이동성, 낮은 양방향 지연(round trip latency), 패킷 데이터 전송에 최적화된 기술과 서비스 품질 보장 등을 제공한다. 특히, LTE 시스템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8(Release-8) 규격에 정의된 기술로서, Release-8 이전 기술들과 연동될 수 있는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해야 한다.
현재, UMTS와 Release-8 LTE 시스템에서 이종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의 셀의 선택은 시스템 정보로 전송되는 인접 셀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면, 3G Cell A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이 2G Cell B 지역으로 이동하여 셀을 선택 할 때에는 3G Cell A로부터 받은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셀을 선택한다. 3G Cell A로부터 받은 시스템 정보에 인접 셀 정보로서 2G Cell B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참고하여 무선 링크 상태를 측정하여 셀 선택 조건을 만족하면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셀 선택 기법은 이종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규격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서 성립한다. 즉, 3G Cell C와 LTE Cell D의 규격이 Release-8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3G Cell C로부터 인접 셀인 LTE Cell D의 정보를 수신하여 셀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3G Cell C의 규격이 Release-6이고 LTE Cell D의 규격이 Release-8이면, 3G Cell C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정보에는 인접 셀 LTE Cell D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셀 선택을 위한 인접 셀 정보에 LTE Cell D를 포함하지 않게 되어 인접 지역에 LTE Cell D 지역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셀 선택에 실패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전 대역을 검색하여 LTE cell D를 찾아야 하는데, 검색 주기에 따라 전류 소모에 큰 영향을 끼칠 분만 아니라 최적의 검색 주기를 찾는 것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LTE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이 이종 시스템과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회선 서비스 폴백(CS fallback: Circuit Service fallback) 기능을 사용하는데, 이는 단말이 이종 시스템과의 음성통화를 위해 확장 서비스 요청(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전송 후 즉시 이종 시스템(예를 들어 2G 혹은 3G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하여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후 음성 통화가 종료가 되면 음성 통화를 지원 받았던 시스템의 셀을 다시 선택하고 LTE 셀로 셀 재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종래 방식은 단말 부하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Release-8 이전 규격을 따르고 있는 3G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LTE 시스템의 셀로 핸드오버하려는 경우 적당한 LTE 시스템의 셀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다만 이러한 요구는 LTE 시스템 및 Release-8 이전 규격을 따르고 있는 3G 시스템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효율적으로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 선택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셀 선택 방법은, 단말이 제1 시스템의 셀 및 제2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은, 제1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제2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단말이 상기 제1 시스템의 셀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셀 선택 방법은,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셀 선택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셀 선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셀 선택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1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제1 시스템의 셀인 제1 셀(130), 제2 시스템의 셀인 제2 셀(120), 제2 시스템의 셀인 제3 셀(140) 및 제2 시스템의 셀인 제4 셀(150)이 배치돼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시스템은 3G 시스템이고, 제2 시스템은 LTE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
단말(200)은 경로(110)를 따라 제4 셀(150), 제3 셀(140) 및 제1 셀(130)을 거쳐 제2 셀(120)과 제1 셀(130)이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한다. 제2 셀(120)과 제1 셀(130)이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면서 단말(200)은 LTE 셀인 제2 셀(120)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후 단말(200)은 3G 시스템을 통한 호 요청을 받아 제2 셀(120)과의 연결을 끊고, 제1 셀(130)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받다가, 통화가 종료된 후 다시 LTE 셀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LTE 셀을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200)이 통화 시간 동안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는다면 제2 셀(120)과 제1 셀(130)이 중첩되는 영역에 머물러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단말(200)이 제2 셀(120)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획득(Acquisition)을 먼저 시도하는 것이 효율적인 셀 선택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셀 선택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은 제1 통신부(210), 제2 통신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50), 표시부(280) 및 입력부(29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210)는 제1 시스템과 통신하고, 제2 통신부(220)는 제2 시스템과 통신한다.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시스템은 3G 시스템이고 제2 시스템은 LTE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3G 셀과 통신하여 3G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통화, 인터넷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LTE 셀과 통신하여 LTE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통화, 인터넷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단말(200)이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는 셀(이하 기준 셀이라고 한다.)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셀의 식별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명세서에서, 기준 셀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에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말한다.
저장부(230)는 단말(200)이 제1 시스템(3G) 셀과 제2 시스템(LTE)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내역은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1 시스템의 셀의 식별정보 및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가 저장하는 내역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250)는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저장부(230)가 저장하고 있는 내역을 이용하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셀의 식별정보는 셀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주 스크램블링 코드(PSC: Primary Scrambling Code)가 셀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셀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cell-specific) 다른 정보도 셀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주 스크램블링 코드가 셀의 식별정보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은, 기준 셀과 중첩되는 영역을 점유할 것으로 추정 또는 기대되는 제2 시스템의 셀의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제어부(250)는 단말(200)이 기준 셀과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제1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시스템의 다른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제2 시스템의 다른 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단말(200)이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제2 셀의 주파수대역을 제1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하여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고, 이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실패하거나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성공했지만 추출된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 시도가 실패하면 제1 통신부(210)가 수신한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상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추출한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 제2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입력부(29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290)는 수신한 제어입력을 제어부(250)에 전달하고 제어부(250)는 입력부(290)로부터 수신한 제어입력을 기초로 하여 단말(200)을 제어한다. 입력부(29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80)는 사용자에게 단말(200)의 상태나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 표시부(28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기타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90) 및 표시부(28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큰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셀 선택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제어부(250)는 단말(200)이 제1 시스템의 셀 및 제2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하도록 저장부(230)를 제어한다. 내역은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1 시스템의 셀의 식별정보 및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예시이다.
일련번호 셀 식별정보(PSC) 주파수 대역 서비스 시작 서비스 종료
1 PSC 4 04/06 08:24 04/06 18:26
2 PSC 3 04/06 18:26 04/06 18:30
3 PSC 1 04/06 18:30 04/06 18:35
4 Band 2 04/06 18:35 04/06 18:40
5 PSC 1 04/06 18:40 -
표 1은 단말(200)이 도 1의 경로(110)를 따라 움직인 경우에 저장부(230)가 저장하는 내역의 예시이다. 단말(200)은 먼저 제4 셀(150)을 방문하여 제4 셀(15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았고, 제4 셀(150)의 식별정보(PSC)인 PSC 4가 첫 번째 내역으로 저장된다(일련번호 1). 단말(200)은 이후 제3 셀(140)을 방문하여 제3 셀(140)의 PSC인 PSC 3이 두 번째 내역으로 저장된다(일련번호 2). 단말(200)은 제1 셀(130)을 방문하여 제1 셀(130)은 PSC인 PSC 1이 세 번째 내역으로 저장된다(일련번호 3). 그리고 단말(200)은 제2 시스템(LTE) 셀인 제2 셀(12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일련번호 4). 단말(200)이 제2 셀(12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제1 시스템(3G)과의 음성통화를 위해 제1 시스템(3G)으로 핸드오버하여 다시 제1 셀(13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일련번호 5). 단말(200)이 마지막으로 방문한 셀은 일련번호 5의 제1 셀(130)이고,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은 일련번호 5의 위치에 PSC 1을 포함하게 된다.
표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다른 예시이다.
일련번호 셀 식별정보(PSC) 주파수 대역
1 PSC 4
2 PSC 3
3 PSC 1
4 Band 2
5 PSC 1
표 2에 제시된 내역은 표 1의 내역과 유사하지만, 서비스 시작, 서비스 종료 시각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다. 일련번호가 더 클수록 최근의 내역인 것으로 가정한다.
저장소의 저장 공간은 유한하므로 표 1 또는 표 2의 내역을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이 부족하면 과거의 내역부터 삭제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기준 셀로부터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제어부(250)는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필요를 감지한다. 기준 셀은 상술한 대로 단말(200)이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는 셀이다. 여기서는 단말(200)이 제1 셀(130)을 마지막으로 방문하고 제1 셀(13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제1 셀(130)이 기준 셀이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이 3G 시스템을 통한 음성 통화를 위해 제1 셀(130)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도중, 음성 통화가 종료되어 단말(200)은 다시 제2 시스템(LTE) 셀로부터 서비스를 받고자 할 수 있다.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단말(200)은 제2 시스템(LTE) 셀로 핸드오버를 하고자 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단말(200)은 제2 시스템(LTE) 셀로 핸드오버 하기 위해 표 1 또는 표 2와 같은 내역을 이용하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셀의 식별정보는 단말(200)이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셀인 제1 셀(130)의 식별정보이고 이는 PSC 1이다.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셀 주파수 대역은 기준 셀과 중첩된 영역을 점유하고 있을 것이 기대되는 셀의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서로 인접한 다른 시스템의 두 셀은 서로 중첩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표 1 또는 표 2의 내역을 참고하면, 제1 시스템의 PSC 1 항목(일련번호 3, 5)에 인접한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은 Band 2(일련번호 4)이다. 따라서 기준 셀의 식별정보인 PSC 1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은 Band 2가 될 수 있다.
즉, 단말(200)이 기준 셀인 제1 셀(130)과 동일한 식별정보, 즉 PSC 1을 식별정보로 가지는 제1 시스템의 제1 셀(13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시스템의 제2 셀(12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제어부(250)는 제2 셀(120)의 주파수대역을 제1 셀(130)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받은 두 내역이 인접"하다는 표현은 실시 예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방식 1.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이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1초) 이내에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이 시작된 경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서로 인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충분히 짧으면 제1 셀로부터 제2 셀로 핸드오버가 수행된 경우만을 추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비교적 길다면 제1 셀로부터 제2 셀로 핸드오버가 수행된 경우 외에 두 내역이 비교적 짧은 시간적 간격을 보이는 경우에도 두 내역이 인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표 1과 같이 각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시작, 종료시각이 필요하다.
방식 2. 반대로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이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1초) 이내에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이 시작된 경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서로 인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1번 설명과 같다. 1번의 방식과 2번의 방식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방식 3.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라면,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시간과 제2 시스템으로부터 제2 셀로부터의 서비스를 제공받은 시간이 중첩되는 경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서로 인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방식 4.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은 내역과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은 내역 사이에 다른 셀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은 내역이 없는 경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서로 인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 1과 같이 각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이 기록될 필요가 없다. 표 2와 같이 각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순서만 유지되면 된다.
방식 5. 4번과 반대로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은 내역과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은 내역 사이에 다른 셀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은 내역이 없는 경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서로 인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4번 설명과 같다. 4번의 방식과 5번의 방식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상술한 1번 내지 5번 방식(이하 "인접 판단 기준"이라고 한다.)중 둘 이상의 방식을 조합하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제어부(250)는 단말(200)이 제1 시스템으로부터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필요를 감지하였을 때 표 1 또는 표 2와 같은 내역을 참조하여 현재 단말(200)이 접속중인 기준 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이와는 달리 제1 시스템의 셀의 식별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고 그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 2의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참조하여 제1 시스템의 셀의 식별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면 표 3과 같다. 인접 판단 기준은 방식 4번 및 방식 5번을 조합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셀 식별정보(PSC) 주파수 대역
PSC 1 Band 2
표 2의 예는 간단하여 표 3과 같이 하나의 매핑정보만이 추출된다. 좀더 복잡한 예를 살펴본다.
표 4는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다른 예이다.
일련번호 셀 식별정보(PSC) 주파수 대역
1 PSC 4
2 Band 5
3 PSC 7
4 Band 2
5 PSC 1
6 PSC 3
7 Band 6
8 PSC 1
표 5는 표 4의 내역을 이용하여 추출한 매핑정보를 나타낸다. 인접 판단 기준은 방식 4번 및 방식 5번을 조합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서비스를 제공받은 두 내역 사이에 다른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없는 경우 두 내역이 인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셀 식별정보(PSC) 주파수 대역
PSC 4 Band 5
PSC 7 Band 2, Band 5
PSC 1 Band 6, Band 2
PSC 3 Band 6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나의 PSC에 상응하는 여러 주파수 대역이 존재할 수 있다. 표 4의 일련번호 5 및 일련번호 8의 위치에 PSC 1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있다. 그리고 일련번호 5 또는 일련번호 8의 위치에 인접한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의 주파수 대역은 일련번호 7의 위치의 Band 6과 일련번호 4의 Band 2가 존재한다. 따라서 두 주파수 대역 Band 6 및 Band 2가 PSC 1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된다.
이러한 매핑정보는 제어부(250)가 핸드오버 필요를 감지할 때 생성될 수도 있다.
저장소의 저장 공간은 유한하므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과거의 내역에 관한 매핑정보는 삭제되고, 새로운 내역에 관한 매핑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매핑정보를 추출한 뒤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은 불필요하므로 삭제될 수도 있다.
기준 셀의 셀 식별정보가 PSC 1이라면 표 5의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PSC 1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인 Band 6, Band 2가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된다.
단계 340에서 제어부(250)는 단계 330에서 셀 주파수 대역 추출이 성공했는지 판단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모두 셀 주파수 대역 추출이 성공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실패하였다면 셀 선택 과정은 단계 370으로 진행하여 제어부(250)는 전체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을 시도한다. 단말(200)이 표 1과 같은 방문 내역을 가지는 경우에, 기준 셀의 식별정보가 PSC 4라면 PSC 4와 인접한 제2 시스템의 셀 방문 내역이 없으므로, 셀 주파수 대역 추출이 실패하게 된다.
도 1 및 표 2의 예로 돌아와서 단계 340을 설명한다. 또한, 기준 셀의 식별정보가 PSC 1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PSC 1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Band 2가 된다. 이 경우에는 셀 주파수 대역 추출에 성공한 경우이므로 셀 선택 과정은 단계 350으로 진행한다.
단계 350에서 제어부(250)는 단계 330에서 추출한 셀 주파수 대역인 Band 2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제2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LTE 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과정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 4 및 표 5의 예처럼 추출한 셀 주파수 대역이 둘 이상인 경우, 최근에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에 관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즉, 표 4 및 표 5의 예에서 PSC 1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Band 2와 Band 6이지만, Band 6이 Band 2에 비해서 더 최근의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에 관한 주파수 대역이므로 제2 통신부(220)는 Band 6의 획득을 먼저 시도한다. Band 6의 획득이 실패한 경우에는 Band 2의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제어부(250)는 Band 2 획득에 성공했는지 판단한다. 도 1의 예에서 단말(200)이 제2 셀(120)과 제1 셀(130)이 중첩되는 영역에 머물러 있다면. 제2 통신부(220)가 Band 2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제2 통신부(220)가 제1 셀(130)의 영역에 속하지만 제2 셀(120)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했다면 제2 통신부(220)가 Band 2를 획득할 수 없을 것이다. 제2 통신부(220)가 Band 2 획득에 성공하면, Band 2에 해당하는 셀로 핸드오버가 진행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가 Band 2 획득에 실패하면 단계 370으로 진행하여 종래 방식대로 전체 셀 주파수 대역에 대해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를 요약하면,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이용해서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는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인접한 내역을 가지는 제2 시스템(LTE) 셀 주파수 대역에 대해 먼저 획득을 시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셀 선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단계 410, 단계 420, 단계 430은 도 3의 단계 310, 단계 320 및 단계 330에 상응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440에서 제어부(250)는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성공했는지 판단한다. 셀 주파수 대역 추출에 성공한 경우 셀 선택 과정은 단계 450으로 진행하여, 제2 통신부(220)는 추출된 주파수 대역의 획득을 시도한다. 단계 460에서 제어부(250)는 추출된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에 성공했는지 판단한다. 추출된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 핸드오버를 진행하여 셀 선택 과정이 종료된다. 추출된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에 실패 한 경우 셀 선택 과정은 단계 470으로 진행한다. 단계 440에서 셀 주파수 대역 추출에 실패한 경우에도 셀 선택과정은 단계 470으로 진행한다.
단계 470에서 제어부(250)는 기준 셀의 인접 셀(제1 시스템의 셀에 한한다.)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획득을 시도한다. 제1 통신부(210)는 기준 셀로부터 기준 셀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제1 셀(130)은 제1 셀(130)에 인접한 제3 셀(140) 및 제4 셀(150)의 식별정보(PSC)를 단말(200)의 제1 통신부(210)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수신한 제3 셀(140) 및 제4 셀(150)의 식별정보(PSC)를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제3 셀(140) 및 제4 셀(150)의 PSC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도 3의 단계 33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성공하면 추출한 주파수 대역의 획득을 시도한다. 추출한 주파수 대역의 획득에 성공하면 핸드오버를 진행하여 셀 선택 과정이 종료된다. 이와는 반대로 기준 셀의 인접 셀의 PSC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 셀 선택과정은 단계 490으로 진행하여 제2 통신부(220)는 전체 셀 주파수 대역에 대해 획득을 시도한다. 기준 셀의 인접 셀의 PSC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성공하였지만 추출한 주파수 대역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셀 선택과정은 단계 490으로 진행하여 제2 통신부(220)는 전체 셀 주파수 대역에 대해 획득을 시도한다.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찾을 수 없다고 하더라도 기준 셀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먼저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기준 셀의 인접 셀과 중첩될 것이 예상되는 셀이라면 기준 셀과 중첩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선택방법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셀 선택 과정의 순서도이다.
제3 실시 예는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미리 추출해 두고, 제1 시스템으로부터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을 때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셀과 중첩될 것이 기대되는 셀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해 내는 방식이다.
단계 510에서 제어부(250)는 제1 시스템의 셀 식별 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한다.
제3 실시 예에서는 단말(200)이 시스템간 핸드오버할 때, 즉 제1 시스템으로부터 제2 시스템으로 또는 제2 시스템으로부터 제1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때 매핑정보가 갱신되면서 유지될 수도 있다. 즉 표 4의 예를 들면 일련번호 1의 내역에 해당하는 셀에서 일련번호 2의 내역에 해당하는 셀로 핸드오버할 때 PSC 4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Band 5가 등록되고, 일련번호 2의 내역에 해당하는 셀에서 일련번호 3의 내역에 해당하는 셀로 핸드오버할 때 PSC 7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Band 5가 등록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매핑정보는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 전체가 저장될 필요가 없이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에 표 3 또는 표 5와 같은 매핑정보를 갱신하여 셀 선택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제어부(250)는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필요를 감지한다. 이 과정은 도 3의 단계 32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250)는 단계 510에서 추출하나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기준 셀의 식별정보가 PSC 1이라면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PSC 1에 상응하는 Band 2가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된다.
단계 540, 550, 560 및 570은 도 3의 단계 340, 350, 360 및 37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540 이후의 단계는 도 4의 단계 440, 450, 460, 470, 480 및 490의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단말의 이동경로
120: 제2 셀
130: 제1 셀
140: 제3 셀
150: 제4 셀
200: 단말

Claims (15)

  1.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셀 선택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1 시스템의 셀 및 제2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제1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하여 상기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준 셀과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상기 제1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의 다른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상기 다른 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역은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1 시스템의 셀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실패하면, 상기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는 셀의 주 스크램블링 코드(PSC: Primary Scrambling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8.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1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제2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단말이 상기 제1 시스템의 셀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스템의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의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제1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하여 상기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준 셀과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상기 제1 시스템의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의 다른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내역이 인접하면 상기 다른 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역은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1 시스템의 셀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제2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기준 셀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실패하면, 상기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획득을 시도하는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기준 셀의 인접 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인접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획득을 시도하는 단말.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는 셀의 주 스크램블링 코드(PSC: Primary Scrambling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셀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와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 간의 매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준 셀로부터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상기 제2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셀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이 성공하면, 추출된 상기 셀 주파수 대역의 획득(Acquisition)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KR1020100043393A 2010-05-10 2010-05-10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KR20110123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93A KR20110123910A (ko) 2010-05-10 2010-05-10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US13/094,069 US20110275373A1 (en) 2010-05-10 2011-04-26 User equipment supporting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cell selection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93A KR20110123910A (ko) 2010-05-10 2010-05-10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910A true KR20110123910A (ko) 2011-11-16

Family

ID=4490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393A KR20110123910A (ko) 2010-05-10 2010-05-10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75373A1 (ko)
KR (1) KR201101239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176A (ko) * 2013-10-18 2015-04-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히스토리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10B1 (ko) * 2009-09-17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WO2017188304A1 (ja) * 2016-04-26 2017-11-0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リレーノ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853B2 (en) * 2002-12-06 2010-1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GSM to W-CDMA reselection
FI20065663A0 (fi) * 2006-10-17 2006-10-17 Nokia Corp Verkkoelementti ja menetelmä handoverin tekemiseksi
US8144662B2 (en) * 2007-09-17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eighbor list updates
US9220055B2 (en) * 2009-10-23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reselection of a mobile terminal from a legacy network to an advanced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176A (ko) * 2013-10-18 2015-04-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히스토리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5373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84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선택 장치 및 방법
US891766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hancing data rate for packet-switched (PS) data service
CN104602306B (zh) 用于访问无法通过网络小区使用的服务的方法
KR101634214B1 (ko) 휴대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방법 및 장치
JP5434916B2 (ja) マルチ・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plmnの選択
US20130235740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manag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and network registration
JP6265511B2 (ja) ページメッセージへの応答
TW201038106A (en) Comm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cell measurement procedures
GB2496611A (en) Mobile device sto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PLMN before undergoing circuit switched fall back to a second PLMN to enable later reconnection to first PLMN
US20190124560A1 (en) Voice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6052833B2 (ja) ネットワーク名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3237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turning to long term evolution network and mobile switching center
WO2014206362A1 (zh) 重回归属网络的方法及设备
US20210160776A1 (en) Method for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user equipment (ue) during manual csg selection
CN110708730A (zh) 一种多模多卡移动终端及其移动性管理方法
KR101382043B1 (ko) 음성 호 지연을 줄이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
US97064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ircuit-switched (CS) call while camped on a CSG cell
CN110324882B (zh) 一种4g多模移动终端及其手动搜网方法
KR2009011724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CN111937453B (zh) 用户装置
KR20110123910A (ko) 복수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단말의 셀 선택 방법
US9883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age of manual PLMN selection mode
JP2023542558A (ja) 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情報送信方法、情報取得方法及び装置
KR1021082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4003369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モビリティ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