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947A -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947A
KR20110122947A KR1020100042318A KR20100042318A KR20110122947A KR 20110122947 A KR20110122947 A KR 20110122947A KR 1020100042318 A KR1020100042318 A KR 1020100042318A KR 20100042318 A KR20100042318 A KR 20100042318A KR 20110122947 A KR20110122947 A KR 2011012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tting
receiving
virtual group
interfa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403B1 (ko
Inventor
김재훈
장명욱
이지훈
최성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03B1/ko
Priority to US13/016,544 priority patent/US9137145B2/en
Publication of KR2011012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4Shortest path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COMMUNICATION METHOD OF HERB AND TRANSMITTING, RECEIVING TERMINAL INCLUDED IN VIRTUAL GROUP}
아래의 실시예들은 허브 및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가상 그룹을 형성하는 멤버의 기기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멤버의 기기들 또는 타 가상 그룹과의 사이에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통신 방법은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로의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송신 경로로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의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이 상기 송신 가상 그룹에 최초 등록된 경우에 상기 송신 단말에 대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상기 단말의 사용 대역폭(Bandwidth),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경로의 RTT(Round Trip Time) 전송 속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기록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허브까지의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가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와는 서로 다른 송신 경로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이 소유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송신 가상 그룹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서로 매핑 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의해 선택된 송신 경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선택된 송신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상기 단말의 사용 대역폭(Bandwidth),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로 상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서로 매핑 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허브에 의해 선택된 송신 경로를 거쳐(via)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이고, 상기 허브는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선택된 송신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시 양 방향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의해 최적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경로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송신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전송에 복수의 경로를 지원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경로 및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경로를 갖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적의 수신 경로 및 최적의 송신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최적의 수신 경로 및 최적의 송신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경로 및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경로를 갖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송신 단말(110) 및 허브(120)를 포함하는 송신 가상 그룹과 허브(140) 및 수신 단말(150)을 포함하는 수신 가상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가상 그룹과 수신 가상 그룹은 서로 인터넷(13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50) 각각은 무선 통신 방식들로서 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50) 각각은 Wi-Fi 방식 또는 셀룰라 방식의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수신 가상 그룹 및 송신 가상 그룹은 오버레이(overlay) 개념의 가상 그룹일 수 있다. 따라서, 수신 가상 그룹 및 송신 가상 그룹 각각의 영역은 일반적인 IP 서브넷(subnet)의 영역과는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여러 IP 서브넷(subnet) 각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50) 각각은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특정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 소유자의 단말을 송신 단말(110)이라고 하고, 그 특정 데이터를 원하는 데이터 요청자의 단말을 수신 단말(150)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송신 단말(11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들과 수신 단말(15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은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50) 사이의 통신에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수신 단말(150)이 특정 데이터를 원하는 경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허브(140)로 전송한다. 이 때, 허브(140)는 그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 가상 그룹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허브(120)는 송신 단말(11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 가상 그룹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허브(140)로부터 송신 가상 그룹으로 전송되는 경로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가 허브(120)로부터 수신 가상 그룹으로 전송되는 경로가 서로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왜냐 하면, 이것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경로만을 이용하여 여러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러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은 증가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수신 단말(150)은 수신 단말(15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허브(140)를 경유하여 송신 가상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110)도 마찬가지로 송신 단말(11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허브(120)를 경유하여 수신 가상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단말(110)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송신 경로에 관한 정보, 송신 단말(11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 에 관한 정보, 송신 단말(110)의 사용 대역폭(Bandwidth)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 단말(150)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수신 단말(15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 에 관한 정보, 수신 단말(150)의 사용 대역폭(Bandwidth)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허브(140)는 수신 단말(150)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40)는 수신 단말(150)이 Wi-Fi 방식에 따른 수신 경로 또는 셀룰라 방식에 따른 수신 경로 중 어느 인터페이스에 따른 수신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한 송신 단말(110)이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한 수신 단말(150)로부터 데이터를 요청 받았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송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50)로부터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경로(103)와는 서로 다른 경로인 송신 경로(107)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110)과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120)는 수신 단말(140)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경로(103)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 송신 경로(107)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1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14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9번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 가상 그룹의 송신 단말(110)의 2번 인터페이스로 수신된 경우, 송신 단말(110)은 수신 시 이용된 2번 인터페이스가 아닌 1번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메시지는 수신 시 이용된 9번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8번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14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은 수신 가상 그룹 또는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120,140)에서 상술한 각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 또는 적응적인 경로 선택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통신 방법은 수신 단말로부터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201), 송신 단말로부터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203),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205) 및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207)를 포함한다.
과정 201에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 단말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 및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수신 경로를 선택한다.
즉,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이 사용 가능한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또는 경로) 중 최적의 인터페이스(또는 경로)를 선택한다.
과정 203에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로부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단말로부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과정 201에 앞서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과정 203에 앞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 및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이렇게 수집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각 가상 그룹의 멤버들(여기서는 가상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관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 또는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최적의 경로 또는 적응적 경로를 선택하는데 상기 각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정보의 수집은 예를 들어,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이 송신 가상 그룹에 최초 등록(가입)된 경우에 수집될 수 있다.
과정 205에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송신 경로를 선택한다.
또한 과정 205에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각 단말이 선택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타입 중 하나를 송신 경로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WiFi 무선 통신인 경우, WiFi 무선 통신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큰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의 타입에 따른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송신 단말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셀룰라(cellular) 통신인 경우, 셀룰라 통신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상기 WiFi 무선 통신의 경로와는 상이한 대역폭이 작은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각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과정 205에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가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송신 경로의 RTT(Round Trip Time), 전송 속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가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각 경로에서의 과거 전송 속도에 대한 기록(history)를 이용하여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상기 RTT 전송 속도 측정 결과와 상기 과거 전송 속도에 대한 기록을 조합하여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경로에서의 과거 전송 속도에 대한 기록은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 또는 송신 단말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과정 207에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과정 205에서 선택된 송신 경로로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메시지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와 서로 다른 송신 경로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통신 환경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수신 단말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수신 경로보다 빠르게 또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면 상기 수신 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과정 207에서의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전송 시에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기록된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까지의 수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송신 단말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수신 경로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경로를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경로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송신 경로가 상이하여도 데이터의 전송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interest 방식과 같은 전송 방식을 이용할 경우, 데이터가 수신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하므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이용한 수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기록된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까지의 수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함으로써 허브 또는 수신 인터페이스가 최적의 경로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301),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303) 및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과정(305)를 포함한다.
과정 301에서 수신 단말은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이 소유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하여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과정 303에서 수신 단말은 송신 가상 그룹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 단말은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의해 선택된 송신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된 송신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과정 305에서 수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서로 매핑 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수신 단말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수신 경로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경로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매핑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수신 단말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송신이 이루어진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전송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각각에서의 송, 수신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가상 그룹의 송신 단말이 매핑 테이블을 통해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관리한다면 수신 경로와 다른 경로를 송신 경로로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까지의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과정 305에서 수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단말이 이용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단말의 사용 대역폭(Bandwidth),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허브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401),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403) 및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과정(405)를 포함한다.
과정 401에서 송신 단말은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과정 403에서 송신 단말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과정 403에서 송신 단말은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의해 선택된 송신 경로를 거쳐(via)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된 송신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과정 405에서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서로 매핑 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이 밖에도 도 3을 통해 설명한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서 기재된 내용은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에 적응적인 최적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데이터를 요청한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제1 수신 단말(540)은 WiFi 무선 통신(533), 제2 수신 단말(550)은 셀룰라 통신(535)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510)은 WiFi 무선 통신(513) 및 셀룰라 통신(515)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제1 수신 단말(540) 및 제2 수신 단말(550)은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530)로 각각의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530)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경로를 선택하고,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 및 송신 단말(510)에게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는 제1 수신 단말(540) 및 제2 수신 단말(550)로부터 각 단말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단말(510)은 송신 단말(51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는 송신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경로로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이 때,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는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송신 경로(540,55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520)는 각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셀룰라(cellular) 통신인 제1 수신 단말(540)의 경우, 셀룰라 통신의 저대역폭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셀룰라(cellular) 통신인 경로(533)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WiFi 무선 통신인 제2 수신 단말(550)의 경우, WiFi 무선 통신의 고대역폭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WiFi 무선 통신인 경로(535)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에 적응적인 다중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허브는 한 데이터 요청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이용 가능한 경로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요청한 제1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제1 수신 단말(650)은 WiFi 무선 통신(635)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역시 데이터를 요청한 제2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제2 수신 단말(660)은 셀룰라 통신(645)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자. 또한,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610)은 WiFi 무선 통신(613) 및 셀룰라 통신(615)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1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제1 수신 단말(650)은 제1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635)로 제1 수신 단말(65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제2 수신 단말(660)은 제2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640)로 제2 수신 단말(66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630) 및 제2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640)는 각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경로를 선택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 및 송신 단말(610)에게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는 제1 수신 단말(650) 및 제2 수신 단말(660)로부터 각 단말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단말(510)은 송신 단말(510)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는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로부터 제1 수신 단말(650) 및 제2 수신 단말(660)로의 송신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경로로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이 때,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는 제1 수신 단말(650) 및 제2 수신 단말(660)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송신 단말(610)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로부터 제1 수신 단말(650) 및 제2 수신 단말(660)로의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는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셀룰라(cellular) 통신인 제1 수신 단말(650)의 경우, 셀룰라 통신의 저대역폭을 고려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로부터 연결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들 중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셀룰라(cellular) 통신인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는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WiFi 무선 통신인 제2 수신 단말(660)의 경우, WiFi 무선 통신의 고대역폭을 고려하여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로부터 연결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들 중 인터페이스의 타입이 WiFi 무선 통신인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수신 단말들(650,660) 및 송신 단말(610)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각 단말들이 이용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각 단말들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각 단말의 사용 대역폭(Bandwidth), 각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620), 제1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650) 및 제2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660)는 상술한 인터페이스의 타입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송, 수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3 : 수신 경로
107 : 송신 경로
110 :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
120 :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
130 : 인터넷
140 : 수신 가상 그룹의 허브
150 :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

Claims (13)

  1.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소유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로의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송신 경로로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의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이 상기 송신 가상 그룹에 최초 등록된 경우에 상기 송신 단말에 대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상기 단말의 사용 대역폭(Bandwidth),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정보인 허브의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경로의 RTT(Round Trip Time) 전송 속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인 허브의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기록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허브까지의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7.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이 소유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송신 가상 그룹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서로 매핑 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에 의해 선택된 송신 경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선택된 송신 경로로 결정하는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과정인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링크 용량(Link Capacity), 상기 단말의 사용 대역폭(Bandwidth),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및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정보인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1.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상 그룹의 허브로부터 수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수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 단말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서로 매핑 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허브에 의해 선택된 송신 경로를 거쳐(via) 상기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이고,
    상기 허브는
    상기 수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선택된 송신 경로로 결정하는 송신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신 단말의 통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42318A 2010-05-06 2010-05-06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KR10163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18A KR101639403B1 (ko) 2010-05-06 2010-05-06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US13/016,544 US9137145B2 (en) 2010-05-06 2011-01-28 Communication method of hub and transmitting, receiving terminal included in virtual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18A KR101639403B1 (ko) 2010-05-06 2010-05-06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47A true KR20110122947A (ko) 2011-11-14
KR101639403B1 KR101639403B1 (ko) 2016-07-14

Family

ID=4490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318A KR101639403B1 (ko) 2010-05-06 2010-05-06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7145B2 (ko)
KR (1) KR101639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1261A1 (en) * 2011-10-05 2013-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fining And Managing Virtual Networks In Multi-Tenant Virtualized Data Centers
CN103916925B (zh) * 2013-01-08 2018-07-13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5490969B (zh) * 2014-09-17 2019-06-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327391B (zh) * 2018-12-17 2023-06-30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时分复用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
CN111107606B (zh) * 2019-01-18 2021-07-20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接口可用性上报、指示方法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941A (ko) * 2002-10-07 2004-09-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통합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시스템, 교환 장치및 무선 단말, 및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0785A1 (en) 2000-02-23 2001-10-18 Pangrac David M.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576580B1 (ko) 2000-12-30 2006-05-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통신 기기 간 직접 데이터 통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4054909B2 (ja) 2001-10-29 2008-03-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及び情報通信処理プログラム
JP4379237B2 (ja) * 2004-07-14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79563B1 (ko) 2005-09-01 2007-02-0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컨텐츠 파일을 공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81562B1 (ko) 2006-01-11 2007-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전송 및 공유 방법
KR101078175B1 (ko) 2007-02-12 2011-10-28 이민화 이동 단말 사용자들의 가상 그룹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방법
CA2686317C (en) * 2007-05-04 2014-08-05 Kabushiki Kaisha Toshiba Intelligent connectivity framework for the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interfaces
US8688139B2 (en) * 2009-09-1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wireless transmitter mapping and mobile station positioning
US8175584B2 (en) * 2009-09-14 2012-05-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downloading data at a mobile wireless device
EP2484066A4 (en) * 2009-10-01 2015-04-08 Rambu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WIRELESS COVER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941A (ko) * 2002-10-07 2004-09-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통합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시스템, 교환 장치및 무선 단말,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7145B2 (en) 2015-09-15
US20110274039A1 (en) 2011-11-10
KR101639403B1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201B2 (en) Dynamic network tunnel endpoint selection
KR101609522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531970B (zh) 用于在网络中部署工作负荷的方法和系统
US9154407B2 (en) Maintained message delivery during routing domain migration
US10182091B2 (en) Decentralized, hierarchical, and overlay-driven mobility support architecture for information-centric networks
CN104247371A (zh) 以信息为中心的网络中的基于名称的邻居发现和多跳服务发现
CN102638407B (zh) 报文转发方法、装置及网络设备
JP5625978B2 (ja) 通信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パケット通信方法
JP5847185B2 (ja) コンテンツ中心のネットワーク環境でグループ変更に関する情報を用いる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装置
CN105812408A (zh) 全局服务器负载均衡装置及其高速缓存有效期控制方法
CN100442766C (zh) 数据通信设备转发业务的实现方法
WO2014039146A1 (en) Approximation of the physical location of devices and transitive device discovery through the sharing of neighborhood information using wireless or wired discovery mechanisms
KR101639403B1 (ko) 허브 및 가상 그룹에 속하는 송,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CN102208945B (zh) 获取网络地址方法及以太网光纤通道协议目标器及通信系统
CN106878434A (zh) 一种重定向的方法及装置
US20140317271A1 (en) Method and node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in content network based on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CN102821115B (zh) 一种点对点p2p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JP4611319B2 (ja) ネットワークアーキテクチャ
CN106465387A (zh) 多跳能力的发现和每链路基础上的路由
WO2017139921A1 (zh) 基于流控制传输协议sctp的通信方法、装置和系统
US86011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CN102571963A (zh) 内容分发的方法、装置和接入网设备
CN102882906A (zh) 受限应用协议中数据通信的方法和装置
KR20120020344A (ko) 단말, 중간 노드 및 단말 및 중간 노드의 통신 방법
US20130138732A1 (en) Access to a network of nodes distributed over a communication architecture with the aid of a topology server with multicriteria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