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908A -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 Google Patents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908A
KR20110122908A KR1020100042240A KR20100042240A KR20110122908A KR 20110122908 A KR20110122908 A KR 20110122908A KR 1020100042240 A KR1020100042240 A KR 1020100042240A KR 20100042240 A KR20100042240 A KR 20100042240A KR 20110122908 A KR20110122908 A KR 2011012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omile
oral spray
composition
spray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267B1 (ko
Inventor
이차용
Original Assignee
이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차용 filed Critical 이차용
Priority to KR102010004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2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캐모마일을 첨가하여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특성, 구강 내의 염증과 통증 완화 등에 효과적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필수성분인 캐모마일 이외에 라즈베리, 자몽종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자일리톨 및/또는 불화나트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Oral spray composition containing Chamomile}
본 발명은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모마일을 함유하여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특성, 구강 내의 염증과 통증 완화 등에 효과적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스프레이와 같은 구강청정제는 입 속의 불순물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목적의 액체로서, 충치를 예방하고 치태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도 한다. 종류에 따라서는 입 속의 상처나 궤양, 잇몸이나 인후의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불화나트륨, 염화벤젠토늄 등을 사용하며 생리식염수를 쓰기도 한다. 살균, 소독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항생제를 첨가하거나 소염 효과를 위하여 스테로이드 등을 배합하기도 한다. 사용법은 10 내지 15 ㎖ 정도를 입에 넣고 헹군 후 뱉어 낸다.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945741호에는 염산아포모르핀을 무수에탄올을 포함하는 비수성 용제에 녹인 용액이 충진된 발기 부전 치료용 구강용 스프레이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986-3826호에는 비수성 담체기제인 음료용 모노-, 디- 또는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 및 거의 수불용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졌으며, 압력으로부터 방출시켜 공기 또는 물과 혼합할시, 불안정한 에어로솔 또는 하이드로솔을 각각 형성하고, 그후 접촉하는 표면에 코팅시켜 더 안정한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안정한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인 구강위생용 가압송출제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1-104875호에는 트리클로산과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이 100 : 1 내지 1 : 500의 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6-90997호에는 총 조성물의 0.001 내지 60 중량 퍼센트 양의 온단세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총 조성물의 30 내지 99 중량 퍼센트 양의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온단세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점막전달 투여를 위한 추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6-120065호에는 총 조성물의 0.001 내지 60 중량 퍼센트 양의 졸피뎀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총 조성물의 30 내지 99 중량 퍼센트 양의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졸피뎀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점막전달 투여를 위한 추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캐모마일 및 라즈베리 등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모마일을 함유하여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특성, 구강 내의 염증과 통증 완화 등에 효과적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즈베리를 함유하여 노화방지, 암예방 등에 효과적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를 갖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을 함유하여 충치 예방 등에 효과적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캐모마일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는 캐모마일이 들어간 것이 없었으며, 본 발명은 캐모마일을 첨가하여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특성, 구강 내의 염증과 통증 완화 등에 효과적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캐모마일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모마일의 첨가량이 0.001 중량% 이만이면, 캐모마일 첨가로 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캐모마일의 첨가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캐모마일의 고유 효능이 향상되기는 하나, 캐모마일의 첨가량이 너무 과다하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켜 제품을 취약하게 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캐모마일의 높은 가격 때문에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제품의 색상이 다소 탁한 색상이 되고, 향과 맛에서도 너무 강한 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캐모마일의 함유량은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라즈베리 0.001 내지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라즈베리를 함유하여 노화방지, 암예방 등에 효과적이다. 라즈베리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노화방지, 암예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도 불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자몽종자 추출물 0.001 내지 5 중량% 및 목단피 추출물 0.001 내지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를 갖는다.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도 불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자일리톨 0.01 내지 5 중량% 및 불화나트륨 0.001 내지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을 함유하여 충치 예방 등에 효과적이다.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충치 예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도 불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민감한 구강을 위한 저자극 제품으로 화학성분 함유를 최소하고 이를 천연성분으로 대체하였으며, 천연 캐모마일, 라즈베리, 자몽, 목단피 등의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100% 안전하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캐모마일을 함유하여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특성, 구강 내의 염증과 통증 완화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라즈베리를 함유하여 노화방지, 암예방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 등의 성분을 함유하여 충치 예방 등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모마일(Chamomile)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풀로서, 저먼 캐모마일(German Chamomile: Matricaria recutica)과 로만 캐모마일(Roman Chamomile: Anthemis nobilis), 보데골드 캐모마일(Bodegold Chamomile), 다이어스 캐모마일(Dyer's Chamomile) 등이 있는데, 주로 저먼 캐모마일과 로만 캐모마일이 알려져 있다.
캐모마일은 아로마테라피에 많이 사용되는 허브로서, 사과향과 비슷한 온화하고 달콤한 향으로 마음을 진정시키며, 항알레르기, 소염, 소독작용에 효과적이고, 특히 구강 내의 염증 및 통증완화, 심신의 긴장과 피로 완화에 효과적이다.
캐모마일 정유는 긴장을 완화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등 통증과 염증에도 효능이 있으며, 위장장애가 있을 경우 차로 마시면 효과가 있고, 베개 속에 넣어두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시들어 가는 꽃에 캐모마일 꽃잎을 우려낸 물을 주면 금세 생기를 되찾아 병약한 식물들을 치유하고 발병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저먼 캐모마일과 로만 캐모마일은 거의 비슷한 약효를 가지고 있지만, 저먼 캐모마일이 쓴맛이 덜하기 때문에 많이 쓰인다. 저먼 캐모마일보다 향이 강한 로만 캐모마일은 정원이나 길가에 심는 식물로 자주 이용된다.
저먼 캐모마일(sweet false chamomile)은 번대국화라고도 하고, 한방에서는 두상화(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모국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감기, 기관지천식, 과민성위장염, 풍습으로 인한 전신통에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민간에서 신경통, 치통, 월경곤란에 내복하고, 구강염, 결막염, 화농증에 외용하였다.
캐모마일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특성, 구강 내의 염증과 통증 완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캐모마일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착향제로서도 사용된다. 캐모마일은 캐모마일 추출물, 캐모마일 오일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캐모마일 추출물은 캐모마일의 꽃 또는 잎 등을 건조하여 분쇄하고 물 또는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부탄올 및 아세톤 등의 극성 용매;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캐모마일의 함량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모마일의 첨가량이 0.001 중량% 이만이면, 캐모마일 첨가로 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캐모마일의 첨가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캐모마일의 고유 효능이 향상되기는 하나, 캐모마일의 첨가량이 너무 과다하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켜 제품을 취약하게 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캐모마일의 높은 가격 때문에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제품의 색상이 다소 탁한 색상이 되고, 향과 맛에서도 너무 강한 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캐모마일의 함유량은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필수성분인 캐모마일 이외에 라즈베리를 함유할 수 있다.
라즈베리(raspberry)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나무딸기류 과수의 한 속으로, 열매의 빛깔에 따라 레드라즈베리, 블랙라즈베리, 퍼플라즈베리의 3종류로 나누는데, 대부분 붉은 색 열매가 달리는 레드라즈베리를 재배한다. 라즈베리의 붉은 과일 껍질에 집중적으로 들어있는 안토시아닌은 강력한 항산화물질로 노화방지, 암예방에 효과적이다. 라즈베리에는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다른 과일에 비해 단위면적당 씨가 많아 심장 등에 좋은 오메가-3 지방산도 풍부하다. 비타민, 미네랄도 풍부하다. 라즈베리는 노화방지, 암예방, 심신의 긴장과 피로 완화, 피부조직 재생, 피부탄력, 신잰대사 촉진.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라즈베리는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노화방지, 암예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라즈베리는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착향제로서도 사용된다. 라즈베리의 함량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즈베리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노화방지, 암예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도 불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자몽(grapefruit)은 감귤속(Citrus)에 속하는 그레이프프루트 나무의 열매이다. 자몽은 다량의 천연 아스코르빈산, 나린진 및 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어 소량 첨가시 탁월한 항균 및 항산화작용(솔빈산 혹은 안식향산의 40배 이상)으로 독성, 변패산물의 생성을 억제한다. 특히, 자몽 종자 추출물은 천연 방부제로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건강기능성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매우 안전한 원료이며, 항균, 항산화 작용을 한다.
목단피는 작약과의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로서,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조금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차다. 목단피는 혈열로 인한 생리불순, 생리통, 멍들었을 때, 토혈, 코피,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 허열로 인해 뼛골이 쑤시는 증상, 혈압상승, 어혈제거, 타박상, 소염진통, 종기치료, 맹장염초기 등에 사용하며 가슴답답증을 없애준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 항염증, 항혈전, 항알레르기, 위액분비억제, 자궁점막충혈,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목단피 추출물은 천연 항균 신소재로서, 항바이러스, 항산화에 효과적이다.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보존제로서도 사용된다.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의 함량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몽종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도 불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을 함유할 수 있다.
자일리톨(xylitol)은 충치 예방에 적합한 천연 감미제로서, 대표적인 충치유발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치아 표면에 프라그의 형성을 억제시키며, 프라그 내에서의 산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충치예방기능을 한다. 자일리톨이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5탄당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충치는 충치균인 뮤탄스균이나 소르비누스균이 음식물에 들어 있는 포도당·과당 등을 먹고 배출하는 젖산이 치아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현상을 말하는데, 충치균은 6탄당은 쉽게 분해하지만 5탄당인 자일리톨은 분해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충치의 원인인 산이 발생하지 않고, 결국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한 충치균은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더욱이 자일리톨은 입 안을 시원하게 해 주는 청량 효과까지 있고 침 분비를 촉진하는 등 충치 예방에 적합해 충치 예방 식품의 첨가물로 이용되고 있다.
불화나트륨(NaF)은 구강 내 세균들이 부식성 산에 의해 치아 법랑질이 녹는 것을 방지해주며, 치아를 넓게 코팅해주어 충치를 예방해준다. 또한 칼슘 공급 촉진 작용도 한다.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충치 예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불화나트륨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자일리톨은 감미제로서 사용된다.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의 함량은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자일리톨 0.01 내지 5 중량% 및 불화나트륨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일리톨 및 불화나트륨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충치 예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원재료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도 불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탈이온수 등의 용해제, 글리세린 등의 습윤제, 폴록사머 등의 유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 WATER)는 용해되어 있는 이온을 모두 제거한 물을 말한다. 탈이온이란 공업용수, 음료수 등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수중의 무기염류를 제거한 순수한 물에 가까운 고품위의 물을 얻는 조작을 가리킨다. 보통 이온교환수지가 사용되며, 수소형 강한 산성 양이온교환수지와 수산형 약한 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병용해서 만든다. 이것에 의해 천연수에 포함된 나트륨, 칼슘 등 양이온과, 염소이온, 황산이온 등 음이온이 제거된다. 그리고 탈이온수를 증류수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탈이온수는 용해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탈이온수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수분을 흡수하거나 보전하는 물질인 습윤제로 작용한다. 습윤제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보전하여 조성물이 공기중에 접촉하여 고체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이외에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록사머(poloxamer)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하나로서, 계면 활성제 외에 유화제, 안정화제 등으로도 사용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유화제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폴록사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발포제(기포제), 점증제(점결제, 결합제), 불소, 약료(항염증제 등), 향미제(향료, 착향제), 광택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표 1의 조성으로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탈이온수
글리세린
자일리톨
폴록사머
불화나트륨
자몽종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캐모마일
라즈베리
잔량
7
0.4
1
0.001
0.01
0.01
0.01
0.01
이와 같이 제조한 구강 스프레이 제품에 대해 구취제거, 치주 질환, 잇몸질환 및 충치 예방 효과 등을 시험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시험예 1]
본 시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의 미감 등을 조사하기 위해, 1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구강 스프레이와, 캐모마일을 함유하지 않은 구강 스프레이(대조용)를, 시험자들은 모르도록 하여 시험자 각각의 취향에 따라 사용하게 하여 미감과 촉감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미감, 촉감상의 특징 본 발명 구강스프레이
(응답자수)
대조용 구강스프레이
(응답자수)
모르겠다
(응답자수)
더 상쾌한 감을 준다 28 20 2
촉감이 좋다 22 21 7
좋은 향기가 느껴진다 25 21 4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캐모마일을 첨가한 구강 스프레이는 소비자의 미감면에서 대조용 구강 스프레이보다 우수하거나 필적할 만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시험예 2]
치주염, 치통, 구취, 충치 등의 증상을 호소하거나 진단되는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구강 스프레이를 하루 3번씩 대략 30일간 계속 사용하도록 하고, 설문조사에 의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질환명 효과없음 효과있음 상당한 효과 완치근접 효과
치통 2 6 3 1 12
치주염 1 7 5 4 17
구취 3 4 1 4 12
충치예방 1 4 3 1 9
7(14%) 21(42%) 12(24%) 10(20%) 50(100%)
상기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를 꾸준히 사용할 경우 치통(89%), 치주염(94%), 구취(83%), 충치예방(75%)에 효과가 있어서, 건강 보조 구강 스프레이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자극 실험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내측 연한 피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구강 스프레이를 분무하고 12시간 경과 후 피부의 자극, 홍반, 가려움, 알러지 등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피부자극 응답자수(명)
피부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 14
제거후 약간 가려움이 발생하다 곧 없어짐 1
부착부위가 약간홍조를 띠나 1-2시간 후 없어짐 0
현저한 자극 발생 0
시험결과 본 발명의 구강 스프레이는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4)

  1.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캐모마일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라즈베리 0.001 내지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자몽종자 추출물 0.001 내지 5 중량% 및 목단피 추출물 0.001 내지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자일리톨 0.01 내지 5 중량% 및 불화나트륨 0.001 내지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1020100042240A 2010-05-06 2010-05-06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10118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40A KR101180267B1 (ko) 2010-05-06 2010-05-06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40A KR101180267B1 (ko) 2010-05-06 2010-05-06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08A true KR20110122908A (ko) 2011-11-14
KR101180267B1 KR101180267B1 (ko) 2012-09-06

Family

ID=4539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40A KR101180267B1 (ko) 2010-05-06 2010-05-06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4902A1 (fr) * 2014-06-13 2015-12-16 Laurent Haddad Composition à base d'extrait de pépin de pamplemousse, d'extrait de feuille d'alchémille, d'extrait de stevia et de curcumine
CN114732763A (zh) * 2022-03-08 2022-07-12 普万特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口腔抑菌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58A (ko) 2016-12-20 2018-06-28 이호규 캐모마일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482B2 (ja) * 1997-12-02 2004-09-29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及び苦味抑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4902A1 (fr) * 2014-06-13 2015-12-16 Laurent Haddad Composition à base d'extrait de pépin de pamplemousse, d'extrait de feuille d'alchémille, d'extrait de stevia et de curcumine
FR3022140A1 (fr) * 2014-06-13 2015-12-18 Laurent Haddad Composition d'un dispositif medical ou produit cosmetique a base d'extrait de pepin de pamplemousse, d'extrait de feuille d'alchemille, d'extrait de stevia et de curcumine
CN114732763A (zh) * 2022-03-08 2022-07-12 普万特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口腔抑菌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267B1 (ko)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TW200930414A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botanical extracts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0567B1 (ko) 치약조성물
KR20130107397A (ko)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9780A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210009110A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1180267B1 (ko)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CN106727249B (zh) 一种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1082208B1 (ko) 치약조성물
KR20180081032A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661B1 (ko) 로즈힙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10067358A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63332A (ja) オリーブ葉抽出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20210047451A (ko)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1423B1 (ko) 구취 억제 및 구강 위생 증진용 구강청결제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8091B1 (ko)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RU2777153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пациентов с метаболическими нарушениями
KR20190062021A (ko) 포도 종초 및 허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