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201A -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201A
KR20110121201A KR1020100040686A KR20100040686A KR20110121201A KR 20110121201 A KR20110121201 A KR 20110121201A KR 1020100040686 A KR1020100040686 A KR 1020100040686A KR 20100040686 A KR20100040686 A KR 20100040686A KR 20110121201 A KR20110121201 A KR 2011012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unit
box
portable generato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663B1 (ko
Inventor
유연성
Original Assignee
유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성 filed Critical 유연성
Priority to KR102010004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66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69Linear generators; sectional generators
    • H02K7/1876Linear generators; sectional 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linearly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를 소형 셀 단위로 모듈화하고 필요한 전력 확보를 위하여 직별과 병렬로 선택하여 반복 연결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한번 흔들어주면 자체적으로 수회 자동 진동하여 발전과 충전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오듐 자석이 동일한 극성을 마주한 상태로 다수 적층된 영구자석부, 영구자석부를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 상태로 삽입하는 상자부, 상자부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부, 상자부의 내부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체부, 상자부의 양 끝단을 차단하고 탄성체부를 고정하며 자성을 띄는 고무자석부, 코일부가 발전한 전기를 인가받고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의 전기를 인가받고 충전하는 축전지, 축전지의 양극에 연결되고 돌출형상을 하는 양극부, 축전지의 음극에 연결되고 원형판 형상을 하는 음극부,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 상태로 양쪽 끝단에 각각 고정하는 케이스부로 구성되는 특징에 의하여 소정 횟수 수동 진동 시키면 소정 횟수를 더 자동 진동하여 필요한 전력을 발전하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수동 진동에 의하여 사용시간에 제한이 없는 충분한 전력을 발전하며, 다수의 휴대용 발전기를 선택된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과 전류를 발전하고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A modularized semi-automatic handy generator}
본 발명은 반수동 방식으로 동작하여 발전하고 충전하는 모듈화된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기를 셀 단위로 모듈화하고 필요한 전력 확보를 위하여 직렬과 병렬로 선택하여 반복 연결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한번 흔들어주면 자체적으로 수회 자동 진동하여 발전과 충전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불을 임의로 생성하는 발화 기술을 발명하면서부터 생활의 질을 개선하고 문명의 발달과 활동 범위의 확장이 가속화되었으며 이러한 발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자연현상과 기술의 발견 및 발명을 계속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것 중에서 전기는 현대의 인간이 영위하는 일상생활 중에서 가장 필요한 것 중에 하나가 되었다.
전기는 번개 등과 같이 자연현상으로 나타나지만 기계적 운동에너지 또는 화학적 반응에너지 등에 의하여 인위적으로도 발전할 수 있고 저장이 비교적 어려운 특성이 있어 발전된 후 모두 사용하며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없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기를 발전하는 장치를 발전기라고 하며 발전된 대용량의 전기는 장기간의 저장이 곤란하지만 어느 정도 용량의 전기는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에 재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일상생활의 소품에 사용하기 위한 소용량의 전기에너지를 필요한 때에 자가 발전하여 즉시 사용하는 발전기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소용량 발전기 관련 기술 중에서 손과 팔을 이용한 수동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로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396896호(2005. 09. 21.)에 의한 ‘자가 발전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용 손전등’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가 발전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손전등은 영구자석(10), 중공부재(20), 권선코일(22), 자성체(30, 32), 완충부재(40, 42), 정류회로(50), 충전부(60), 스위칭회로부(70), 발광다이오드(80), 외장케이스(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영구자석(10)은 중공부재(20)의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한다.
여기서 중공부재(20)의 양쪽 끝단은 영구자석(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완충부재(40, 42)를 부착한 자성체(30, 32)로 양쪽 끝단을 막는다. 이때, 자성체(30, 32)는 영구자석(10)이 접촉하는 경우에 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해당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중공부재(20)의 외측면에는 권선코일(22)이 감겨있고, 권선코일(22)은 정류회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정류회로(50)는 충전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부(60)는 스위치부(70)를 통하여 발광다이오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모든 구성은 외장케이스(90)에 의하여 수납되어 손전등을 형성한다.
손전등을 손으로 흔들면 중공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영구자석이 이동하면서 권선코일(22)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권선코일은 자기장을 전기장으로 변환하여 전기를 발전한다.
이와 같이 발전된 전기는 교류이며 정류회로(50)에 의하여 직류로 정류되어 충전부(60)에 충전되고, 스위칭회로부(70)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80)에 공급되므로 발광다이오드(80)가 발광하는 구조이다.
종래 기술은 손전등을 흔들면 영구자석(10)이 중공부재(2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발전하고, 중공부재(20)의 양쪽 끝단에는 동일한 극성의 자성체(30, 32)를 각각 구비하여 반발력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완충부재(40, 42)를 부착하여 충격을 더욱 완화한 상태로 발전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손과 팔의 힘으로 흔들어 진동을 발생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발전하고 흔드는 과정을 중단하는 즉시 발전하지 않으며, 연속 사용을 위하여 계속 흔들어야 하므로 쉽게 피로하게 되면서 사용시간에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 틈틈이 흔들어 주어 발전하고 충전 시켜야 하지만, 매우 번거롭고 충전상태를 확인하기도 어려워 쉽게 실증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영구자석(10)은 자장의 세기가 약하고 자장을 높이기 위하여 영구자석의 크기를 크게 하므로 소형으로 제작할 수 없으며 무게가 무거워 휴대용 발전기의 전체 크기가 커지고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영구자석(10)과 권선코일(22)의 구조에 의하여 발전할 수 있는 전기의 량(전력)이 현실적으로 작아 출력이 낮은 엘이디 전구를 제외하고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응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손과 팔에 의한 수동의 운동에너지로 오래 동안 발전하고 필요한 시간에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간이 비교적 길어지는 휴대용 발전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용 발전기를 소형으로 개발하여 다양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필요한 임의 크기의 전력을 발전하고 응용 범위를 확장하며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와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손과 팔에 의한 수동의 힘만으로 필요한 전력을 발전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발전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위 발전기를 모듈화하여 다수를 선택된 직렬과 병열로 조합하므로 발전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네오듐 자석이 동일한 극성을 마주한 상태로 다수 적층된 영구자석부와, 영구자석부를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 상태로 삽입하는 상자부와, 상자부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부와, 상자부의 내부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체부와, 상자부의 양 끝단을 차단하고 탄성체부를 고정하며 자성을 띄는 고무자석부와, 코일부가 발전한 전기를 인가받고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부의 전기를 인가받고 충전하는 축전지와, 축전지의 양극에 연결되고 돌출형상을 하는 양극부와, 축전지의 음극에 연결되고 원형판 형상을 하는 음극부와,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 상태로 양쪽 끝단에 각각 고정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영구자석부의 적층은 네오듐 자석을 가로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과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스부는, 상용 건전지의 크기와 외형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에 손과 팔에 의한 수동의 힘만으로 소정 횟수 수동 진동 시키면 소정 횟수를 더 자동 진동하여 필요한 전력을 자가 발전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수동 진동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자가 발전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이 본 발명은 적은 힘으로도 충분한 전력을 발전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모듈화된 다수의 휴대용 발전기를 선택된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과 전류를 발전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강한 자력을 발생하고 작은 크기로 성형할 수 있는 네오듐 자석을 이용하여 휴대용 발전기의 크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자가 발전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의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구자석부의 구성 상태 설명을 위한 도시도,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를 손전등에 사용하는 응용 상태 도시도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영국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1791. 09. 22. - 1867. 08. 25.)는 전기 코일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열거나 닫으므로 회로에 연결된 전자석 주위에 자기장이 커지거나 사라지며 가까이 있는 도체에 전류가 흐르고, 코일에 영구자석을 넣었다 빼는 경우에도 코일에 전류가 유도되며, 영구자석을 고정 시킨 상태에서 코일을 움직이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자연현상에 의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고정된 코일 속을 영구자석이 움직이면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고 수동으로 영구자석에 진동을 발생시켜 발전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듈(module)은 크기, 치수 또는 성능 등이 일정하게 규격화된 것으로, 설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반복 사용 또는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단위이다.
영구자석은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자성을 띄는 것으로 자연적인 영구자석과 인공적인 영구자석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네오듐(Neodymium)은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인공 영구자석 중에서 단위 면적당 가장 강력한 자기 에너지를 발생하여 슈퍼자석으로 불리는 영구자석이다.
네오듐은 산화된 철(Fe), 보론(Boron)을 주성분으로 하고 원소번호 21, 39, 57 내지 71 번에 해당하는 17 종의 희토류(rare earth) 원소를 혼합하여 소성한 합금이다.
이러한 네오듐에 자성을 인가하는 착자 과정을 거치면 현존하는 지구상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이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네오듐’이라 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도 네오듐 또는 네오듐 자석이라고 하기로 한다.
네오듐은 자기특성이 매우 강력하면서도 가공성이 좋아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자력 대비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동시에 산화력이 강하여 표면처리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사용 온도가 비교적 제한되어 높은 온도에서 더 강력한 자력을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영구자석은 2 개 이상을 접합한 경우, 동일한 자극이 만나는 지점에서 매우 강력한 자력선을 발생한다.
네오듐을 동일한 극성끼리 접합하는 경우 접합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자장은 약 8,000 가우스 내지 12,000 가우스(gauss)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우스(gauss)는 독일의 물리학자 이름으로부터 유래한 것이고, 평방 센티미터(cm) 당 자기력선속에 의한 자장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기호는 G 를 사용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는 영구자석부(110), 상자부(120), 코일부(130), 탄성체부(140), 고무자석부(150), 정류부(160), 축전지(170), 양극부(180), 음극부(190), 케이스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영구자석부(110)는 다수의 네오듐으로 이루어지고, 각 네오듐은 동일한 극성을 마주한 상태로 각각 적층되며,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을 한다.
한편, 영구자석부(110)는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 통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할 수 있다.
네오듐의 적층 형태는 가로 방향으로 적층하는 방식과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는 방식이 있고, 이하의 첨부된 도 3 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네오듐 자석을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는 상태로 적층하는 경우, 각 적층부분에서 약 8,000 가우스 이상의 자기력선에 의한 자장이 발생되고, 사용 환경의 온도가 높아지면 더 높은 자장을 형성한다.
상자부(120)는 내부가 공간으로 비어 있고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원형의 통 형상을 하고, 영구자석부(110)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자부(120)는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통 형상을 할 수 있다.
코일부(130)는 구리,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이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류로 이루어지고 상자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권취되어 권선을 형성하며 권선의 양쪽 끝단을 형성하는 단자는 같은 방향으로 인출한다.
권선의 횟수가 많으면 발전되는 전압이 높아지고, 권선의 굵기가 굵으면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부(14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자부(120)의 양쪽 끝단 내부에 각각 위치한다.
탄성체부(140)는 영구자석부(110)가 충돌하는 경우 탄성에 의하여 영구자석부(110)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게 하는 강력한 반발력을 발생한다.
고무자석부(150)는 고무 또는 동등한 특성의 물질에 미세 분말 형태의 네오듐 자석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매우 강력한 자성을 띄운다.
고무자석부(150)는 상자부(120)의 양쪽 끝단을 각각 차단하면서 탄성체부(140)를 각각 고정한다.
여기서 고무자석부(150)가 상자부(120)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극성은 마주하는 영구자석부(110)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상자부(120)의 내부 양쪽 끝단에 각각 고정된 고무자석부(150)에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부(110)가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강력한 네오듐 자석의 동일한 극성에 의한 강력한 반발력이 발생되고,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부(110)를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낸다.
또한, 영구자석부(110)가 양쪽 끝단에 충돌하는 경우, 양쪽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체부(140)의 탄성에 의하여 강력하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상자부(120) 내부에 위치하는 네오듐으로 이루어지는 영구자석부(110)는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인가되는 진동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동의 진동이 중단되는 경우, 상자부(120)의 양쪽 끝단에 각각 위치한 고무자석부(150)의 동일한 극성과 탄성체부(140)의 탄성이 혼합된 강한 반발력에 의하여 강력하게 튕겨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자부(120)의 반대 측 끝단에서 영구자석부(110)는 해당 고무자석부(150)와 탄성체부(140)에 의한 강한 반발력에 의하여 다시 강력하게 튕겨지면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한 번의 진동에 의하여 영구자석부(110)는 상자부(120)의 양쪽 끝단 사이를 수회 반복하여 자동으로 이동한다.
또한, 적은 힘으로도 영구자석부(110)를 상자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진동시킨다.
상자부(120)의 내부에서 영구자석부(110)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강력한 자장은 코일부(130)에 의하여 충분한 전력의 교류(AC) 전기를 발전한다.
코일부(130)의 양쪽 단자는 정류부(160)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정류부(160)는 입력단자에 인가된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지정된 출력단자로 출력하고, 출력단자는 축전지(170)의 해당 단자와 연결된다.
축전지(170)는 인가된 충전하여 저장하고 방전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충방전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와 콘덴서(condens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량이 큰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축전지(170)의 플러스 단자는 양극부(180)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는 음극부(190)에 각각 연결된다.
양극부(180)는 약간 돌출된 형상을 하고, 음극부(190)는 평편한 형상을 하며, 양극부(180)와 음극부(190)는 절연된 상태를 절대적으로 유지한다.
케이스부(200)는 양극부(180)와 음극부(190)를 양쪽 끝단에 절연된 상태로 고정하면서 축전지(170), 정류부(160), 영구자석부(110) 등을 내장하고 코일부(130)가 권선된 상자부(120)를 내장하여 전체적으로 모듈화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영구자석부(110)는 네오듐을 사용하므로 크기와 무게가 작고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부(110)를 포함하는 각 기능부를 소형으로 구성하여 휴대용 발전기(100)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케이스부(200)는 일반적인 상용의 건전지(battery)와 동일한 치수의 크기 및 외형으로 모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구자석부의 구성 상태 설명을 위한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영구자석부는 네오듐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영구자석을 동일한 극성이 마주한 상태로 반복 접착하여 다층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크기이고 부채꼴에 의한 기둥형상의 네오듐 영구자석을 동일한 극성이 마주한 상태로 다수 접착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여기서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부채꼴이 아니고 동일한 각형의 기둥일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형상 및 두께를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를 손전등에 사용하는 응용 상태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손전등(300)은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 2 개를 일측 끝단으로부터 내부에 삽입하고 체결한다.
손전등(300)은 삽입된 휴대용 발전기와 온오프(on/off) 기능의 스위치(310)와 발광다이오드(320)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회로를 구성한다.
사용자는 스위치(310)를 온(on) 상태로 제어하고 손전등(300)을 길이 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를 동작시킨다.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는 발전과 동시에 충전하고 발전된 전기를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320)에 인가하므로 빛을 발생한다.
이때,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는 진동이 중단된 후에도 탄성체부와 고무자석부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수회 진동이 계속되어 발전 및 충전을 계속 진행하는 동시에 발광다이오드가 동작하여 빛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소정의 주기 단위로 흔들어주어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에 진동이 인가되도록 하면 발광다이오드(320)는 계속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발전을 위하여 계속 흔들어 주지 않고 소정의 주기 단위로 흔들어 주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일 실시 예로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100) 2 개를 직렬(serial)로 연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일 실시 예로, 3 개 이상 중에서 선택된 개수를 직렬로 연결하거나 또는 2 개 이상 중에서 선택된 개수를 병렬(parallel)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을 혼합하거나, 병렬로만 연결하거나, 직렬로만 연결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휴대용 발전기(100)를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을 병행하므로 전압과 전류를 원하는 상태로 발전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발전기(100)를 일반적인 상용의 원형 배터리 형상으로 모듈화하여 손전등에 응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모듈화하여 MP3, 이동통신용 휴대전화 단말기, 무전기, 정지영상 카메라, 동영상 카메라, 노트북, 아이폰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휴대용 발전기 110 : 영구자석부
120 : 상자부 130 : 코일부
140 : 탄성체부 150 : 고무자석부
160 : 정류부 170 : 축전지
180 : 양극부 190 : 음극부
200 : 케이스부 300 : 손전등
310 : 스위치 320 : 발광다이오드

Claims (3)

  1. 네오듐 자석이 동일한 극성을 마주한 상태로 다수 적층된 영구자석부;
    상기 영구자석부를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 상태로 삽입하는 상자부;
    상기 상자부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부;
    상기 상자부의 내부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체부;
    상기 상자부의 양 끝단을 차단하고 상기 탄성체부를 고정하며 자성을 띄는 고무자석부;
    상기 코일부가 발전한 전기를 인가받고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전기를 인가받고 충전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의 양극에 연결되고 돌출형상을 하는 양극부;
    상기 축전지의 음극에 연결되고 원형판 형상을 하는 음극부;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 상태로 양쪽 끝단에 각각 고정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부의 적층은,
    상기 네오듐 자석을 가로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과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용 건전지의 크기와 외형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KR1020100040686A 2010-04-30 2010-04-30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KR101125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686A KR101125663B1 (ko) 2010-04-30 2010-04-30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686A KR101125663B1 (ko) 2010-04-30 2010-04-30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01A true KR20110121201A (ko) 2011-11-07
KR101125663B1 KR101125663B1 (ko) 2012-03-27

Family

ID=4539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686A KR101125663B1 (ko) 2010-04-30 2010-04-30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6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3103A (ja) * 2012-09-28 2015-11-19 パイノ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己発電ユニットを有する機能水生成装置
JP2016171733A (ja) * 2015-03-16 2016-09-23 Ntn株式会社 自己発電型ユニット、自己発電型ユニット用の本体、および自己発電型ユニット用の発電カセット
KR20210149142A (ko) * 2019-04-05 2021-12-08 제네르고 에스.알.엘. 선형운동 생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917A (ja) * 2003-07-14 2005-02-03 Mn Engineering Kk 振動発電機
JP2005094832A (ja) * 2003-09-12 2005-04-07 Sony Corp 発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3103A (ja) * 2012-09-28 2015-11-19 パイノ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己発電ユニットを有する機能水生成装置
JP2016171733A (ja) * 2015-03-16 2016-09-23 Ntn株式会社 自己発電型ユニット、自己発電型ユニット用の本体、および自己発電型ユニット用の発電カセット
KR20210149142A (ko) * 2019-04-05 2021-12-08 제네르고 에스.알.엘. 선형운동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663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74908B (zh) 自身可再充电的便携式电话
TWI535149B (zh) 具內柱外環磁動塊振動發電之蓄電裝置
US9362777B2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JP2006149163A (ja) 蓄電装置
CN106558907B (zh) 一种终端充电装置和终端
JP5989867B1 (ja) 振動ダイナモ装置
US20110175367A1 (en) Electric generator
CN101479913A (zh) 用于存储能量的系统和方法
WO2012065371A1 (zh) 便携发电装置及智能终端
US7615900B1 (en) Power generator for electronic devices
JP2005094832A (ja) 発電装置
US20080218128A1 (en) Self-generation type charging battery assembly
KR20060084972A (ko) 새로운 진동발전기
KR101125663B1 (ko)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US20120299299A1 (en) Self generating power source
JP2011160507A (ja) 発光部付き振動発電機
TWI294205B (en) Self rechargeable portable telephone
JP2006149164A (ja) 蓄電装置
JP2017108605A (ja) 振動ダイナモ装置及び電源装置
WO2006066517A1 (en) Equipment charging device using charging unit for mobile phones and or cells
KR19980064960A (ko) 휴대전화를 위한 진동형 수동발전 충전기
KR20130092852A (ko) 자가발전장치
CN102832679B (zh) 能量转换装置和移动终端
JP2011166893A (ja) 振動発電機
JP3724646B2 (ja) 充電型バッテ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