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581A -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581A
KR20110120581A KR20100040059A KR20100040059A KR20110120581A KR 20110120581 A KR20110120581 A KR 20110120581A KR 20100040059 A KR20100040059 A KR 20100040059A KR 20100040059 A KR20100040059 A KR 20100040059A KR 20110120581 A KR20110120581 A KR 2011012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interconnector
passivation layer
cell modu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166B1 (ko
Inventor
장대희
김종환
이경수
강주완
하만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1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제 1 태양전지셀 및 제 2 태양전지셀; 제 1 태양전지셀의 수광면에 배치된 제 1 전면집전부 및 제 2 태양전지셀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 배치된 제 2 후면집전부; 제 1 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 및 제 2 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를 포함하며, 제 1 전면인터커넥터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는 제 1 태양전지셀과 제 2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서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A)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2 후면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된 하부 보호막 상부에 제 1, 2 태양전지셀을 나란히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B) 제 2 태양전지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제 2 후면연장부 상부에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1 전면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된 상부 보호막을 제 1, 2 태양전지셀 상부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부 보호막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 1 태양전지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제 1 전면연장부와 제 2 후면연장부가 접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 셀이 주목 받고 있으며, 근래에는 전자용 전극과 정공용 전극을 기판의 후면, 즉 빛이 입사되지 않는 면에 모두 형성함으로써 수광 면적을 증가시켜 태양 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면 접합형 태양 전지 셀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면 접합형 태양 전지 셀은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 여러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후 패널(panel) 형태로 방수 처리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면 접합형 태양 전지 셀들을 갖는 태양 전지 모듈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이면 접합형 태양 전지 셀들, 인접한 태양 전지 셀들 사이의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실드(shield), 인접한 태양 전지 셀들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커넥터, 태양 전지 셀들을 보호하는 상부 및 하부 보호막, 태양 전지 셀들의 수광면 쪽으로 보호막 위에 배치되는 투명 부재, 및 수광면 반대 쪽으로 하부 보호막의 하부에 배치되는 후면 시트(back sheet)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실드는 접착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테이프(polyester tape)로 이루어지며, 인접한 태양 전지 셀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인접 셀들간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인접 셀들의 단부에 접착된다. 그리고, 실드 위에는 인접 셀들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커넥터가 배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터커넥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태양 전지 모듈의 자동화 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생산성 및 수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인터커넥터 구조를 개선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제 1 태양전지셀 및 제 2 태양전지셀; 제 1 태양전지셀의 수광면에 배치된 제 1 전면집전부 및 제 2 태양전지셀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 배치된 제 2 후면집전부; 제 1 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 및 제 2 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를 포함하며, 제 1 전면인터커넥터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는 제 1 태양전지셀과 제 2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서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전면인터커넥터는 제 1 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면연결부와 제 1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제 1 전면연장부를 포함하고, 제 2 후면인터커넥터는 제 2 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후면연결부와 제 2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제 2 후면연장부를 포함하고, 제 1 전면연장부와 제 2 후면연장부의 폭은 제 1 전면연결부와 제 2 후면연결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1 전면연결부의 폭은 제 1 전면집전부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수광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될 수 있다.
또한, 제 2 후면인터커넥터에서 제 2 후면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면의 반대쪽 후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은 제 1, 2 태양전지셀 및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수광면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태양전지셀과 제 2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막; 및 제 1, 2 태양전지셀 및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 1 태양전지셀과 제 2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막;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 모듈은 상부 보호막 하부와 제 1 전면연결부의 상부 사이 및 제 1, 2 태양전지셀의 측면 상부 둘레에 배치되며, 수광면이 텍스쳐링된 비전도성 물질의 제 1 반사체;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반사체에서 제 1 전면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폭은 제 1 전면연결부 또는 제 1 전면집전부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은 제 2 후면연결부의 하부와 하부 보호막 상부 사이 및 제 1, 2 태양전지셀의 측면 하부 둘레에 배치되며, 하부 보호막과 접촉되는 면이 텍스쳐링된 비전도성 물질의 제 2 반사체;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A)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2 후면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된 하부 보호막 상부에 제 1, 2 태양전지셀을 나란히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B) 제 2 태양전지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제 2 후면연장부 상부에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1 전면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된 상부 보호막을 제 1, 2 태양전지셀 상부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부 보호막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 1 태양전지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제 1 전면연장부와 제 2 후면연장부가 접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A) 단계는 하부 보호막 상부에 패터닝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상부에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태양전지셀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 2 후면집전부를 제 2 후면인터커넥터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제 1 태양전지셀의 수광면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 1 전면집전부 상부에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부 보호막 수광면 반대쪽 면에 패터닝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를 제 1 전면집전부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보호하는 보호막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전기 전도성 물질인 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되거나, 보호막과 상기 인터커넥터 사이에 비전도성 물질의 반사체가 상기 인터커넥터와 함께 패터닝된다.
여기서, 반사체 중 적어도 일부는 보호막과 인터커넥터 사이에 중첩하여 패터닝되며, 보호막과 인터커넥터 사이에 중첩하여 패터닝된 반사체의 폭은 인터커넥터의 폭 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셀을 서로 연결하는 인터커넥터를 제 1 전면인터커넥터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로 분리하고, 제 1 전면인터커넥터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가 태양전지셀의 사이에서 전기전도성 접착 물질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제 1 전면인터커넥터를 상부 보호막에 미리 형성하고, 제 2 후면인터커넥터를 하부 보호막에 미리 형성한 후, 한번의 열압착 공정에 의해 복수의 태양전지셀을 상하부 보호막과 일체화함과 아울러 제 1 전면인터커넥터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가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태양 전지셀을 일례로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인터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도 3, 4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인터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00)은 복수개의 태양 전지셀들(10, 10’), 복수개의 태양 전지셀들(10, 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커넥터(20), 태양 전지셀들(10, 10’)을 보호하는 보호막(EVA: Ethylene Vinyl Acetate)(30a, 30b), 태양 전지셀들(10, 10’)의 수광면 쪽으로 보호막(30a) 위에 배치되는 투명 부재(40), 수광면 반대 쪽으로 보호막(30b)의 하부에 배치되는 후면 시트(back sheet)(50),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일체화 된 상기 부품들을 수납하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및 태양 전지셀들(10, 10’)에서 생산된 전류 및 전압을 최종적으로 수집하는 정션 박스(junction box)(6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태양 전지셀들(10, 10’)은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며, 제 1 태양 전지셀(10)과 제 2 태양 전지셀(1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시트(50)는 태양 전지셀들(10, 10’)의 후면에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태양 전지셀들(10, 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후면 시트(50)는 수분과 산소 침투를 방지하는 층, 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는 층, 절연 특성을 갖는 층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호막(30a, 3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을 포함하며, 태양 전지셀들(10, 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태양 전지셀들(10, 10’)과 일체화되어, 태양 전지셀들(10, 10’)의 사이 공간에 채워지게 되며, 열처리를 통해 경화된다. 이와 같은 보호막(30a, 30b)은 습기 침투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태양 전지(10, 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막(30a, 30b)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부재(40)는 투과율이 높고 파손 방지 기능이 우수한 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강화 유리는 철 성분 함량이 낮은 저(low) 철분 강화 유리(low iron tempered glass)일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부재(40)는 빛의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내측면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될 수 있다.
인터커넥터(20)는 태양 전지셀들(10, 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인터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태양 전지셀들(10, 10’)의 수광면이나 배면에 배치되어 태양 전지셀들(10, 10’)로부터 생성된 전자나 전하를 모으는 집전부(미도시) 상부에 리본(Ribbon) 형태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인터커넥터를 솔더링 작업을 통하여 연결시켰다. 이와 같은 경우 인터커넥터를 집전부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일일이 생산자의 수작업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인터커넥터(20)는 인터커넥터(20)의 구조를 개선하고,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에 패터닝(Patterning)하여 미리 형성하고,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하여 인터커넥터(20)를 집전부에 연결시키도록 함으로써 공정수율 및 공정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태양 전지셀을 일례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태양전지셀(10)은 기판(11), 에미터부(12), 제 1 전극(13), 제 1 전면집전부(14), 반사방지막(15), 제 2 전극(16), 및 제 1 후면집전부(1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며, 제1 도전성 타입, 예를 들어 p형 도전성 타입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이때, 실리콘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일 수 있다. 기판(11)이 p형의 도전성 타입을 가질 경우, 붕소(B), 갈륨(Ga), 인듐(In) 등과 같은 3가 원소의 불순물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기판(11)은 텍스처링 표면(texturing surface)으로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 텍스처링(texturing) 처리될 수 있다. 기판(11)의 표면이 텍스처링 표면으로 형성되면 기판(11)의 수광면에서의 빛 반사도가 감소하고, 텍스처링 표면에서 입사와 반사 동작이 이루어져 태양 전지 내부에 빛이 갇히게 되어 빛의 흡수율이 증가된다. 따라서 기판(11)으로 입사되는 빛의 반사 손실이 줄어들어 기판(11)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태양 전지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에미터부(12)는 빛이 입사되는 기판(11)의 수광면에 위치하며 기판(11)의 도전성 타입과 반대인 제2 도전성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미터부(12)는 n형의 도전성 타입을 구비하고 있는 불순물이 도핑(doping)된 영역으로서, 반도체 기판(11)과 p-n 접합을 이룬다. 에미터부(12)가 n형의 도전성 타입을 가질 경우, 에미터부(12)는 인(P), 비소(As), 안티몬(Sb) 등과 같이 5가 원소의 불순물을 기판(11)에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에 입사된 빛에 의해 반도체 내부의 전자가 에너지를 받으면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판(11)이 p형이고 에미터부(12)가 n형일 경우, 분리된 정공은 기판(11)쪽으로 이동하고 분리된 전자는 에미터부(12)쪽으로 이동한다.
이와는 반대로, 기판(11)은 n형 도전성 타입일 수 있고, 실리콘 이외의 다른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판(11)이 n형의 도전성 타입을 가질 경우, 기판(11)은 인(P), 비소(As), 안티몬(Sb) 등과 같이 5가 원소의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에미터부(12)는 기판(11)과 p-n접합을 형성하게 되므로, 기판(11)이 n형의 도전성 타입을 가질 경우 에미터부(12)는 p형의 도전성 타입을 가진다. 이 경우, 분리된 전자는 기판(11)쪽으로 이동하고 분리된 정공은 에미터부(12)쪽으로 이동한다.
에미터부(12)가 p형의 도전성 타입을 가질 경우, 에미터부(12)는 붕소(B), 갈륨(Ga), 인듐(In) 등과 같은 3가 원소의 불순물을 기판(11)에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막(15)은 제1 전극(13) 및 제 1 전면집전부(14)가 위치하지 않는 에미터부(12) 위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양이 보다 많이 기판(11)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반사 방지막(15)은 실리콘 질화막(SiNx)이나 실리콘 산화막(SiO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태양전지셀(10)로 입사되는 빛의 반사도를 줄이고 특정한 파장 영역의 선택성을 증가시켜 제 1 태양전지셀(10)의 효율을 높인다. 이러한 반사 방지막(15)은 약 70㎚ 내지 8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13)은 에미터부(12) 위에 형성되어 에미터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하는 제1 전극(13)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1 전극(13)은 에미터부(12)쪽으로 이동한 전하, 예를 들면 전자를 수집하여 해당 제 1 전면집전부(14)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복수의 제1 전극(13)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도전성 물질은 니켈(Ni),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지만, 이외의 다른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미터부(12) 위에는 복수의 제 1 전면집전부(14)가 위치하고 있다. 버스 바(bus bar)라고도 불리는 제 1 전면집전부(14)는 제1 전극(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전극(13)과 제 1 전면집전부(14)는 에미터부(12) 위에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전면집전부(14)와 제 1 전극(13)의 폭비는 대략 5:1~20:1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제 1 전면집전부(14)가 1500um인 경우, 제 1 전극(13)은 대약 100um정도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전면집전부(14)는 제 1 전극(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에미터부(12) 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에미터부(12) 및 제1 전극(13)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면집전부(14)는 제1 전극(13)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하, 예를 들면 전자를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제 1 전면집전부(14)를 구성하는 도전성 금속 물질은 니켈(Ni),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지만, 이외의 다른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13) 및 제 1 전면집전부(14)는 도전성 금속 물질을 반사 방지막(15) 위에 도포한 후 도 2에 도시한 형태로 패터닝하고, 이를 소성하는 과정에서 에미터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16)은 기판(11)의 수광면 반대쪽, 즉 기판(11)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11)쪽으로 이동하는 전하, 예를 들어 정공을 수집한다.
제2 전극(16)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전성 물질은 니켈(Ni),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지만, 이외의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6) 아래에는 복수의 제 1 후면집전부(17)가 위치하고 있다. 제 1 후면집전부(17)는 제1 전극(13)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제 1 전면집전부(14)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1 후면집전부(17)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제2 전극(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후면집전부(17)는 제2 전극(16)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하, 예를 들면 정공을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제 1 후면집전부(17)를 구성하는 도전성 금속 물질은 니켈(Ni),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지만, 이외의 다른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태양전지셀(10)는 제2 전극(16)과 기판(11) 사이에 형성되는 후면 전계(back surface field, BSF)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전계부는 기판(11)과 동일한 도전성 타입의 불순물이 기판(11)보다 고농도로 도핑된 영역, 예를 들면, p+ 영역이다. 이와 같은 후면 전계부는 기판(11) 전위 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후면 전계부는 기판(11)의 후면부 쪽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소멸되는 것을 감소시켜 태양 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태양전지셀(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 1 태양전지셀(10)로 빛이 입사되어 반사 방지막(15)과 에미터부(12)를 통해 기판(11)으로 입사되면,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에 의해 자유전자(free electron)가 생기게 되고, p-n 접합의 원리에 따라 전자는 n형의 도전성 타입을 갖는 에미터부(12)쪽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의 도전성 타입을 갖는 기판(11)쪽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에미터부(12)쪽으로 이동한 전자는 제1 전극(13)에 의해 수집되어 제 1 전면집전부(14)로 이동하고, 기판(11)쪽으로 이동한 정공은 제2 전극(16)에 의해 수집되어 제 1 후면집전부(17)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 1 태양전지셀(10)는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동일한 구조를 갖는 태양 전지셀들(예를 들어, 제 2 태양전지셀(10’))을 직렬로 연결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태양 전지 모듈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인터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의 (a)는 태양전지 모듈을 수광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b)는 태양전지 모듈을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또한, 도 4의 (a)는 도 3에서 K1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도 3에서 K2 절단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인터커넥터(20)는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를 포함한다.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는 제 1 태양전지셀(10)의 수광면(10A)에 배치된 제 1 전면집전부(14)에 얼라인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는 제 2 태양전지셀(10’)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10’B)에 배치된 제 2 후면집전부(17’)에 얼라인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는 제 1 태양전지셀(10)과 제 2 태양전지셀(10’)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서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는 제 1 전면집전부(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면연결부(20F1)와 제 1 태양전지의 외부로 연장된 제 1 전면연장부(20F2)를 포함하고,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는 제 2 후면집전부(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후면연결부(20B1)와 제 2 태양전지셀(10’)의 외부로 연장된 제 2 후면연장부(20B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의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의 제 2 후면연장부(20B2)가 접착부(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의 제 1 전면연결부(20F1)는 제 1 전면집전부(14) 사이에서 접착부(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의 제 2 후면연결부(20B1)도 제 2 후면집전부(17’) 사이에서 접착부(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를 따로 따로 형성하여, 제 1 전면인터커텍터의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의 제 2 후면연장부(20B2)가 접착부(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 1 태양전지셀(10)과 제 2 태양전지셀(10’)을 연결하는 구조는 공정 자동화가 가능한 구조로 공정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는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를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에 미리 패턴닝(Patterning)하여 형성하고,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후면연장부(20B2) 사이에 접착부(27)를 형성한 후, 하나의 열 압착 공정(일례로,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하여 한번에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를 연결하는 동시에 제 1 태양전지셀(10)과 제 2 태양전지셀(10’)을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에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생산자의 수작업을 요하지 아니하므로, 공정 수율 및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를 형성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할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후면연장부(20B2)의 폭(WF2, WB2) 각각은 제 1 전면연결부(20F1)와 제 2 후면연결부(20B1)의 폭(WF1, WB1) 각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접착부(27) 및 제 2 후면연장부(20B2)와 접착부(27)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면연장부(20F2)는 제 2 태양전지셀(10’)과 이격될 수 있으며, 제 2 후면연장부(20B2)도 제 1 태양전지셀(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전면연장부(20F2)가 제 2 태양전지셀(10’)과 연결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단락(Short)을 방지하고, 제 2 후면연장부(20B2)가 제 1 태양전지셀(10)과 연결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단락(Short)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태양전지셀(10)과 제 1 전면연장부(20F2) 사이의 길이(GB2)는 제 1 전면연장부(20F2)의 길이(LF1)보다 길게 할 수 있으며, 제 2 태양전지셀(10’)과 제 2 후면연장부(20B2)의 길이(GF1)도 제 2 후면연장부(20B2)의 길이(LF1)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태양전지셀(10’) 사이의 단락(Short)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접착부(27)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제 2 후면연장부(20B2)와 제 1 태양전지셀(1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고, 제 2 후면연장부(20B2)와 접착부(27)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폭(W20F1)은 제 1 전면집전부(14)의 폭(W14)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는 일례로,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폭(W20F1)이 제 1 전면집전부(14)의 폭(W14)과 동일한 것만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폭(W20F1)이 제 1 전면집전부(14)의 폭(W14)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폭(W20F1)을 제 1 전면집전부(14)의 폭(W14) 이하로 형성하는 것은 태양전지셀의 수광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태양전지셀(10)이 수광할 수 있는 최대면적은 제 1 태양전지셀(10)의 기판의 수광면에서 제 1 전면집전부(14)가 차지하는 면적을 뺀 값이다. 따라서, 제 1 전면집전부(14)의 상부에 중첩하여 형성되는 제 1 전면연결부(20F1)에 의해 제 1 태양전지셀(10)의 수광 면적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 1 태양전지셀(10)의 수광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후면연결부(20B1)의 폭도 제 2 후면집전부(17’)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부 보호막(30a)에 미리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와 하부 보호막(30b)에 미리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의 패터닝 형상을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가 미리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상부 보호막(30a)을 180도 회전하여 하부 보호막(30b)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커넥터의 형상을 하나로 통일하여 보호막에 미리 패터닝 형성하여 이를 상부 보호막(30a)이나 하부 보호막(30b)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의 수광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되어 요철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의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빛이 제 1 태양전지셀(10)의 기판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셀의 수광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부 보호막(30a)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더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에서 제 2 후면집전부(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면의 반대쪽 후면도 텍스쳐링(Texturing)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와 하부 보호막(30b)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전면연결부(20F1)와 마주보는 제 1 전면집전부(14)의 전면, 제 1 전면연결부(20F1)와 제 1 전면집전부(14) 사이의 접착부(27), 및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도 함께 텍스쳐링(Texturing)될 수 있고, 제 2 후면연결부(20B1)와 마주보는 제 2 후면집전부(17’)의 후면, 제 2 후면연결부(20B1)와 제 2 후면집전부(17’) 사이의 접착부(27), 및 제 2 후면 연결부의 전면도 함께 텍스쳐링(Texturing)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전면연결부(20F1)와 제 1 전면집전부(14) 사이의 결합력 및 제 2 후면연결부(20B1)와 제 2 후면집전부(17’)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어, 제 1 전면 연결부와 제 1 전면집전부(14) 사이에 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 2 후면 연결부와 제 2 후면집전부(17’) 사이의 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의 도 5는 도 3, 4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의 일례는, 먼저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가 패터닝된 하부 보호막(30b) 상부에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을 나란히 얼라인하여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호막(30b) 상부에 패터닝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의 상부에 접착부(27)를 형성(S1, S2)한 다음,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 1, 2 후면집전부(17, 17’)를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에 얼라인하여 배치(S3)한다. 여기서, 제 2 태양전지셀(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의 제 2 후면연장부 상부에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27)를 형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S2나 S4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도 5에서는 S2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일례로 도시하였다.
다음,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가 패터닝된 상부 보호막(30a)을 제 1, 2 태양전지셀(10, 10’) 상부에 얼라인하여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의 수광면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 1, 2 전면집전부(14, 14’) 상부에 접착부(27)를 형성(S4)한 다음, 상부 보호막(30a) 수광면 반대쪽 면에 패터닝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를 제 1 전면집전부(14)에 얼라인하여 배치(S5)한다.
이후, 상부 보호막(30a) 및 하부 보호막(30b)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 1 태양전지셀(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의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후면연장부(20B2)가 접착부(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S6)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S6 단계에서 가해지는 열은 100 ~ 200℃ 사이의 범위로 저온 공정으로 처리 가능하다. 따라서, S6 단계에서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이 가열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VA(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100 ~ 200℃ 사이의 열과 압력에 의해 단단하게 굳어지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S6 단계에서 제 1 태양전지셀(10)과 제 2 태양전지셀(10’) 사이의 빈공간은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이 충진되어 모두 채워진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태양전지셀을 서로 연결하는 인터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작업자의 수작업을 요하지 않고 자동화공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이와 같은 태양 전지 모듈에서, 상부 보호막(30a)이나 하부 보호막(30b)은 인터커넥터가 미리 패터닝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 1 태양전지셀(10)의 제 1 전면집전부(14) 및 제 2 태양전지셀(10’)의 제 2 후면집전부(17’)에 하나의 인터커넥터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솔더링(Soldering)하는 공정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상부 보호막(30a)과 하부 보호막(30b) 표면에 미리 인터커넥터를 형성하고, 열압착 공정인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하여 제 1 전면연장부(20F2)와 제 2 후면연장부(20B2)가 접착부(27)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정 수율 및 속도를 향상시키를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인터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제 1 반사체(25F)와 제 2 반사체(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a) 및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체(25F)는 비전도성의 절연물질이 포함되며, 상부 보호막(30a) 하부와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상부 사이 및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의 측면 상부 둘레에 배치되고, 수광면이 텍스쳐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반사체(25F)는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의 제 1 전면연결부(20F1)와 상부 보호막(30a)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가 상부 보호막(30a)에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더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상부 및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의 측면 상부 둘레에 배치되는 제 1 반사체(25F)의 수광면이 텍스쳐링되도록 함으로써 제 1 반사체(25F)의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빛이 제 1 태양전지셀(10)의 기판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셀의 수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체(25F)에서 제 1 전면연결부(20F1)의 상부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부분의 폭은 제 1 전면연결부(20F1) 또는 제 1 전면집전부(14)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태양전지셀의 기판으로 빛이 입사되는 수광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셀의 수광 효율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의 (b) 및 도 7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반사체(25B)도 비전도성의 절연물질을 포함하며, 제 2 후면연결부(20B1)의 하부와 하부 보호막(30b) 상부 사이 및 제 1, 2 태양전지셀(10, 10’)의 측면 하부 둘레에 배치되며, 하부 보호막(30b)과 접촉되는 면이 텍스쳐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반사체(25B)도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가 상부 보호막(30a)에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하기 위함이며, 제 2 반사체(25B)에서 하부 보호막(30b)과 접촉되는 면이 텍스쳐링하는 것은 제 2 반사체(25B)가 상부 보호막(30a)에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도 6 및 도 7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다른 일례도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자동화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공정 수율 및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이와 같은 태양 전지 모듈에서, 상부 보호막(30a)이나 하부 보호막(30b)은 인터커넥터와 반사체가 미리 패터닝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제 1 전면인터커넥터(20F) 및 제 1 반사체(25F)가 미리 패터닝되어 형성된 상부 보호막(30a) 및 제 2 후면인터커넥터(20B) 및 제 2 반사체(25B)가 미리 패터닝되어 형성된 하부 보호막(30b)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은 태양전시셀들을 서로 연결하는 인터커넥터의 구조를 종래와 다르게 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의 공정 수율 및 공정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 1 태양전지셀 및 제 2 태양전지셀;
    상기 제 1 태양전지셀의 수광면에 배치된 제 1 전면집전부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셀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 배치된 제 2 후면집전부;
    상기 제 1 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면인터커넥터 및 상기 제 2 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후면인터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면인터커넥터와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는 상기 제 1 태양전지셀과 상기 제 2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서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면인터커넥터는 상기 제 1 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면연결부와 상기 제 1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제 1 전면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는 상기 제 2 후면집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후면연결부와 상기 제 2 태양전지셀의 외부로 연장된 제 2 후면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면연장부와 상기 제 2 후면연장부의 폭은 상기 제 1 전면연결부와 상기 제 2 후면연결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면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 1 전면집전부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수광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에서 상기 제 2 후면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면의 반대쪽 후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제 1, 2 태양전지셀 및 상기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수광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태양전지셀과 제 2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막; 및
    상기 제 1, 2 태양전지셀 및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태양전지셀과 제 2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상부 보호막 하부와 상기 제 1 전면연결부의 상부 사이 및 상기 제 1, 2 태양전지셀의 측면 상부 둘레에 배치되며, 수광면이 텍스쳐링된 비전도성 물질의 제 1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체에서 상기 제 1 전면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제 1 전면연결부 또는 상기 제 1 전면집전부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제 2 후면연결부의 하부와 상기 하부 보호막 상부 사이 및 상기 제 1, 2 태양전지셀의 측면 하부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보호막과 접촉되는 면이 텍스쳐링된 비전도성 물질의 제 2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10. 제 1 태양전지셀 및 제 2 태양전지셀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2 후면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된 하부 보호막 상부에 상기 제 1, 2 태양전지셀을 나란히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 2 태양전지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제 2 후면연장부 상부에 전기 전도성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전기 전도성 물질인 제 1 전면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된 상부 보호막을 상기 제 1, 2 태양전지셀 상부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부 보호막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태양전지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상기 제 1 전면인터커넥터의 제 1 전면연장부와 상기 제 2 후면연장부가 상기 접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하부 보호막 상부에 패터닝된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의 상부에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셀의 수광면 반대쪽 후면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 2 후면집전부를 상기 제 2 후면인터커넥터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태양전지셀의 수광면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 1 전면집전부 상부에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보호막 수광면 반대쪽 면에 패터닝된 상기 제 1 전면인터커넥터를 상기 제 1 전면집전부에 얼라인하여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3.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보호하는 보호막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전도성 물질인 인터커넥터가 패터닝되거나,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비전도성 물질의 반사체가 상기 인터커넥터와 함께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호막과 상기 인터커넥터 사이에 중첩하여 패터닝되며,
    상기 보호막과 상기 인터커넥터 사이에 중첩하여 패터닝된 반사체의 폭은 상기 인터커넥터의 폭 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막.
KR1020100040059A 2010-04-29 2010-04-29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59A KR101614166B1 (ko) 2010-04-29 2010-04-29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59A KR101614166B1 (ko) 2010-04-29 2010-04-29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81A true KR20110120581A (ko) 2011-11-04
KR101614166B1 KR101614166B1 (ko) 2016-04-20

Family

ID=4539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059A KR101614166B1 (ko) 2010-04-29 2010-04-29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620A (ko) * 2012-03-27 2014-12-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지향 매체를 포함하는 광기전 모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62731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05B1 (ko) * 2019-12-06 2020-12-04 고려특수선재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용 전극 선재, 그 제조 방법 및 태양광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629B2 (ja) * 2008-05-29 2012-12-19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620A (ko) * 2012-03-27 2014-12-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지향 매체를 포함하는 광기전 모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62731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166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116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130197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0114B1 (ko) 인터커넥터를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5833350B2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32426A1 (en) Solar cell module
KR20140003691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리본 결합체
KR20100135515A (ko)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KR101045860B1 (ko) 태양전지 패널
KR20120138021A (ko) 태양전지 모듈
JP549577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20079215A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146734B1 (ko) 태양 전지 셀 및 이를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KR20140095658A (ko) 태양 전지
US20170194525A1 (en) High power solar cell module
KR101092468B1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4553B1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614166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5585B1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5891B1 (ko)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태양 전지
KR20110064969A (ko) 태양 전지 모듈
KR20120124570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도전성 접착 필름
KR101959410B1 (ko) 태양전지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KR102005570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685350B1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739044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