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169A - 금형 카운터 - Google Patents

금형 카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169A
KR20110120169A KR1020100039731A KR20100039731A KR20110120169A KR 20110120169 A KR20110120169 A KR 20110120169A KR 1020100039731 A KR1020100039731 A KR 1020100039731A KR 20100039731 A KR20100039731 A KR 20100039731A KR 20110120169 A KR20110120169 A KR 2011012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shaft
counter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103B1 (ko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주)대영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오앤이 filed Critical (주)대영오앤이
Priority to KR102010003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0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083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result of count on counting mechanisms, e.g. by window with magnify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 장착되어 금형의 작업 횟수를 세는 금형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금형 카운터는 금형에 장착되고 일측에 누름 부재 구멍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 및 금형의 압입 횟수를 세도록 외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카운팅 유닛을 포함한다. 카운팅 유닛은, 외부 케이스의 누름 부재 구멍을 통해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여 금형의 압입 작업에 따라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누름 부재와, 이 누름 부재의 삽입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와, 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서만 회전하여 금형의 압입 횟수를 나타내는 링 조립체를 포함한다.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는 핑거가 원반형 휠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핑거는 휠에 인접한 미리 정해진 방향의 반대쪽 표면이 S자 형태이다. 금형 카운터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 강건하여 안정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금형 카운터{COUNTER OF MOLD}
본 발명은 금형에 장착되어 금형의 작업 횟수를 세는 금형 카운터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 강건하여 안정성이 개선된 금형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금형은 장기간 반복해서 사용하면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그 사용 횟수를 세어 정해진 회수만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샷 카운터(shot counter)라고도 하는 금형 카운터가 금형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금형 카운터는 금형의 압입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숫자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금형의 압입 횟수, 즉, 사용 횟수를 세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금형 카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먼저, 플레이트의 강도가 약해 통상 금형의 압입을 수만 또는 수십 만회 반복하는 동안 변경됨으로써 금형 카운터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가 샤프트와 별체로 제조됨으로써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카운터의 숫자 링과 그 숫자의 크기가 작아 어둡거나 먼지가 묻는 등의 경우에는 숫자 인식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강건하여 안정성이 개선된 금형 카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와 샤프트를 일체형 구조로 사출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금형 카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강건하게 하면서 플레이트-샤프트를 일체화함으로써 크기 축소가 가능한 금형 카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운터의 숫자를 확대하도록 구성된 창 또는 투명 측판을 갖는 금형 카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카운터는 금형에 장착되고 일측에 누름 부재 구멍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 및 금형의 압입 횟수를 세도록 외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카운팅 유닛을 포함한다. 카운팅 유닛은, 외부 케이스의 누름 부재 구멍을 통해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여 금형의 압입 작업에 따라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누름 부재와, 이 누름 부재의 삽입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와, 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서만 회전하여 금형의 압입 횟수를 나타내는 링 조립체를 포함한다.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는 핑거가 원반형 휠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핑거는 휠에 인접한 미리 정해진 방향의 반대쪽 표면이 S자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는 플레이트의 중앙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샤프트와 플레이트는 단일체의 수지 성형물 또는 서로 결합된 별체의 수지 성형물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샤프트 부재 또는 샤프트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와 링 조립체가 내장된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내부 케이스는 링 조립체의 링의 숫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일 측면이 투명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투명한 측면은 볼록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의 창은 볼록 렌즈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강건하여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 플레이트와 샤프트를 일체형 구조로 사출함으로써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강건하게 하면서 플레이트-샤프트를 일체화함으로써 크기 축소가 가능하다. 아울러, 카운터의 숫자를 확대하도록 구성하여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형 카운터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카운터 내장형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금형 카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금형 카운터의 카운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금형 카운터의 카운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카운팅 유닛의 변형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카운팅 유닛의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를 구성하는 구동 회전 플레이트의 평면도, 측면도, 및 밑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금형 카운터의 링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종동 회전 플레이트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형 카운터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카운터 내장형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형(10)은 상부 금형(12)과 하부 금형(14)으로 구성된다. 상부 금형(12)의 상단에는 수지 주입구(16)가 있고, 하부 금형(12)의 상면에는 공동(18)이 형성되어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금형(12)의 밑면에도 공동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하부 금형(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100)가 설치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0)는 상부 금형(12)이 하부 금형 쪽으로 이동할 때 금형의 사용 횟수 즉 압입 횟수를 세도록 구성된다.
이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카운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금형 카운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금형 카운터의 카운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금형 카운터(100)는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외부 케이스(102a, 102b)와 그 내부에 장착된 카운팅 유닛(110)으로 이루어진다.
외부케이스(102a, 102b)
먼저, 외부 케이스(102a, 102b)는 서로 볼트(B)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제1 외부 케이스(102a)에는 볼트(B)가 통과하는 볼트 구멍(106)이 형성되고 제2 외부 케이스(102b)에는 볼트(B)의 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 체결 돌기(108)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102a)에는 외부 케이스(102a, 102b) 내부의 숫자(174)를 외부에서 읽을 수 있도록 투명한 창(104)이 형성되어 있다. 창(104)은 외부 케이스(102a)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투명한 평판을 고정시켜 형성한다.
아울러, 외부 케이스(102a, 102b)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누름 부재(120)가 이동하기 위한 누름 부재 구멍(103a, 103b)이 형성되어 있다.
카운팅 유닛(110)
한편, 카운팅 유닛(110)은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누름 부재(120), 스프링(124), 내부 케이스(160),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 및 링 조립체(170)를 포함한다.
누름 부재(120)는 외부 케이스(102a, 102b)의 누름 부재 구멍(103a, 103b)을 통해 외부로 돌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누름 부재(120)는 스프링(124)에 의해 힘을 받아 금형의 압입 작업이 없는 경우 외부 케이스(102a, 102b)의 누름 부재 구멍(103a, 103b)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 누름 부재(120)의 일단에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의 샤프트(132)의 일단에 결합된 핀(136)이 끼워져 활주하는 경사 홈(122)이 형성되어 있어, 금형의 압입에 따른 누름 부재(120)의 직선 운동을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내부 케이스(160)는 앞판(112)과 뒤판(114) 사이에 4개의 측판(162, 164)이 배치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측판(164)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 명확히 도시한 것과 같이, 측판(164)은 측판(162)과 별체인 볼록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164-1)은 측판(162)의 일부로 형성된 볼록 렌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판(164, 164-1)을 볼록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링 조립체(170)의 링(172) 표면에 있는 숫자(174)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 케이스(102a, 102b)의 창(104)을 볼록 렌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부호 116은 후술하는 링 조립 체(170) 내의 회전 플레이트(18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봉이다.
내부 케이스(160) 내부에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와 링 조립체(170)가 배치된다.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
이하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카운팅 유닛의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7의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화살표(B) 방향의 측면도(b)이며, 도 9는 도 7의 IX-I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는 샤프트(132)와 플레이트(140)로 이루어진다. 샤프트(132)는 플레이트(140)의 중앙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단에는 핀 구멍(134)이 형성되어 핀(136)이 끼워져 결합된다.
플레이트(140)는 원반 형태의 휠(142), 상기 휠(142)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돌기(144), 및 돌기(144) 사이에 형성된 핑거(146)를 포함한다.
핑거(146)는 후술하는 링 조립체(170)의 링(172)을 일정한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핑거(146)는 기부(146a)가 휠(14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절곡부(146b)가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직선부(146c)가 직선으로 연장되며, 직선부(146c)의 말단에 형성된 돌기(150)가 형성된다. 돌기(150)는 링 조립체(170)의 링(172)의 내부 나사와 맞물려 링(17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만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한편, 핑거(146)의 외측 표면은 휠(142)에 인접한 제1 지점(P1)으로부터 변곡점인 제2 지점(P2)까지 시계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면(148a)을 형성하고, 제2 지점(P2)으로부터 제3 지점(P3)까지 볼록면(148b)을 형성하고, 제3 지점(P3)으로부터 종점인 제4 지점(P4)까지 평면(148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기부(146a)에 오목면(148a)을 형성하면 시계방향으로 강한 탄성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링(172)이 제대로 회전 되지 않거나 하여 핑거(146)에 시계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핑거(146), 구체적으로는, 기부(146a)와 굴곡부(146b)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면 수십 만회 이상을 링(172)을 회전시키는 동안 핑거(146)에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핑거(146)를 강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는 단일의 수지 성형물로 구성된다. 즉, 수지를 1회 사출하여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벤젠이미다졸(PBI), 폴리페닐렌설피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에테르케톤(PEK) 등의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면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 강건하여 안정성이 개선된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1)에서, 샤프트(132-1)와 플레이트(140-1)가 서로 결합된 별체의 수지 성형물일 수 있다. 즉, 샤프트(132-2)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고 플레이트(140-1)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이중 사출에 의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1)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샤프트(132-1)와 플레이트(140-1) 사이에 접착부(152)가 형성되어 이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소재나 특성이 유사한 소재로 샤프트(132-1)와 플레이트(140-1)를 형성하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샤프트(132-1)와 플레이트(140-1)는 전술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샤프트(132-1)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플레이트(140-1)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2)에서, 샤프트(132-2)와 플레이트(140-2)가 서로 결합된 별체의 수지 성형물이고, 샤프트(132-2)의 외주에 돌기(138)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돌기(138)는 샤프트(132-2)와 플레이트(140-2)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돌기(138)는 샤프트(132-2)와 플레이트(140-2)가 서로 특성이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때 유리할 수 있다.
링 조립체(170)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링 조립체(170)는 복수의 링(172)과 이들 링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회전 플레이트(180)를 포함한다.
각각의 링(172)의 외주에는 0에서 9까지의 숫자(174)가 인쇄되어 있다. 각각의 링(172)은 회전 플레이트(180)와 맞물려 일정한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2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180)는 제1 본체(182)와 그 하부의 단차진 원반형의 제2 본체(188)를 포함하며, 중앙 구멍(184)이 제1 및 제2 본체(182, 188)를 상하로 관통한다. 제1 본체(182)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핑거(186)를 갖는다. 핑거(186)는 전술한 플레이트(130)의 핑거(146)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본체(188)의 밑면에는 돌기(190)가 형성되어 있다.
10: 금형 10: 금형 카운터
102a, 102b: 외부 케이스 104: 창
110: 카운팅 유닛 112: 앞판
114: 뒤판 116: 고정 봉
120: 누름 부재 124: 스프링
130, 130-1, 130-2: 플레이트-샤프트 부재
132, 132-1, 132-2: 샤프트 136: 핀
140, 140-1, 140-2: 플레이트 146: 핑거
148a: 오목면 148b: 볼록면
150: 돌기 152: 접착부
160, 160-1: 내부 케이스 162, 164, 164-1: 측판
170: 링 조립체 172: 링
174: 숫자 180: 회전 플레이트

Claims (7)

  1. 금형에 장착되고 일측에 누름 부재 구멍(103a, 103b)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102a, 102b); 및
    금형의 압입 횟수를 세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카운팅 유닛(110)
    을 포함하며,
    상기 카운팅 유닛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누름 부재 구멍을 통해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여 금형의 압입 작업에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누름 부재(120)와, 이 누름 부재의 삽입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플레이트-샤프트 부재(130, 130-1, 130-2)와, 이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서만 회전하여 금형의 압입 횟수를 나타내는 링 조립체(17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는 핑거(146)가 원반형 휠(14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레이트(140, 140-1, 140-2)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상기 휠에 인접한 미리 정해진 방향의 반대쪽 표면(148a, 148b)이 S자 형태인, 금형 카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샤프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132, 132-1, 132-2)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금형 카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의 샤프트와 플레이트는 단일체의 수지 성형물 또는 서로 결합된 별체의 수지 성형물인 것인 금형 카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샤프트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인 금형 카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샤프트 부재와 링 조립체가 내장된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링 조립체의 링의 숫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일 측면이 투명한 것인 금형 카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측면은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금형 카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볼록 렌즈로 이루어진 것인 금형 카운터.
KR1020100039731A 2010-04-28 2010-04-28 금형 카운터 KR10114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31A KR101146103B1 (ko) 2010-04-28 2010-04-28 금형 카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31A KR101146103B1 (ko) 2010-04-28 2010-04-28 금형 카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169A true KR20110120169A (ko) 2011-11-03
KR101146103B1 KR101146103B1 (ko) 2012-05-17

Family

ID=4539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31A KR101146103B1 (ko) 2010-04-28 2010-04-28 금형 카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1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476B1 (ko) * 2013-04-17 2014-10-13 주식회사 대부 금형 카운터
KR102268911B1 (ko) * 2020-05-04 2021-06-24 주식회사 휴앤파워 금형 카운터
KR102268773B1 (ko) * 2020-05-04 2021-06-24 주식회사 라디언트 자가 충전식 금형 카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18Y1 (ko) 2003-09-29 2003-12-31 김영창 분해 조립이 용이한 계수기
KR20090098326A (ko) * 2008-03-14 2009-09-17 정휘수 계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476B1 (ko) * 2013-04-17 2014-10-13 주식회사 대부 금형 카운터
KR102268911B1 (ko) * 2020-05-04 2021-06-24 주식회사 휴앤파워 금형 카운터
KR102268773B1 (ko) * 2020-05-04 2021-06-24 주식회사 라디언트 자가 충전식 금형 카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103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23155U (zh) 回转式编码器
EP0927873B1 (en) Optical rotary encoder
KR101146103B1 (ko) 금형 카운터
KR200442713Y1 (ko)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
US20120137842A1 (en) Fastener, driver engaging with the fastener and punch producing the fastener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US20160017976A1 (en) Compound gea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consumable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1629872A1 (en) Toy building block
GB2130312A (en) Overrunning roller clutch
KR100918342B1 (ko) 회전검출장치
US7363826B2 (en) Rotating member-supporting structure and rotation detec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132826A (ko) 영구 자석 회전자
JPH0651178A (ja) 鏡 筒
JPH09124179A (ja) ローラ及び該ローラの製造方法
US10717188B2 (en) Spatial cross-axis transmission mechanism and robot having the same
JP6288605B2 (ja) エンコーダ機能を有するスライドリングシール
CN112368550B (zh) 反射型光学式编码器及马达以及反射型光学式编码器的制造方法
CN109216080A (zh) 具有平衡杆的薄型按键
KR20080003697U (ko) 컨베이어 롤러
US20060180636A1 (en) Two-piece tube
US8575805B2 (en) Electric motor rotor selectively formed of one of two different magnetic units
CN220778995U (zh) 滑动拼图玩具
KR20100033721A (ko) 광학 렌즈
CN1448086A (zh) 锁定构件和装置
CN111432854A (zh) 包括具有保持突出物的拉出器的隔膜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