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881A -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881A
KR20110119881A KR1020100039285A KR20100039285A KR20110119881A KR 20110119881 A KR20110119881 A KR 20110119881A KR 1020100039285 A KR1020100039285 A KR 1020100039285A KR 20100039285 A KR20100039285 A KR 20100039285A KR 20110119881 A KR20110119881 A KR 2011011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dust
air
vacuum clean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860B1 (ko
Inventor
김민하
박정수
주성태
양동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860B1/ko
Priority to JP2010233722A priority patent/JP5710203B2/ja
Priority to CN201010555016.0A priority patent/CN102138766B/zh
Publication of KR2011011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브러시 조립체는 피청소면과 접촉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한 브러시유닛 및, 상기 브러시유닛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연결된 사이클론집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집진유닛은, 상기 브러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유로와, 상기 브러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나머지 공기를 상기 연장관으로 곧바로 이동시키는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유로의 중심축은 상기 연장관의 중심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설치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브러시조립체를 통해 청소기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연장관, 플렉시블호스를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집진장치로 먼지를 분리한 후, 정화된 공기를 진공청소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87357에는 브러시조립체와 연장관 조립체 사이에 보조집진장치를 설치된 구조가 개시된다. 이러한 구조의 진공청소기는 브러시 조립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보조집진장치에서 먼지를 1차적으로 분리한 후, 정화된 공기는 연장관 및 플렉시블 호스를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의 집진장치에 유입되어 2차적으로 미세먼지가 분리되는 구성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87357호에 개시된 진공청소기는 보조 집진장치가 연장관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브러시 조립체의 부피가 커져서 좁은 공간이나 복잡한 구조의 공간을 청소할 때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보조 집진장치가 연장관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브러시조립체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직각으로 방향으로 전환되어 보조 집진장치를 거친 후, 다시 직각으로 방향 전환되어 연장관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외부공기의 급격한 방향 전환은 상당한 압력손실을 유발하여,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청소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콤팩트하면서도 먼지 분리효율이 향상되고 압력손실이 줄어든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러시조립체는, 피청소면과 접촉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한 브러시유닛 및, 상기 브러시유닛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연결된 사이클론집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집진유닛은, 상기 브러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유로와, 상기 브러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나머지 공기를 상기 연장관으로 곧바로 이동시키는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유로의 중심축은 상기 연장관의 중심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클론 유로의 중심축과 상기 연장관의 중심축은 편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저면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공기 유입구를 구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저면에 상기 사이클론 유로와 연통되는 사이클론 공기 유입구를 구비한 사이클론통, 상기 사이클론통의 중심에 설치되는 지지축, 상기 사이클론통과 상기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클론통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승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 부재 및, 상기 먼지통의 상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결합된 공기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사이클론통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론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먼지통과 상기 공기배출관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분리레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먼지통과 상기 사이클론통 사이 공간을 먼지수용챔버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구획하는 한 쌍의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먼지수용챔버에 저장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먼지수용챔버에 선택적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먼지배출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관의 저면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먼지안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클론집진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먼지통의 중심축이 연장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브러시조립체가 콤팩트하며, 좁고 복잡한 구조의 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클론 유로의 중심축이 연장관 중심축과 평행하면서 편심되게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클론유로 및 바이패스유로를 지나는 공기 유동에 급격한 꺾임이 없고 순 방향으로 진행됨으로써, 공기 유동 변화에 의한 압력손실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러시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사이클론 유로를 거쳐 연장관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공기는 사이클론 유로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유로를 거쳐 연장관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먼지 분리효율은 높이고 압력손실은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가 연장관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러시 조립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먼지배출버튼에 의해 외부공기유입공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도 1에서 먼지배출버튼에 의해 외부공기유입공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은 도 1의 사이클론 집진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VI-V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사이클론 집진공기배출관과 분리레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0)는 브러시유닛(100) 및 사이클론 집진유닛(200)을 포함한다.
브러시 유닛(100)은, 피 청소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부(110), 넥크부(120), 드럼브러시(130), 터빈팬(140)을 포함한다.
케이싱부(110)는 상부케이싱(111)과 하부케이싱(112)을 구비한다. 이들 상부 및 하부 케이싱(111,112)은 서로 결합되어 케이싱부(1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싱(111)의 개방된 바닥면에는 복수의 리브(113)가 설치되어 다수의 바닥흡입구(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흡입구(114)를 통해 피 청소면 상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케이싱부(11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된다.
넥크부(120)는 케이싱부(110)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모아서 후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부(110)의 후방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넥크부(120)의 일면에는 단차진 홈(122)이 형성되고, 홈(122)의 양측에는 회전축공(124) 한 쌍의 형성된다.
드럼브러시(130)는 케이싱부(1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청소면의 먼지를 털어 분리시킨다. 드럼브러시(130)는 케이싱부(11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드럼브러시 몸체(131)와, 드럼브러시 몸체(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브러시솔(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의 브러시솔(133)의 일단은 회전하면서 바닥흡입구(114)를 통해 피 청소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드럼브러시 몸체(131)가 회전될 경우, 다수의 브러시솔(133)이 피청소면을 타격하여 피 청소면에 달라붙은 먼지를 용이하게 분리한다.
터빈팬(140)은 케이싱부(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드럼브러시(130) 후류측에 드럼브러시(13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케이싱부(110)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터빈팬(140)과 드럼브러시(130)는 벨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터빈팬(140)과 연동하여 드럼브러시(130)가 회전된다. 이 경우, 터빈팬(140)의 회전축에 풀리(미도시)가 설치되어, 벨트(미도시)가 풀리(미도시)와 드럼브러시 몸체(130)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유닛(200)은 일측이 네크부(120)의 후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P)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유닛(200)은 네크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의 일부만을 유입하여 먼지를 필터링하고, 정화된 공기를 연장관(P)으로 배출하며, 네크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나머지 공기는 곧바로 연장관(P)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사이클론 집진유닛(200)은 먼지통(210), 사이클론통(220), 지지축(230), 선회가이드부재(240), 공기배출관(250), 입구 가이드부재(260), 먼지배출버튼(270) 및 분리레버부재(280)를 포함한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지통(210)은 투명재질이며,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먼지통(210)의 상부는 전체가 개방되며, 하부는 일부만이 개방된 형상으로서, 하면 일부는 밑판(212)이 형성되어 밀폐되고, 나머지 일부는 개방되어 바이패스 공기유입구(214)가 형성된다. 먼지통(210)의 하부는 넥크부(120)와 결합되고 타측은 공기배출관(25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먼지통(210) 하부 외면 일측에는 외부공기유입공(215)이 관통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218)이 형성된다.
사이클론통(220)은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먼지통(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사이클론통(220)의 저면에는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가 형성되어 넥크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를 통해 사이클론통(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사이클론통(220) 중심축(x2)은 먼지통(210)의 중심축에 평행하되 편심 배치되며, 먼지통(210) 높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사이클론통(220)은 내부에는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가이드부재(240)에 의해 선회기류 즉, 사이클론 유로(f1)가 형성된다. 사이클론 유로(f1)의 중심축은 사이클론통(220)의 중심축과 동일축(x1)을 갖는다.
도 2,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사이클론통(220)과 먼지통(210) 사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격벽(225)이 설치되어, 사이클론통(220)과 먼지통(210) 사이를 두 공간으로 구획한다. 먼지통(210)의 밑판(212)이 형성된 부분에는 사이클론통(220)과 먼지통(210) 사이에 먼지수용챔버(C1)가 형성되고, 밑판(21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바이패스 유로(f2)가 형성된다. 이때, 사이클론통(220)의 중심축(x1)은 먼지통(210)의 중심축과 평행하며 다소 편심되므로, 먼지수용챔버(C1)의 폭이 바이패스 유로(f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지지축(230)은 봉형상으로 사이클론통(220)의 중심에 설치되며, 사이클론통(220)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선회가이드부재(240)는 나선형상의 판이 사이클론통(220)과 지지축(23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이클론통(220) 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상승 선회시킨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공기배출관(250)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분리레버부재(280)에 의해 먼지통(210)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P)에 연결된다. 공기배출관(250)의 하면 중앙에는 원통형의 사이클론 출구(251)가 설치되고, 공기배출관(250)의 저면 일측에는 사이클론 출구(251)와 이격되게 바이패스 공기출구(253)가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사이클론 유로(f1)로부터 배출되는 정화공기는 사이클론 출구(251)로 유입되어 공기배출관(250)을 통해 연장관(P)으로 배출되고, 바이패스 유로(f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바이패스 공기출구(253)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으로 유입된 후, 연장관(P)으로 배출된다.
공기배출관(250)의 중심축은 연장관(P)의 중심축과 동일축(x2)을 이루며, 사이클론통(220)의 중심축, 즉 사이클론 유로(f1)의 중심축(x1)과 평행하며 다소 편심되게 배치된다.
사이클론 집진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먼지통(210), 공기배출관(250)및 연장관(P) 중심축은 평행하며, 편심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유로(f2)의 크기를 자유롭고 최적의 사이즈로 설계할 수 있으며, 순방향 공기유동으로 공기유동의 급격한 꺾임을 주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장치(200)는 연장관(P)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브러시 유닛(100)과 연장관(P)을 연결하는 원통 형상으로 연장관과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브러시조립체(10)의 부피가 콤팩트 해지고 사용자가 좁고 복잡한 공간의 청소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공기배출관(250)의 저면 양측에는 한 쌍의 유선형 먼지안내부재(255)가 대칭되게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먼지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공기배출관(250)과 먼지통(21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먼지안내부재(255)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지통의 내면과 접촉되는 일면은 직선형상이나 먼지를 안내하는 타면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먼지가 정체되지 않고 사이클론 출구(251)로 부드럽게 배출시킨다. 즉, 먼지수용챔버(C1)로부터 사이클론 출구(251)로 이동하는 먼지의 이동유로는 먼지안내부재(255)에 의해 유선형이 되며, 저장된 먼지를 배출 시에 먼지의 정체구간이 없이 배출시킬 수 있다.
공기배출관(250)의 저면에는 차단판(257)이 형성된다. 차단판(257)은 사이클론통(220)의 직경과 동일한 반원형의 제 1부분(257a)과, 파이프부(257a)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57b)을 포함한다.
입구 가이드부재(260)는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 일부를 감싸며,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와 바이패스 공기유입구(214)를 구분하도록 사이클론통(22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넥크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입구 가이드부재(260)에 의해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로 안내된다.
먼지배출버튼(270)은 먼지통(210)에 형성된 외부공기유입공(2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넥크부(120)에 형성된 회전축공(12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먼지배출버튼(270)은 외부공기유입공(215)을 밀폐하는 개폐부(272)와, 개폐부(272)의 후측에 연장형성되는 누름부(274)를 구비한다. 먼지배출버튼(270)의 양측에는 회동축(278)이 형성되어 넥크부(120)에 형성된 회전축공(124)에 삽입된다. 누름부(274)는 넥크부(120)에 형서된 홈(122)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며, 개폐부(272)는 넥크부(12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공기유입공(215)을 덮도록 배치된다.
회전축공(124)과 회전축(278) 사이에는 한 쌍의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먼지배출버튼(270)을 누른 후,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먼지배출버튼(270)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분리레버부재(280)는 공기배출관(250)이 먼지통(210)에 분리 또는 고정시키며, 공기배출관(2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분리레버부재(280) 하부 내면에는 먼지통(210)의 나사산(218)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한 쌍의 결합리브(282)가 연장형성된다(도 7참조).
따라서, 공기배출관(250)의 위치를 정렬한 후, 분리레버부재(280)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리브(282)가 나사산(218)과 결합되어, 공기배출관(250)이 먼지통(2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공기배출관(250)의 먼지안내부재(255)와 차단판(257)을 먼지통(210) 내부로 삽입하면, 먼지안내부재(255)가 먼지수용챔버(C1) 내에 수용되고, 차단판(257)의 제 1 부분(257a)은 사이클론통(220)의 상면과 연결되며, 차단판(257)의 제 2 부분(257b)은 격벽(225)의 상면과 연결된다. 즉, 먼지안내부재(255)와 차단판(257)에 의해 공기배출관(250)의 먼지통(210) 내 위치가 정렬되며, 그 후에 분리레버부재(280)를 회전하여, 공기배출관(250)을 먼지통(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판(257)이 사이클론통(220)의 상면 및 격벽(225)의 상면과 연결되어 먼지통(210) 상부에서 사이클론 유로(f1)와 바이패스 유로(f2)가 격리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외부공기유입공(215)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브러시조립체(1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먼지배출버튼(270)에 의해 외부공기유입공(215)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브러시조립체(10)의 단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지배출버튼(270)의 개폐부(272)가 외부공기유입공(215)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바닥 흡입구(114)를 통해 피 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케이싱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넥크부(120)를 통해 배출된다. 넥크부(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입구 가이드부재(260)에 의해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로 안내된 후, 사이클론통(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사이클론통(2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선회가이드부재(240)에 의해 안내되어 선회기류가 발생하고, 이 선회기류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원심분리된다. 즉, 사이클론통(220)의 내부에 형성된 사이클론 유로(f1)에 의해 먼지와 공기가 분리된다.
분리된 먼지는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되고, 정화된 공기는 사이클론 출구(251)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을 거쳐 연장관(P)으로 배출된다.
넥크부(120)로부터 배출되는 나머지 공기는 바이패스 공기유입구(214)를 통해 바이패스 유로(f2)에 유입된 후, 곧바로, 바이패스 출구(253)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을 거쳐 연장관(P)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연장관(P)으로 배출된 공기는 플렉시블호스(미도시)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미도시)에 내장된 집진장치(미도시)에 흡입되어 2차적으로 미세먼지가 분리된 후, 진공청소기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의 사이클론 집진유닛(200)은 도 3과 같이, 개폐부(272)가 외부공기유입공(215)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이클론통(220)의 내부의 사이클론 유로에 형성된 선회기류(f1)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투명한 먼지통(210)을 통해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된 먼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먼지를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0)는 넥크부(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만이 사이클론 유로(f1)를 거쳐 정화된 후, 연장관(P)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진공청소기의 청소효율이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0)는 사이클론통(220)의 직경에 따라 사이클론통(220)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유량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험에 의해 사이클론통(220)의 직경에 따른 흡입유량비율 및 먼지분리효율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을 참조하면, 넥크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사이클론통(2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사이클론통(220) 직경이 커짐에 따라 흡입유량비율이 증가하고, 먼지분리효율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 직경의 사이클론통(220)에 있어 입구 가이드부재(260)의 설치여부에 따라 흡입유량비율 및 먼지분리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이클론통 직경 흡입유량비율 먼지분리효율 비고
φ24 전체유량의 15% 14% -
φ26 전체유량의 27% 25% -
φ29 전체유량의 38% 37% -
φ29 전체유량의 45% 44% 입구 가이드 부재 설치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조립체(10)는 사이클론 유로(f1)의 중심축(x1)이 연장관(P) 중심축(x2)과 평행하게 편심되고, 넥크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일부가 사이클론통(220) 하부의 사이클론 공기유입구(222)로 유입되어, 사이클론통(222)의 중심축 즉, 사이클론 유로부(f1)의 중심축(x1)에 대해 상승하는 선회기류가 형성되어 먼지가 분리된 후, 사이클론통(220) 상부에 위치한 사이클론 출구(251)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을 거친 후 연장관(P)으로 배출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0)는 사이클론 유로(f1)의 공기 진행방향이 넥크부(120)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급격한 방향전환이 없이 순방향으로 진행되고, 사이클론 유로(f1)로부터 사이클론 출구(251)로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이 급격한 방향전환없이 연장관(P)을 향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청소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수용챔버(C1)에 일정량의 먼지가 저장되어,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된 먼지를 사이클론 집진장치(200)의 하류, 즉, 진공청소기 본체(미도시)로 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먼지배출버튼(270)의 누름부(274)를 누르면, 도 4와 같이, 먼지배출버튼(270)의 개폐부(272)가 회동하여 개폐부(272)가 외부공기유입공(215)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외부공기유입공(215)이 열리게 된다.
외부공기유입공(215)을 통해 먼지수용챔버(C1)에 유입된 공기는 사이클론출구(251)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유동에 의해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된 먼지가 사이클론 출구(251)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으로 배출된 후, 연장관(P)을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의 집진장치(미도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공기배출관(250)의 저면에 형성된 유선형의 먼지안내부재(255)에 의해 먼지수용챔버(C1)로부터 공기배출관(250)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급격한 방향전환을 하지 않고 유선형의 이동방향을 따라 유동하기 때문에, 먼지의 유동손실이 감소된다. 즉, 먼지안내부재(255)가 없을 경우, 먼지수용챔버(C1)에서 공기배출관(250)의 사이클론 출구(251)로 이동하는 먼지는 방향이 직각변환되는 유동에 의해, 먼지의 일부가 사이클론출구(251)를 통해 공기배출관(250)으로 이동되지 않고, 먼지통(210) 내에 남아있게 되지만, 먼지안내부재(255)가 있을 경우, 먼지가 유선형의 먼지안내부재(255)에 안내되어, 유선형의 유동을 보이기 때문에, 먼지가 먼지통(210)내에 남아 있지 않고, 모두 사이클론 출구(251)를 통해 공기배출구(250)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먼지배출버튼(270)을 조작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저장된 먼지를 비울 수 있으며,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된 먼지가 비워지는 과정을 투명한 먼지통(210)을 통해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조립체(10)는 분리레버부재(28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배출관(250)을 먼지통(210)으로부터 분리한 후, 먼지통(210)의 먼지수용챔버(C1)에 저장된 먼지를 개방된 상부를 통해 비울 수 있다.
먼지 비움이 완료되면, 공기배출관(250)의 저면에 형성된 먼지안내부재(255)를 먼지통(210)에 끼워 위치를 정렬한 후, 분리레버부재(2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기배출관(250)이 먼지통(210)에 고정된다.
100...브러시유닛 110...케이싱부
114...바닥흡입구 130...드럼브러시
140...터빈팬 200...사이클론 집진유닛
210...먼지통 220...사이클론통
230...지지축 240...선회가이드부재
250...공기배출관 260...입구가이드부재
270...먼지배출버튼 280...분리레버부재

Claims (9)

  1. 피청소면과 접촉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한 브러시유닛; 및,
    상기 브러시유닛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연결된 사이클론집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집진유닛은, 상기 브러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유로와, 상기 브러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나머지 공기를 상기 연장관으로 곧바로 이동시키는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유로의 중심축은 상기 연장관의 중심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유로의 중심축과 상기 연장관의 중심축은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저면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공기 유입구를 구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저면에 상기 사이클론 유로와 연통되는 사이클론 공기 유입구를 구비한 사이클론통;
    상기 사이클론통의 중심에 설치되는 지지축;
    상기 사이클론통과 상기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클론통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승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 부재; 및,
    상기 먼지통의 상단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결합된 공기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사이클론통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론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먼지통과 상기 공기배출관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분리레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먼지통과 상기 사이클론통 사이 공간을 먼지수용챔버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구획하는 한 쌍의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은,
    상기 먼지수용챔버에 저장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먼지수용챔버에 선택적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먼지배출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관의 저면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먼지안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유닛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클론집진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KR1020100039285A 2010-01-29 2010-04-28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KR10113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85A KR101136860B1 (ko) 2010-04-28 2010-04-28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JP2010233722A JP5710203B2 (ja) 2010-01-29 2010-10-18 真空掃除機のブラシ組立体
CN201010555016.0A CN102138766B (zh) 2010-01-29 2010-11-23 真空吸尘器的刷子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85A KR101136860B1 (ko) 2010-04-28 2010-04-28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881A true KR20110119881A (ko) 2011-11-03
KR101136860B1 KR101136860B1 (ko) 2012-04-20

Family

ID=4539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285A KR101136860B1 (ko) 2010-01-29 2010-04-28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7640A (ja) * 2016-01-22 2017-07-27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ブラシバー、掃除機ヘッド、及び当該ブラシバ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153B1 (ko) * 2000-10-31 2004-06-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JP4245555B2 (ja) * 2004-12-01 2009-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掃除機
KR101147770B1 (ko) * 2006-02-23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7640A (ja) * 2016-01-22 2017-07-27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ブラシバー、掃除機ヘッド、及び当該ブラシバ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10426306B2 (en) 2016-01-22 2019-10-01 Dyson Technology Limited Brushbar, cleaner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a brush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860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482B1 (ko) 청소기
US7857878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JP4024780B2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およびそ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のハンドル組立体
JP5710203B2 (ja) 真空掃除機のブラシ組立体
EP1779761B1 (en)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1250154B1 (ko) 진공 청소기
US20060272299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JP2009504310A (ja)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の集塵容器構造及び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の集塵容器カバー支持構造
AU2006249267B8 (en) Vacuum cleaner
GB2456193A (en) Dual cyclonic dust collector
US10028630B2 (en) Cleaner
KR102124487B1 (ko) 청소기
KR101136860B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KR102081941B1 (ko) 청소기
KR10067248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110088888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KR102344069B1 (ko) 청소기
KR101306695B1 (ko) 집진장치
EP169299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0797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용 핸들조립체
KR101250103B1 (ko) 청소기
KR100936067B1 (ko) 진공 청소기
KR2006010762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80066291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