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971A - 얼음용기 - Google Patents

얼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971A
KR20110118971A KR1020100038400A KR20100038400A KR20110118971A KR 20110118971 A KR20110118971 A KR 20110118971A KR 1020100038400 A KR1020100038400 A KR 1020100038400A KR 20100038400 A KR20100038400 A KR 20100038400A KR 20110118971 A KR20110118971 A KR 20110118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ntainer
outer cover
ice
con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용
Original Assignee
박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용 filed Critical 박창용
Priority to KR102010003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8971A/ko
Publication of KR2011011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용기의 상단을 외장커버의 상면보다 상측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단 캡을 개봉하여 신체부위를 직접 얼음에 접하여 사용할 수 있어 얼음 사용의 효과를 증대 시키며, 얼음용기가 외장커버에 의해 보호 및 지지, 누수방지 되어 결합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 유통 시에도 외부적인 변형 요소들로 부터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물질 등이 부착되거나 침투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얼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면(6) 및 둘레면(7)을 구비하는 외장커버(2)와, 상기 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 부 걸림 턱(8)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9)가 형성된 합성수지제 상단 캡(4) 과, 상기 외장커버(2)의 내주 면에 부합되면서 상면(14)보다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부(11)와 오목 부(12)가 구비되어 외장커버(2)에 삽입되며 상단 캡(4)에 의해 걸려서 외장커버(2)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된 얼음용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용기가 제공된다.
얼음용기, 외장 커버, 상단 캡, 걸림 턱, 계단 부, 내장커버

Description

얼음용기 { Ice container }
본 발명은 외장커버와 상단 캡을 구비한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삽입되는 얼음용기의 길이를 달리하여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하고, 신체부위가 직접 얼음에 접하게 됨으로 얼음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사용 시 기울이거나,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도 얼음이 녹아 발생한 물과 내용물이 흐르지 않으며, 외장커버와 상단 캡, 얼음용기를 결합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이나 운반, 유통, 보관 등의 과정에서도 외장커버 및 상단 캡에 의해 누수, 오염, 형태 변형 등이 방지되어 즉시 사용하거나, 보관 이후 사용 시에도 편리한 외장 커버 및 상단 캡을 구비한 얼음용기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차갑게 식혀서 먹으면 좋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얼음용기도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얼음용기는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더운 날씨에 상온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얼음용기가 녹아서 물이 테이블 등으로 흘러내려서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얼음용기는 미리 성형하여 냉동고 에 넣어 보관하는 중에, 적층된 얼음용기에 냉기(냉풍)등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노출되므로 얼음용기의 형태가 변형되어 얼음용기의 형태가 불완전 해지고, 제조 시 발생한 물로 인하 여 적층된 얼음용기가 서로 붙거나 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얼음용기는 얼음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먼지나 이물질이 얼음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비위생적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얼음용기를 사용법을 보면 얼음용기의 하단 부를 손잡이가 달린 홀더에 넣어서 사용하는 방법들과,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에 있어 외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의 하단부에 집수통과 조명을 겸비한 하부와, 용기의 중앙 면에 합성비닐을 이용한 내용물을 담는 합성비닐 보조용기와 보조용기의 내용물이 흐르지 않게 탈부착 가능한 덥게 을 포함한 고형 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과, 휴대용 및 일회용 제빙 컵에 있어 이중 컵과 덮게 을 포함한 중간에 제빙 공간부가 형성되어 물 또는 냉매를 얼려 사용하는 방식으로 출원중인 용기가 공개된 바 있다.
이는 얼려서 분리 보관하던 얼음용기를 홀더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과, 얼려 만들어 놓은 고형얼음을 보조용기에 넣어 사용 하는 것과, 보조용기에 물 등을 채워 얼려 만드는 용기에 관한 것들로 컵 형태의 몰드에 물을 넣어 얼려 고형 얼음 컵을 생산한 후 보조재와 결합 사용하거나, 보조 컵의 비워진 공간에 물을 넣어 얼려 사용하는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몰드에 물을 채워 넣어야 하므로 몰드를 결합, 물의충전, 분리하는 과정이 복잡하며, 물을 얼려 사용하기 까지 의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손잡이 없이 보조수단이 포함된 얼음용기를 잡을시 손에 닿는 얼음면적이 넓어 손이 시려 워 오랜 시간 들고 있기에는 부담감이 있으며, 이미 알려진 기술로 가압 성형한 얼음용기는 성형 후 즉시 사용할시 물이 바 닥면에 흘러 물 받침 등을 사용하거나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충전 시 단시간에 구멍이 발생하여 내용물이 새는 등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성형 즉시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성형 후 2차 냉동과정과 보관 단계를 거친 얼음용기도 냉동과정 시 이물질이 부착 되거나 침투할 수 있어 위생에 좋지 않으며 , 2차 냉동 과정에서 변형 또는 별도의 보조도구 없이는 서로 적재할시 달라붙어 상품가치가 떨어지며, 음료나 음식물을 담아 홀더에 넣어 사용 시에도 얼음이 녹으면서 얼음용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얼음용기가 홀더로 부터 빠질 가능성이 있으며, 홀더 없이 얼음용기 자체만 사용 할 때 도 물이녹아 흘러 내리므로 바닥면이 지 저분 해지며, 손에 물이 묻는 등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외장커버 내에 얼음용기가 삽입되거나, 물이 충전 되 얼려지므로 얼음의 체적만큼 내용물의 용량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부수적인 보조용기들도 상대적으로 크기가 늘어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얼음용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삽입되는 얼음용기의 길이를 달리하여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하고, 신체부위가 직접 얼음에 접하게 됨으로 얼음용기 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사용 시 기울이거나,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도 얼음이 녹아 발생한 물과 내용물이 흐르지 않으며, 얼음용기에 구멍이 발생하여 내용물이 새더라도 외장커버와 상단 캡 내부에서 발생됨 으로 사용에 불편이 없으며, 외장커버와 상단 캡, 얼음용기를 결합하는 즉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제조과정이나 운반, 유통, 보관 등의 과정에서도 형태변형 없이 위생적으로 즉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에도 얼음용기가 빠지지 않으며, 얼음용기가 녹아 물이 되더라도 흘러나오지 않고, 얼음에 닿는 접촉면에 공간 부를 형성하여 얼음의 녹는 속도를 지연 시키며, 비교적 장시간 손에 쥐고 있어도 차가운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음료나 주류, 육수 등이 희석되지 않아 제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얼음용기를 제공하고 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저면(6) 및 둘레면(7)을 구비하는 외장커버(2)와, 상기 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부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9)가 형성된 합성수지제 상단 캡(4)과, 상기 외장커버(2)의 내 주면에 부합되는 둘레 부를 구비하고, 외장커버(2) 상면(14)보다 상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외장커버(2)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 캡(4)에 의해 걸려서 외장커버(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된 얼음용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단 캡(4)의 내부에는 상기 얼음용기(10)의 상단 개구부(12)에 부합되거나 얼음용기(10) 상단 외주면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커버를 구비한 얼음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단 캡(4)의 내측에서 오목하게 하향 연장되어 얼음용기(10)의 오목 부(12)에 부합되거나 작은 오목 부(16)가 구비된 내장커버(3)를 구비한 얼음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얼음용기(10)는 외주 면 또는 내주 면 에 단차부로 이루어진 계단 부(17)를 형성하여 외장커버(2)와 얼음용기(10) 사이에 공간부(18)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단 캡(4) 에는 성형 얼음용기(10) 내주 면에 부합 되거나 ,외주면 보다는 작은 절취 부(19)를 구비하며, 절취 부(19)는 절취선을 형성하거나 스티커 형태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얼음용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용기(10)에 있어 외장커버(2)의 내주면에 부합되는 둘레 부를 구비하고, 외장커버(2) 상면(14)보다 상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외장커버(2) 내부에 삽입되는 얼음용기(10)와 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부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9)가 형성된 상단 캡(4)을 결합함으로서, 내용물의 용량을 삽입되는 얼음용기(10)의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단 캡(4) 개봉시 신체부위가 직접 얼음에 접하게 됨으로 얼음용기 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얼음용기(10)가 외장커버(2)에 의해 보호 및 지지, 누수방지 되어 즉시 결합 사용할 수 있으며, 소량의 물이 발생하여도 외장커버(2) 및 상단 캡(4)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냉동시설이 설치된 냉동 차량 내에서 운반하는 과정 중 단시간에 얼며, 그 과정에서 냉기와 냉풍 등의 외부적인 요소들이 외장커버(2) 및 상단 캡(4)에 의해 얼음용기(10)가 보호되어 형태가 큰 변화 없이 유지 되므로, 얼음용기를 운반, 유통하는 과정에서, 형태가 변형되는 일이 없게 되고, 또한 이물질이 얼음용기(10)에 부착되거나 침투하는 일이 방지되어 얼음용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컵 형태의 얼음용기를 손으로 들고 음료나 술 등을 마시는 경우에도, 얼음용기 (10)가 외장커버(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캡(4)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로 빠지지 않으며, 녹아 발생한 물이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상단 캡(4)에 내장커버(3)가 구비된 얼음용기로 얼음이 녹아 물이 발생 하더라도 내용물과 희석 되거나 물이 묻지않아 순수한 내용물을 사용 할 수 있으며 , 외장커버(2)와 얼음용기(10)가 공간 부(18)에 의해 떨어져 있어 얼음용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아 얼음이 녹는 것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손으로 쥐었을 때 얼음과 직접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 하여 손의 시린 통증과 손의 열기에 의해 녹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캡(2)에는 절취 부(19)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보호함은 물론 개봉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면(6) 및 둘레면(7)을 구비하는 외장커버(2)와, 상기 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 부 걸림 턱(8)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9)가 형성된 합성수지제 상단 캡(4) 과, 상기 외장커버(2)의 내주 면에 부합되면서 상면(14)보다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부(11)와 오목 부(12)가 구비되어 외장커버(2)에 삽입되며 상단 캡(4)에 의해 걸려서 외장커버(2)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된 얼음용기(10)를 포함하는 얼음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외장커버(2)는 합성수지, 유리, 메탈 기타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부에 걸림 턱(8)이 형성 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단 캡(4)의 재질에 따라서는 걸림 턱(8)이 없이도 탄성을 가진 러버 재질로 된 상단 캡(4)이 외장커버(2)와 탄성 적으로 밀착되면서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외장커버(2)의 내 주면에 부합되는 둘레 부를 구비하고, 외장커버(2) 상면(14)보다 상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얼음용기(10)가 이 외장커버(2)의 내주 면에 삽입된다. 삽입되는 얼음용기(10)의 길이에 따라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단 캡(4) 개봉 시 신체부위가 직접 얼음에 접하게 됨으로 얼음용기 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다. 얼음용기(10)는 외장커버(2)의 상단에 결합된 상단 캡(4)에 걸려서, 결합된 얼음용기를 손으로 들어서 기울이거나 뒤집더라도, 얼음용기(10)와 물, 내용물이 외장커버(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단 캡(4)의 내부에는 얼음용기(10)의 상단 개구부(12)에 부합되거나 얼음용기(10) 상단 외주 면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15)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냉면이나 팥빙수, 화채 등과 같이 시원하게 먹는 것이 바람직하면서,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먹도록 된 음식물용 용기를 얼음용기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결합된 용기를 들어서 내용물을 마시거나 용기를 기울여서 내용물을 따르는 경우에, 얼음용기(10)가 상단 캡(4)에 걸려서 지지되므로 얼음용기(10) 가 외장커버(2)로 부터 분리되거나 물 또는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일이 방지된다.
도(5), 도(6) 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면(6) 및 둘레면(7)을 구비한 외장커 버(2)와, 상기 외장커버(2)의 내주 면에 부합되는 둘레 부(11)와 오목 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외장커버(2)에 삽입되는 얼음용기(10)와, 상기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 결합 부(8)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9)를 형성한 상단 캡(4)의 내측에서 오목하게 하향 연장되어 얼음용기(10)의 오목 부(12)에 부합되거나 작은 오목 부(15)가 구비된 내장커버(3)로 이루어지는 얼음용기(10)로 얼음이 녹아 물이 발생 하더라도 내용물과 희석 되거나 물이 묻지 않아 순수한 내용물을 사용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7), 도(8) 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얼음용기(10)의 외주면 과 내주면 에는 단차부로 이루어진 계단 부(17)가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 부(17)는 외장 커버(2)와 얼음용기(10) 사이에 공간 부(18)를 형성하여 형성된 틈 사이로 결합, 운송, 보관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이 채워지며 이 물이 용기 내부에서 얼어 얼음의 부피가 팽창 되더라도 공간 부(18) 틈으로 팽창 되므로 내, 외부 커버에 영향을 주지 않아 형태변화 없이 냉동보관 할 수 있으며, 외장커버(2)와 얼음용기(10)가 공간 부(18)에 의해 떨어져 있어 얼음용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아 얼음이 녹는 것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손으로 쥐었을 때 얼음과 직접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 하여 손의 시린 통증과 손의 열기에 의해 녹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캡(4) 에는 성형 얼음용기(10) 내주 면 에 부합 되거나 ,외주면 보다는 작은 절취 부(19)를 구비하며, 절취 부(19)는 절취선 을 형성하거나 스티커 형태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얼음용기를 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얼음용기(10)가 외장커버(2)와 상단 캡(4)에 의해 보호되고 지지되므로, 얼음용기(10)를 결합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얼음용 기(10)의 길이에 따라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단 캡(4) 개봉 시 신체부위가 직접 얼음에 접하게 됨으로 얼음용기 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다. 제조,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물은 보관과정 및 냉동시설이 설치된 냉동차량으로 운반 유통 하는 과정 중에 냉동되어 사용처에 도착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외장커버(2)와 상단 캡(4)의 보호역할로 적층된 얼음용기가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적인냉기, 냉풍 등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일을 방지하며, 비교적 장시간 들고 있어도 손의 시린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얼음용기(10)에 외부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얼음용기를 위생적으로 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 은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 4, 5, 6, 7,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Claims (7)

  1. 저면(6) 및 둘레면(7)을 구비하는 외장커버(2)와, 상기 외장커버(2)의 상단 둘레 부 걸림 턱(8)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9)가 형성된 합성수지제 상단 캡(4)과, 상기 외장커버(2)의 내주 면에 부합되면서 상면(14)보다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부(11)와 오목 부(12)가 구비되어 외장커버(2)에 삽입되며 상단 캡(4)에 의해 걸려서 외장커버(2)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된 얼음용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캡(4)의 내부에는 상기 얼음용기(10)의 상단 개구부(12)에 부합되거나 얼음용기(10) 상단 외주면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캡(4)의 내측에서 오목하게 하양 연장되어 얼음용기(10)의 내주 면인 오목 부(12)에 부합되거나, 작은 오목 부(16)가 구비된 내장커버(3)를 구비한 얼음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용기(10)는 외주 면 또는 내주 면에 단차부로 이루어진 계단 부(17)를 형성하여 외장커버(2)와 얼음용기(10) 사이에 공간 부(18)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5. 제 1 항,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캡(4) 에는 성형 얼음용기(10) 내주 면에 부합되거나, 외주면 보다는 작은 절취 부(19)를 구비한 얼음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외장커버(2)에 단차부로 이루어진 계단부(20)를 형성하여 외장커버와 얼음용기(10)사이에 공간부(21)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얼음가루를 가압 성형한 얼음용기(10)를 외장커버(2)에 삽입하고, 상단 캡(4)을 결합하여 즉시 사용 하는 특징을 구비한 얼음용기.
KR1020100038400A 2010-04-26 2010-04-26 얼음용기 KR20110118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400A KR20110118971A (ko) 2010-04-26 2010-04-26 얼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400A KR20110118971A (ko) 2010-04-26 2010-04-26 얼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971A true KR20110118971A (ko) 2011-11-02

Family

ID=4539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400A KR20110118971A (ko) 2010-04-26 2010-04-26 얼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89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01B1 (ko) * 2012-10-16 2014-03-17 한국식품연구원 열매 채집용 바구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01B1 (ko) * 2012-10-16 2014-03-17 한국식품연구원 열매 채집용 바구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4028A (en) Ice holder incorporated within a beverage container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JP3187021U (ja) 冷熱凍カップ
JP3163283U (ja) 熱冷飲料用容器
AU2010100178A4 (en) Temperature keeping container
US20120305571A1 (en) Portable beverage can cooler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US20080156814A1 (en) Cooling tray
US200900111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e, storage, marketing and promotion of ice-creams and popsicles
WO2004045961A2 (en) Bottle coolers and method of promoting bottled beverages
US5067328A (en) Cooling vessel for beverages
KR20110118971A (ko) 얼음용기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KR200488189Y1 (ko)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US72729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KR101562649B1 (ko) 이중 구조의 용기
WO2015189069A1 (en) Iced beverage preparation kit
US20160023795A1 (en) Combination Drink Bottle and Frozen Comestible Maker
US20170367511A1 (en) Self chilling beverage system
ES2805792T3 (es) Refrigerador de bebida
ES2206172T3 (es) Proceso para ralizar un recipiente comprimible para alimentos congelados o solidos y recipiente asi obtenido.
CN207595653U (zh) 一种两用冷饮包装袋
KR101743281B1 (ko) 냉기를 유지하는 컵
KR101981187B1 (ko) 얼음 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