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869A -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869A
KR20110118869A KR1020100038239A KR20100038239A KR20110118869A KR 20110118869 A KR20110118869 A KR 20110118869A KR 1020100038239 A KR1020100038239 A KR 1020100038239A KR 20100038239 A KR20100038239 A KR 20100038239A KR 20110118869 A KR20110118869 A KR 20110118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hot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371B1 (ko
Inventor
오현오
Original Assignee
오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오 filed Critical 오현오
Priority to KR102010003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7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fluid fuel
    • F24H1/12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fluid fuel combined with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측에 급수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외관부와 내측에 열통로가 형성된 내관부가 결합된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의 사이에 밀폐된 압생성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급수구 측에 구비되는 역류방지수단과, 가스관과 연결된 가스노즐이 상기 열통로의 입구에 위치되어 상기 열통로에 가스열을 제공하는 가스열공급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전원공급이 필요없으므로 실내뿐만 아니라 야외 등 어느 곳에서도 간편하게 온수를 열매체로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종래에 비해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배출온수의 온도 또는 생성되는 증기압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Portable Device to Supply Warm Water}
본 발명은 온수생성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압에 의해 온수를 공급 및 순환시킴으로써 펌프 등의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특히 가스열을 이용함과 함께 이중관 구조의 장치본체를 채용하여 실내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장판, 매트, 순간온수기, 커피메이커 등 다양한 제품에 고효율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판이나 매트 등의 제품을 난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열선을 상기 제품에 매설하고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저항에 의한 열을 발생시켜 난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러한 전기를 이용한 전기장판, 전기매트 등은 필연적으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전기를 직접 이용함으로써 과열 및 전기누전 등에 의한 화재의 위험도 존재하여 안전성에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열식 난방에 대한 문제점의 인식을 통해 근래에는 전열을 이용하는 대신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는데, 이러한 기술들의 대부분은 저장된 물을 주로 전기히터를 통해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온수를 수중펌프 등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방식들로서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온수를 순환시키는 동력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전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2005-0037068호에 상기 펌프 등의 동력장치를 채용하지 않은 온수순환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보일러실을 구비하고 보일러 내에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온수를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이 역시 전기히터를 통한 가열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종래 온수공급장치들의 문제점들을 인식하여 본 출원인은 가스열을 이용함으로써 휴대하면서 장소의 제약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온수공급기를 개발하였고, 이를 2005년 6월 14일 출원하여 특허를 받았다.(특허번호 제10-0723262호)
그런데, 본 출원인이 이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문제점을 파악한 바, 상기 종래 특허기술(특허번호 제10-0723262호)은 장소의 제약없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지만, 압생성관의 외부에서 가스열을 가하는 관계로 열효율이 높지 않은, 즉 가스의 소모량에 비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펌핑하는 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과 함께 공급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기가 비교적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열을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실내뿐만 아니라 야외 등 어느 곳에서도 간편하게 온수를 열매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열효율을 높이고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온수를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하측에 급수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외관부와 내측에 열통로가 형성된 내관부가 결합된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의 사이에 밀폐된 압생성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급수구 측에 구비되는 역류방지수단과, 가스관과 연결된 가스노즐이 상기 열통로에 위치되어 상기 열통로에 가스열을 제공하는 가스열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노즐은 위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통로의 입구에는 일정길이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통로의 출구에는 배기관이 연결되되, 상기 배기관은 물저장부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는 상기 장치본체의 온도에 따라 가스열공급수단의 가스공급을 자동 조절하는 가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열조절수단은 상기 가스관에 가스유입구와 가스유출구가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장치본체의 외관부에 고정된 열전도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도되는 열에 의해 신축하는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가스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는,
가스열을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전원공급이 필요없으므로 실내뿐만 아니라 야외 등 어느 곳에서도 간편하게 온수를 열매체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열통로에 가스열을 공급하여 증기압을 생성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본체의 내관과 외관의 직경조절을 통해서 또는 가열면적의 조정을 통해서 배출온수의 온도 또는 생성되는 증기압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4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의 설치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생성공급장치(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와, 역류방지수단(20)과, 가스열공급수단(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수생성공급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장치본체(10)가 공급관(3)을 통해 물저장부(2)와 연결되고, 배출관(4)을 통해 온수공급 대상이 되는 다양한 온수이용제품(5)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이용제품(5)과 상기 물저장부(2)는 회수관(6)으로 연결됨으로써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가 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본체(10)는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이중관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장치본체(10)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외관부(11)와, 상기 외관부(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외관부(11)의 내측에 내관부(12)가 구비되는 이중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관부(11)에는 그 상하측에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구(13)와 생성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3)는 물저장부(2)와 공급관(3)을 통해 연결이 되며, 상기 배수구(14)는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온수이용제품(5)과 배출관(4)을 통해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부(12)의 내측 빈 공간은 열통로(15)가 되고, 상기 외관부(11)와 내관부(12) 사이에는 밀폐된 압생성공간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압생성공간부(16)는 상기 급수구(13)를 통해 공급된 물이 채워지며, 가열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고 증기압에 의해 생성된 온수를 배출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압생성공간부(16)는 상기 외관부(11)와 내관부(12)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결국 압생성공간부(16)의 크기는 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차이에 따라 결정이 되며, 이러한 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장치본체(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생성공간부(16)의 크기가 큰 경우(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차이가 큰 경우)에는 전달되는 가스열에 비하여 물이 채워진 공간이 크므로 증기압이 생성되는 시간이 길어져 그만큼 물이 압생성공간부(16)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물의 온도가 충분히 올라간 후에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반대로 상기 압생성공간부(16)의 크기가 작은 경우(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증기압의 생성시간이 짧아지면서 채워진 물이 충분히 열전달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빨리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것인 바, 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을 각각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배출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통로(15)는 상기 가스열공급수단(30)으로부터 가스열이 공급되는 부분이며 공급된 가스열이 통과되는 통로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열통로(15)의 입구측에는 일정길이로 돌출이 된 연장부(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17)에는 공기의 유통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통기공(17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통로(15)의 출구측에는 열통로(15)를 통과한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관(18)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통로(15)의 출구에서 연장되는 배기관(18)은 장치본체(10)로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부(2)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는 배기관(18)을 따라 배기되는 열기를 그냥 대기중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그 열기를 이용하여 물저장부(2)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따라서, 물저장부(2)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관(18) 부분은 배기관(18)의 열기와 저장된 물의 열교환이 보다 용이하도록 주름관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통로(15)의 내부에는 통과하는 가스열의 체류시간을 보다 증가시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격자형상의 보온철망(19)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역류방지수단(20)은 상기 장치본체(10)의 급수구(13)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생성공간부(16) 내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역류방지수단(20)은 압생성공간부(16) 내부에서 물이 가열되어 일정한 증기압이 생성되면 닫히면서 생성된 온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가 배수구(14)로 일방향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온수가 배출된 후에는 개방되어 다시 압성생공간부(16)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류방지수단으로는 피스톤 타입, 볼타입, 스윙타입, 다이아프램타입 등 다양한 구조를 갖는 역류방지밸브들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역류방지수단은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인 바,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러한 역류방지수단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배수구(14) 측에도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수구(14) 측에 구비되는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압생성공간부(16)가 온수를 배출한 후 부압으로 감압될 때 배출된 온수가 다시 압생성공간부(16)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압생성공간부(16)로의 물의 재공급이나 온수배출성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배수구(14)에 연결되는 배출관(4)의 크기, 길이, 온수이용제품(5)의 설치높이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스열공급수단(30)은 상기 장치본체(10)의 열통로(16)에 가스열을 공급하여 압생성공간부(16)를 가열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가스열공급수단(30)은 가스를 공급하고 공급된 가스를 분사하며 이를 점화시키는 통상적인 휴대용 가스버너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노즐(31)과, 분사되는 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수단(32)과, 가스노즐(31)과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33), 그리고 상기 가스관(33)에 연결되면서 휴대용 가스통(G)이 장착될 수 있는 가스통장착부(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스관(33)에는 가스의 공급이나 점화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밸브나 컨트롤스위치(35)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스열공급수단(30)에서 중요한 것은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노즐(31)이 장치본체(10)의 열통로(15)에 위치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가스열을 열통로(15) 내부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스열공급수단(30)에서 열통로(15)에 가스열이 제공되면, 열기가 상승하는 특성상 열통로(15)의 상부쪽으로 열이 집중하게 되므로 압생성공간부(16)는 전체가 고르게 가열을 받는 것이 아니라 위쪽부분만이 집중적으로 가열을 받게 되며, 그에 따라 압생성공간부(16)의 윗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많은 증기를 생성하여 온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열통로(15) 내부에서 가스노즐(31)의 위치나 불꽃의 형태 등을 조정하여 압생성공간부(16)의 가열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같은량의 가스를 소모한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불꽃의 크기를 작게하고 좁은 면적에 강하게 집중적으로 가스열을 제공하면 물이 전체적으로 데워지지 않아도 국부적으로 증기압이 생성되어 보다 낮은 온도의 온수를 배출할수 있으며, 반대로 불꽃의 크기를 크게하고 넓은 면적을 가열하게 되면 증기압의 생성시간이 길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수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스노즐(31)은 배출시키고자 하는 온수의 온도에 따라 열통로(15) 내부에 다양한 각도로 위치되는 것이 가능한데, 열통로(15)의 위쪽으로 가스열이 더욱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노즐(31)은 위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1)는 과열 등을 예방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장치본체(10)의 온도에 따라 가스열공급수단(30)의 가스공급을 자동 조절하는 가열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조절수단(40)은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 신축부재(42), 몸체(43), 열전도통(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는 가스열공급수단(30)의 가스관(33)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통(44)은 장치본체(10)의 외관부(11)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41)는 가스유입구(41a)와 가스유출구(41b)가 형성되어 각각 상기 가스관(33)에 연결되며, 내부는 빈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전도통(44)은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의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고정된 장치본체(10)의 외관부(11)로부터 열을 전도받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41) 내부에는 상기 몸체(4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신축부재(42)는 상기 몸체(43)와 상기 열전도통(44)의 타측에 각각 양단이 결합된다.
상기 몸체(43)는 전후로 미세하게 이동하면서 케이스(41)의 가스유입구(41a)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43)의 이동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 오링(43a)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부재(42)는 열에 의해 신축이 가능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선형 열팽창률이 큰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용이하게 열을 전도받을 수 있게 열전도통(44)의 내벽면에 근접하면서 상기 열전도통(44)의 일단에 볼트(B) 등으로 결합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가열조절수단(40)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스유입구(41a)를 개방시켜 가스공급이 이루어지게 하고,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관부(11)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신축부재(42)가 열팽창하면서 자동으로 몸체(43)가 가스유입구(41a)를 폐쇄하여 가스공급을 차단하도록 작동하게 되므로, 가스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장치본체(10)의 이상과열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1)가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1)는 장치본체(10)의 급수구(13)가 공급관(3)을 통해 물저장부(2)와 연결되고, 배수구(14)가 배출관(4)을 통해 온수매트, 온수장판, 순간온수기, 커피메이커 등 온수공급 대상이 되는 다양한 온수이용제품(5)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이용제품(5)과 상기 물탱크(2)는 회수관(6)으로 연결됨으로써 온수의 순환시스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온수생성공급장치(1)가 물저장부(2) 및 온수이용제품(5)과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저장부(2)에 물을 주입하게 되면 물저장부(2)의 물은 공급관(3)을 통해 장치본체(10)의 압생성공간부(16)에 공급됨과 함께 배출관(4)을 통해 온수이용제품(5)까지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모든 배관에 채워지게 된다.(이 때, 급수구(13) 측에 구비된 역류방지수단(20)은 개방된 상태임.)
이와 같이 장치본체(10)의 압생성공간부(16)와 배출관(5)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가스통을 가스통장착부(34)에 장착한 후(물론, 먼저 장착되어 있어도 무관함), 가스열공급수단(30)의 컨트롤스위치(35)를 조작하여 장치본체(10)의 열통로(15)로 가스열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스열이 열통로(15)에 공급되면 그 열기로 인하여 압생성공간부(16)의 위쪽부분이 집중적으로 가열을 받게 되면서 그 부분의 물은 빠르게 온도가 상승하여 점차 기화하게 되고, 압생성공간부(16)의 아래쪽부분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느리게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압생성공간부(16)의 위쪽부분이 국부적으로 가열을 받게 되면서 증기압이 생성되면 그 압력에 의해 상기 공급관(3)의 역류방지수단(20)은 닫히게 됨과 함께 압생성공간부(16) 아래쪽부분의 온수가 배출관(5)을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정량의 온수가 배출된 후에는 배출된 온수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상기 압생성공간부(16) 내부에 순간적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면서 부압으로 감압되고, 그에 따라 다시 공급관(3)의 역류방지수단(20)이 개방되어 물저장부(2)로부터 장치본체(10)의 압생성공간부(16)로 다시 냉수가 공급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증기압 생성과정이 반복되며, 그에 따라 계속적으로 일정량의 온수를 생성 배출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온수이용제품(5)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생성공급장치(1)는 상기 압생성공간부(16)의 크기(즉, 내관부(11)와 외관부(12)의 직경차이)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그 펌핑강도 및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차이를 크게 하여 압생성공간부(16)를 크게 하면, 물이 채워진 공간이 크므로 그만큼 증기압을 생성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라 압생성공간부(16) 내의 물이 충분히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반대로 외관부(11)와 내관부(12)의 직경차이를 작게 하여 압생성공간부(16)를 작게 하면, 상대적으로 증기압의 생성시간이 짧아지면서 채워진 물이 보다 빨리 배출되므로 그만큼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열에 의해 가열을 받는 압생성공간부(16)의 가열면적을 조정(즉, 좁은 면적의 국부가열, 넓은 면적의 가열)함으로써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장치본체 11: 외관부
12: 내관부 13: 급수구
14: 배수구 15: 열통로
16: 압생성공간부 20: 역류방지수단
30: 가스열공급수단 31: 가스노즐
32: 점화수단 33: 가스관
34: 가스통장착부 40: 가열조절수단
41: 케이스 42: 신축부재
43: 몸체 44: 열전도통

Claims (5)

  1. 상하측에 급수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외관부와 내측에 열통로가 형성된 내관부가 결합된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의 사이에 밀폐된 압생성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급수구 측에 구비되는 역류방지수단과;
    가스관과 연결된 가스노즐이 상기 열통로에 위치되어 상기 열통로에 가스열을 제공하는 가스열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노즐은 위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통로의 입구에는 일정길이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통로의 출구에는 배기관이 연결되되, 상기 배기관은 물저장부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온도에 따라 가스열공급수단의 가스공급을 자동 조절하는 가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조절수단은,
    상기 가스관에 가스유입구와 가스유출구가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장치본체의 외관부에 고정된 열전도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도되는 열에 의해 신축하는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가스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KR1020100038239A 2010-04-26 2010-04-26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KR10119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239A KR101197371B1 (ko) 2010-04-26 2010-04-26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239A KR101197371B1 (ko) 2010-04-26 2010-04-26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869A true KR20110118869A (ko) 2011-11-02
KR101197371B1 KR101197371B1 (ko) 2012-11-05

Family

ID=4539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239A KR101197371B1 (ko) 2010-04-26 2010-04-26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85A (ko) * 2017-01-13 2018-07-24 코리아로팍스 주식회사 자동으로 가스량 조절 및 가스차단이 가능한 가스안전장치
KR102017425B1 (ko)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102017424B1 (ko)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572Y1 (ko) * 2001-06-14 2001-10-17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내부감시장치가 결합된 보일러
KR200280587Y1 (ko) 2002-03-28 2002-07-04 김선호 휴대용 난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85A (ko) * 2017-01-13 2018-07-24 코리아로팍스 주식회사 자동으로 가스량 조절 및 가스차단이 가능한 가스안전장치
KR102017425B1 (ko)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102017424B1 (ko) 2018-05-23 2019-09-02 김영록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371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113B1 (ko)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CN101392952B (zh) 取暖用自循环锅炉
KR101284544B1 (ko)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KR20100114151A (ko) 이동식 라디에이터
CN102135320A (zh) 热能水暖循环系统
KR101446643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101197371B1 (ko)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KR100714511B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CA2761035C (en) Steam generator
KR100872414B1 (ko) 온수순환장치
CN102341654A (zh) 无动力热水泵装置
KR101036136B1 (ko) 사계절 냉난방 보일러
KR100601902B1 (ko) 가스조절/차단밸브 및 이를 이용한 온수 자동순환장치
KR100723262B1 (ko) 휴대용 온수공급기
KR100957056B1 (ko) 전기 보일러
KR100714510B1 (ko) 다용도 온수공급기
KR102379071B1 (ko) 무동력 온수보일러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KR100815719B1 (ko) 수직형 전기보일러.
KR20080039214A (ko) 온수기
KR101514602B1 (ko) 가열압축공기를 이용한 바닥 난방 및 온수공급장치
KR100958693B1 (ko) 축열식 보일러
KR20100031335A (ko) 세라믹히터를 이용한 열매체 순환시스템
KR20160131376A (ko) 증기압을 이용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101477074B1 (ko) 증기압을 이용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