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511B1 -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 Google Patents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511B1
KR100714511B1 KR1020050058959A KR20050058959A KR100714511B1 KR 100714511 B1 KR100714511 B1 KR 100714511B1 KR 1020050058959 A KR1020050058959 A KR 1020050058959A KR 20050058959 A KR20050058959 A KR 20050058959A KR 100714511 B1 KR100714511 B1 KR 100714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heater
supply
water
local heating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197A (ko
Inventor
오현오
Original Assignee
오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700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145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오 filed Critical 오현오
Priority to KR102005005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5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공급구와 회수구가 각각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수구와 연통되는 저수부와, 일단부는 상기 저수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급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 작동하는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압을 생성하는 국부가열부를 갖는 공급관, 및 상기 국부가열부의 전후방 공급관에 각각 내설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는 장치를 매우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가 물과 직접 접촉하는 대신 전기히터를 배관에 접촉시키고 전도열에 의해 내부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누전 등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전기히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켜 주기적으로 전기히터를 교체 내지는 보수할 필요가 없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온수공급기, 전기히터, 국부가열

Description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The Device to supply Warm-water using Electric Heat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국부가열부와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b의 횡단면도.
도4a와 도4b는 히터수용실이 형성된 국부가열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6a와 도6b는 체크밸브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20: 저수부
30: 공급관 40: 국부가열부
41: 공간부 43: 히터수용실
50: 전기히터 60a/b: 체크밸브
80: 히터제어부
본 발명은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채워진 배관의 국부를 전기히터로 가열시켜 상기 관의 국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온수를 생산하여 공급 및 순환시킬 수 있으며,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장치 및 보일러실 등이 필요없는 매우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여 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게 장판, 매트 등 다양한 난방제품에 응용될 수 있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판이나 매트 등의 제품을 난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열선을 상기 제품에 매설하고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저항에 의한 열을 발생시켜 난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러한 전기를 이용한 전기장판, 전기매트 등은 필연적으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전기를 직접 이용함으로써 과열 및 누전 등에 의한 화재의 위험도 존재하여 안전성에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열식 난방에 대한 문제점의 인식을 통해 최근에는 전열을 이용하는 대신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는데, 이러한 기술들의 대부분은 저장된 물을 가열장치를 통해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온수를 수중펌프 등의 별도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방식들로서, 별도의 동력장치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단점과 그에 따라 부피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공개공보 제2005-0037068호에 상기 펌프 등의 동력장치를 채용하지 않은 온수순환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는 물탱크와 연결되며 물이 일정량 수용되어 가열되는 보일러실을 구비하고 상기 보일러실 내에 수용된 물과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도록 전기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보일러실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공급밸브와 배출밸브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온수순환장치는 일정한 양의 물이 수용되는 별도의 보일러실을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전기히터를 직접 물과 접촉시켜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전기히터의 손상 등에 따른 누전의 위험성이 존재함과 아울러 전기히터를 주기적으로 보수 및 교체를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채워진 배관의 국부를 전기히터를 통해 가열하여 상기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온수를 다양한 제품의 난방을 위한 열매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장치와 보일러실을 구비하지 않고 오로지 배관의 국부를 가열시켜 그 국부에서 생성되는 증기압에 의해 온수를 펌핑함으로써 장치를 매우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가 물과 직접 접촉하는 대신 전기 히터를 배관에 접촉시키고 전도열에 의해 내부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누전 등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전기히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는,
일측에 공급구와 회수구가 각각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수구와 연통되는 저수부와, 일단부는 상기 저수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급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 작동하는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압을 생성하는 국부가열부를 갖는 공급관, 및 상기 국부가열부의 전후방 공급관에 각각 내설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국부가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국부가열부의 전방 공급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기히터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기히터는 코일 또는 도넛(donut) 형태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국부가열부의 외주면에 접촉 설치되어 국부가열부에 열을 전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국부가열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 의 지지판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원기둥 형상의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국부가열부에는 일면이 개구된 히터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수용실에 전기히터가 삽입 설치되어 국부가열부에 열을 전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는 하단이 개방되며 상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유출홈이 다수 형성된 중공의 밸브실린더와, 상기 밸브실린더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밸브피스톤, 및 상기 밸브실린더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링홈에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밸브피스톤의 하강시 이탈을 억제하는 밸브고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향 구배가 형성되고 물이 채워진 배관의 소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가열하면 가열된 배관의 표면 열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물의 수증기로의 상태변화에 따른 부피팽창에 의해 상기 배관 내부에는 증기압이 생성된다.
이렇게 국부적으로 가열을 받아 증기압을 생성하는 배관의 전후방에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를 각각 구비하게 되면 배관 내의 온수는 일 방향으로만 증기압에 의해 압송이 되며, 압송 후의 상기 가열 배관은 저기압으로 하강하므로 중력에 의해 다시 새로운 물로 채워져 가열을 받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온수를 일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기는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20)가 마련되고, 상기 저수부(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공급관(30)이 저수부(20)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30)의 배관라인에는 전기히터(50)와 접촉되어 가열되는 국부가열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국부가열부(40)의 전후방 공급관(30)에 배관 내의 물이 역류하여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쌍의 체크밸브가 내설됨으로써 상기 국부가열부(40)에서 생성되는 증기압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공급관(30)을 통해 외부로 압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중공체로서 원기둥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내부의 상측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물을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수부(20)가 마련된다.
또한, 일측에는 생성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구(11)와 상기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다양한 난방제품에 공급하고 열교환된 후 냉각된 냉수가 상기 저수부(20)로 회수되어 다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회수구(12)가 형성 된다.
상기 공급구(11)는 케이스(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회수구(12)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0)의 상부 일측, 즉 저수부(20)와 바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구(11)의 근방, 즉 케이스(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회수구(12)가 케이스(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회수배관을 통해 상기 저수부(20)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저수부(20)는 케이스(10) 내부 상측에 마련되어 물을 수용 및 저장하는 공간이며, 외부에서 저수부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물주입구(21)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30)은 일단부가 상기 저수부(20)의 하단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급구(11)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저수부(20)에 수용된 물은 중력에 의해 공급관(30)으로 공급이 된다.
이러한 공급관(30)의 배관라인 중에는 국부가열부(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국부가열부는 별도의 공간을 갖는 구성부분이 아니라 공급관(30) 중에서 국부적으로 가열을 받는 공급관(30)의 일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부가열부(40)는 전기히터(50)에 접촉되어 전기히터(5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받아 가열을 받게 되며, 그에 따라 내부의 물을 기화시킴으로써 물이 수증기로 상변화할 때 발생하는 부피팽창에 의해 증기압을 생성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국부가열부(40)를 가열시키기 위한 전기히터(50)의 설치에 있어서, 상 기 전기히터(50)가 국부가열부(40) 내부의 물과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도록 하지 않고, 전기히터(50)가 국부가열부(40)에 접촉되어 열을 전도시킴으로써 가열하도록 전기히터(5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도2a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형상 또는 도넛 형상의 전기히터(50)를 채용하여 상기 전기히터(50)가 국부가열부(4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기히터(50)와 접촉되는 국부가열부(40)의 관벽면에 전도되고 그 전도되는 열에 의해 국부가열부(40) 내부의 물은 가열을 받게 되며, 관벽면과 접촉된 부분의 물이 수증기로 상변화하면서 증기압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히터(50)를 국부가열부(40)의 외주면에 접촉 설치하는 때에 물의 상변화에 따른 부피팽창시 그 팽창공간을 적게하면 보다 큰 증기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국부가열부(40)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4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3은 도2b의 횡단면도로서 도2a, 도2b,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공간부(41)는 완전 밀폐되며 소정 공간만을 차지하는 원기둥 형태이며, 상기 국부가열부(40)의 내주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판(42)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상기 공간부(41)가 국부가열부(40)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물은 공간부(41)의 외주면과 국부가열부(4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보다 좁은 공간에서 물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팽창을 하게 되므로 보다 큰 증기압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전기히터(50)를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국부가열부(40)에 히터수용실(43)을 형성하고 상기 히터수용실(43)에 전기히터(5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도4a와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수용실(43)은 하나의 면이 개구되고 다른 면은 모두 폐쇄되며 내부에 전기히터(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국부가열부(40)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수용실(43)의 내부 공간에 전기히터(43)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물은 상기 히터수용실(43)의 외측과 국부가열부(4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히터수용실(43)과 접촉된 부분의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히터수용실(43)에 전기히터(40)를 삽입 설치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히터수용실(43)의 모든 면과 접촉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열접촉 표면적을 보다 넓힐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큰 증기압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국부가열부(40)를 가열하는 전기히터(50)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히터이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전원스위치(51)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스위치(51)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히터(50)에 의해 가열받는 국부가열부(40)의 전후방 공급관(30)에는 물이 상향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 쌍의 체크밸브가 내설되는데, 국부가열부(40)의 전방(상측)에 제1 체크밸브(60a)가 내설되고 후방(하측)에 제2 체크밸브(60b)가 내설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크밸브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하단이 개방된 중공체로서 상단에는 유입구(64)가, 측면에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유출홈(65)이 다수 형성된 밸브실린더(61)의 내부에 하단이 개방된 중공체인 밸브피스톤(62)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밸브실린더(61)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링홈에 밸브고정링(63)이 돌출되게 삽입됨으로써 구성된다.
도6a는 상기 체크밸브(60a,60b)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6b는 폐쇄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피스톤(62)은 상기 밸브실린더(61) 내에서 상측의 압력이 높을 때 하강하여 유입구(64)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출홈(65)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측의 압력이 높을 때는 상승하여 상기 밸브실린더(61)의 상단에 밀착됨으로써 물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폐쇄된다.
상기 밸브고정링(63)은 밸브피스톤(62)이 상측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는 경우 일정 위치에서 밸브피스톤(62)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써 밸브피스톤(62)이 밸브실린더(61)의 상단과 상기 밸브고정링(63) 사이에서 왕복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기에는 상기 전기히터(50)를 제어하는 히팅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제어부는 상기 국부가열부(40)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71)와, 상기 국부가열부(40)의 전방 공급관(30), 즉 상기 제1 체크밸브 (60a)가 내설된 부분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72)와, 상기 제1 온도센서(71)와 제2 온도센서(7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어느 하나라도 정상범위의 온도를 초과한 경우 전기히터(5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구동을 정지시키는 히터제어부(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온도센서(71)와 제2 온도센서(72)는 바람직하게는 바이메탈 센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기가 오작동 등으로 과열되는 경우, 예컨대 상기 제1 온도센서(71)는 대략 90℃ 이상, 제2 온도센서(72)는 대략 75℃에서 감지신호를 보내고, 히터제어부(80)는 상기 신호에 따라 전기히터(5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기히터(50)의 발열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의 작동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기(1)의 공급구(11)와 회수구(12)에 온수를 공급할 제품(2)(상기 도면에서는 매트로 예시함.)의 호스(3)를 연결하고,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물주입구(21)를 통해 저수부(20)에 물을 주입한다.
저수부(20)에 물이 주입되면 물은 중력에 의해 공급관(30)을 따라 흐르게 되면서 공급관(30)과 상기 제품(2)의 호스(3)에 채워지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급관(30)에 내설된 제1 체크밸브(60a)와 제2 체크밸브(60b)는 밸브피스톤(62)이 물의 중력에 의해 밸브고정링(63)까지 하강함으로써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공급관(3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전원스위치(51)를 켜면(On) 전기히터(50)가 발열 작동하게 되고 전기히터(50)와 접촉되는 국부가열부(40)는 전기히터(50)에서 전도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국부가열부(40)가 가열을 받게 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물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열을 전도받는 관내면과 접촉된 물이 점차 기화되어 수증기로 상태가 변화되면서 부피팽창 및 그에 따른 증기압을 생성하여 온도가 상승된 온수를 상하 방향으로 압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국부가열부(40)의 상측 공급관(30)에 설치된 제1 체크밸브(60a)는 상기 국부가열부(40)에서 생성된 증기압에 의해 밸브피스톤(62)이 상승하면서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압송된 온수가 저수부(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하측 공급관(30)에 설치된 제2 체크밸브(60b)는 여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국부가열부(40)에서 압송된 온수는 국부가열부(40) 하측의 공급관(30)을 따라 공급구(11)쪽으로만 이동하며 상기 공급구(11)와 연결된 호스(3)를 통해 외부제품(2)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증기압에 의해 온수가 국부가열부(40)로부터 공급구(11)측으로 압송되면 국부가열부(40) 내부는 순간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저기압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체크밸브(60a)가 다시 개방되어 저수부(20)로부터 물이 공급관(30)을 따라 상기 국부가열부(40)로 재 공급되고, 개방되어 있던 제2 체크밸 브(60b)는 상측이 저기압으로 떨어짐에 따라 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국부가열부(40)는 다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로 채워지게 되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온수공급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품(2)에 공급된 온수는 계속적인 온수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호스(3)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품(2) 내에서 열교환을 한 후 상기 회수구(12)를 통해 유입되어 다시 상기 저수부(20)에 수용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60a,60b)의 오작동, 히터의 과열 등으로 인해 국부가열부(40)나 공급관(3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1 온도센서(71)와 제2 온도센서(72)의 감지신호에 따라 히터제어부(80)에서 상기 전기히터(50)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다시 정상온도로 하강하면 전원을 다시 인가하여 재 작동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본 온수공급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기(1)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대략 65 ∼ 85℃ 정도의 온수를 계속적으로 원하는 제품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는 전술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환 및 치환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는 물이 채워진 배관의 국부를 전기히터를 통해 가열하여 상기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온수를 다양한 제품의 난방을 위한 열매체로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장치와 보일러실을 구비하지 않고 오로지 배관의 국부를 가열시켜 그 국부에서 생성되는 증기압에 의해 온수를 펌핑함으로써 장치를 매우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가 물과 직접 접촉하는 대신 전기히터를 배관에 접촉시키고 전도열에 의해 내부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누전 등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전기히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켜 주기적으로 전기히터를 교체 내지는 보수할 필요가 없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에 공급구와 회수구가 각각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수구와 연통되는 저수부;
    일단부는 상기 저수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급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 작동하는 전기히터에 접촉 가열되어 증기압을 생성하는 국부가열부를 갖는 공급관; 및
    상기 국부가열부의 전후방 공급관에 각각 내설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가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
    상기 국부가열부의 전방 공급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기히터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는 코일 또는 도넛(donut) 형태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국부가열부의 외주면에 접촉 설치되어 국부가열부에 열을 전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가열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판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원기둥 형상의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가열부에는 일면이 개구된 히터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수용실에 전기히터가 삽입 설치되어 국부가열부에 열을 전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는 하단이 개방되며 상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유출홈이 다수 형성된 중공의 밸브실린더;
    상기 밸브실린더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밸브피스톤; 및
    상기 밸브실린더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링홈에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밸브 피스톤의 하강시 이탈을 억제하는 밸브고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KR1020050058959A 2005-07-01 2005-07-01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KR10071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959A KR100714511B1 (ko) 2005-07-01 2005-07-01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959A KR100714511B1 (ko) 2005-07-01 2005-07-01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197A KR20070003197A (ko) 2007-01-05
KR100714511B1 true KR100714511B1 (ko) 2007-05-07

Family

ID=3787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959A KR100714511B1 (ko) 2005-07-01 2005-07-01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37B1 (ko) 2007-08-28 2010-06-10 이용호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KR20160003424U (ko) 2015-03-26 2016-10-06 김윤식 온수매트용 온수 보일러 순환장치
KR20180003362U (ko) * 2017-05-23 2018-12-03 최재원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52B1 (ko) * 2008-01-07 2009-05-27 신화에이치 주식회사 증기압력을 이용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100863272B1 (ko) * 2008-02-01 2008-10-15 송시예 매트용 보일러
KR100880153B1 (ko) * 2008-09-08 2009-01-23 김영준 소형 가열장치
WO2010104222A1 (ko) * 2009-03-11 2010-09-16 신화에이치 주식회사 증기압력을 이용한 온수순환장치
KR101900685B1 (ko) * 2016-08-01 2018-09-20 이스타 주식회사 대용량 전기온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37B1 (ko) 2007-08-28 2010-06-10 이용호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KR20160003424U (ko) 2015-03-26 2016-10-06 김윤식 온수매트용 온수 보일러 순환장치
KR20180003362U (ko) * 2017-05-23 2018-12-03 최재원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방지 장치
KR200488201Y1 (ko) 2017-05-23 2018-12-26 최재원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197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511B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온수공급기
KR101096168B1 (ko) 난방용 자연순환식 보일러
KR100861167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US20110315252A1 (en) Powerless hot water pumping apparatus
KR100872414B1 (ko) 온수순환장치
KR100735911B1 (ko) 물공급 장치
JPWO2004079275A1 (ja) 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KR100714510B1 (ko) 다용도 온수공급기
KR200405823Y1 (ko) 가전제품용 스팀 발생 장치
KR100957056B1 (ko) 전기 보일러
KR20180007868A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1120247B1 (ko) 소형 전기보일러
KR200179639Y1 (ko) 소형온수보일러
KR20120113044A (ko) 보일러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KR20030087756A (ko) 스팀 청소기의 유도 가열 장치
CN101813203B (zh) 小型热水锅炉用无噪音止回阀
JPH0373792B2 (ko)
KR102031084B1 (ko)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순간식 온수기
KR200294627Y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EP2613102B1 (en) Hot-water storage type heating unit
KR200218928Y1 (ko) 스팀발생기
KR101432195B1 (ko) 온수 보일러를 이용한 온열 매트
KR100505458B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KR20100031335A (ko) 세라믹히터를 이용한 열매체 순환시스템
KR200277360Y1 (ko)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702

Effective date: 20091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105

Effective date: 201007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