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403A - 블록형 led 경광등 - Google Patents

블록형 led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403A
KR20110118403A KR1020100037983A KR20100037983A KR20110118403A KR 20110118403 A KR20110118403 A KR 20110118403A KR 1020100037983 A KR1020100037983 A KR 1020100037983A KR 20100037983 A KR20100037983 A KR 20100037983A KR 20110118403 A KR20110118403 A KR 2011011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ubstrate
convex lens
leds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브이지 filed Critical (주)에스브이지
Priority to KR102010003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8403A/ko
Publication of KR2011011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되는 LED의 광선이 볼록렌즈기판에 의해 1차적으로 모여 직진되고, 제1, 2케이싱에 의해 직진하는 LED의 광선이 더욱 모여 직진되도록 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의 시인성이 증가되는 블록형 LED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블록형 LED 경광등은, 상향 배치된 다수의 LED가 대략 격자배열된 사각LED기판; 상기 각 LED의 광선이 굴절되어 진행하도록 상기 각 LED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렌즈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LED기판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적층형으로 설치되는 볼록렌즈기판; 상기 볼록렌즈기판을 통과한 각 LED의 광선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반사되도록, 단면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볼록렌즈기판의 상부에 위치된 덕트형 반사체; 상기 양측 방향으로 반사된 LED의 광선이 방향별로 모여 진행하도록, 측면이 볼록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볼록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형 반사체의 외측을 감싸는 블록형의 제1케이싱; 상기 볼록렌즈부를 통과하여 모여진 각 방향의 LED의 광선이 대략 수평진행하도록 측면이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오목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외측을 감싸는 블록형의 제2케이싱; 및 상기 사각LED기판, 볼록렌즈기판이 상면에 순차 위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 제2케이싱의 하단과 각각 조립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블록형 LED 경광등{Block type warning lamp using LED}
본 발명은 블록형 LED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를 이용하여 확산되는 LED의 광선을 집중시켜 전후 방향의 시인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블록형 LED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경광등이란, 예를 들어,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어 위험 및 긴급 상황의 전달을 목적으로 운용되는 장치를 말하며, 그 예로, 경찰차의 지붕에 설치된 블록형 경광등이 있다.
블록형 경광등의 일예를 보면, 경찰차의 지붕 중앙부에 설치된 본체의 양측에 각각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블록형 경광등에는 경광을 발산하기 위한 복수의 필라멘트 전구와, 각 필라멘트 전구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오목거울형 반사체와, 각 반사체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장치가 복수의 오목거울형 반사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각 필라멘트 전구에서 발산되는 경광이 경광등의 전후방향 위주로 발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필라멘트 전구와 오목거울형 반사체를 이용한 블록형 경광등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며, 필라멘트 전구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블록형 경광등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LED를 설치하여 전후방향으로만 광선을 발산하는 블록형 LED경광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블록형 LED 경광등은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LED 광선의 세기가 너무 약해 외부에서 식별력을 갖기가 어려우며, 광선의 세기를 강하게 하기 위해 많은 수량의 LED를 밀접하여 설치할 수 있지만, 단순히 LED를 밀접하여 설치하더라도 광선의 세기가 역시 미흡한 문제점과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되는 LED의 광선이 볼록렌즈기판에 의해 1차적으로 모여 직진되고, 제1, 2케이싱에 의해 LED의 광선이 더욱 모여서 직진되도록 함에 따라 전후방향의 시인성이 증가될 수 있는 블록형 LED 경광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형 LED 경광등은, 상향 배치된 다수의 LED가 대략 격자배열된 사각LED기판; 상기 각 LED의 광선이 굴절되어 진행하도록 상기 각 LED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렌즈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LED기판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적층형으로 설치되는 볼록렌즈기판; 상기 볼록렌즈기판을 통과한 각 LED의 광선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반사되도록, 단면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볼록렌즈기판의 상부에 위치된 덕트형 반사체; 상기 양측 방향으로 반사된 LED의 광선이 방향별로 모여 진행하도록, 측면이 볼록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볼록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형 반사체의 외측을 감싸는 블록형의 제1케이싱; 상기 볼록렌즈부를 통과하여 모여진 각 방향의 LED의 광선이 대략 수평진행하도록 측면이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오목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외측을 감싸는 블록형의 제2케이싱; 및 상기 사각LED기판, 볼록렌즈기판이 상면에 순차 위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 제2케이싱의 하단과 각각 조립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LED가 관통노출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반사층이 구비되며, 상기 사각LED기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사각반사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홀의 상부가 오목하도록 곡면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에는 사각형상의 수직가이드벽이 연장형성되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LED기판, 볼록렌즈기판은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각LED기판의 다수개의 LED는 단색 LED로 구성되어, 전체 LED가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각LED기판의 다수개의 LED는 유색 LED와 백색 LED가 혼합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유색 LED와 백색 LED가 교차적으로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확산되는 LED의 광선이 볼록렌즈기판에 의해 1차적으로 모여 직진되고, 제1, 2케이싱에 의해 더욱 모여서 직진되도록 함에 따라 블록의 특히 전후 방향으로의 시인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사기판의 관통홀 상부가 오목하게 곡면처리되도록 형성되어, 각 LED의 하방으로 방사되는 광선이 관통홀의 오목한 곡면에 반사되어 상방으로 향하도록 함에 따라 광선의 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각형상의 수직가이드벽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상의 수용부 내에 사각형상의 LED기판, 반사기판, 볼록렌즈기판이 위치되는 구조이므로, LED기판의 각 LED와 볼록렌즈기판의 각 볼록렌즈가 대응하도록 조립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유색 LED와 백색 LED가 교차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유색 LED와 백색 LED가 순차적으로 점등됨에 따라 유색 LED의 시인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LED 경광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LED 경광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LED 경광등의 사각반사기판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LED 경광등의 LED의 점등 및 점멸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LED 경광등(10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사각LED기판(100), 사각반사기판(200), 볼록렌즈기판(300), 덕트형 반사체(400), 제1케이싱(500) 및 제2케이싱(600), 하부베이스(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각LED기판(10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에 상향 배치된 다수의 LED(L)가 대략 격자형태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행 26열의 격자배열로 다수의 LED(L)가 배열된다.
한편, 상기 사각LED기판(100)에 배열된 다수개의 LED(L)는 단색 LED로 구성되거나 각 행 또는 각 열 별로 유색 LED와 백색 LED가 교차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LED기판(100)의 다수개의 LED(L)가 단색 LED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전체의 LED(L)가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유색 LED와 백색 LED를 교차배열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제1행은 유색, 제2행은 백색, 제3행은 유색, 제4행은 백색, 제5행은 유색, 제6행은 백색의 순서로 교차배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행 별로 유색 LED와 백색 LED가 교차배열된 경우에, 상기 유색 LED와 상기 백색 LED가 교차적으로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처럼 유색 LED와 백색 LED가 교차적으로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되면, 백색LED가 점등된 후 점멸됨과 동시에 유색LED가 점등되어 백색과 유색의 색의 대비효과에 의해 유색 LED가 시각적으로 더욱 잘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D의 점등과 점멸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와, 딥스위치, LED속도조절볼륨 등을 포함하는 제어회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교류전압 또는 직류전압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LED가 점등될 수 있는 적정한 전압으로 조절하여 각 LED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딥스위치는 LED의 점등과 점멸, 정역회전, 정회전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광 타입을 임의 설정할 수 있다.
상기 LED속도조절볼륨은 LED 점등과 절멸,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색 LED(L)는 청색 또는 적색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LED기판(100)의 중심부에는 후술하게 될 덕트형 반사체(400)의 하단에 돌설된 다수의 돌출부(402)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홀(102h)이 형성된다.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LED기판(100)과 대응하는 크기의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LED기판(100)의 상면에 적층된다.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각 LED의 측방 또는 하방으로 방사되는 광선까지 상방으로 반사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은 상기 사각LED기판(100)에 배열된 각 LED(L)가 관통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200h)이 형성되고, 사각반사기판(200)의 상면에는 반사층(210)이 구비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사각반사기판(200)을 성형한 후 그 상면에 크롬 등을 코팅하여 반사층(210)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LED기판(100)에 배열된 각 LED(L)에서 방사되는 광선 중 상방을 향하지 않고 각 LED(L)의 하방을 향하는 광선을 반사시켜 상방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의 관통홀(200h)의 상부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이뤄지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통홀(200h)의 상부가 오목하도록 곡면처리될 수 있다.
각 관통홀(200h)의 상부가 오목하도록 곡면처리된 경우에, 각 LED(L)의 하방을 향하는 광선이 사각반사기판(200)에 반사 시 효율적으로 상방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의 중심부에는 후술하게 될 덕트형 반사체(400)의 하단에 돌설된 다수의 돌출부(402)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홀(202h)이 형성된다.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LED기판(100)과 사각반사기판(20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적층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은 상기 사각LED기판(100)의 각 LED(L)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볼록렌즈(3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LED기판(100)의 각 LED(L)에서 방사된 광선이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의 각 볼록렌즈(310)를 통해 굴절되어 진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LED(L)에서 방사된 광선이 각각의 볼록렌즈(310)를 통해 굴절되면서 모여서 수직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의 중심부에는 후술하게 될 덕트형 반사체(400)의 하단에 돌설된 다수의 돌출부(402)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3홀(302h)이 형성된다.
상기 덕트형 반사체(400)는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을 통과한 각 LED(L)의 광선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반사되도록 단면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덕트형 반사체(40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반사율이 뛰어난 재질로 이뤄지거나 합성수지로 성형 후 크롬 등을 코팅하여 각 LED(L)의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형 반사체(400)의 하단에는 다수의 돌출부(402)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각LED기판(100)의 제1홀(102h),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의 제2홀(202h),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의 제3홀(302h)에 각각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 조립될 수 있다.
덕트형 반사체(400)의 고정 구조가 상기 돌출부(402) 외에 다양한 공지의 결합구조 내지 그 변형을 통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케이싱(500)은 상기 덕트형 반사체(400)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반사된 LED(L)의 광선이 방향별로 모여 진행하도록, 측면이 볼록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볼록렌즈부(510)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형 반사체(4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블록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싱(600)은 상기 볼록렌즈부(510)를 통과하여 모여진 각 방향의 LED(L)의 광선이 대략 수평진행하도록 측면이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오목렌즈부(6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싱(5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블록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베이스(700)는 상기 사각LED기판(100), 사각반사기판(200), 볼록렌즈기판(300)이 상면에 순차 위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500), 제2케이싱(600)의 하단과 각각 조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케이싱(500), 제2케이싱(600)의 하단과 상기 하부베이스(700)의 상호 간의 조립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착, 볼팅, 억지끼움결합 등 공지의 케이싱 결합방법을 임의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베이스(700)의 상면에는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수직가이드벽(702)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수용부(710)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LED기판(100), 사각반사기판(200)이 상기 수용부(710) 내측에 수용되어 적층되고, 상기 볼록렌즈기판(300)은 상기 수직가이드벽(702)의 상단에 걸쳐져 상기 사각반사기판(20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적층형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베이스(700)의 내부에는 도 5의 전원부, 딥스위치, LED속도조절볼륨 등 각 LED의 점등과 점멸의 위한 구성요소가 내장될 수 있다.
제품의 조립성, 미관 등을 고려하여 하부베이스(700)의 하부 측에 별도의 전원부, 딥스위치, LED속도조절볼륨, 내장박스 등의 구성요소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LED 경광등(1000)의 LED(L) 광선의 진행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LED기판(100), 사각반사기판(200), 볼록렌즈기판(300), 덕트형 반사체(400), 제1케이싱(500) 및 제2케이싱(600), 하부베이스(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블록형 LED 경광등(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20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사각LED기판(100)의 각 LED(L)에서 방사된 대부분의 광선이 각각 상방으로 분산되어 진행하게 된다.
각 LED(L)의 일부 광선이 하방으로 방사되는데, 하방으로 방사된 광선은 사각반사기판(200)의 반사층(210)에 의해 반사되어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방으로 분산되어 진행하는 각 LED(L)의 광선은 볼록렌즈기판(300)에 형성되어 각각 대응하는 볼록렌즈(310)를 통해 굴절되어 상방으로 분산된 광선이 집중되어 대략 수직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수직 상방으로 진행하는 각 LED(L)광선은 덕트형 반사체(400)에 의해 반사되어 양측 방향으로 반사된다.
다음으로, 양측 방향으로 반사된 각 LED(L)광선은 제1케이싱(500)에 구비된 볼록렌즈부(510)를 통해 굴절되어 일지점을 향하여 모여지도록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일지점을 향하여 모여지도록 진행하는 각 LED(L)광선은 제2케이싱(600)에 구비된 오목렌즈부(610)를 통해 굴절되어 각 LED(L) 광선이 대략 수평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의 LED(L)에서 방사되는 광선은 상방으로 분산되어 진행하게 되지만, 볼록렌즈기판(300)의 볼록렌즈(310), 제1케이싱(500)의 볼록렌즈부(510), 제2케이싱(600)의 오목렌즈부를 통해 굴절되면서 집중된 형태로 모여 직진되게 진행하게 되어 장거리에서의 시인성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사각LED기판 200:사각반사기판
200h:관통홀 210:반사층
300:볼록렌즈기판 310:볼록렌즈
400:덕트형 반사체 500:제1케이싱
510:볼록렌즈부 600:제2케이싱
610:오목렌즈부 700:하부베이스
702:수직가이드벽 710:수용부
L:LED

Claims (6)

  1. 상향 배치된 다수의 LED가 대략 격자배열된 사각LED기판;
    상기 각 LED의 광선이 굴절되어 진행하도록 상기 각 LED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렌즈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LED기판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적층형으로 설치되는 볼록렌즈기판;
    상기 볼록렌즈기판을 통과한 각 LED의 광선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반사되도록, 단면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볼록렌즈기판의 상부에 위치된 덕트형 반사체;
    상기 양측 방향으로 반사된 LED의 광선이 방향별로 모여 진행하도록, 측면이 볼록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볼록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형 반사체의 외측을 감싸는 블록형의 제1케이싱;
    상기 볼록렌즈부를 통과하여 모여진 각 방향의 LED의 광선이 대략 수평진행하도록 측면이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오목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외측을 감싸는 블록형의 제2케이싱; 및
    상기 사각LED기판, 볼록렌즈기판이 상면에 순차 위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 제2케이싱의 하단과 각각 조립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LED 경광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LED가 관통노출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반사층이 구비되며, 상기 사각LED기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사각반사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LED 경광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상부가 오목하도록 곡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경광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에는 사각형상의 수직가이드벽이 연장형성되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LED기판, 볼록렌즈기판은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경광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LED기판의 다수개의 LED는 단색 LED로 구성되어, 전체 LED가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경광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LED기판의 다수개의 LED는 유색 LED와 백색 LED가 혼합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유색 LED와 백색 LED가 교차적으로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경광등.
KR1020100037983A 2010-04-23 2010-04-23 블록형 led 경광등 KR20110118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83A KR20110118403A (ko) 2010-04-23 2010-04-23 블록형 led 경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83A KR20110118403A (ko) 2010-04-23 2010-04-23 블록형 led 경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03A true KR20110118403A (ko) 2011-10-31

Family

ID=4503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983A KR20110118403A (ko) 2010-04-23 2010-04-23 블록형 led 경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84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34B1 (ko) * 2014-02-25 2014-09-22 김은수 양방향 조사용 단면발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양면광고물
KR101470387B1 (ko) * 2013-09-12 2014-12-08 한국광기술원 원뿔형 반사거울을 이용한 조명 장치
WO2018225879A1 (ko) * 2017-06-05 2018-12-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물선 초점 위치의 엘이디광원을 이용한 등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87B1 (ko) * 2013-09-12 2014-12-08 한국광기술원 원뿔형 반사거울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434134B1 (ko) * 2014-02-25 2014-09-22 김은수 양방향 조사용 단면발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양면광고물
WO2018225879A1 (ko) * 2017-06-05 2018-12-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물선 초점 위치의 엘이디광원을 이용한 등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6558B1 (en) Light emitting assembly, lighting apparatus and vehicle
KR102588792B1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WO2012135504A4 (en) Color conversion cavities for led-based illumination modules
JP2011222339A (ja) 車両用灯具
CN106461189A (zh) 具有带有成型结构的透镜的照明装置
CN210069733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尾灯
JP2007506231A (ja) 車両用ライト組立体
WO2009125160A1 (en) Lighting system with edge effect
JP6293361B2 (ja) ランプ及び照明器具
KR20110118403A (ko) 블록형 led 경광등
CN107588337B (zh) 配光透镜及使用该透镜的led灯
KR101171349B1 (ko) Led 경광등 모듈
EP1748252A2 (en)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an led with its optical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said device
TWM578656U (zh) Led車載線形發光模組
KR20110000609A (ko) 측광원에 의해 발광하는 비구면렌즈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JP2014127238A (ja) 車両用前照灯
EP3006822B1 (en) Led lighthouse beacon
KR20110118401A (ko) 원통형 led 경광등
KR200449725Y1 (ko) 엘이디 경광등
JP2016219215A (ja) 車両用灯具
US20060061994A1 (en) Alert lampshade device
JP2016130039A (ja) 車両用照明構造
RU2278318C2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лампа с распределенным полихроматическим световым потоком
JP2019145462A (ja) マーカーランプ
RU2264309C2 (ru)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й сигнальный приб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