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561A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561A
KR20110117561A KR1020100037096A KR20100037096A KR20110117561A KR 20110117561 A KR20110117561 A KR 20110117561A KR 1020100037096 A KR1020100037096 A KR 1020100037096A KR 20100037096 A KR20100037096 A KR 20100037096A KR 20110117561 A KR20110117561 A KR 20110117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vement
length
sens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진
김주한
이윤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561A/ko
Publication of KR2011011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를 길이측정모드로 전환하는 길이측정모드 설정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완료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ENGTH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 휴대용 단말기를 이동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시간을 감지하고, 실제 거리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길이 측정 대상의 여러 부분에 대한 길이들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경우에도 용이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급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고성능 제어기, 방대한 메모리,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을 위한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과 다양한 제어 가능성 및 장착된 수많은 기능들을 실제 생활에 연계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은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이들 중 하나가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 및 고성능 제어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기능이다.
기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은 회전식 슬릿과 상기 슬릿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더 부가한 경우가 있으나, 이는 작은 회전체를 회전시킨 정도로 길이를 측정하므로 곡면을 가진 물체의 절대 길이, 예를 들어 사람의 키 등을 측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며 외부로 구동부가 노출되어야 하므로 오염, 파손 등으로 인한 동작 불능의 여지가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부피가 커져 휴대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혹은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방식은 측정 대상에 밀착하여 측정 대상의 길이 방향으로 센서를 동작시켜 소정의 반사면에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길이를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측정 위치가 제한적이며 반사면이 필요하다는 환경상 제약이 수반되므로 측정 대상의 길이를 필요할 때마다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측정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시간을 감지하고, 실제 이동 거리를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길이 측정 대상의 여러 부분에 대한 길이들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경우에도 용이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를 길이측정모드로 전환하는 길이측정모드 설정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완료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센서 감지부와,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센서 감지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센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인식하고,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된 이동정보를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제공받아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는 길이측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가속도 센서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시간을 감지하고, 실제 이동 거리를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길이 측정 대상의 여러 부분에 대한 길이들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측정에 관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 휴대용 단말기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시간을 감지하고, 실제 거리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길이 측정 대상의 여러 부분에 대한 길이들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경우에도 용이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직선방향으로의 단위시간에 속도 증감비를 수치로 알려주는 가속도 센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12), 제어부(114), 길이측정부(116), 이동센서감지부(118) 및 표시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스피커 및 메모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부터 무선 하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하향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14)로부터 입력된 상향 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 상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선 상향 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무선 전송한다. 이러한 변조 및 복조는 바람직하게는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이외에 주파수분할다중(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방식, 시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 TDM)방식 등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12)는 복수개의 숫자 버튼과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114)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길이측정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선택 키(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모드 선택 키는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 또는 "*" 같은 단축키를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입력부(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작점과 끝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포인트를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에서 길이측정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입력부(112)의 소정 위치에 기설정된 특정 포인트를 표시하여 상기 입력부(112)에 표시된 특정 포인트를 길이 측정 대상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시킴으로써 측정 대상의 이동시작 기준점 및 이동완료 기준점을 설정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또는 이동완료 기준점 설정은 상기 입력부(112)의 복수개의 키를 통해 사용자 접촉 발생을 통하여 수행된다.
이후, 상기 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한편, 상기 입력부(112)는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고, 그 표면에 사용자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등과 같은 터치 입력 즉, 사용자 입력 수단이 접촉하면 키 접촉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114)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구비한 입출력 표시부 일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또는 이동완료 기준점 설정은 상기 입력부(112)의 사용자 접촉에 기인한 터치 접촉 인터럽트(interrupt) 발생을 통하여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114)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입력부(112)를 통해 길이측정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에 의해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기준점이 설정되고, 사용자로부터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센서 감지부(118)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센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로부터 종료 명령 입력 시 상기 센싱된 이동정보를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산출된 데이터를 표시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동센서 감지부(11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센서 감지부(118)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변위량을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센서 감지부(118)는,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 하에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이동 시간, 이동 속도를 인식하여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114)로 출력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a :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 t : 실행 명령이 입력된 시간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된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 v : 이동속도)
<수학식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여기서, s: 거리, t: 이동시간, v: 속력, V0 = 0)
상기 길이측정부(116)은 상기 제어부(114)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제공 받아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된 길이 측정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14)로부터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하기의 <수학식 3>을 통해 두 번 적분(integral)하여 획득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기 길이측정부(116)에 의해 산출된 측정 대상의 길이 측정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 하에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동시켜 길이를 측정할 대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동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이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함으로써 가속도 센서를 통해 길이 측정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이동 속도 및 시간을 알게 되면 길이측정 대상의 실제 길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에 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측정에 관한 예시도 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210 과정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길이 측정 모드로 전환하여 길이 측정 모드를 설정한다.
212 과정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동 시작 기준점이 설정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설정된 특정 포인트를 길이 측정 대상(310)의 시작점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포인트는 도 3의 (a)와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310)의 시작점과 끝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포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포인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가 길이 측정 모드로 전환되면 입력부의 소정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표시된 특정 포인트를 길이 측정 대상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시킴으로써 측정 대상의 이동 시작 기준점 및 이동완료 기준점이 설정된다.
212 과정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기준점이 설정되면, 214 과정으로 이동하여, 사용자로부터 길이 측정 실행 명령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216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감지 여부를 체크하고, 이동이 감지된 경우, 218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변위량을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216 과정을 통해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이동 시간, 이동 속도를 감지하면, 218 과정에서 하기의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인식한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6
(여기서, a :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 t : 실행 명령이 입력된 시간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된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 v : 이동속도)
<수학식 5>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여기서, s: 거리, t: 이동시간, v: 속력, V0 = 0)
이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길이측정 대상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거리를 이동하는 216 및 218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동 완료 기준점이 설정된다(219과정).
이후, 2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종료 명령 입력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222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한다. 이는 상기 218 과정으로 획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하기의 <수학식 6>을 이용하여 두 번 적분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6>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 222 과정을 통해 산출된 길이 측정 데이터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무선 통신부 114. 제어부
116. 이동센서 감지부 116. 길이 측정부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를 길이측정모드로 전환하는 길이측정모드 설정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완료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길이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작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설정된 포인트를 길이측정 대상의 시작점 위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완료 기준점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설정된 포인트를 길이측정 대상의 끝점 위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변위량을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Figure pat00011

    (여기서, a: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 t: 실행 명령이 입력된 시간부터 종료 명령이 입력된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 v : 이동속도)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여기서, s: 거리, t: 이동시간, v: 속력, V0 = 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시작 또는 이동완료 기준점 설정은 사용자 접촉에 기인한 키 혹은 터치 접촉 인터럽트(interrupt) 발생을 통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측정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두 번 적분(integral)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방법.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센서 감지부와,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센서 감지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센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인식하고,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된 이동정보를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제공 받아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하는 길이측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측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두 번 적분하여 길이 측정 데이터로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명령 입력은,
    유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설정된 포인트를 길이측정 대상의 시작점 위치로 이동 후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명령 입력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설정된 포인트를 길이측정 대상의 끝점 위치로 이동 후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KR1020100037096A 2010-04-21 2010-04-21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10117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96A KR20110117561A (ko) 2010-04-21 2010-04-21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96A KR20110117561A (ko) 2010-04-21 2010-04-21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61A true KR20110117561A (ko) 2011-10-27

Family

ID=4503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96A KR20110117561A (ko) 2010-04-21 2010-04-21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75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25B1 (ko) * 2019-01-22 2020-06-03 유시연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택배상자 크기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택배함 자동 예약 시스템
CN113238676A (zh) * 2015-04-09 2021-08-10 株式会社和冠 集成电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8676A (zh) * 2015-04-09 2021-08-10 株式会社和冠 集成电路
CN113238676B (zh) * 2015-04-09 2023-11-28 株式会社和冠 集成电路
KR102118325B1 (ko) * 2019-01-22 2020-06-03 유시연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택배상자 크기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택배함 자동 예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116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2262476B (zh) 传输触觉信息的系统和方法
US99707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CN103995592A (zh) 穿戴式设备与终端进行信息交互的方法及终端
EP1724996A3 (en) Mobile terminal having scrolling device and method implementing functions using the same
CN101231564A (zh) 改善触摸屏的可用性的设备和方法
EP327630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CN103229568A (zh) 提供位置信息的装置和方法
US20070132714A1 (en) Acceleration reference devices,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s, and methods that sense terminal movement for cursor control
US96196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xercise information of user
KR20090003695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사용자 입력 수신방법
KR102197911B1 (ko)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
US20100033428A1 (en) Cursor mo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11011756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JP6153464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WO2014002322A1 (ja) 携帯端末、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CN10320774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2163611A (ja) 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89469B1 (ko) Avn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18661B1 (ko) 화면 스크롤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9085944B (zh) 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EP2323013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CN102880397A (zh) 电子设备及其切换方法
JP5685464B2 (ja) 撮影装置、制御方法および仮想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5572661B (zh) 数码测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