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502A - 샤시 도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샤시 도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502A
KR20110117502A KR1020100036998A KR20100036998A KR20110117502A KR 20110117502 A KR20110117502 A KR 20110117502A KR 1020100036998 A KR1020100036998 A KR 1020100036998A KR 20100036998 A KR20100036998 A KR 20100036998A KR 20110117502 A KR20110117502 A KR 20110117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door
coupled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희
Original Assignee
김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희 filed Critical 김현희
Priority to KR102010003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502A/ko
Publication of KR2011011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hooking protrusions on the connecting piece in openings of the frame member, e.g. by snap-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결합된 샤시 도어의 견고함을 확보할 수 있는 샤시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과 고정홈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결합된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결합된 도어의 견고함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전체적인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된 도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샤시 도어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CHASSIS DOOR FRAME}
본 발명은 샤시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결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끼움홈과 걸림부에 의해 고정된 후 체결부재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샤시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시를 이용한 도어는 도어의 외관을 이루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 사이에는 유리 또는 알루미늄판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샤시 도어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고정피스로 고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결합 방법은 상기 고정피스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프레임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피스가 결합시 연결프레임이 뒤로 밀려날 수 있고, 이 상태로 고정피스를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하게 되면 연결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벌어져 상기 연결프레임과 수직프레임 간의 결합 견고성의 확보가 어렵게 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고정피스로 결합된 샤시 도어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도어를 여닫는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게 되는데 그 반복된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피스가 결합된 고정피스부가 헐거워지게 되어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가 약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로 인한 흔들림을 잡아주어 도어 약화를 예방할 수 있는 샤시 도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과 고정홈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걸림부가 밀착 고정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결합된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결합된 도어의 견고함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전체적인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된 도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시 도어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100)과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일측에 끼워지고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수직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00)은 그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걸림부(210)에 끼워 고정된다. 상기 끼움홈(110)은 연결프레임(1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끼움홈(110a)과 제2끼움홈(110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14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40)와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150)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40)와 하부플레이트(150)에는 상기 걸림부(210)가 삽입되어 끼워 고정되는 제1끼움홈(110a)과 제2끼움홈(110b)이 각각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10)에 상기 걸림부(210)가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측부에서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일측부에는 절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30)는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단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절개되는 형상은 상기 걸림부(210)가 상기 끼움홈(110)에 끼워 고정시 상기 걸림부(210)가 밀착되도록 상기 걸림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30)는 상기 끼움홈(110)과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걸림부(210)가 끼움홈(110)에 삽입시 상기 절개부(130)에 의해 상기 걸림부(210)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4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가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에 나사결합시 체결부재(300)가 결합되는 고정홈(120)이 나란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끼움홈(110)에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걸림부(210)가 측부에서 끼워 고정된 후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축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내측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00)와 상기 고정홈(120)의 체결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200)이 강한 체결력으로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일측으로 상기 연결프레임(100)에 끼워 고정되도록 상기 끼움홈(110)에 삽입되는 걸림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10)는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일측에서 연장 후 절곡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끼움홈(110a)과 제2끼움홈(110b)의 입구측으로 접근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10)가 상기 제1및 제2끼움홈(110a)(110b)에 끼워 고정되어 도어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체결부재(300)와 연계하여 흔들림을 잡아주고 충격을 완충하여 도어프레임의 결합구조가 지속적으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110)의 개수, 형상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걸림부(210)에 끼워져 상기 도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내측 길이방향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240)와 상기 전방플레이트(240)와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후방플레이트(250)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방플레이트(240)와 상기 후방플레이트(250)가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220)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내측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00)가 상기 연결프레임(100)에 결합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220)는 일측부가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개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재의 타측부를 관통하며 체결부재(300)가 상기 끼움홈(11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체결부재(300)의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며 상기 체결부재(300)의 머리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재(300)의 고정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기 돌출부는 연결프레임(100)의 고정홈(12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체결부재(300)가 관통되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첵결나사의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하여, 상기 체결부재(300)가 관통되는 동일축상의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외측면에는 절곡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형상되는 한쌍의 보강부재(230)를 더 설치하여 상기 돌출부(220)를 관통한 체결부재(300)가 상기 보강부재(23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00)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방플레이트(250)에는 상기 체결부재(300)를 죄거나 풀기 위한 드라이버 관통구멍(26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샤시 도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일측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끼움부를 끼워 고정한다. 즉, 상기 걸림부(21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40)와 하부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제1끼움홈(110a)과 제2끼움홈(110b)이 삽입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걸림부(210)와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절개부(130)에 밀착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걸림부(210)가 상기 끼움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130)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부(130)와 걸림부(210)가 동일 수직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측부가 상기 걸림부(2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내측으로 상기 돌출부(22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300)를 삽입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12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돌출부(220)를 압착하며 상기 고정홈(120)에 결합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체결부재(300)의 머리부를 안착시키며 상기 체결부재(3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연결프레임 110: 끼움홈
120: 고정홈 130: 절개부
200: 수직프레임 220: 돌출부
210: 걸림부 300: 체결부재

Claims (3)

  1. 다수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고정홈(120)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100)과,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끼움홈(110)과 고정홈(120)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시 도어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00)에는 고정홈(12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시 도어 결합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10)는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0)에는 상기 걸림부(210)가 밀착 고정되도록 절개부(13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시 도어 결합구조.
KR1020100036998A 2010-04-21 2010-04-21 샤시 도어 결합구조 KR20110117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998A KR20110117502A (ko) 2010-04-21 2010-04-21 샤시 도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998A KR20110117502A (ko) 2010-04-21 2010-04-21 샤시 도어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02A true KR20110117502A (ko) 2011-10-27

Family

ID=4503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998A KR20110117502A (ko) 2010-04-21 2010-04-21 샤시 도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7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457B1 (ko) 2016-04-18 2016-11-03 주식회사 태림중문 도어 결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457B1 (ko) 2016-04-18 2016-11-03 주식회사 태림중문 도어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079B2 (en) Handl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5472271A (en) Hinge for inset doors
KR101611549B1 (ko) 조립식 방화문
US6629339B2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KR200397745Y1 (ko) 알루미늄 샤시 도어의 결합구조
KR20100004684A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 조립방법
US20080313853A1 (en) Handle with insert
KR20110117502A (ko) 샤시 도어 결합구조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173239B1 (ko) 가구 프레임용 코너 결합구
KR100488075B1 (ko) 냉장고 도어의 홀더 핸들 구조
JP6599611B2 (ja) 組立式収納家具
JP2017140418A (ja) フラップ天板付家具
KR200396780Y1 (ko)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KR200383005Y1 (ko) 서랍의 전면패널과 손잡이의 결합구조
CN109162525A (zh) 一种用在铝合金型材上的锁具快速装配结构
KR20110058508A (ko) 가구용 문짝 구조
KR20100013080U (ko)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KR20160109950A (ko) 미닫이문의 손잡이 조립체
KR20050059020A (ko) 경첩
KR20190042158A (ko) 창문 프레임 연결구
JP3940347B2 (ja) 枠装置
KR101453692B1 (ko) 앵커형 가구 힌지
KR100788276B1 (ko) 경첩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