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325A -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325A
KR20110117325A KR1020100036709A KR20100036709A KR20110117325A KR 20110117325 A KR20110117325 A KR 20110117325A KR 1020100036709 A KR1020100036709 A KR 1020100036709A KR 20100036709 A KR20100036709 A KR 20100036709A KR 20110117325 A KR20110117325 A KR 2011011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data
radiometer
measurement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식
한문희
이창우
이완로
김희령
정근호
강문자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325A/ko
Publication of KR2011011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9Exploration, location of contaminated surface 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지역의 방사선, 특히 환경방사선 분포 등 방사선 관련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및 운영본부의 중앙단말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동시에 등고선으로 자동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사선 준위 분포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로 저장하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와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형의 방사선계측기;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고,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현장단말기; 및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현장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중앙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는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소정영역의 방사선준위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tribution of Radiation in Geograph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소정지역의 방사선, 특히 환경방사선 분포 등 방사선 관련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및 운영본부의 중앙단말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동시에 등고선으로 자동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사선 준위 분포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자력발전소 건설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원자력에 관한 관심이 전국민적으로 다시 한 번 고조되고 있다. 원자력은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으나, 그 안정성의 담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자력에 대한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방사능 노출 또는 피폭에 대한 통제 및 감시가 중요하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 주변뿐만 아니라 원자력 시설이 운영되고 있는 지역의 전반적인 환경방사선 준위 분포의 파악과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또는 비상시 주민 대피 및 지역 소개등과 같은 방사능 비상 방재행위를 위하여 방사선 준위의 공간적 분포의 신속한 파악이 무엇보다 우선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환경방사선 측정시스템은 고정된 지점에 설치된 환경방사선 감시기로부터 검출되는 방사선 전기 신호를 현장과 본부 간에 실시간으로 통신함으로써 측정??분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환경방사선 측정 시스템은 고정된 지점에서의 공간감마선량률 등의 값들을 측정하기 때문에 고정된 지점 외의 지역에서의 공간감마선량률 등의 전반적인 분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휴대용 감마계측기의 경우 이동하면서 특정한 지역내의 환경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으나 측정 데이터가 단순히 수치값으로만 저장되므로, 측정지역 전반에 걸친 방사선 준위 분포를 측정직후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현장의 방사선량률 데이터를 본부에 신속하게 송신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i) 측정지역내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를 이용하여 방사선량 등을 측정할 수 있고, ii) 이러한 방사선량 등의 데이터를 현장 및 본부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iii) 현장 및 본부에서 실시간으로 동시에 방사선량 등의 분포를 입체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소정지역의 방사선, 특히 환경방사선의 분포 등 방사선 관련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및 운영본부의 중앙단말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등고선으로 자동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사선 준위 분포를 이원적으로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로 저장하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와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형의 방사선계측기;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고,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현장단말기; 및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현장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중앙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는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소정영역의 방사선 준위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선계측기는 GM 검출기, 섬광계수기 또는 반도체검출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계측기는, GPS 모듈을 장착하고 GPS 위성과 송수신하여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는,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부,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소정영역의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GPS 인공위성을 통해 전송받는 GPS 수신부 및 상기 지도데이터에 상기 측정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간의 무선통신은, RF(Radio Frequency)통신 또는 CDMA(Code Distributed Multi Access)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간의 통신은, RF(Radio Frequency)통신, CDMA(Code Distributed Multi Access)통신 또는 무선인터넷망 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이거나, 유선인터넷망을 통한 유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데이터는,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측정대상인 소정영역의 경도, 위도, 고도, 온도 및 습도와,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과, 상기 소정영역의 방사선량률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량률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측면에 의하면, (a1)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로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1)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전송받는 단계; (c1)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2)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로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2)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현장단말기에 전송받는 단계; (c2)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2)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중앙단말기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e2) 상기 중앙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a1) 단계 또는 (a2)단계 전에,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방사선계측기로 측정할 소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또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c1) 단계, (c2)단계 또는 (e2)단계는,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의 GPS수신부에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영역의 지도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데이터상에 상기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데이터가 표시된 지도데이터상에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하여 등고선 형태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1) 단계, (c2)단계 또는 (e2)단계에서, 상기 등고선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소정의 방사선 측정지역의 방사선 분포 등을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를 이용한 측정직후 가시적으로 즉시 파악할 수 있고, 측정지역의 방사선 준위의 상대적 크기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지역의 방사선량률 및 방사선 준위 분포 등을 현장 및 본부에서 이원적으로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휴대형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및 측정지역의 방사선량률 뿐만 아니라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를 함께 취득하여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방사선 분포 등을 기측정한 지역과 미측정한 지역을 쉽게 구분할 수 있으며, 종합적인 방사선 분포 측정계획의 수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진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상에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궤적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상에 방사선량률 분포 등고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의 구동단계별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소정지역의 방사선, 특히 환경방사선의 분포 등 방사선 관련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사선 준위 분포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고선으로 매핑되는 방사선 관련데이터를 휴대용 방사선계측기(11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현장단말기(120)와, 상기 휴대용 방사선계측기(110)와 비교적 먼 곳에 위치하는 운영본부의 중앙단말기(130)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신속하게 방사선 분포를 이원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로 저장하며, 현장단말기(120) 또는 중앙단말기(130)와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형의 방사선계측기(110),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고,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현장단말기(120) 및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현장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중앙단말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단말기(120) 및 중앙단말기(130)는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소정영역의 방사선준위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형의 방사선계측기(110)는 GM 검출기, 섬광계수기 또는 반도체검출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기기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경방사선 관련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계측기라면 어떠한 기기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수의 방사선계측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방사선계측기를 통해 종합적으로 방사선 관련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장단말기(120) 또는 중앙단말기(130)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여 등고선 형태로 측정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방사선계측기(110)는 i) 소정의 측정지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로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부(111), ii) 현장단말기(120) 또는 중앙단말기(130)와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113), iii) GPS 위성과 송수신하여 방사선계측기(110)의 위치정보를 현장단말기(120) 또는 중앙단말기(130)로 전송하는 GPS 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계측기(11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측정데이터는, i) 자연방사선량률, 인공방사선량률, 총방사선량률 등 직접적인 방사선 관련데이터 뿐만 아니라, ii) 측정지역의 경도, 위도, 고도와, iii)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측정지역의 경도, 위도,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 등은 GPS 인공위성(140)을 통해 전송되는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데이터들의 축적을 통해 보다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방사선 관련 계획의 수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현장단말기(120)는 방사선계측기(110)가 측정하는 측정지역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현장단말기(120)는 운영본부의 중앙단말기(130)보다 방사선계측기(110)와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현장단말기(120)는 상기 방사선계측기(110)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고,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단말기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현장단말기(120)는 i)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측정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구비되는 유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121), ii)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부(122), iii)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측정지역의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124), iv)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GPS 인공위성(140)을 통해 전송받는 GPS 정보저장부(123) 및 v) 상기 지도데이터에 상기 측정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테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 저장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전송받은 측정데이터, GPS 인공위성(140)을 통해 전송받은 방사선계측기(110)의 위치정보, 해당 측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 등을 중앙단말기(1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선계측기(110)와 현장단말기(120)의 유무선통신은, Serial 통신, RF(Radio Frequency)통신 또는 CDMA(Code distributed Multi Access)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현장단말기(120)가 포함하는 유무선통신인터페이스부는 COM port, RF모듈 또는 CDMA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방사선계측기(110)와 현장단말기(120)의 무선통신인터페이스부가 CDMA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무선 TCP/IP 접속을 통하여 현장단말기(120)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방사선계측기(110) 내부에 통신프로그램 및 포트를 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단말기(120) 및 중앙단말기(130)간의 통신은, i) 전술한 RF(Radio Frequency)통신, CDMA(Code distributed Multi Access)통신 이외에도, ii)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거나, iii) 유선인터넷망, RS-232 통신망 또는 RS485 통신망 등을 통해 측정데이터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장단말기(120) 및 중앙단말기(130)간의 통신으로 인하여, 방사선계측기(110)와 현장단말기(120)간의 통신두절 또는 방사선계측기(110)와 중앙단말기(130)간의 통신두절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현장단말기(120) 또는 중앙단말기(130)에서 방사선 준위 분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단말기(130)는 상기 방사선계측기(1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현장단말기(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중앙단말기(130)의 구성은 전술한 현장단말기(12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즉, i)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측정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구비되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131), ii)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부(132), iii)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측정지역의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134), iv)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GPS 인공위성(140)을 통해 저장받는 GPS 정보저장부(133) 및 v) 상기 지도데이터에 상기 측정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테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 저장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전송받은 측정데이터, GPS 인공위성(140)을 통해 전송받은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해당 측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현장단말기(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방사선계측기(110)와 중앙단말기(130)간의 무선통신은, RF통신 또는 CDMA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장단말기(120) 및 중앙단말기(130)는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방사선계측기(110)의 위치정보 및 상기 측정지역의 방사선준위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상기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측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현장단말기(120) 또는 중앙단말기(130)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방사선 준위 분포 등의 신속한 파악이 가능해진다.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은 매트랩(MATLAB)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한 등고선 매핑 실행 파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i) 자연 방사선량률, 인공방사선량률, 총방사선량률 ii) 측정지역의 경도, 위도, 고도와, iii)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을 txt 파일형태로 저장한 측정데이터에 등고선 매핑 실행 파일을 구동하여 방사선량률을 등고선 형태로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의 특징을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i) 방사선 측정지역에 해당하는 지도의 왼쪽 상부 및 오른쪽 하부의 경도와 위도를 측정데이터(txt 파일)로부터 자동으로 불러온 후, 측정한 지역이 좌표평면상에 나타나도록 상기 경도와 위도 범위안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들여서 단말기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ii) 이후 방사선량률 등고선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 그리딩(Gridding)작업을 위하여 경도, 위도, 방사선량률 데이터 등을 각각 첫 번째 칼럼, 두 번째 칼럼, 세 번째 칼럼 등으로 대응되도록 해당 측정데이터(txt 파일)로부터 자동으로 읽어들인다.
iii) 이후 측정지역의 전체적인 방사선 분포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방사선량률 등을 경도와 위도에 따라 측정지역의 지도위에 오버래핑(Overlapping)하여 2차원 등고선으로 표시한다. 이 때, 방사선량률 등의 범위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컬러 바(Color bar)를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vi) 또한, 측정지역내 방사선분포 등의 상대적 크기를 가시적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3차원 좌표평면에서 등고선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도 4참조), 임의의 각도에서 측정지역의 방사선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3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 지도를 회전시켜서 볼 수 있다.
vii) 그리고, 측정지역 내의 특정지점의 방사선분포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도상에서 방사선량률 등을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마우스 커서를 지도상의 임의의 위치에 갖다 댈 때마다 당해 지점의 방사선량률 등이 화면상에서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진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GM 검출기, 섬광계수기 또는 반도체검출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각종 휴대형 방사선계측기(210)와 현장단말기(220) 또는 중앙단말기(230)는 유선통신, RF 통신 또는 CDMA 통신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측정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현장단말기(220)와 중앙단말기(23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측정데이터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한 측정데이터 등의 전송과 등고선 매핑실행파일(240)을 포함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현장단말기(220)와 중앙단말기(230)상에서 측정지역의 방사선 분포를 실시간으로 동시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상에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궤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GPS 인공위성을 통해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측정시간 등을 계산할 수 있고,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궤적(310) 등을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궤적(310) 등의 현시로 인해, 방사선계측기로 측정지역내의 방사선 분포측정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측정하였는지 여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방사선 측정계획 및 실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상에 방사선량률 분포 등고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포함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방사선 준위 분포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의 화면상에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바, 평면적인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의 2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410)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3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420) 디스플레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고선에 컬러 바(color bar)를 추가하여 시각적으로 파악이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상기 3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420)은 화면상에서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용이한 방사선 분포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로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거친다.(S501) 다만, 상기의 측정데이터 획득단계(s501)전에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방사선계측기로 측정할 소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또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전송받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s502), Serial 통신, RF 통신 또는 CDMA 통신 등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측정데이터를 전송하고,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의 측정데이터 저장부에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측정데이터는 txt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s503)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504) 상기의 디스플레이 단계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종합적으로 방사선 준위 분포를 이원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로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거친다.(s501) 상기 측정데이터는 자연방사선량률, 인공 방사선량률, 총방사선량률, 측정지역의 경도, 위도, 고도,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로써 txt 파일형태로 방사선계측기의 측정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이, 측정데이터 획득단계(s501)전에,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방사선계측기로 측정할 소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또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현장단말기에 전송받는 단계를 거친다.(s502) 상기 측정데이터는 RF통신, CDMA통신, RS-232 통신 또는 RS 485 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미도시) 이 때에도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중앙단말기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미도시), 상기 측정데이터는 RF 통신, CDMA 통신, 무선인터넷망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측정데이터가 중앙단말기로 전송된 후, 중앙단말기상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미도시)
상기의 제 2실시예에 의하더라도, 현장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각과 중앙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의 차이는 없으며, 현장단말기에서 중앙단말기로 측정데이터 뿐만 아니라 지도데이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등을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방사선계측기와 중앙단말기간의 통신두절 등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실시간으로 방사선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그 역의 경우로 중앙단말기에서 현장단말기로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으므로, 방사선계측기와 현장단말기간의 통신두절 등의 사고에 대해서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의 구동단계별 순서도이다.
먼저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의 GPS 정보저장부에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601) 이와 같은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는 방사선계측기가 측정하는 위치의 위도와 경도 등에 관한 정보로써 txt파일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영역의 지도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602) 즉, 방사선 측정지역에 해당하는 지도의 왼쪽 상부 및 오른쪽 하부의 경도와 위도를 자동으로 불러온 후, 측정한 지역이 좌표평면상에 나타나도록 상기 경도와 위도 범위안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들여서 단말기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데이터상에 상기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s603), 예를 들면 경도, 위도, 방사선량률 데이터 등을 각각 첫 번째 칼럼, 두 번째 칼럼, 세 번째 칼럼 등으로 대응되도록 해당 측정데이터(txt 파일)로부터 자동으로 읽어들인다. 이 때, 상기 측정데이터의 표시는 지도데이터상에 문자 또는 숫자로 바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댈 때만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측정데이터가 표시된 지도데이터상에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하여 등고선 형태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604)
즉, 방사선량률 등의 데이터를 경도와 위도에 따라 측정지역의 지도상에 오버래핑(Overlapping)하여 2차원 등고선으로 표시하며, 컬러 바(color bar)를 이용하여 방사선 준위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지역내 방사선분포 등의 상대적 크기를 가시적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3차원 좌표평면에서 등고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임의의 각도에서 측정지역의 방사선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3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 지도를 회전시켜서 볼 수 있으며, 측정지역 내의 특정지점의 방사선분포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기능과 더불어, 지도상에서 방사선량률 등을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마우스 커서를 지도상의 임의의 위치에 갖다 댈 때마다 당해 지점의 방사선량률 등이 화면상에서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210: 방사선계측기
111, 122, 132: 측정데이터 저장부
112: GPS 모듈
113, 121: 유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
131 :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220: 현장단말기
123, 133: GPS 정보저장부
124, 134: 지도데이터 저장부
125, 135: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 저장부
130, 230: 중앙단말기
140: GPS 인공위성
240: 등고선 매핑 실행 파일
310: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궤적
410: 2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
420: 3차원으로 표시된 등고선
430: 컬러 바(color bar)

Claims (13)

  1.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로 저장하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와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형의 방사선계측기;
    상기 휴대형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고,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현장단말기; 및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현장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중앙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는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소정영역의 방사선 준위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계측기는,
    GM 검출기, 섬광계수기 또는 반도체검출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계측기는,
    GPS 모듈을 장착하고 GPS 위성과 송수신하여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는,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부;
    상기 방사선계측기가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소정영역의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GPS 정보저장부; 및
    상기 지도데이터에 상기 측정데이터 및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등고선 형태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계측기와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간의 무선통신은,
    RF(Radio Frequency)통신 또는 CDMA(Code Distributed Multi Access)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단말기 및 중앙단말기간의 통신은, RF(Radio Frequency)통신, CDMA(Code Distributed Multi Access)통신 또는 무선인터넷망 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이거나, 유선인터넷망을 통한 유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는,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측정대상인 소정영역의 경도, 위도, 고도, 온도 및 습도와,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및 측정시간과,
    상기 소정영역의 방사선량률에 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9. (a1)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로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1)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전송받는 단계;
    (c1)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10. (a2) 휴대형 방사선계측기로 소정영역의 방사선에 관한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2) 상기 방사선계측기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를 현장단말기에 전송받는 단계;
    (c2)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소정영역에 관한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2)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중앙단말기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e2) 상기 중앙단말기에서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상기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 또는 (a2)단계 전에,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에, 방사선계측기로 측정할 소정지역의 지도데이터 또는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 (c2)단계 또는 (e2)단계는,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의 GPS 정보저장부에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방사선 계측기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영역의 지도데이터를 현장단말기 또는 중앙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데이터상에 상기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데이터가 표시된 지도데이터상에 등고선 매핑 데이터를 오버랩하여 등고선 형태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 (c2)단계 또는 (e2)단계에서 상기 등고선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등고선 매핑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방사선계측기의 위치정보, 측정데이터, 지도데이터 및 등고선 매핑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KR1020100036709A 2010-04-21 2010-04-21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KR20110117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09A KR20110117325A (ko) 2010-04-21 2010-04-21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09A KR20110117325A (ko) 2010-04-21 2010-04-21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25A true KR20110117325A (ko) 2011-10-27

Family

ID=4503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09A KR20110117325A (ko) 2010-04-21 2010-04-21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73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316A1 (ko) * 2016-05-30 2017-12-07 전자부품연구원 레이저 고도계 기반의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방사선량률 탐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140038B1 (ko) * 2020-01-06 2020-07-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복수개의 검출기를 이용한 대면적 방사능 표면오염 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316A1 (ko) * 2016-05-30 2017-12-07 전자부품연구원 레이저 고도계 기반의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방사선량률 탐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140038B1 (ko) * 2020-01-06 2020-07-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복수개의 검출기를 이용한 대면적 방사능 표면오염 측정장치
WO2021141256A1 (ko) * 2020-01-06 2021-07-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복수개의 검출기를 이용한 대면적 방사능 표면오염 측정장치
JP2023508694A (ja) * 2020-01-06 2023-03-03 コリア ハイドロ アンド ニュークリアー パワ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複数個の検出器を用いた大面積放射能表面汚染測定装置
US11867851B2 (en) 2020-01-06 2024-01-09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Large-area radioactive surface contamination measurement device using plurality of dete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28063A (ja) 空気品質情報を提供する方法
WO2004008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rritory thermal monitoring
KR101713253B1 (ko) 가상사고 기반 방사선비상 현장탐사 훈련방법
US20150084766A1 (en) Rapid deployable global sensing hazard alert system
KR101667331B1 (ko) 다수의 위성항법 기준국 신호품질 획득 장치 및 방법
CN102170321A (zh) 一种基站天线参数监测仪及自动监测方法
CN103238041A (zh) 广域定位系统
JP2019028065A (ja) 空気品質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
Gomaa et al.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for radiation monitoring at nuclear facilities
CN105654683A (zh) 一种光纤围栏远程标定及单人测试方法
KR100915217B1 (ko) 방사선관리구역의 이동 간 방사선측정 및 관제 시스템
CN107643536A (zh) 一种辐射场可视化系统及其方法
AU2017285718A1 (en) Software-defined radio earth atmosphere imager
CN207231522U (zh) 一种基于多种传感器的景区监测系统
KR20110117325A (ko) 지리정보동조형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사선 분포 모니터링 방법
CN105185043A (zh) 山体滑坡灾害监测终端
CN106793088A (zh) 一种无线传感网室内应急定位系统及方法
CN206601498U (zh) 基于卫星遥感图像的房屋拆迁远程监测系统
JP6605523B2 (ja) 圃場情報表示システム
KR2012007724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해 방사선량을 감시하는 방법
CN203217716U (zh) 一种变电站设备三维安全防护系统
CN111695067A (zh) 一种安防可视化显示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US20150309159A1 (en)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for precisely locating an asset point in a physical plant
Hawari et al. Development of IoT Real-Time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JP2022020637A (ja) 圃場情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5

Effective date: 201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