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066A - Pillow - Google Patents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066A
KR20110117066A KR1020117014871A KR20117014871A KR20110117066A KR 20110117066 A KR20110117066 A KR 20110117066A KR 1020117014871 A KR1020117014871 A KR 1020117014871A KR 20117014871 A KR20117014871 A KR 20117014871A KR 20110117066 A KR20110117066 A KR 2011011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ead
pillow
load
hea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이치로 나카야마
요키치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이켄 쿄우교
신이치로 나카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이켄 쿄우교, 신이치로 나카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이켄 쿄우교
Publication of KR2011011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0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위를 향한 취침 시와 옆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베개의 높이가, 수면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확실히 변화하고, 조정이 불필요하고, 안정된다. 베개(1)의 두재부재(2)의 공동에 설치된 부세 장치(4)는, 후단측이 후측 링크(9)의 상단부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단측이 상측 링크(10)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중 지지 링크(11)를 가지는 링크 기구(6)와, 하중 지지 링크(11)를 윗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부세하는 인장 용수철(15)을 구비한다.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을 싣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방으로의 경사각의 정현과 링크길이와의 곱(積)이 전측 링크(8)가 후측 링크(9)보다도 2배 이상 크고, 후측 링크의 전방에의 경사각이 0도를 초과 20 도 이하이며, 또한, 두재부재(2)에 머리부분을 실은 상태로 전측 링크(8) 및 후측 링크(9)가 전방으로 쓰러지면, 하중 지지 링크(11)가 최하강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인장 용수철(15)의 부세력이 설정된다.The height of the pillow at the time of sleeping upward and at the time of sleeping toward the side automatically changes reliably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and adjustment is unnecessary and stable. In the urging device 4 provided in the cavity of the head member 2 of the pillow 1, the rear end side is slidably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9, and the front end is the front end of the upper link 10. The link mechanism 6 which has the load support link 11 connected to the part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nd the tension spring 15 which pushes up the load support link 11 upwards are provided. In the state where the human head is not placed on the head member, the product of the sine of the inclination angle forward and the link length is greater than twice the front link 8 than the rear link 9 and the front of the rear link.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el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is 20 degrees or less, and the front link 8 and the rear link 9 fall forward with the head part mounted on the head member 2, the load supporting link 11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5 is set so that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Description

베개{PILLOW}Pillow {PILLOW}

본 발명은, 침구로서 사용하는 베개(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위를 향한(仰向) 취침 시와 옆쪽으로 누운(橫向) 취침 시에 있어서 높이가 자동적으로 변화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use as bed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that automatically changes in height at bedside facing up and at bedside lying down. .

사람의 수면시의 자세는, 직립 상태에서 그대로 누워 위쪽을 향해 누운 상태가 가장 자연스러워 바람직하다. 이 때, 머리부분(頭部)중에서 가장 낮은 위치가 되는 후두부(後頭部)는, 등(背中) 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된다. 그래서, 침구로 사용하는 베개는, 사람이 위를 향해 자고 있을 때(이하, 위를 향한 취침 시라 한다), 후두부의 위치를 등 보다 약간 높은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ture at the time of sleep of a person is most naturally lying in an upright state and lying down. At this time, the back of the head, which is the lowest position in the head, is slightly higher than the back. Therefore, when the pillow used for bedding is a person sleeping upwa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dtime upwa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back of the head is slightly higher.

한편, 사람이 수면시에 뒤척이며 옆쪽으로 누운 취침시(이하, 옆쪽을 향한 취침시라 한다)에는, 머리부분은 어깨(肩部)에 의해 지지되므로, 위를 향한 취침 시보다도 머리부분의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베개는, 위를 향한 취침 시와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따라, 높이가 자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 person is sleeping sideways while sleeping and is lying sidewa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deward bedtime), the head is supported by the shoulders. Increases. Therefore, the height of the pillow is preferably chang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bedtime facing upward and the bedside facing.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베개는, 사용자가 위쪽 방향과 옆쪽을 향한 자세로 뒤척이면서 자는 것을 상정(想定)하여, 두 가지 취침(兩寢)자세에 대응한 중간의 높이를 설정하여 제작되어 왔다. 그 결과, 위를 향한 취침 시에는 너무 높고,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너무 낮아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연질의 저반발(低反發) 우레탄폼제 베개가 시판되고 있는데, 위를 향한 취침 시에는 충분히 낮게 유지되나,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너무 낮아서 베개가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또한, 짧은(短尺) 파이프나 비즈를 넉넉하게 이용한 옆쪽을 향한 취침시의 높이가 높은 베개도 시판되고 있지만, 위를 향한 취침 시에는 너무 높아서 적합하지 않고, 목부분(頸部)에 장해를 일으킬 우려도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eneral pillow has been produced by setting the intermediat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wo sleeping postures by assuming that the user sleeps while leaning in the upward and lateral postures. As a result, it was too high when going to bed upward and too low when going to bed sideways, which was not satisfactory. In addition, soft, low-elasticity urethane foam pillows are commercially available, but when the bed to the top is kept low enough, when the bed to the side is too low, the pillow does not play a role. In addition, there are commercially available high-side pillows with a short side pipe and beads with plenty of bedding, but they are too high for bedtime and are not suitable for the neck. There is also concern.

그래서, 수면위치(寢姿)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이가 변화하는 베개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베개에 있어서는, 위를 향한 자세나 옆쪽을 향한 자세인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베개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에는, 평평한(敷) 매트 등에 압력이나 면적을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매설하고, 평평한 매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신체의 측면 부분인지 등부분인지를 각 센서의 감지 결과로부터 구한 접촉 면적에 따라 판단하여 수면위치를 식별하고, 수면위치에 따라 전동 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베개 내의 자루(袋) 내의 공기량을 조정하거나 모터를 이용하여 링크 부재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베개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Thus, various pillow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the height chang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In such a pillow, it is often identified whether it is a posture facing upwards or a side facing, and the height of a pillow changes in accordance with an identification result.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s 1 to 3 embed a plurality of sensors that detect pressure or an area on a flat mat or the like, and detect each sensor whether a part contacting the flat mat is a side part or a back part of the body. The sleep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act area obtained from the result, and the amount of air in the bag in the pillow is adjusted by using an electric compressor or the like, or the link member is lifted and lifted by a motor according to the sleep position. Changing the height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베개에서는, 뒤척임에 의해 신체가 평평한 매트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벗어나면, 수면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하고, 오작동이 생긴다. 또한, 모터음이나 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전원을 필요로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in such a pillow, when the body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lat mat by twisting, the sleeping position cannot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a malfunction occurs. Moreover, since a motor sound and a vibration generate | occur | produce and a power supply is needed, it is not preferable.

그래서, 위를 향한 자세와 옆쪽을 향한 자세가 베개에 걸리는 하중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높이가 변화하는 베개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에는, 하부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에 대해서 거의 평행 상태로 배치되고 머리부분이 놓여지는(載置) 머리부분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상에 설치되어 거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머리부분 지지판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 지지기구와, 머리부분 지지판상에 설치된 쿠션부를 구비하고, 지지판 지지기구는, 하단부가 하부 지지판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부가 머리부분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 지지판으로부터 머리부분 지지판을 향해서 기울어져(傾斜) 연재하고 있는 서로 평행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와, 이것들을 경사진 방향으로 쓰러뜨리는 하중에 대항하여 머리부분 지지판을 개입시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부세(付勢)하는 코일 용수철 등의 부세 수단을 가지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 pillow is proposed which automatically changes in height by using different loads on the pillows in the upright position and the laterally facing positio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4 describes a lower support plate, a head support plate that is disposed in substantially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plate,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plate to maintain a substantially parallel state. And a support plate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partial support plate to move up and down, and a cushioning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support mechanism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plate so as to be rotatable.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which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in a rotatable manner and are inclined and extended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to the head support plate, and to a load that causes them to fall in an inclined direction. A coil spring for bias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hrough the head support plate. A pillow having a urging means is disclosed.

이 베개는, 쿠션부에 머리부분을 놓고 위를 향한 자세로 자면, 머리부분의 자중(自重)에 의해 부세 수단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제1및 제2 지지 부재가 넘어지고, 머리부분 지지판이 최저 위치까지 하강하여, 높이가 최소가 된다. 뒤척이며 옆쪽을 향한 자세가 되어, 머리부분이 어깨부분(肩部)에 의해서 유지되어 머리부분 지지판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는 부세 수단에 의해 부여되는 부세력에 의해서 일어나고, 머리부분에 의한 하중과 부세력이 균형하는 상태로 되는 높이까지 베개는 상승한다. 그리고, 이 베개는, 부세 수단의 부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갖추고 있어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베개는, 부세 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지지 부재가 소정의 경사 각도로 계지(係止)하는 스토퍼 기구를 갖추고 있어 미사용시의 높이는 균일하게 되어 있다.When the pillow is placed i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head is sleeping upward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fall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head, which resists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ans. The head support plate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so that the height is minimum. If the head is held in a lateral and lateral position, and the head is held by the shoulder and the load acting on the head support plate decrease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subjected to the force applied by the biasing means. And the pillow rises to a height where the load due to the head and the counter-force are balanced. And this pillow is equipped with the adjustment means which adjusts the taxing force of a taxing means, and can adjust the height at the time of going to bed laterally. Moreover, this pillow is equipped with the stopper mechanism by which a support member locks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a biasing means, and the height at the time of non-use becomes uniform.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34245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342457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57505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57505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340198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40198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98153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98153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베개에 있어서는, 머리부분에 의한 하중과 부세 수단의 부세력이 균형되는 상태의 높이가,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로 된다. 그 때문에,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를 사용자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머리무게(頭重) 등에 맞추어 부세 수단의 부세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조정은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취침시의 머리부분에 의한 하중의 얼마 안되는 변동에 의해서 베개의 높이가 변화하므로,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가 안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탄력있는 느낌을 주어야 한다는 하는 과제가 있다.However, in the pillow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the height of the state where the load by the head portion and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ans is balanced becomes the height at the time of sleeping toward the side.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height at the time of sleeping toward the side appropriate by the user, it is necessary for each user to adjust the taxing force of the taxing means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physique or head weight, but such adjustment is difficult. There is a task to do.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pillow changes due to slight fluctuations in the load by the head part at the time of bed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is not stabilized and the user has to feel soft and elastic.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볼 때, 위를 향한 취침 시와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높이가 수면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확실히 변화하고, 조정이 불필요하며, 높이가 안정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oi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ow in which the height at the time of sleeping upward and at the time of sleeping toward the side automatically changes reliably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and adjustment is unnecessary and the height is stable. The purpose.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발명을 실시할 때에, 우선, 위를 향한 자세와 옆쪽을 향한 자세로 베개에 당접하는 신체 부분의 순서와 하중이 걸리는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밝혀냈다. 즉, 사람이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 중요한 머리부분을 지키기 위해 본능적으로 목부분을 위로 굽혀 머리부분을 띄우면서 위쪽을 향해 잔다. 그 결과, 사람이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 등, 목부분, 후두부의 순서로 이불이나 베개에 당접한다. 한편, 사람이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잘 때, 측완, 어깨, 측두(側頭)부의 순서로 이불이나 베개에 당접한다. 그 결과,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잘 때, 측두부가 먼저 베개에 당접하므로, 목부분은 가볍게 베개에 당접(當接)하는 정도이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rrying out the invention, first found that the order of the body parts abutting on the pillow in the upward facing position and the laterally facing position and the positions under which the loa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sleeps in an upright position, he instinctively bends the neck up and lifts the head to sleep upward to protect the important head. As a result, when a person sleeps in an upright position, he or she contacts a futon or pillow in the order of the back, neck, and back of the head. On the other hand, when a person sleeps in a side-by-side position, he or she contacts the futon or pillow in the order of the lateral arm, shoulder, and temporal part. As a result, when sleeping in a side-facing position, the temporal head first contacts the pillow, so that the neck part is lightly abutting the pillow.

따라서,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 베개에 걸리는 하중은, 처음은 목부분 하(頸部下)가 가장 크고, 그 후, 후두부 하로 일부가 옮겨져, 목부분 하와 후두부 하가 대충 같아진다. 즉, 위를 향한 취침 시에는, 최초로 목부분 하에 하중이 걸리고, 그 후, 머리부분하에 하중이 분산한다. 이것에 대해,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잘 때 베개에 걸리는 하중은, 목부분 하에는 거의 걸리지 않고, 측두부 하에 집중한다. 즉,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측두부 하에만 하중이 집중한다.Accordingly, the load applied to the pillow when sleeping in the upward position is greatest in the lower part of the neck at first, and then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head is transferred to the lower head, and the lower part of the neck and the lower head are roughly the same. That is, at the time of going to bed upward, the load is applied under the neck first, and then the load is distributed under the head. On the other hand, the load applied to the pillow when sleeping in the sideward position is hardly applied under the neck but is concentrated under the head. That is,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the load concentrates only under the head part.

이와 같이, 수면위치에 따른 하중 위치가 다른 것이 밝혀졌으므로, 목부분 하에서의 베개의 전측(前側) 부분은 가벼운 하중으로 하강하고, 측두부 하에서의 베개의 중앙 부분에서는 보다 큰 하중으로 견디는 것이 가능한 구조라고 하면,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스무스하게 하강하고,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안정되어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Thus, since the load position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the front part of the pillow under the neck portion is lowered with a light load,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pillow under the head portion is a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a larger load. It became clear that when going to bed upwards, it descended smoothly, and when going to bed sideways, it became stable and could maintain the height.

이 때, 목부분(頸部) 하와 측두부 하의 내하중성의 차이가 클수록, 위를 향한 취침 시의 스무스(smooth)한 하강과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 유지가 확실한 것이 되어, 체형이나 머리무게 등의 개인차에 의존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베개의 후측 부분의 내하중이 전측 부분의 내하중보다도 2 배 이상 크면 바람직하다. 각 부분의 내하중이 이러한 하중이 되면, 몸집이 작은 체형으로 머리무게가 가벼운 사람이 위를 향한 자세로 잤을 경우에, 스무스하게 하강하고, 한편, 몸집이 큰 체형으로 머리무게가 무거운 사람이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잤을 경우에, 높이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평행 사변형 링크에서는, 목부분 하와 측두부하의 내하중차이는 거의 확인되지 않고, 베개 윗쪽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내하중차이를 마련할 필요가 있어, 그 미묘한 조정을 개개의 사용자마다 실시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load res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neck and the temporal part, the more smooth the lowering at the time of going to the upper side and the higher the maintenance of the height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We do not depend on individual difference of.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ithstand load of the rear part of the pillow is two times or more larger than the withstand load of the front part. When the load capacity of each part is such a load, when a person with a light head and a light weight slept in an upright position, it descends smoothly, while a person with a large body and a heavy head is sideways. If you slept in the upright position, the height is maintained firmly. In addition, in the parallelogram link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4, the difference in the load capacity between the neck portion and the temporal load is hardly confirmed,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load difference due to the force of the biasing means that biases the pillow. Subtle adjustments need to be made for each user.

그래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베개는, 내부에 공동(空洞)을 가지는 가요(可撓)부재로 형성되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의 두재(頭載)부재와, 두재부재(頭載部材)의 공동의 윗쪽 부분(상방부분(上方部分)라 칭하기도 함.)을 윗쪽으로 부세하여 지지하도록, 공동에 설치된 부세 장치를 가지는 베개로서, 부세 장치는,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을 놓은 상태에서 목부분이 위치하는 측을 전측, 두정부(頭頂部)가 위치하는 측을 후측으로서, 전후 수평으로 늘어나는 하측 링크와, 하측 링크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진 전측 링크와, 하측 링크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진 후측 링크와, 전측 링크의 상단부에 전단부가, 후측 링크의 중간부에 후단부가 각각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측 링크와, 후단측이 후측 링크의 상단부에 미끄럼 이동(滑動)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단측이 상측 링크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중 지지 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와, 상측 링크 및 하중 지지 링크를 윗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과, 후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경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전측 링크의 링크 길이가 후측 링크의 링크 길이보다 길고,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을 싣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방으로의 경사각의 정현(正弦)과 링크 길이와의 곱(積)이 전측 링크가 후측 링크보다도 2 배 이상 크고, 후측 링크의 전방으로의 경사각이 0도를 초과하고 20도 이하이며, 또한, 부세 수단으로부터 부세되는 것과 후측 링크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서, 하중 지지 링크가 최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을 놓은 상태에서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지면, 하중 지지 링크가 최하강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부세 수단의 부세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u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head member and a head member formed of a flexible member having a cavity therein. A pillow having a biasing device installed in the cavity to support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also referred to as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upwards, and the biasing device is a head of a person placed on the head member. The lower link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link which extends horizontally in front and rear, and the lower link which extends horizontally in front and rear with the front side at the side where the neck is located and the side at which the head part is located at the rear side. The lower link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orward link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link, the rear link tilted forward, the front en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link, and the rear end to the middle of the rear link, respectively. A link mechanism comprising an upper link pivo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ink, a load supporting link rearward side slidably mount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link, and a front end side pivo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ink front end, an upper link and A biasing means for biasing the load supporting link upwards and a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ar linkage rearward, the link length of the front linkage being longer than the link length of the rear linkage, In the state where the head is not loaded, the product of the sinusoidal inclination of the forward inclination and the link length is greater than twice the front link than the rear link, and the inclination angle forward of the rear link exceeds 0 degrees. 20 degrees or less, and the load-bearing link rises to the highest position by being taxed from the taxing means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When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fall to the front in the state where the head of the person is placed on the head member, the load of the biasing means is set so that the load supporting link descends to the lowest position. .

본 발명의 베개에 의하면,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이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중 지지 링크가 최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두재부재도 하중 지지 링크에 지지를 받아 최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최상승 위치에 위치하는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을 놓았을 때, 사람의 머리부분의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로 향한 하중은 두재부재를 개입하여 부세 기구의 하중 지지 링크에 걸린다. 그리고, 이 하중에 의해 하중 지지 링크는 하부에 변위하려고 하지만, 하중 지지 링크가 하부에 변위하는데에는, 링크 기구의 구성에 의해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를 전방으로 쓰러지게 함과 동시에, 부세 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방으로의 경사각의 정현과 링크길이와의 곱(積)이 전측 링크가 후측 링크보다도 2 배 이상 크기 때문에, 후측 링크와 전측 링크와의 상단부에 동시에 아래로 향한 하중이 작용했을 때, 전측 링크를 전방으로 쓰러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후측 링크를 전방으로 쓰러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보다 2배 이상 크다. 그 때문에, 부세 수단의 부세력이나 각 링크의 링크 길이에 따라 차이가 생기지만, 베개의 후측 부분의 내하중(하중 지지 링크가 하부에 변위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하중)은 전측 부분의 내하중보다도 약 2배 이상 커진다. 그 때문에, 두재부재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 위치가 전측(前側)일수록 하중 지지 링크는 하부로 변위하기 쉽고, 후측(後側)일수록 하중 지지 링크는 하부로 변위 하기 어렵다.According to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head of the person is not placed on the head member, the load supporting link is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head member is also supported at the load supporting link and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n, when the head of the person is placed on the head member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the load direct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head of the person is caught by the load supporting link of the biasing mechanism through the head member. The load supporting link attempts to be displaced to the lower portion by this load, but the load supporting link is to be displaced to the lower portion. You need to resist the forces. Here, since the product of the sinusoidal sine of the forward tilt angle and the link length is twice as large as the rear link,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and the front link simultaneously exert a downward load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The rotation moment acting in the direction of bringing down the link forward is at least two times greater than the rotation moment acting in the direction of bringing down the rear link forward. Therefore, the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ans and the link length of each link, but the load resistance of the rear part of the pillow (the load required for the load supporting link to start displacement in the lower part) is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part. About two times larger Therefore, the load supporting link tends to be displaced downward as the front side of the load acting downward on the head member, and the load supporting link is difficult to displace downward as the rear side.

또한, 후측 링크는, 수직 또는 후방에 경사하고 있으면, 전측 링크가 쓰러지는 방향과는 반대의 후방으로 쓰러지기 쉬워져, 링크 기구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측 링크의 전방으로의 경사각은 0도를 초과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측 링크가 전방으로 급경사 하고 있으면, 두재부재의 전측 부분에 근소한 하중이 작용한 것만으로 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동시에, 링크 기구를 구성하기 위해서, 베개의 전후방향이 너무 길어져야 한다. 그래서, 이들을 고려하여 전측 링크의 전방으로의 경사각을 적절한 범위내로 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후측 링크의 전방으로의 경사각은 2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측 링크는, 전방으로의 경사각이 0도를 초과하고 20도 이하로 기울어져 대략 수직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rear link is inclined vertically or rearward, the rear link tends to fall backwar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link falls, and the link mechanism may be damaged. Therefore, the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link needs to exceed 0 degrees. On the other hand, if the front link is steeply forward, only a slight load acts on the front part of the head member, and the front link falls forward, which is undesirable. You must los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s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link within an appropriate range. For that purpo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link to the front is preferably 20 degrees or les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link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front exceeds 0 degrees and is inclined to 20 degrees or less.

상술한 바와 같이,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잘 때에는 측두부하에 하중이 집중하지만, 측두부하는 두재부재의 전후방향중앙이며, 전측 링크와 후측 링크와의 상단부에는 동일한 정도의 아래로 향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들 하중의 작용에 의해, 전측 링크는 전방으로 휘지만, 후측 링크는 앞쪽으로 기울어져 대략 수직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그리고, 전측 링크와 후측 링크는 상측 링크를 개입시켜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지지 않으면, 전측 링크는 전방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는 전방으로 쓰러지지 않고, 하중 지지 링크는 최상승 위치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두재부재는 하강하지 않고, 머리부분의 자중에 의해서 휠뿐이고, 최상승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 위치는, 머리부분으로부터 두재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다소 변화해도 상하하지 않고 안정하게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ad concentrates on the temporal load when sleeping in the sideward position, but the temporal load is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ead member, and the same downward load acts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By the action of these loads, the front link bends forward, while the rear link is tilted forward and tries to remain approximately vertical. Since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are connected through the upper link, the front link does not fall forward unless the rear link falls forward. As a result,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do not fall forward, and the load bearing link maintains the highest position. Therefore, the head member does not lower, but only the wheel by the weight of the head, and maintains the highest position. And this position is stable, not up-down even if the load acting on a head member from a head part changes slightly.

한편,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에는, 최초, 목부분 하에 하중이 집중하지만, 목부분 하는 두재부재의 전측이며, 전측 링크의 상단부에 큰 아래로 향한 하중이 작용하고, 후측 링크의 상단부에는 거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들 하중의 작용에 의해, 전측 링크는 큰 힘으로 전방으로 쓰러지려고 하고, 상측 링크를 개입하여 연결되어 있는 후측 링크를 전방으로 넘어뜨리고자 한다. 그 결과,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는 전방으로 쓰러져, 이것에 따라 하중 지지 링크는 하강한다. 하중 지지 링크가 일단 하강하면, 부세 수단으로부터 부세력에 저항하여, 최하강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한다. 그 때문에, 두재부재는 하중 지지 부재에 따라 최하강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이 위치는, 머리부분으로부터 두재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다소 변화해도 상하(上下)하지 않고 안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leeping in the upright position, the load is concentrated first under the neck, but is the front side of the head member to be necked, and a large downward load acts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link, and almost the load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This doesn't work. By the action of these loads, the front link attempts to fall forward with great force, and attempts to overturn the rear link that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link. As a result,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fall forward, whereby the load bearing link is lowered. Once the load-bearing link descends, the biasing means resists the biasing force and automatically descends to the lowest position. Therefore, the head member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ad supporting member. And this position is stable, not up-down even if the load which acts on a head member member from a head part changes slightly.

또한, 부세 수단은, 두재부재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중 지지 링크가 하강하지 않는 정도, 또한, 일단 하강을 시작한 하중 지지 링크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부세력을 발생하는 것이면 좋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베개에 있어서의 부세 수단과 같이, 그 부세력에 의해서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세력에 있는 정도의 격차가 있어도 좋다. 따라서, 부세 수단의 부세력 관리가 간략화하고, 베개의 제조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urging means may generate a urging force such that the load supporting link does not lower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head member,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ing of the load supporting link once the lowering has started.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at the time of going to bed is not adjusted by the taxing force, as in the taxing means in the pillow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4, there may be a gap in the degree of the generated taxing force.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 taxing force of the taxing means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e of the pillow becomes easy.

또한, 후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경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지고, 후측 링크가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에 의해, 링크 기구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rear side link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ar link, the front link falls forward and the rear link falls backward, thereby preventing the link mechanism from being damaged.

또한,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이 놓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중 지지 링크 및 두재부재의 상면(上面)이 전상(前上)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a state where the head of a person is not placed on the head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 supporting link and the head member be inclined to the front phase.

 이 경우, 위를 향한 자세로 머리부분이 베개에 놓여질 때, 목부분이 후두부보다도 빨리 베개에 당접하는 것이 더욱 확실해진다. 그 때문에, 위를 향한 취침 시에, 하중 지지 링크가 최하강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더욱 확실하게 하강한다.In this case, when the head is placed on the pillow in an upright position, it is more certain that the neck contacts the pillow earlier than the back of the head. Therefore, at the time of going to bed upward, the load supporting link automatically descends to the lowest position more reliably.

또한, 부세 수단은, 일단측(一端側)이 하중 지지 링크의 전측 링크의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부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하측 링크의 후단부 근방에 고정된 인장 용수철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rging means is a tension spring fixed to the part which one end side extended to the front from the rotational connection part of the front link of a load supporting link, and the other end side fixed to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part of a lower link. Do.

이 경우, 하중 지지 링크는, 상기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부분에 인장 용수철의 일단측이 고정되고 있으므로, 인장 용수철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연장한 부분이 하강하고, 상기 회동 연결부에서 후방의 부분이 부상(持上)하도록 작용된다. 그리고,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에는, 목부분 하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회동 연결부에서 후방의 부분이 부상하므로, 하중 지지 링크와 후측 링크의 상단부와의 접촉압(接觸壓)이 작아지고, 하중 지지 링크는, 미끄럼 이동이 쉬워져, 보다 하강하기 쉬워진다.In this case, since the one end side of the tension spring is fixed to the part which extended forward from the said rotational connection part, the said extended part falls by the tension force of a tension spring, and the part of the back part from the said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carried out. It acts to injure. And, when sleeping in the upright position, the rear portion rises at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neck, so that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load supporting link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is reduced, and the load supporting is performed. The link slides easily, and it becomes easy to descend.

또한,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질 때,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와 하측 링크와의 사이에 각각 충격 흡수 부재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and the lower link, respectively, when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fall forward.

이 경우,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와 하측 링크가 당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이나 당접음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pact and the audible sound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by contacting the front link, the rear link, and the lower link can be suppressed.

[도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베개의 외관 사시도.
[도 2]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절단 단면도.
[도 3] 도 1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절단 단면도.
[도 4] 도 2의 IV-IV선에 있어서의 절단 단면도.
[도 5] 베개의 부분 파단 상면.
[도 6] 최상승시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의 측면도.
[도 7] 최하강시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의 측면도.
[도 8] 위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베개의 개략 종단면도.
[도 9] 위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베개의 개략 횡단면도.
[도 10]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베개의 개략 종단면도.
[도 11]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베개의 개략 횡단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Fig. 4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5 is a partial fracture top surface of the pillow.
Fig. 6 is a side view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top riding.
Fig. 7 is a side view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the lowest descent.
Fig. 8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illow at the time of going to bed upward.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at the time of going to bed upward.
Fig. 10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illow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Fig. 11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of a pillow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발명을 실시하기Carrying out the invention 위한 최선의 형태 Best form for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베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illow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베개(1)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2a)을 가지는 가요부재로 형성되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의 두재부재(2)와, 두재부재(2)의 후측에 배치되고, 두재부재(2)의 공동(2a)의 후방을 덮는 덮개(蓋)부재(3)와 두재부재(2)의 공동(2a)의 상부 부분(2b)을 윗쪽으로 부세 지지하도록, 공동(2a)에 설치된 부세 장치(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베개(1)에 사람의 머리부분을 놓은 상태로 두정부가 위치하는 측을 후측, 사람의 목부분이 위치하는 측을 전측으로 하고 있다. 또한, 베개(1)는, 공동(2a) 내에 부세 장치(4)를 배설하고, 두재부재(2)의 후단에 덮개부재(3)을 접착시킨 상태로, 외측 전체가 외피포(5)로 피복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pillow 1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head member 2 and a flat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med of a flexible member having a cavity 2a therein. And the lid member 3 covering the rear of the cavity 2a of the head member 2 and the upper part 2b of the cavity 2a of the head member 2 upwards are urged upwardly. It has the urging apparatus 4 provided in 2a). In addition, in this state, the head on which the head part is located is the rear side, and the side where the neck of the person is located is the front side, with the head of the person placed on the pillow 1. Moreover, the pillow 1 arrange | positions the urging apparatus 4 in the cavity 2a, and the cover outer part 3 was adhere | attached on the rear end of the head member 2, and the whole outer side was made into the outer shell 5 Is covered.

두재부재(2)는, 가요부재로 형성되지만, 여기에서는, 저반발 우레탄고무제의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저반발 우레탄고무는, 반발력이 작고, 친숙성(馴染性)이 뛰어나므로, 베개용의 소재로서 보급되고 있다. 단, 두재부재(2)는, 고반발 우레탄고무제이도 좋다. 두재부재(2)의 외관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시의 형상이 좌우 방향 가로길이의 거의 장방형이 되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상으로 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전상으로 전면 하부가 후방으로 기울고, 전상 각면은 곡율 반경이 큰 구를 띠듯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재부재(2)의 형상은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도시하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면시(上面視) 타원상이어도 좋다. Although the head member 2 is formed of a flexible member, it is comprised from the molded object of the low-elasticity urethane rubber here. Low-elasticity urethane rubber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pillows because of its low repulsive force and excellent familiarity. However, the head member 2 may be made of a high rebound urethane rubber. As shown in Figs. 1 and 5, the appearance of the head member 2 is in the form of a flat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the shape at the time of plane becomes almost rectangular in the horizontal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surface is invert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is inclined backwards, and each of the phases is formed like a sphere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ead member 2 should just be formed in flat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For example, elliptical shape may be sufficient as an upper surface.

공동(2a)은, 후방을 개구(開口)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두재부재(2)는, 공동부(2a) 상부 부분(2b)의 중앙부에, 공동(2a)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구멍(2c)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공동(2a)에 열이 가득차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통기구멍(通氣孔)(2c)의 윗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피포(5)에는, 입체 편물(5a)(도 2 내지 4 참조)을 배치하여, 통기구멍(2c)으로부터의 환기(通氣)를 통기구멍(2c)이 있지 않은 부분에도 작용시키고 있다. 또한, 공동(2a)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멍(2c)을 개입시켜 흡배기(吸排氣)되는 환기량에 의해, 베개(1)의 상하 속도를 적절한 것으로 하고 있다.The cavity 2a is formed with the back as an opening. The head member 2 has a plurality of vent holes 2c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2a and the outside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2b of the cavity 2a, and the cavity 2a is filled with heat. Is prevented. Moreover, the three-dimensional knit fabric 5a (refer FIG. 2-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hell 5 of the part located above the ventilation hole 2c, and the ventilation from the ventilation hole 2c ( The opening is also acted on the part without the vent hole 2c. Moreover, the up-down speed of the pillow 1 is made suitable by the ventilation amount which the air in the inside of the cavity 2a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c.

사람의 머리부분을 베개(1)에 놓았을 때, 공동(2a)내에 배치된 부세 장치(4)의 존재를 감지하고 위화감을 갖지 않도록, 두재부재(2)의 공동(2a) 상부 부분(2b)은 소정 이상의 두께, 예를 들면 2 cm에서 3 cm정도의 두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베개(1)의 전체 높이가 너무 높으면,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충분한 낮음이 얻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두재부재(2)는, 그 공동(2a) 하부 부분(2d)의 두께를 공동(2a) 상부 부분(2b)의 두께보다도 얇게 하고 있다. 이 공동(2a) 하부 부분(2d)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cm정도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동(2a)하부 부분(2d)을 얇게 하면,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하고, 특히 성형시에 찢어지기 쉽다. 그 때문에, 공동(2a)용내 거푸집의 외주에 직물(2e)을 피복하여 두재부재(2)를 성형함으로써, 공동(2a)의 내면 전체에 직물(2e)을 첨착(添着)하고, 두재부재(2)를 보강하고 있다. 또한, 옷감(2e)을 마련한 것에 의해서, 두재부재(2)의 통기구멍(2c) 이외에서의 공기 누설과 공동(2a)이 과도하게 부풀거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head of the person is placed on the pillow 1, the upper part 2b of the cavity 2a of the head member 2 so as to sense the presence of the urging device 4 disposed in the cavity 2a and to have no sense of discomfort. ) Requires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for example, a thickness of about 2 cm to about 3 cm. However, if the overall height of the pillow 1 is too high, it is not preferable that sufficient low is not obtained at the time of going to bed upwards. Therefore, the head member 2 makes the thickness of the lower portion 2d of the cavity 2a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2b of the cavity 2a.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lower part 2d of this cavity 2a thin, for example about 1 cm. However, when the lower portion 2d of the cavity 2a is made thinner, sufficient strength is not obtained,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tear at the time of molding. Therefore, by coating the fabric 2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ormwork for the cavity 2a, the head member 2 is formed, and the fabric 2e is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2a, and the head member ( 2) is reinforc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cloth 2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leakage and the cavity 2a from excluding the vent hole 2c of the head member 2 from excessively inflating or breaking.

그런데, 베개(1)의 두재부재(2)의 상면은, 위를 향한 취침 시에는, 사람의 목부분 후면에서 후두부에 걸친 요철 곡선에 맞춘 곡면으로 하는 편이 피트하기 쉽다. 한편,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평면적으로 하는 편이 평면상인 측두부에 적절하다. 그래서,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재부재(2)의 상면은 평면상으로 하고, 공동(2a) 상부 부분(2b)을, 목부분 후면에서 후두부에 걸친 요철 곡면을 상하 반전시킨 곡면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재부재(2)의 공동(2a) 상부 부분(2b)의 좌우 방향 중앙부 하면의 앞측부(이하, 상부 하면 전측부(上部 下面 前側部)라고 한다)(2f)로부터 중앙부(이하, 상부 하면 중앙부(上部 下面 中央部)라고 한다)(2g)에 이르는 요철 형상을, 사람의 목부분으로부터 후두부에 이르는 측면에서 볼때의 후측 곡선 형상을 상하 반전시키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상부 하면 전측부(2f)는 목부분 후면의 함몰 형상에 맞추어 두께가 두꺼워져 하면이 하부로 돌출하고 있어 상부 하면 중앙부(2g)는 후두부의 돌출 형상에 맞추어 두께가 얇아져 하면이 함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위를 향한 취침 시에 부세 장치(4)가 매우 얇아져 공동(2a)이 거의 소멸했을 때(도 8 참조), 베개(1)의 상면이 사용자의 목부분 후면에서 후두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므로, 사용자는 두재부재(2)로부터의 여분의 반발력이 없이 잘 수 있다.By the way, it is easy to fit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2 of the pillow 1 into a curved surface that fits the uneven curve from the back of the neck of the person to the back of the head when sleeping upward.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it is more suitable to make the plane into the flat head part.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tradictio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2 is planar, and the upper part 2b of the cavity 2a is formed, and the uneven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neck to the back of the head. It is formed so as to be a curved surface inverted up and down. Specifically, the center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ont portion of the lower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cavity 2a upper portion 2b of the head member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per lower surface front portion)) 2f. The concavo-convex shape reaching the center of the upper lower surface (2 g) is formed so as to reverse the rear curv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from the neck of the person to the larynx.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lower surface 2f becomes thicker in accordance with the recessed shape of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lower surface protrudes down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lower surface 2g becomes thinner in accordance with the protrusion of the posterior head. . As a result, when the urging device 4 becomes very thin and the cavity 2a almost disappears (see Fig. 8) at the time of going to the bed facing up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is changed from the back of the neck of the user to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head. Since the shape is according, the user can sleep without the extra repulsive force from the head member (2).

덮개부재(3)는, 두재부재(2)와 마찬가지로 가요부재로 형성되고, 여기에서는, 저반발 우레탄고무제의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재(3)는, 두재부재(2)의 전측 부분(2h)과 동일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그 전단면이 두재부재(2)의 후단면의 형상에 맞도록 하여, 전후방향에 짧고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재부재(2)의 후단면은,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동(2a)내에 부세 장치(4) 등을 배치한 상태로, 이 후단면에 덮개부재(3)의 전단면을 맞추고, 그 접합면이 접착제 등으로 밀착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동(2a)이 덮개부재(3)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 덮개부재(3)는, 베개(1)의 후측 단부에 위치하므로, 또한, 위쪽 방향에 머리부분이 놓이지 않아, 접착제 등이 경화해도, 사용자는 그 존재를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베개(1)의 높이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lid member 3 is formed of a flexible member similarly to the head member 2, and is formed of a molded body made of low-elasticity urethane rubber. The lid member 3 has a thickness the same as that of the front side portion 2h of the head member 2, and the front end face thereof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rear end face of the head member 2, and is short and fla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rear end face of the head member 2 is formed almost vertically, and the front end face of the lid member 3 is aligned with this rear end face with the bias device 4 or the like disposed in the cavity 2a. The cavity 2a is sealed by the cover member 3 by the bonding surface being fixed by adhesive or the like. Since the lid member 3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pillow 1, and no head is placed in the upward direction, even if the adhesive or the like hardens, the user does not sense the presence of the pillow 1, It becomes possible to make height thin.

부세 장치(4)는, 공동(2a)에 횡방향에 이격(離隔)시켜 배치한 한쌍의 링크 기구(6, 6)을 갖추고 있다. 각 링크 기구(6)는, 도 6도 참조하여, 전후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 링크(7)와, 하측 링크(7)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측 링크(8)와 ,하측 링크(7)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측 링크(9)와 전측 링크(8)의 상단부에 전단부가, 후측 링크(9)의 중간부에 후단부가 각각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측 링크(10)와, 후부가 후측 링크(9)의 상단부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앞부분(前部)이 상측 링크(10)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중 지지 링크(11)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측 링크(9)는, 소정의 앞쪽으로 쓰러져 거의 수직 상태에 기립하도록, 즉, 0도를 초과하고 20 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3도 이상 15 도 이하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β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측 링크(8)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α는, 후측 링크(9)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β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측 링크(8)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α의 정현과 전측 링크(8)의 링크 길이와의 곱(積)이, 후측 링크(9)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β의 정현과 후측 링크(9)의 링크 길이와의 곱(積)보다도 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배 이상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링크(8)는, 하중 지지 링크(11)가 전상에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 전측 링크(8)의 링크 길이가, 후측 링크(9)의 링크 길이보다도 길어지고 있다. 부세 장치(4)를 공동(2a)에 배치했을 때, 하중 지지 링크(11)는 공동(2a) 상부 부분(2b)과 대향한다. The urging device 4 is provided with a pair of link mechanisms 6 and 6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cavity 2a. Each of the link mechanisms 6 also has a lower link 7 extending back and forth horizontally, a front link 8 connected to a lower end by a front end of the lower link 7 so as to be pivotable, and a lower link. (7) the upper link of which the lower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link 9 and the upper link of the front link 8, and the upper link of which the rear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ear link 9 ( 10), and the rea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mount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9, and the front portion is composed of a load supporting link 11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link 10 so as to be rotatable. will be. Here, the rear link 9 falls down to a predetermined front to stan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that is,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β toward the front exceeding 0 degrees and 20 degrees or less, preferably 3 degrees to 15 degrees or less. Consists of. 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angle α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link 8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front of the rear link 9. More specifically, the product of the sine of the inclination angle α to the front of the front link 8 and the link length of the front link 8 is the sine and the rear of the inclination angle β to the front of the rear link 9.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2 times or more, preferably 2.5 times or more larger than the product of the link 9 of the link length. And when the load side link 8 is comprised so that the load support link 11 may incline to the front side, the link length of the front side link 8 becomes longer than the link length of the rear side link 9. When the urging device 4 is disposed in the cavity 2a, the load bearing link 11 faces the upper portion 2b of the cavity 2a.

하측 링크(7), 전측 링크(8), 후측 링크(9) 및 하중 지지 링크(11)는, 각각 같은 폭이 가늘고 긴(細長) 금속 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하측 링크(7)와 전측 링크(8), 및 전측 링크(8)와 하중 지지 링크(11)의 각 링크 사이는, 자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경첩(hinge) 기구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측 링크(7)와 후측 링크(9) 사이는, 하측 링크(7)의 후단부에 좌우 양단부에서 상방(上方)(이하, 상부라 칭하기도 함)으로 돌출하듯이 일체(一體)로 형성된 후측 링크 설치편(7a, 7a)을 이용하여, 핀(pin)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측 링크(10)는, 한쌍이 가늘고 긴 금속 평판을 하측 링크(7) 등의 폭을 넘는 거리를 이간시켜서 완성되는 것이다. 상측 링크(10)의 후단부는, 후측 링크(9)의 중간부에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듯이 일체로 형성된 상측 링크 설치편(9a, 9a)에 핀 기구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링크(10)의 전단부는, 하중 지지 링크(11)의 전단부에 좌우 양단에서 하부로 돌출하듯이 일체로 형성된 상측 링크 설치편(11a, 11a)에 핀 기구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측면에서 볼 때, 두재부재(2)의 상부 하면 전측부(2d)보다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베개(1) 전체의 높이가 낮아지고 있다.The lower link 7, the front link 8, the rear link 9, and the load supporting link 11 are each composed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the same width, and the lower link 7 and the front link. (8) and each link of the front side link 8 and the load bearing link 11,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s connected by the hinge mechanism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lower link 7 and the rear link 9, the rear side is formed integrally so as to protrude upward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 upper portion)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link 7. It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pin mechanism using the link installation pieces 7a and 7a.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nk 10 is completed by spacing a pair of thin and long metal plates over a distance exceeding the width of the lower link 7 or the like. The rear end of the upper link 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ink attachment pieces 9a, 9a formed integrally so as to protrude for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at the middle of the rear link 9 by a pin mechanism.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link 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ink installation pieces 11a and 11a formed integrally as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ad supporting link 11 by a pin mechanism. It is. Moreover, the load bearing links 11 and 11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protrude below the front lower part 2d of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2 from the side view, and the height of the whole pillow 1 becomes low. .

후측 링크(9)는, 상측 링크(10)와의 회동 연결부를 윗쪽으로 연장한 상단부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저마찰재로 피복된 활동부(滑動部)(9b)를 갖추고 있고, 이 활동부(9b) 위에 하중 지지 링크(11)가 놓여져 있다. 활동부(9b)가 저마찰재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하중 지지 링크(11)는, 활동부(9b) 상을 전후방향으로 스무스하게 미끄럼 이동하고, 한편 미끄러질 시에 발하는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활동부(9b)는, 저마찰재로 피복하지 않고, 상단부를 단지 둥글림을 띠게 한 것이어도 좋다.The rear link 9 has an active part 9b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at an upper end portion of which the pivotal connection with the upper link 10 extends upward. A load bearing link 11 is placed on 9b). Since the active part 9b is covered with the low friction material, the load support link 11 slides smoothly on the active part 9b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noise which arose at the time of sliding is suppressed. In addition, the active part 9b may be made to round only the upper end part without covering it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좌우의 양 하측 링크(7, 7)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연결 부재(12)에 의해서 좌우간에 소정의 이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연결 부재(12)는, 가늘고 긴 장방형상의 금속 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고, 양 하측 링크(7, 7)의 후측 링크(9, 9)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한 연장부(7b)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양 후측 링크(9, 9)는, 중간부 연결부재(13)에 의해 좌우간에 소정의 이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간부 연결부재(13)는, 가늘고 긴 장방형상의 금속 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양 후측 링크(9, 9)의 하측 링크(7, 7)와의 회동 연결 부분과 상측 링크(10, 10)와 회동 연결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양쪽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상부 연결 부재(14)에 의해서 좌우간에 소정의 이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연결 부재(14)는, 가늘고 긴 장방형상의 금속 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고, 양쪽 하중 지지 링크(11, 11)의 후측 링크(9, 9)의 활동부(9b)와 당접하는 부분에서 후방의 부분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각 연결 부재(12), (13), (14)는, 각각 양쪽의 각각의 링크(7), (9), (11)로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eft and right lower links 7 and 7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lower connecting member 12. The lower connection member 12 is composed of an elongated rectangular metal flat plate, which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extends backward from the rotational connection with the rear links 9 and 9 of both lower links 7 and 7. The parts 7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eft and right rear links 9 and 9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member 13. The intermediate part connecting member 13 is composed of an elongated rectangular metal flat plate, which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has a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with the lower links 7 and 7 of both rear links 9 and 9 and an upper link ( 10 and 10) are connected to the parts located between the rotational connecting portion. The left and right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y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is composed of an elongated rectangular metal plate, which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abuts against the active portion 9b of the rear links 9 and 9 of both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In the part, the parts of the rear are connected. In addition, each connecting member 12, 13, and 1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f the links 7, 9, and 11 of both sides,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각 링크 기구(6)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의 하중을 받는 하측 링크(7)와 아래로 향한 작은 하중으로 전측으로 쓰러지기 쉽도록 전방으로 크게 경사진 전측 링크(8)와, 아래로 향한 큰 하중에 견디는 것이 가능도록 앞부분에 경사진 거의 수직에 기립한 후측 링크(9)와, 전측 링크(8)와 후측 링크(9)를 연결하는 상측 링크(10)를 갖추고 있고, 이것들 각 링크(7), (8), (9), (1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거의 직사각형 링크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경사각 β가 큰 전측 링크(8)와 경사각 α가 작아 앞쪽으로 경사진 거의 수직의 후측 링크(9)는 경사졌을 때의 이동량이 다르다. 따라서, 이동량이 적은 전측 링크(8)에 맞추고, 후측 링크(9)의 상부 회동부와 전측 링크(8)의 상부 회동부를 상측 링크(10)로 연결했을 경우, 상측 링크(10)는 크게 뒷쪽 내려감(後下) 상태가 되어, 상측 링크(10)를 두재부재(2)의 공동(2a) 상부 부분(2b)을 지지하는 링크로 하면, 베개(1)의 상면이 크게 경사지는 부적합이 생긴다. 그래서, 본침(本枕)(1)의 링크 기구(6)에서는, 상기 지지하는 링크가 크게 뒤쪽 내려감이 되지 않음과 동시에, 최하강시에 얇게 하기 위해서, 후측 링크(9)를 상측 링크(10)와의 회동 연결부 보다 더욱 윗쪽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연장한 상단부인 활동부(9b)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하중 지지 링크(11)를 실어 하중 지지 링크(11)의 앞부분을 상측 링크(10)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링크 기구(6)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두재부재(2)의 공동(2a) 상부 부분(2b)을 지지하는 링크는 하중 지지 링크(11)로 되고, 그 경사를 수평으로 접근하여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onfigured link mechanisms 6, as shown in Figs. 2, 3, and 6, is liable to fall to the front side with the lower link 7 which receives the entire load and the small load downwards. The front link 8, which is inclined largely forward, the rear link 9 which stands up almost vertically inclined at the front, and the front link 8 and the rear link 9 so as to be able to withstand a large downward load. The upper link 10 which connects is provided, and each of these links 7, 8, 9, and 10 is rotatably connected, and comprises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link. However, the amount of movement when the front link 8 with a large inclination angle β is inclined and the vertical rear almost vertical rear link 9 inclined forward is different. Therefore, when the upper rotation part of the rear link 9 and the upper rotation part of the front link 8 are connected to the upper link 10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link 8 with a small amount of movement, the upper link 10 is large. When the upper link 10 becomes the link supporting the cavity 2a upper part 2b of the head member 2 in the state of falling back, the non-compliance which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greatly inclines is Occurs. Therefore, in the link mechanism 6 of the main needle 1, the back link 9 is connected to the upper link 10 so that the supporting link does not fall back greatly and is thinned at the lowest. The load supporting link 11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upper link 10 in such a manner that the load supporting link 11 extends further upwards than the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portion 9b. It is connected to the department rotatably. By configuring the link mechanism 6 in this way, the link supporting the cavity 2a upper part 2b of the head member 2 becomes the load supporting link 11, and the slope is approached horizontally and arbitrarily set. It becomes possible.

부세 장치(4)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링크(10, 10) 및 하중 지지 링크(11, 11)를 윗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인장 용수철(15, 15)을 갖추고 있다. 각 인장 용수철(15)은, 그 일단측이 하측 링크(7)의 후측 링크(9)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후방 외측에 고정되어, 타단측이 하중 지지 링크(11)의 전측 링크(8)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 외측에 고정됨으로써, 장설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인장 용수철(15)의 일단측의 훅은, 하측 링크(7)의 연장부(7b)의 좌우 외측단부에 윗쪽에 돌출하듯이 일체로 형성된 용수철 설치편(7c)의 구멍에 걸려 있다. 그리고, 인장 용수철(15)의 타단측의 훅이, 하중 지지 링크(11)의 전측 링크(8)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1b)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에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듯이 일체로 형성된 용수철 설치편(11c)의 구멍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인장 용수철(15)은, 하중 지지 링크(11)를 윗쪽에 밀어 올림과 동시에, 전측 링크(8)를 일어나게 하도록 부세하고 있다.The urging device 4 is a tension spring 15, 15 as a urging means for urging the upper links 10, 10 and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11 to be pushed upwards, as shown in Figs. Equipped) Each tension spring 15 has its one end side fixed to the rear outer side at the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with the rear link 9 of the lower link 7, and the other end side is rotated with the front link 8 of the load supporting link 11. It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front outer side at the connection part. Here, the hook of the one end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is caught by the hole of the spring mounting piece 7c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s at the left and right outer end parts of the extension part 7b of the lower link 7. . And the hook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protrudes downward from the extension part 11b extended forward from the rotational connection part with the front side link 8 of the load support link 11 to the outer left-right direction. It is caught by the hole of the spring mounting piece 11c integrally formed. In this way, the tension spring 15 pushes the load supporting link 11 upwards, and forces the front link 8 to rise.

또한, 하중 지지 링크(11)는, 상기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연장부(11b)에 인장 용수철(15)의 전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장 용수철(15)의 부세력에 의해 연장부(11b)가 하강하고, 상기 회동 연결부에서 후방의 본체부는 부상하도록 작용된다. 이 결과, 하중 지지 링크(11)는, 활동부(9b)와의 접촉압력이 작아져, 활동부(9b)상이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end of the tension spring 15 is fixed to the extension part 11b which protrudes forward from the said rotation connection part, the extension part 11b by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5 is carried out. ) Is lowered, and the main body portion at the rear side of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acts to float. As a result,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active part 9b becomes small in the load support link 11, and it becomes easy to slide on the active part 9b.

부세 장치(4)는, 후측 링크(9, 9)의 후방에의 경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의 스토퍼(16, 16)를 갖추고 있다. 각 스토퍼(16)는, 하측 링크(7)의 후측 링크(9)와의 회동 연결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하측 링크(7)의 후측 링크(9)와의 회동 연결을 위한 후측 링크 설치편(7a)의 뒷부분(後部)에서 윗쪽으로 돌출시킨 선단부를 안쪽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16)를 구성하지만, 스토퍼는 하중 지지 링크(11)의 후방에 설치해도 좋다. 접어 구부린 전단면(7d)에 후측 링크(9)가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후측 링크(9)가, 소정의 앞쪽으로 경사지게 거의 수직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후측 링크(9)가 뒤쪽 경사진 상태가 되면, 전측 링크(8)과 반대의 후방에 넘어지기 쉬워지고, 링크 기구(6)가 파손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토퍼(16)는 이것을 방지하고 있다.The urging device 4 is provided with stoppers 16 and 16 as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ar links 9 and 9 to the rear. Each stopper 16 is provided near the rotational connection part with the rear link 9 of the lower link 7. Here, the stopper 16 is bent by bending inward the tip portion projecting upward from the rear part of the rear link attachment piece 7a for pivotal connection with the rear link 9 of the lower link 7. However, the stopper may be provided behind the load supporting link 11. When the rear link 9 abuts on the folded front face 7d, it is regulated that the rear link 9 is inclined backward from an almost vertical state inclined forward. When the rear link 9 is inclined to the rear side, the stopper 16 prevents this because the link mechanism 6 may easily fall over and fall behind the front link 8. .

부세 장치(4)는,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하강했을 때에, 전측 링크(8, 8) 및 후측 링크(9, 9)의 쓰러짐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충격 흡수 부재로서 충격 흡수 블록(17, 17)을 갖추고 있다. 이 충격 흡수 블록(17, 17)은, 가요부재로 형성되지만, 여기에서는, 저반발 우레탄고무제의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 블록(17, 17)은, 전측 링크(8) 및 후측 링크(9)가 쓰러질 때, 이들 각 링크 (8), (9)와 하측 링크(7)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여기에서는, 하측 링크(7)의 상면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전측 링크(8)용의 충격 흡수 블록(17)은, 하측 링크(7)의 전측 링크(8)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부(7e)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블록(17, 17)은, 전측 링크(8)나 후측 링크(9)의 하면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하여 설치해도 좋다. 전측 링크(8) 및 후측 링크(9)가 쓰러지고, 이들 각 링크(8, 9)가 충격 흡수 블록(17, 17)을 최소 두께까지 휘었을 때, 이 때의 하중 지지 링크(11)의 위치가 최하강 위치가 된다. 또한, 휨 충격 흡수 블록(17, 17)은, 복원력을 가지므로, 전측 링크(8) 및 후측 링크(9)를 윗쪽에 변위하도록 부세력을 주어, 인장 용수철(15, 15)에 의한 윗쪽에의 부세를 보조한다. 또한, 충격 흡수 블록(17, 17)으로서, 코일 용수철이나 판 스프링 등의 용수철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The biasing device 4 absorbs the shock generated by the collapse of the front link 8 and 8 and the rear link 9 and 9 when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lower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mpact sound. Shock-absorbing blocks 17 and 17 are provided as shock-absorbing members to suppress.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are formed of a flexible member, but are formed of a molded body made of a low-elasticity urethane rubber.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are here positioned so as to be located between each of these links 8 and 9 and the lower link 7 when the front link 8 and the rear link 9 fall down.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ink 7 by adhesion or the like. The shock absorbing block 17 for the front link 8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7e that extends forward from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ront link 8 of the lower link 7.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link 8 or the rear link 9 by adhesion or the like. The position of the load bearing link 11 at this time when the front link 8 and the rear link 9 fall, and each of these links 8 and 9 bends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to a minimum thickness. Becomes the lowest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bending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have a restoring force, a deflection force is applied to displace the front link 8 and the rear link 9 upward, and the upper part of the tension springs 15 and 15 is provided. Assistance in the taxation of. As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spring members such as coil springs and leaf springs may be used.

또한, 부세 장치(4)에는, 하판(下板)(18), 상판(上板)(19), 메쉬포(20), 스펀지 부재(21), 및 유연시트(22)가 장착되어 있다. 하판(18)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 평판으로 구성되고, 공동(2a)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거의 장방형상으로 앞부분과 베개(1) 상면에 놓여지는 머리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절제한 형상, 즉, 전방이 개방된 약어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판(18)은, 양쪽 하측 링크(7, 7) 및 하부 연결 부재(12)의 하면에 도시하지 않는 리벳(rivet)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공동(2a)의 하면에 하판(18)이 놓여지므로써, 공동(2a) 내의 소정 위치에 부세 장치(4)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가느다란 폭의 금속제 부재인 하측 링크(7, 7) 및 하부 연결 부재(12)의 하면을 하판(18)으로 덮으므로, 사용자는 베개(1)의 하부로부터 금속제 부재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여, 위화감이 없다.In addition, the lowering device 4 is equipped with a lower plate 18, an upper plate 19, a mesh cloth 20, a sponge member 21, and a flexible sheet 22. The lower plate 18 is composed of a hard resin plate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the lik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lmost the sam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2a, and is plac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It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cut | disconnected the center part located, ie, the abbreviation U shape which the front opened. The lower plate 18 i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both the lower links 7 and 7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12 by a rivet or the like not shown. Since the lower plate 18 is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2a,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urging device 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avity 2a. As such, since the lower links 7 and 7, which are thin metal members,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s 12 are covered by the lower plate 18, the user senses the presence of the metallic memb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pillow 1. There is no discomfort.

상판(19)은,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 평판으로 구성되고, 양쪽 하중 지지 링크(11, 11) 및 상부 연결 부재(14)의 상면을 덮고, 하판(18)과 동일하게 앞부분과 중앙부를 절제하여, 약어 U자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19)은, 양쪽 하중 지지 링크(11, 11) 및 상부 연결 부재(14)의 상면에 도시하지 않은 리벳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느다란 폭의 금속제 부재인 하중 지지 링크(11, 11) 및 상부 연결 부재(14)의 상면을 상판(19)으로 덮었으므로, 사용자는 베개(1)의 상부로부터 금속제 부재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여, 위화감이 없다.The upper plate 19 is composed of a hard resin plate made of PET or the like, and covers the upper surfaces of both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and the front and center portions are cut out similarly to the lower plate 18. Thus, the abbreviation U is formed. The upper plate 19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both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by a rivet or the like not shown. In this way, since the upper surfaces of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which are thin metal members, are covered with the upper plate 19, the user can observe the presence of the metallic member from the top of the pillow 1. There is no sense of incongruity.

메쉬포(20)는, 절제한 앞부분과 중앙부를 보충하도록, 상판(19)에 적당한 힘으로 당겨주고 있어,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머리부분을 지지하여, 머리부분의 큰 침체를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두재부재(2)의 상부 하면 전측부(2d)는 하부로 돌출시키고 있지만, 이 돌출 위치를 중앙부 하의 메쉬포(20)를 친 위치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최하강시에 베개(1)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 메쉬포(20)를 느슨하게 당겨주어도, 미사용시에 베개(1) 상면의 평면상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패이는 일 없이, 전체적으로 갖추어진 형상의 베개(1)을 얻을 수 있다. The mesh fabric 20 is pulled with a moderate force on the upper plate 19 so as to replenish the cut front and center portions, and supports the head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to prevent a large stagnation of the head.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front lower part 2d of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2 protrudes downward, it is preferable to match this protrusion position to the position which hit the mesh cloth 20 under the center part. In this case,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pillow 1 at the time of the lowest descent, even if the mesh cloth 20 is pulled loose, the entire center of the flat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when not in use is not concave. A pillow 1 of a shape can be obtained.

 스펀지 부재(21)는, 가요부재로서의 고반발 우레탄고무로 형성되고 있고, 부세 장치(4)의 최상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두재부재(2)를 충분히 부드럽게, 또한 어느 정도 공동(2a) 상부 부분(2b)을 얇게 해도, 사용자는 베개(1) 상면으로부터 상판(19)의 딱딱함을 느끼지 못한다. 또한, 스펀지 부재(21)에는, 두재부재(2)의 통기구멍(2c)과 연통하는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The sponge member 21 is formed of high-repulsion urethane rubber as a flexible member, and is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urging device 4, so that the head member 2 is sufficiently smooth and to some extent the upper portion of the cavity 2a. Even if (2b) is made thin, the user does not feel the hardness of the upper plate 19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In addition, the sponge member 21 is provided with the ventilation hol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hole 2c of the head member 2.

유연시트(22)는, 우레탄등으로 이루어지는 1매의 연질 수지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 하중 지지 링크(11, 11)의 앞부분 상면과 양하측 링크(7, 7)의 앞부분 하면과의 사이를 좌우에 건너 당겨주고 있다. 유연시트(22)는, 메쉬포(20)의 전측 부분을 보강함과 동시에, 전면에 튀어나가게 하는 원호형상을 형성하여,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사용자의 어깨에 해당되는 베개(1)의 감촉을 향상시키고 있다. The flexible sheet 22 is formed of a single soft resin sheet made of urethane or the lik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rt of both load-bearing links 11 and 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rt of the lower and lower links 7 and 7. I'm pulling from side to side. The flexible sheet 22 reinforces the front part of the mesh cloth 20 and forms an arc shape that protrudes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texture of the pillow 1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of the user at the time of sleeping toward the side Is improving.

이상과 같이 구성된 베개(1)는, 그 위에 아무것도 놓지 않은 미사용시, 인장 용수철(15, 15)의 부세력(인장력)에 의해, 하중 지지 링크(11, 11)를 들어 올리도록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그 뒷부분이 후측 링크(9, 9) 상단의 활동부(9b)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고, 후측 링크(9, 9)의 첫 시작이 규정되기 때문에, 베개(1)의 상면은, 결국, 최상승 위치에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의 베개(1)의 높이는, 예를 들면, 8 cm에서 16 cm가 적합하다. The pillow 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urged to lift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by the forc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15 and 15 when not in use. And, since the back part is supported by the active part 9b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s 9 and 9, and the first start of the rear links 9 and 9 is prescribed | regul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eventually comes to the highest position. As for the height of the pillow 1 at this time, 16 cm is suitable for 8 cm, for example.

 그런데, 자동 상하하는 베개에 있어서는, 상면이 최하강할 때에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적절한 충분한 낮음을 얻는 것이 큰 과제였다. 그 때문에, 베개(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동을 실시하는 부세 장치(4)는, 최하강시에 높이가 낮고 얇은 상태로 될 만큼 바람직하다. 사람이 위를 향한 자세로 잤을 때의 후두부와 이불의 거리는 개인차에 따라 2 cm에서 5 cm정도이며, 이 사이에 경질 부재가 들어가면 위화감이 생긴다. 따라서, 메쉬포(20) 등의 유연한 자재로 지지하고 있지만, 부세 장치(4)가 최하강했을 때의 좌우 양사이드가 높으면 그 사이에 친 메쉬포(20)를 상당 정도 느슨하게 쳐주지 않으면 2 cm정도의 낮음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느슨하게 쳐주면, 상승시켜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측두부가 과도하게 침체되어 위화감을 일으킨다. 이것은, 메쉬옷감(10)을 강하게 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부세 장치(4)는 최하강시의 높이가 1 c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y the way, in the pillow which automatically moves up and down, it was a big subject to obtain appropriate low enough at the time of going to bed when the upper surface is descending. Therefore, the urging apparatus 4 which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pillow 1 and performs up-and-down movement is preferable so that height may become low and thin at the time of lowest descent.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 of the head and the quilt when a person slept in an upright position ranges from 2 cm to 5 cm,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ifference. Therefore, although it is supported by flexible materials, such as the mesh cloth 20, whe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when the taxon apparatus 4 descend | falls are high, if it does not hit the parent mesh cloth 20 considerably loosely in between, it is 2 cm You can't get low enough. However, if it is loosened, the head is excessively stagnated and causes discomfort when it rises and goes to the side. This can be solved by striking the mesh cloth 10, but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biasing device 4 is 1 cm or less at the time of the lowest descent.

 그래서, 본침(1)의 부세 장치(4)는, 전측 링크(8, 8)및 후측 링크(9, 9)가 쓰러져,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하강했을 때, 상측 링크(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링크(7), (8), (9), (11)을 사이에 두도록 폭방향 양외측에 쌍으로 이루어지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링크(10)는 다른 링크(7), (8), (9), (11)와 간섭하지 않아 부세 장치(4)는 매우 얇아진다. Thus, the urging device 4 of the main needle 1 has an upper link 10 when the front link 8 and 8 and the rear link 9 and 9 fall, and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fall.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links 7, 8, 9, and 11 are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in pair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sandwich the other links 7, 8, 9, and 11. Therefore, the upper link 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ther links 7, 8, 9, and 11 so that the biasing device 4 becomes very thin.

또한, 목부분을 놓는 베개(1)의 전측 부분(1a)의 내하중성과 측두부가 놓이는 중앙 부분(1b)과의 내하중성의 차이가 클수록, 위를 향한 취침 시의 스무스한 하강과, 옆쪽을 향한 취침 시의 높이 유지가 확실한 것으로 되어, 체형이나 머리무게 등의 개인차에 의존하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실험의 결과, 개인차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는, 전측 부분(1a)의 내하중을 4 kg, 후측 부분(1b)의 내하중을 전측 부분(1a)의 2배 이상, 즉 8 kg 이상이면,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각 부분의 내하중은, 전측 링크(8, 8)의 경사각 α의 정현과 링크 길이와의 곱(積)이, 후측 링크(9, 9)의 경사각 β의 정현과 링크 길이와의 곱(積)보다 2배 이상 큰 것과 동시에, 윗쪽으로 부세하는 인장 용수철(15, 15)을 적당한 힘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각 부분(1a, 1b)의 내하중이 상기 하중이 되도록, 전측 링크(8, 8)의 경사각 α, 링크 길이, 후측 링크(9, 9)의 경사각 β, 링크 길이 및 인장 용수철(15, 15)의 힘을 설정함으로써, 인장 용수철(15, 15)의 부세력을 조정하는 일 없이, 몸집이 작은 체형으로 머리무게가 가벼운 사람이 위를 향한 자세로 잤을 경우에, 부세 장치(4)가 최하강 위치로 스무스하게 하강하고, 한편, 몸집이 큰 체형으로 머리무게의 무거운 사람이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잤을 경우에, 부세 장치(4)가 최상승 위치를 확실히 유지하는 부세 장치(4)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또한, 제조자는 베개(1) 내부에 조정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화와 함께 염가로 양산(量産)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베개(1)나 부세수단(4)이 스무스하게 상승, 하강한다는 것은, 반발력이 적고, 급격한 속도 변화를 수반하는 일 없이, 사용자의 잠을 방해하지 않는 적당한 속도로 상승, 하강하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load resistance between the front portion 1a of the pillow 1 on which the neck is placed and the central portion 1b on which the temporal portion is placed, the smoother lowering at the time of going to bed and the sid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height at the time of going to bed and to not depend on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body shape and head weight. As a result of experiment, in order not to depend on individual dif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 capacity of the front part 1a is 4 kg, and the load capacity of the rear part 1b is 2 times or more, ie, 8 kg or more of the front part 1a. It turned out. The load of each of these parts is that the product of the sine of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front link 8 and 8 and the link lengt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nusoid of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rear link 9 and 9 and the link length. It can be obtained easily by making the tension spring 15, 15 urging upward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product, using moderate force. Thus,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front links 8 and 8, the link length,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rear links 9 and 9, the link length and the tension spring 15 so that the load-bearing loads of the portions 1a and 1b become the loads. By setting the force of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The urging device 4 which ensures that the urging device 4 maintains the highest position when the lower body smoothly descends to the lowermost position and the heavy body of the head slept in a sideward position with a large body shape. You can get it. For this reason, since a manufacturer does not need the adjustment mechanism inside the pillow 1, it can mass-produce inexpensively and inexpensively. In addition, when the pillow 1 and the biasing means 4 smoothly rise and fall, it means ascending and descending at an appropriate speed that does not disturb the user's sleep without having a low repulsive force and accompanied by a sudden speed change. .

이와 같이, 베개(1)는,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충분한 높이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적절하게 충분한 낮음이 자동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신체 능력이 저하한 장년(中高年)의 베개에 대한 고민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와이셔츠나 구두의 사이즈 선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미리 준비되어 있는 높이(최상승 위치), 낮음(최하강 위치)을 조합한 종류 중에서 적절한 베개(1)를 선정함으로써, 번거로운은 조정 작업을 실시하는 일 없이, 위를 향한 취침 시와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모두 적합한 베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 종류의 높이와 3 종류의 낮음을 조합한 9 종류의 베개를 준비함으로써, 대략 모든 체격이나 머리무게의 사람에게 적합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높이의 변경은, 예를 들면, 전측 링크(8, 8), 후측 링크(9, 9) 및 상측 링크(10, 10)의 링크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낮음의 변경은, 예를 들면, 베개(1)의 하면에 부피상부재(嵩上部材)를 마련하는, 두재부재(2)의 공동(2a) 하부 부분(2d)의 두께를 변경하는, 충격 흡수 블록(17, 17)의 두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illow 1 can attain a sufficient height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obtain a sufficiently low low appropriately at the time of going to the top, and in particular to have a low physical ability I can solve the trouble about (中 高年) pillow. In addition, similar to the size selection of the shirt and shoes, the user selects an appropriate pillow 1 from a combination of height (highest position) and low (lowest position) prepared in advance, thereby making cumbersome adjustment work. Without performing it, a pillow suitable for both upward and sideward sleeping can be used. In addition, by preparing nine types of pillows combining three types of heights and three types of lows,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pillow suitable for a person of almost any physique or head weight. Here, the height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link lengths of the front links 8 and 8, the rear links 9 and 9 and the upper links 10 and 10, for example.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low changes the thickness of the lower part 2d of the cavity 2a of the head member 2, for example, which provides a bulk memb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1. And the thickness of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can be changed.

다음에, 위를 향한 자세로 자기 위해서 머리부분을 베개(1)의 상면에 실을 때의 베개(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에는, 중요한 머리부분을 지키기 위해서 본능적으로 목부분을 당기고, 후두부는 마지막에 베개(1)에 접하도록 띄우고 있다. 그 결과, 우선 등이 이불에 당접하고, 그 후, 경하부, 후두부의 순서로 베개(1)에 당접한다. 그리고,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개(1)는, 경하부가 당접하는 전측 부분(1a)은, 후두부가 당접하는 중앙 부분(1b)보다도 2 cm에서 4 cm정도 높은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위를 향한 자세로 잘 때, 최초, 두재부재(2)의 전측 부분(1a)에 목부분이 실리고, 그 후, 두재부재(2)의 중앙 부분(1b)에 후두부가 실린다. 그리고, 베개(1)의 상면 및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전상으로 기울어져 있고, 하중 지지 링크(11, 11)의 전측 부분, 특히 전측 링크(8, 8)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의 연장부(11c)에 목부분으로부터 큰 하중이 걸리고,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상기 회동 연결부를 축으로 후측 부분이 떠있는 느낌이 된다. 그 결과,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후측 링크(9, 9)의 활동부(9b)와의 접촉압이 작아져 미끄럼 이동이 쉬워짐과 동시에,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후측 링크(9, 9)가 전방으로 쓰러지기 쉬워진다. 또한, 이 때, 전측 링크(8, 8)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α의 정현과 링크 길이와의 곱(積)이 후측 링크(9, 9)의 전방으로의 경사각 β의 정현과 링크 길이와의 곱(積)보다 2배 이상 크기 때문에, 전측 링크(8, 8)에는 큰 전회(前回)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다. 따라서, 전측 링크(8, 8)가 보다 전방으로 넘어지기 쉽다. 그 결과,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하강하기 쉽고, 두재부재(2)의 상면이 깊이 가라앉기 쉽기 때문에, 위를 향한 자세로 머리부분을 실은 베개(1)가 스무스하게 가라앉는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illow 1 when the hea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in order to sleep in the upward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when a person sleeps in an upright position, the neck is instinctively pulled to protect an important head, and the back of the head is lifted to contact the pillow 1 at the end. As a result, the back contacts the futon first, and then contacts the pillow 1 in the order of the lower and lower heads. A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the pillow 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2 cm to 4 cm higher than the front part 1a to which the lower and lower parts abut. Therefore, when sleeping in the upright position, the neck part is first loaded on the front side portion 1a of the head material 2, and then the back head is loaded on the central part 1 b of the head material 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and the load support links 11 and 11 are inclined to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part of the front support part of the load support links 11 and 11, especially the rotational connection part with the front link 8 and 8,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extension portion 11c from the neck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have a feeling that the rear portion is floating around the pivot connecting portion. As a result, the load bearing links 11 and 11 become smaller in contact pressure with the active portion 9b of the rear links 9 and 9, making sliding easier, and the rear links 9 and 9 sta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It becomes easy to fall forward. At this time, the product of the sine of the inclination angle α to the front of the front link 8 and 8 and the link lengt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nusoid of the inclination angle β to the front of the rear link 9 and 9 and the link length. Since it is twice as large as the product, a large previous moment of rotation acts on the front links 8 and 8. Therefore, the front links 8 and 8 are more likely to fall forward. As a result, since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easy to descen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2 is easy to sink, the pillow 1 carrying the head part in the upward facing position smoothly sinks.

또한, 전측 링크(8, 8)가 전방으로 쓰러지면, 이것에 대항하여 인장 용수철(15, 15)의 인장력이 반발력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 인장 용수철(15, 15)은, 전측 링크(8, 8)의 전방으로의 스무스한 넘어짐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반발력 밖에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어, 위를 향한 자세로 머리부분을 실은 베개(1)가 침체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links 8 and 8 fall forward,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15 and 15 acts as a repulsive force against this. However, the tension springs 15 and 15 are set so as to generate only a repulsion for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mooth fall of the front links 8 and 8, so that the head is loaded in the upward position. The pillow 1 does not interfere with stagnation.

베개(1)의 상면이 가라앉으면, 전측 링크(8, 8)및 후측 링크(9, 9)는, 충격 흡수 블록(17, 17)의 정부(頂部)에 당접하고, 그 후, 충격 흡수 블록(17, 17)을 눌러 부수면서 쓰러진다. 그 때문에, 전측 링크(8, 8)및 후측 링크(9, 9)가 하측 링크(7, 7)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당접음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링크(8, 9)가 최대한 쓰러져, 베개(1)의 상면이 최하강 위치에 가라앉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눌러 부수어진 충격 흡수 블록(17, 17)은, 눌러 부수어질수록, 각 링크(8, 9)가 쓰러짐을 방해하는 복원력을 발생하지만, 전측 링크(8)나 후측 링크(9)의 전방으로의 스무스한 넘어짐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복원력 밖에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위를 향한 자세로 머리부분을 실은 베개(1)가 최하강 위치까지 가라앉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sinks, the front side links 8 and 8 and the rear side links 9 and 9 abut the ends of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and thereafter, the shock absorbing blocks. Press (17, 17) to collapse while crushing. Therefore, since the front side links 8 and 8 and the rear side links 9 and 9 do not directly contact the lower links 7 and 7, the audible sound can be suppressed and shown in FIGS. 8 and 9.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links 8 and 9 falls down to the maximum, and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sinks to the lowest position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the impact-absorbing blocks 17 and 17 that are pressed down generate a restoring force that prevents the respective links 8 and 9 from collapsing as they are pressed down, but the front of the front link 8 or the rear link 9 It is set so that only restoring force does not occur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mooth fall, and it does not prevent the pillow 1 which mounted the head in the upward position to sink to the lowest position.

또한, 베개(1)의 상면이 가라앉으면, 공동(2a)의 체적이 감소하고, 공동(2a)내부의 공기는 통기구멍(2c)을 개입시켜 외부로 유출한다. 그래서, 통기구멍(2c)의 개수와 사이즈를 적당히 형성하고, 단위시간 당의 공기유출량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베개(1) 상면의 상하 속도가 적절한 것으로 되고, 급속한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베개(1)의 상면이 최하강 위치에 가라앉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베개(1)의 상면의 상하동에 의해, 공동(2a)은 팽창, 수축을 반복하고, 공동(2a)내부의 다량의 공기가 통기구멍(2c)으로부터 흡배기되기 때문에, 베개(1) 상부의 열, 습기가 감소하고, 수면이 더욱 쾌적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sinks, the volume of the cavity 2a decreases, and the air inside the cavity 2a flows out through the vent hole 2c. Therefore, by appropriately forming the number and size of the vent holes 2c and sett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 per unit time, the vertical veloc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becomes appropriate, and the rapid vertical movement can be suppressed. The impact which arises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sinks in the lowest position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the cavity 2a repeats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and a large amount of air in the cavity 2a is exhausted from the vent hole 2c,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pillow 1 is Heat and humidity are reduced, and sleep becomes more comfortable.

또한, 베개(1)의 상면에 머리부분을 놓고 잤을 때, 저반발 우레탄고무제의 성형체로 구성되는 두재부재(2)의 공동(2a) 상부 부분(2b)의 하면이 머리부분의 자중에 의해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6, 6)의 상면을 초과하여 침체된다. 또한, 상면에서 볼 때 머리부분 및 목부분의 하부에는, 두재부재(2), 외피포(5), 메쉬포(20), 스펀지 부재(21) 및 유연시트(22)는 존재하지만, 이들은 모두 연질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경질 부재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베개(1)의 상면에 머리부분을 놓고 잤을 때, 그 하부의 경질 부재를 감지하고 불쾌하다고 느끼는 것이 없는 것과 동시에,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머리부분이나 목부분의 하부에 경질 부재가 없기 때문에, 두재부재(2)의 공동(2a) 상부 부분(2b)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동(2a) 상부 부분(2b)에 두께가 있는 두재부재(2)를 이용하는 일 없이,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베개(1)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head part is slep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rt 2b of the cavity 2a of the head member 2 composed of a molded body made of low-elasticity urethane rubber is caused by the weight of the head part. It stagnates beyo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nk mechanisms 6 and 6 which consist of metal members. In addition, the head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neck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head member (2), the outer shell (5), the mesh fabric 20, the sponge member 21 and the flexible sheet 22, but these are all It is formed of a soft member, and the hard member does not exist. Therefore, when the head part is slep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the hard member of the lower part is sensed and there is no unpleasant feeling, and a soft touch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hard member in the lower part of the head or the neck, a soft texture can be ob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2b of the cavity 2a of the head member 2. In addition, since a soft feel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the thick head member 2 in the upper portion 2b of the cavity 2a, the height of the pillow 1 can be kept low.

다음에,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자기 위해서 머리부분을 베개(1)의 상면에 실을 때의 베개(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잘 때, 우선, 측완(側腕), 어깨를 이불에 당접시키고 체중을 받고, 그 후, 측두부를 베개(1)의 중앙부(1b)에 싣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측두부와 어깨와의 높이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머리부분의 하중의 대부분은 베개(1)의 중앙부(1b)에 걸리고, 머리부분의 하중의 일부는 목부분을 개입시켜 어깨에 의해 지지된다. 베개(1)는 그 상면이 전상으로 기울어져 있지만, 옆쪽을 향한 자세에서는, 목부분이 측두부에서 오목하게 패이기 때문에, 내하중성이 작은 목부분 하의 베개(1)의 전측부(1a)에 걸리는 하중은 적고, 머리부분의 대부분의 하중은, 메쉬포(20), 하중 지지 링크(11, 11)를 개입하여 후측 링크(9, 9) 상에 걸린다. 후측 링크(9, 9)는, 대략 직립에 기립하기 때문에, 윗쪽으로부터 걸리는 머리부분에서의 하중에 의한 전회의 회전 모멘트가 작으므로, 전방으로 쓰러지기 어렵다. 그 결과, 후측 링크(9, 9)가 대략 직립에 기립하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하강하는 일 없이, 최상승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의 베개(1)의 높이가 안정되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측견의 높이가 있기 때문에,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는 고의(故意)적으로라도 목부분 하에 하중을 걸 수 없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illow 1 when the hea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in order to sleep in the side facing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when a person sleeps in a lateral position, first, the side arm and should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futon and the weight is received. Then, the head part is placed on the central portion 1b of the pillow 1.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ad and shoulders is great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most of the load of the head part is applied to the center part 1b of the pillow 1, and a part of the load of the head part. Is supported by the shoulder through the neck.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1 is inclined to the front surface, in the side-facing posture, the neck part is concave in the temporal part, so that the front part 1a of the pillow 1 under the neck part having small load resistance is caught. The load is small, and most of the load on the head is caught on the rear links 9 and 9 via the mesh cloth 20 and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Since the rear links 9 and 9 stand upright in an upright position, the previous rotational moment due to the load on the head portion from the upper side is small, so that it is difficult to fall forward. As a result,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rear side links 9 and 9 stand upright in the upright position is maintained,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stably held at the highest position without descending, so when going to bed sideways The height of the pillow 1 is stable, and does not give anxiety to the user. In addition, because of the height of the observation, it is not possible to intentionally apply a load under the neck at the time of going to bed sideways.

다음에, 뒤척이며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서 위를 향한 자세가 될 때의 베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최상승 위치에 존재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어깨를 이불과의 당접 위치로부터 뽑아내어 위를 향한 자세를 취했을 때는, 상술한 위를 향한 자세로 자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최하강 위치까지 가라앉는다. 이와 같이, 뒤척이며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서 위를 향한 자세로 되어도,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적절한 최하강 위치까지 변위하여 자동적으로 정지하므로, 그 후에도 쾌적한 수면을 얻을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pillow 1 at the time of turning to the up side at the time of bed reversing to the side is demonstrated. At the time of going to the side,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in the highest position.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shoulder out of the abutment position with the futon and poses upward,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oad is supported as in the case of sleeping in the upward orientation described above. The links 11 and 11 sink to the lowest position. In this way, even when the bed is turned upside down and facing up,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automatically displaced to an appropriate lowermost position at the time of sleeping upwards, so that a comfortable sleep is maintained even afterwards. You can get it.

다음에, 뒤척이며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서 옆쪽을 향한 자세가 될 때의 베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최하강 위치에 존재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몸을 옆쪽으로 하여 어깨를 넣었을 때, 어깨(肩部)에서 머리부분이 지지를 받는 것에 의해서, 하중 지지 링크(11, 11)에 걸리는 머리부분의 자중에 의한 하중이 없어지거나, 또는 매우 작아진다. 이 때, 인장 용수철(15, 15)의 부세력 및 충격 흡수 블록(17, 17)의 복원력에 의해, 하중 지지 링크(11, 11)가 자동적으로 윗쪽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지지 링크(11, 11)는 최상승 위치까지 변위하고, 스토퍼(16, 16)를 개입하여 해당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와 같이, 뒤척이며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서 옆쪽을 향한 자세가 되어도, 하중 지지 링크(11, 11)이 옆쪽을 향한 취침 시에 적절한 최상승 위치까지 변위해 자동적으로 정지하므로, 그 후도 쾌적한 수면을 얻을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pillow 1 at the time of turning to the side at the time of going back to the side and turning to the side is demonstrated. At the time of sleeping upwards,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in the lowest position. And from this state, when a user puts his shoulder to the side, the head part is supported by the shoulder at the shoulder part, and the load by the weight of the head part which hangs on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is carried out. It disappears, or becomes very small. At this time,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automatically displaced upward by the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15 and 15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hock absorbing blocks 17 and 17. 10 and 11,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and 11 are displaced to the highest position and automatically stop at the position via the stoppers 16 and 16. As shown in FIG. In this way, even if it is turned to the side from the side to the side to sleep, the load supporting links (11, 11) are automatically stopped and shifted to the appropriate highest position when going to the side to sleep, so even after a comfortable sleep You can get it.

또한, 옆쪽을 향한 자세로 자는 사람이 대부분인 현상에 관하여, 베개(1)의 전후를 반전하여, 후측 링크(9, 9)를 목부분 하가 되도록 사용하면, 측두부가 베개(1)에 약간 실려 잠자는 모습이 되었을 경우여도, 옆쪽을 향한 자세에 적절한 높이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위를 향한 자세로 잤을 때에, 베개(1)가 가라앉는 스무스함이 약간 뒤떨어지지만, 조금 익숙해지는 것으로 지장이 없고, 위를 향한 취침 시에 적절한 낮음에 자동적으로 변화한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phenomenon in which most people sleep in the side-facing position, when the inverted front and rear of the pillow 1 are used and the rear links 9 and 9 are us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neck, the head is slightly loaded on the pillow 1. Even if you're sleeping, you'll be able to maintain the proper height for your side-facing position. In this case, the smoothness that the pillow 1 sinks is slightly inferior when sleeping in the upright position, but it does not interfere by becoming a little familiar, and automatically changes to an appropriate low when going to bed upwards.

Claims (4)

내부에 공동을 가지는 가요부재로 형성되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의 두재부재(頭載部材)와,
두재부재의 공동의 윗쪽 부분(上方部分)을 윗쪽으로 부세하여 지지하도록, 공동에 설치된 부세 장치를 가지는 베개로서,
부세 장치는,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이 놓인 상태에서 목부분(頸部)이 위치하는 측을 전측, 두정부(頭頂部)가 위치하는 측을 후측으로서, 전후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 링크와, 하측 링크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으로 경사진 전측 링크와, 하측 링크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으로 경사진 후측 링크와, 전측 링크의 상단부에 전단부가, 후측 링크의 중간부에 후단부가 각각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측 링크와, 후단측이 후측 링크의 상단부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단측이 상측 링크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중 지지 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와,
상측 링크 및 하중 지지 링크를 윗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과,
후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경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전측 링크의 링크길이가 후측 링크의 링크길이보다 길고,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이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방으로의 경사각의 정현과 링크길이와의 곱(積)이 전측 링크가 후측 링크보다도 2배 이상 크고, 후측 링크의 전방으로의 경사각이 0도 초과 20도 이하이며, 또한, 부세 수단으로 부세 되는 것과 후측 링크의 상단부에 지지를 받는 것에 의하여, 하중 지지 링크가 최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이 놓인 상태로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지면, 하중 지지 링크가 최하강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부세 수단의 부세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A flat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member formed of a flexible member having a cavity therein,
A pillow having a biasing device installed in a cavity so as to bias and support an upper portion of a cavity of a head member upwards,
The biasing device includes a lower link extending horizontally in front and rear, with the front side on the side where the neck is located in the state where the head of the person is placed on the head member, and the rear side on the side where the head part is located. , The lower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link, the front link inclined forward, and the lower par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link, the rear link tilted for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link The front end is mounted to the upper link of the rear end of the rear link is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ar end is slidably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the front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link A link mechanism consisting of a load bearing link,
A biasing means for biasing the upper link and the load bearing link upwards,
A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ar link to the rear,
The link length of the front link is longer than the link length of the back link,
In the state where the human head is not placed on the head member, the product of the sine of the forward angle and the link length is greater than twice the front link than the rear link,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link forward is 0 degrees. Excess 20 degrees or less, and the load supporting link is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by being urged by the urging means and being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A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ans is set so that the load-bearing link falls to the lowest position when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fall forward while the human head is placed on the head member.
제1항에 있어서, 두재부재 위에 사람의 머리부분이 놓이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중 지지 링크 및 두재부재의 상면이 전상(前上)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The pillow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ad bearing li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are inclined in an upper phase in a state where a human head is not placed on the head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세 수단은, 일단측이 하중 지지 링크의 전측 링크와의 회동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부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하측 링크의 후단부 근방에 고정된 인장 용수철인 것 특징으로 하는 베개.The urg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one end side is fixed to a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rotational connection with the front link of the load-bearing link, and the other end is fixed near the rear end of the lower link. A pillow characterized by being a tension spr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가 전방으로 쓰러질 때, 전측 링크 및 후측 링크와 하측 링크와의 사이에 각각 충격 흡수 부재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The shock absorb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and the lower link, respectively, when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fall forward. Pillow made.
KR1020117014871A 2008-12-11 2008-12-11 Pillow KR2011011706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03718 WO2010067401A1 (en) 2008-12-11 2008-12-11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066A true KR20110117066A (en) 2011-10-26

Family

ID=4092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871A KR20110117066A (en) 2008-12-11 2008-12-11 Pillow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47140A1 (en)
JP (1) JP4286907B1 (en)
KR (1) KR20110117066A (en)
CN (1) CN102245061A (en)
WO (1) WO201006740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42U (en) * 2014-07-04 2016-01-13 이강천 Pil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4793B2 (en) * 2010-01-28 2013-08-14 株式会社医研工業 pillow
US20120073057A1 (en) * 2010-09-29 2012-03-29 Sramek Roger A Pillow having structurally varying core and cover
CN103190793B (en) * 2013-04-20 2015-01-14 王林超 Pillow
JP5468706B1 (en) * 2013-11-19 2014-04-09 株式会社医研工業 pillow
US9138087B2 (en) * 2014-02-07 2015-09-22 Latitude Innovations Universal prone/supine pillow
CN104188449B (en) * 2014-09-12 2016-04-13 沈国定 The sub-assembly of a kind of body-building cushion and automatic adjustable pillow head thereof
CN104939594A (en) * 2015-07-24 2015-09-30 周化庆 Liftable pillow
WO2017178867A1 (en) 2016-04-13 2017-10-19 Reddy Jordi Pillow
CN106213923B (en) * 2016-08-24 2018-09-11 沈国定 A kind of bistable state automatic adjustment pillow
US10905266B1 (en) * 2020-03-24 2021-02-02 Chern Shing Top Co., Ltd. Pillow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9472B1 (en) * 2005-02-18 2005-09-28 株式会社医研工業 pillow
JP2007098153A (en) * 2005-07-14 2007-04-19 Hiroyuki Mano Pillo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42U (en) * 2014-07-04 2016-01-13 이강천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67401A1 (en) 2012-05-17
JP4286907B1 (en) 2009-07-01
WO2010067401A1 (en) 2010-06-17
US20110247140A1 (en) 2011-10-13
CN102245061A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7066A (en) Pillow
JP4116059B2 (en) pillow
JP3874392B2 (en) Chair
JP2000079034A5 (en)
BRPI0618089A2 (en) furniture filler
CN101242756A (en) Chair
JP4282747B1 (en) pillow
JP3699472B1 (en) pillow
JP4328879B1 (en) pillow
JP5404148B2 (en) Pillows that are easy to roll over and how to use them
US5379472A (en) Mattress
JP4253718B1 (en) pillow
JP5514425B2 (en) Chair with backrest
JP5264793B2 (en) pillow
JP4286902B1 (en) pillow
JP5584746B2 (en) Chair focused on pelvic rotation
JP4074007B2 (en) Chair
WO2010035360A1 (en) Pillow
JP4282742B1 (en) pillow
JP4282741B1 (en) pillow
JP2014076129A5 (en) Chair focused on pelvic rotation
JP6923398B2 (en) Cushions and wheelchairs
JP5468706B1 (en) pillow
KR101132398B1 (en) Active seat support
JP2004236830A (en) Sof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