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043A -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043A
KR20110117043A KR1020110098983A KR20110098983A KR20110117043A KR 20110117043 A KR20110117043 A KR 20110117043A KR 1020110098983 A KR1020110098983 A KR 1020110098983A KR 20110098983 A KR20110098983 A KR 20110098983A KR 20110117043 A KR20110117043 A KR 2011011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control information
broadcast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009B1 (ko
Inventor
곽재도
양승헌
윤종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00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방송 데이터로부터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재생하고 이미지들의 좌, 우 영상을 분리하여 양안시차가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의 스위칭 패널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수신단에서 전송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변형하여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순수 방송을 위한 화면 전송뿐만 아니라 그 외의 부가적인 화면이나 텍스트 등의 전송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전송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단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련의 이미지들을 전송하면, 수신단은 그 이미지들을 위와 같은 간격으로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단은 전송단의 이미지 전송시점으로부터 지연된 시점에서 이미지 전송 간격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위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따라 이미지들을 재생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방송 신호를 송수신 방법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예에서 각 이미지의 전송 시점의 차이는 n으로 나타냈다. 도면에서 가로축은 시간축이고, 시간축에 수직인 선은 이미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각 전송 시점에서 전송되는 방송 객체는 이미지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재생할 경우, 재생되는 이미지들은 전송 시점의 차와 동일한 차이인 n 만큼의 시간 간격과 전송된 이미지들의 순서에 따라 재생된다.
따라서, 만약 대역폭이 많이 소요되는 전송 객체를 대역폭이 좁은 방송이나 통신 시스템에서 재생하면 재생된 객체의 수신 속도는 전송 속도와 같을 수 없기 때문에 재생된 객체의 역동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신단이, 전송단이 전송한 속도로 객체들을 재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전송단이 전송하는 객체들의 전송 속도나 전송 순서에 종속되어 개체들을 재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제한 때문에 전송단은 수신자에게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컨텐트를 다양하게 변화시킨 후 전송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전송단은 수신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입체 영상을 전송하거나 다양하게 화면 구성을 한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전송한다면 대역폭 문제는 물론 모든 전송 화면을 방송 전송단이 구성하여 전송해야 하는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종래의 방송 수신 장치나 방송 수신 방법에 의하면 방송 수신단은 방송 전송단이 전송한 객체를 수신하고, 전송한 객체 그 자체를 재생하여야 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신호의 전송 속도가 느리거나 대역폭이 제한되는 경우 재생하는 객체를 제대로 재생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측과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측에 신호의 송신 및 이미지 재생에 대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한 방송 객체를 역동적으로 변형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또 목적은 방송 수신 장치가 전송한 방송 신호를 입체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방송 신호 수신기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방송 데이터로부터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재생하고 이미지들의 좌, 우 영상을 분리하여 양안시차가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의 스위칭 패널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스위칭 패널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재생 화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지상파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의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ultimedia Object Transfer, MOT) 프로토콜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의 슬라이드 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재생 제어 정보가 재생되는 이미지들의 재생 순서, 재생 이미지 상의 차원(次元) 및 재생 이미지 상의 이미지 그룹 차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방송 데이터로부터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복호부, 획득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이미지들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재생하고 이미지들의 좌, 우 영상을 분리하여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재생 화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지상파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의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ultimedia Object Transfer, MOT) 프로토콜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의 슬라이드 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재생 제어 정보가 재생되는 이미지들의 재생 순서, 재생 이미지 상의 차원(次元) 및 재생 이미지 상의 이미지 그룹 차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방송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측과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측이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재생할 경우에 대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전송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변형하여 재생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전송한 방송 신호를 입체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따라 이미지가 재생되는 일 예에 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따라 이미지가 재생되는 다른 일 예에 대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따라 이미지가 재생되는 또 다른 일 예에 대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따라 이미지가 재생되는 또 다른 일 예에 대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따라 이미지가 재생되는 또 다른 일 예에 대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한 방송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 중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개념도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방송 객체로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은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재생하는 이미지들의 순서와 간격이, 방송 신호 전송 장치가 전송하는 이미지의 순서와 간격과 달라지도록 하여 재생 이미지가 역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은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한 두 개 이상의 이미지들에 대해 그 이미지들의 순서를 달리하여 재생하거나,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한 두 개 이상이 이미지를 합성하여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은 전송할 이미지 등의 방송 객체와 그 방송 객체의 재생 원칙을 정의하는 재생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S10).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객체들을 재생할 경우, 상기 방송 객체들의 재생 순서 등의 재생 원칙을 정의하며, 상기 전송하는 방송 신호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정보를 재생 제어 정보라고 호칭한다.
이미지 등의 방송 객체와 재생 제어 정보는 방송 데이터의 형식으로 변환된다(S20). 그리고, 방송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된 방송 객체와 재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전송한다(S3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미지와 같은 방송 객체와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110).
그리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로부터 방송 객체와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S120). 획득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른 이미지 등의 수신한 방송 객체를 재생한다.
재생 제어 정보는 방송 객체의 재생 순서, 재생 간격, 재생 차원(次元)이 정의되어 있어서, 이 정보에 따르면 수신한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또는 입체감 있게 재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가 재생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방송 신호의 객체로 이미지를, 각 이미지의 전송 간격을 1초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 신호 송신 장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A, B, C, D, E, F...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이미지를 수신할 경우 전송 시점의 지연된 시점에서 전송 간격과 같은 간격인 1초 간격으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실시예는 둘 이상의 이미지가 수신된 시점에서 그 전에 수신한 이미지를 1 초보다 빠른 시간 간격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B 이미지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A, B 이미지를 0.1초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재생하고 D 이미지가 수신된 시점에서 C, D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수신자는 다소 긴 시간 간격으로 재생되던 이미지가 빠르게 반복 재생됨으로써 슬라이드 쇼와 같은 역동적인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2차원의 이미지를 전송하여 입체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 이미지라 함은 좌우의 눈에 각각 좌우방향에서 본 것과 같은 2개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양안시차(兩眼視差)를 주고 이것을 시각적으로 합성할 경우 나타나는 이미지 상을 의미한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가 각 이미지를 왼쪽 눈이 보는 이미지(이하 왼쪽 이미지라고 한다; L 인덱스로 표시)와 오른쪽 눈이 보는 이미지(이하 오른쪽 이미지라고 한다; R 인덱스로 표시)로 나누고, 각 이미지를 양쪽 눈에 의한 이미지를 교대로 전송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A 에 대한 이미지 AR, AL, B에 대한 이미지 BR, BL, C에 대한 이미지 CL, CR...등을 각각 순서대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각 이미지에 대한 왼쪽 이미지와 오른쪽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반드시 먼저 전송될 필요는 없지만, 도 5의 예는 왼쪽 이미지가 먼저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위와 같이 전송한 이미지를 재생할 경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AR과 AL이 모두 전송된 시점에서 A에 대한 입체 이미지를, BR, 과 BL이 모두 전송된 시점에서 B에 대한 입체 이미지를 각각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는 각 이미지의 입체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어서 방송 시청에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를 합성하는 과정은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이미지를 전송한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다수의 이미지에 대한 왼쪽 이미지와 오른쪽 이미지가 모두 전송된 경우 각 입체 이미지를 빠른 시간 내(도 6의 예에서는 0.1초로 가정) 반복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재생하는 이미지를 시청할 경우 수신자는 입체 이미지의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방송 시청에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가 서로 관련된 이미지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A, B, C, D는 서로 관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제 1 이미지 그룹이고, E, F, G, H, I는 서로 관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 그룹이다. 동일한 그룹 내 이미지들은 재생되는 이미지 상과 관련된 이미지들일 수 있고, 각 그룹에 따른 이미지 상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각 그룹 내 이미지들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2차원 슬라이드로 재생될 수 있는 이미지들이거나, 또는 입체 이미지로 재생되는 이미지들이거나, 또는 움직이는 입체 이미지로 재생될 수 있는 이미지들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 그룹 내 이미지들이 재생되어 수신자가 그 이미지 그룹에 의한 이미지를 볼 경우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그 그룹 내 이미지는 서로 관련성을 가진 이미지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실시예는 제 2 이미지 그룹의 이미지들의 마지막 이미지(I)가 수신되는 경우에 제 1 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이미지가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다. 즉, 이미지 그룹은 임의의 개수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고, 수신한 이미지들을 재생하는 시점도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입체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는 이미지들과 2차원 영상을 구성할 수 이미지를 섞어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A에 대한 왼쪽 이미지(AL)과 오른쪽 이미지(AR)와 B에 대한 왼쪽 이미지(BL), 오른쪽 이미지(BR), C, D, E에 대한 왼쪽 이미지(EL)와 오른쪽 이미지(ER)를 순차적으로 전송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전송 경로 상에서 B에 대한 왼쪽 이미지(BL)가 손실되어 전송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AL을 수신한 후 AR을 수신할 때까지 이미지 재생을 지연시킨 후 A에 대한 이미지를 입체 영상으로 재생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AL을 수신한 시점에서 2차원 이미지를 재생시켰다가 AR이 수신된 경우 입체 이미지를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B에 대한 왼쪽 이미지(BL)를 전송받지 못했기 때문에 BR 이미지를 받은 시점에서 B에 대한 왼쪽 이미지를 2차원 이미지로 재생시킬 수 있다.
그 후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2차원 이미지인 C, D를 수신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C, D를 시간적 지연을 두고 수신한 순서에 따라 재생시킨다. 그러나, D를 수신할 때까지 C를 재생하지 않고, D를 수신한 후 C, D를 이용한 슬라이드 쇼를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ER를 수신하면 E를 2차원 이미지로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EL이 수신되면 E를 입체 이미지로 재생시킬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수신한 이미지들을 전송한 이미지들보다 역동적이거나 생동감 있게 재생시킬 수 있다. 다수의 이미지의 재생 순서를 달리하면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9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송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가능케 하는 방송 데이터의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신호를 전송할 경우 전송하는 방송 객체들의 재생시 필요한 재생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방송 객체를 전송할 경우 그 방송 객체들에 대한 재생 제어 정보를 방송 객체들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객체들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전송할 필요없이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재생 제어 정보를 참조하도록 하여, 수신한 방송 객체들을 수신한 형태와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시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복호할 경우 재생 제어 정보로부터 얻은 재생 원칙에 따라 방송 객체들을 수신한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로 변형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9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는, 전송하는 방송 객체의 신호 구조와 관련된 정보가 속하는 제 1 필드, 재생되는 방송 객체가 재생될 경우 필요한 부가 정보가 속하는 제 2 필드 및 방송 객체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속하는 제 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필드는 방송 객체를 전송할 경우 함께 전송할 수 있는 헤더 필드라고 호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필드는 방송 객체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필드이므로, 일반적으로 데이터 필드 또는 바디(body) 필드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그 명칭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필드를 부가 정보 필드로 호칭한다. 부가 정보 필드는 방송 객체를 재생할 경우 필요한 정보로서, 메모리 정보 또는 재생 순서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재생 제어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필드 중 어느 필드에도 들어갈 수 있지만, 방송 객체가 재생될 경우 필요한 부가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재생 제어 정보가 부가 정보 필드에 포함될 경우 부가 정보 필드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필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 제어 정보는 이미지가 재생될 경우 재생 이미지의 차원(次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이미지들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예의 부가 정보 필드는 차원 정보나 재생 순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그 필드를 이미지 재생 필드(a)라고 호칭한다.
도 10의 예는 이미지 재생 필드의 데이터 값이 1인 경우, 재생 이미지가 3차원 이미지(입체 이미지)임을 나타내고, 2인 경우 재생 이미지들이 2차원 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이미지임을, 3인 경우 재생 이미지들이 3차원 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이미지임을 나타낸다.
반면에 이미지 재생 필드의 데이터 값이 0인 경우 재생하는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임 나타낸다. 즉, 이미지 재생 필드의 값이 0이면, 종래의 방식과 같이 이미지를 전송한 그대로 표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대해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이미지 재생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도 1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고, 이미지 재생 필드 값이 1인 경우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3차원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재생 필드 값이 2인 값인 경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2차원 슬라이드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고, 이미지 재생 필드 값이 3인 경우 도 6에서 예시한 3차원 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로 전송되는 재생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데이터가 이미지 재생 필드를 가지는 경우 한 그룹의 이미지 수를 나타내는 정보, 각 그룹 내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정보, 각 그룹 간 재생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 및 각 그룹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그룹의 이미지 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이미지 전체 수를 나타낸다. 도 10의 예에 의하면 한 그룹의 이미지 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이미지 재생 필드의 값이 2 또는 3인 경우 유효하다.
각 그룹 내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는 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이미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의 예에서는 0 부터 99가지의 일련번호를 가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도 10의 예는 재생 이미지가 입체 이미지일 경우 각 이미지 번호가 짝수인 경우 왼쪽 이미지임을, 홀수인 경우 오른쪽 이미지임을 나타낸다.
각 그룹 간 재생간격에 대한 정보는 하나의 이미지 그룹이 재생된 후 다른 이미지 그룹이 재생될 시간을 의미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0.1초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0일 경우 이미지가 이미지 그룹에 속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약 각 그룹 간 재생간격에 대한 정보가 0인 경우 수신한 이미지는 그룹 단위로 재생되지 않고, 수신하는 대로 재생될 수 있다.
그룹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는 각 그룹에 매겨진 그룹 번호를 나타낸다. 도 10의 예에서는 0부터 999999까지 일련번호를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0에서 예시한 데이터 구조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를 전송할 수 있는 어떤 방송 시스템 또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방송 시스템과 통신 시스템은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규약을 사용하는데 위와 같은 규약의 미지정(reserved) 영역에 도 10과 같은 필드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방송 객체에 대한 재생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다양한 방송 및 통신 전송 규약 중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재생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b)는 EN 301 234 V2.1.1의 DAB(multimedia audio broadcasting) MOT 프로토콜의 일부 데이터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는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1(b)에서 미지정 영역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확장성을 위해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 중 가변 길이(variable)의 데이터 필드에 정의할 수 있다. 재생 제어 정보는 고정 길이 필드에도 삽입이 가능하지만, 가변 길이의 데이터 필드는 필드를 정의할 수 있는 확장성을 줄 수 있다.
도 11(b) 예는 가변 길이를 가진 ContentName 필드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1(a)의 예는 ContentName과 같은 필드를 채우기 위한 특성 지시자(indicator)로서,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은 ContentName 필드에 아라비아 숫자로 데이터가 채워져 전송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0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데이터 필드와 그 데이터 필드 값을 도 11(b)에서 보인 ContentName와 같은 필드에 삽입하여 재생 제어 정보를 전송하면, 그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방송 객체가 재생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구조는 MOT 프로토콜 이외에 다른 방송 전송 규약 또는 통신 전송 규약으로도 전송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재생제어정보생성부(110), 이미지저장부(120), 방송데이터변환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제어정보생성부(110)는 이미지가 전송되어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재생될 경우 재생 원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제어정보생성부(110)가 생성하는 재생 제어 정보는 도 10에서 예시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저장부(120)는 전송할 방송 객체인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저장부(120)는 외부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전송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전송할 이미지를 생성하여 임시저장할 수 있다.
방송데이터변환부(130)는 이미지저장부(12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재생제어정보생성부(110)가 출력하는 재생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방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원칙이나 규약에 따라서는 생성한 방송 신호를 패킷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전송부(140)는 방송데이터변환부(130)가 생성한 방송 신호를 전송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이미지들을 미리 변형하여 전송할 필요없이 이미지들이 재생될 경우 재생 형태에 관련된 재생 제어 정보도 전송하여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이미지들이 역동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방송신호수신부(210), 방송신호복호부(220), 메모리부(230), 이미지처리부(250), 제어부(260), 디스플레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는 두 개의 이미지의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를 표출할 경우 스위칭패널부(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텔레비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위의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등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도 13을 참조하여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신호수신부(21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방송신호복호부(220)는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복호하여 방송 객체와 방송 객체에 대한 재생 제어 정보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방송신호복호부(220)가 출력하는 방송 객체인 이미지와 재생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230)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버퍼부(232)와 재생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재생제어정보저장부(235)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버퍼부(232)는 수신한 각각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버퍼를 가질 수도 있다.
재생제어정보저장부(235)는 방송신호복호부(230)가 복호한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처리부(250)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들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처리부(260)와 제어부(260)는 하나의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이미지처리부(250)가 출력하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출할 수 있다. 특히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를 표출할 경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80)의 표면에 입체 이미지를 위한 스위칭패널부(281)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패널부(281)는 재생할 이미지가 2차원 이미지일 경우 오프되지만, 재생할 이미지가 입체일 경우 패널이 온(on) 되어 이미지에 대한 입체감이 높아지도록 입사 시각을 분리할 수 있다. 스위칭패널부(281)의 동작은 도 15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로서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고려한 경우로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신호수신부(310), 신호복조부(320), 메모리부(330), 단말기제어부(350), 디스플레이부(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310)가 방송 객체와 재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복조부(320)는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제어부(350)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이미지와 같은 방송 객체와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330)에 획득한 이미지와 재생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이를 위해 재생제어정보저장부(335)와 이미지버퍼부(332)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제어부(350)는 저장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80)는 단말기제어부(350)의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슬라이드 쇼나, 입체 이미지 또는 입체 이미지의 동적인 움직임을 재생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80)가 입체 이미지를 재생시킬 경우 스위칭패널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통신을 위한 사운드 모듈(371), 음향처리부(373)와 스피커(375) 및 그래픽 모듈(379)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360)에 카메라모듈(392), 외장메모리(395)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도 15는 스위칭패널부가 전송한 이미지를 입체로 보이도록 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위칭패널부는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입체 영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양안시차는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나타낸다. 사람의 뇌에서 오른쪽 눈을 통해 보는 이미지(R)와 왼쪽 눈을 통해 보는 이미지(L)를 합성하면, 그 합성된 이미지는 사람에게 입체 이미지 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이미지를 오른쪽 눈이 보는 이미지와 왼쪽 눈이 보는 이미지로 나누어 준비하고, 왼쪽 이미지(L)와 오른쪽 이미지(R)를 픽셀 단위로 합성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람의 두 눈이 왼쪽 이미지에 의한 픽셀 단위 이미지와 오른쪽 이미지에 의한 픽셀단위의 이미지를 분리시켜 보도록 하면, 그 이미지는 입체 이미지로 보일 수 있다.
두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은 주로 보간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5에서 b는 스위칭패널부의 배리어(barrier) 간격을, g는 스위칭패널부와 디스플레이부의 간격을, z는 사람이 보는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부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15와 같이 두 이미지를 픽셀단위로 합성할 경우(L, R), 오른쪽 눈의 시각이 오른쪽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로, 왼쪽 눈의 시각이 왼쪽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로 대응되도록 시각을 입사받는 스위칭패널부(281)가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칭패널부(281)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입체 이미지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패널부(281)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2차원 이미지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오프(off)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패널부(281)가 오프될 경우에는 양안시차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기한 실시예는 방송 객체가 이미지일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당업자는 방송 객체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 오디오 콘텐츠라도 본 발명을 변형하여 재생 제어 정보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특허명세서로부터 본 발명을 변경하거나 변형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기 명확하게 기재되었더라도,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 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110: 재생제어정보생성부 120 : 이미지저장부
130 : 방송데이터변환부 140 : 전송부
210 : 방송신호수신부 220 : 방송신호복호화부
230, 330 : 메모리부 232, 332 : 이미지버퍼부
235, 335 : 재생제어정보저장부 250 : 이미지처리부
260 : 제어부 280, 380 : 디스플레이부
281 : 스위칭패널부 310 : 신호수신부
320 : 신호복조부 330 : 메모리부
350 : 단말기제어부 360 : 인터페이스부
371 : 사운드모듈 373 : 음향처리부
379 : 그래픽모듈 392 : 카메라 모듈
395 : 외장메모리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방송 신호 수신기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들을 재생하고 상기 이미지들의 좌, 우 영상을 분리하여 양안시차가 발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위칭 패널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패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재생 화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과 상기 재생 제어 정보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의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ultimedia Object Transfer, MOT) 프로토콜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이미지들과 상기 재생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의 슬라이드 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 정보는 재생되는 이미지들의 재생 순서, 재생 이미지 상의 차원(次元) 및 재생 이미지 상의 이미지 그룹 차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6. 이미지들과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재생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복호부;
    상기 획득된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들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들을 재생하고 상기 이미지들의 좌, 우 영상을 분리하여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재생 화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패널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과 상기 재생 제어 정보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의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ultimedia Object Transfer, MOT) 프로토콜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이미지들과 상기 재생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의 슬라이드 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 정보는 재생되는 이미지들의 재생 순서, 재생 이미지 상의 차원(次元) 및 재생 이미지 상의 이미지 그룹 차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20110098983A 2011-09-29 2011-09-29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15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83A KR101155009B1 (ko) 2011-09-29 2011-09-29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83A KR101155009B1 (ko) 2011-09-29 2011-09-29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944A Division KR101177412B1 (ko) 2006-04-20 2006-04-20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043A true KR20110117043A (ko) 2011-10-26
KR101155009B1 KR101155009B1 (ko) 2012-06-14

Family

ID=4503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983A KR101155009B1 (ko) 2011-09-29 2011-09-29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0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4435B2 (ja) * 2003-04-18 2009-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視用映像提供方法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KR100585966B1 (ko) * 2004-05-2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009B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412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KR101137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표출 방법
US8384766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tereoscopic image stream
EP25373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content
TWI520566B (zh) 在三維視訊上疊加三維圖形的方法及裝置
US20110018966A1 (en) Receiv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mbining Caption With Stereoscopic Image, Program, and Data Structure
KR20110113186A (ko)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3d 비디오 및 3d 오버레이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41745A (ko) 비디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70560B1 (ko) 3-차원 비디오 콘텐츠로의 삽입을 위해 2-차원 비디오 콘텐츠를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114670A (ko) 3d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KR101314601B1 (ko)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표출 방법
JP2011249945A (ja) 立体画像データ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立体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KR101100212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재생 방법, 방송 신호전송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20070038918A (ko) 다중 카메라 시스템에서 자유로운 기본설정 뷰의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WO2019155930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1155009B1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100229B1 (ko) 방송 신호 표출 방법 및 장치
JP201213865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191195B1 (ko)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TW201407540A (zh) 影像處理方法與影像顯示系統
JP2012222426A (ja) 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送信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