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774A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774A
KR20110116774A KR1020100036385A KR20100036385A KR20110116774A KR 20110116774 A KR20110116774 A KR 20110116774A KR 1020100036385 A KR1020100036385 A KR 1020100036385A KR 20100036385 A KR20100036385 A KR 20100036385A KR 20110116774 A KR20110116774 A KR 20110116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lutch
drive gear
clutch mechanism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1692B1 (en
Inventor
문현희
Original Assignee
문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희 filed Critical 문현희
Priority to KR102010003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692B1/en
Publication of KR2011011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변기의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마개와 연결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모터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축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일체화되는 클러치기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가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클러치기구와 일시 걸림을 형성시키는 일시걸림부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 상기 종동기어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를 원위치시키는 리턴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기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클러치바디; 상기 클러치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클러치홀; 상기 클러치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시걸림부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돌기;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의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 시 상기 클러치바디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는 캠부;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바디가 상기 스토퍼에 밀려 이동될 때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 걸림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모터의 정회전 시에만 레버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역회전 시에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정전이나 고장으로 인해 모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connected to the stopper located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the lever connected to the stopper; A body in which the lever is installed; A driven gear positioned in the body and fixed to the lever; A drive gear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rotate the driven gear; A motor in which the drive gear is installed and a motor shaft is formed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gear; A stopper fixed to the motor shaft; A clutch mechanism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moved toward the drive gear along the motor shaft by rotation of the stopper to be integrated with the drive gear to generate an interlock; A pausing member that forms a temporary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when the clutch mechanism is moved to the drive gear side by the stopper; A return spring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return spring for connecting the driven gear and the body to return the driven gea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clutch mechanism has a cylindrical body; A clutch hole formed inside the clutch body to insert the motor shaft; A clutch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body and forming an engagement with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A cam part formed on the clutch body to mutually interfere with the stopper and to push the clutch body toward the driving gear when the mutual interference occurs; It is formed in the clutch body and includes a clutch engaging portion for forming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when the clutch body is pushed by the stopper,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ever only when the motor rotates forward, It is configured no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lev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motor is not operated due to a power failure or failure.

Description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본 발명은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간편하게 물탱크의 마개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전 또는 고장 시에도 초기위치로 마개를 복귀시킬 수 있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stopper of the water tank by driving the motor, as well as to return the stopper to the initial position in case of power failure or failure. It relates to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종래 변기는 사람이 앉아서 용변을 보는 변기바디와, 상기 변기바디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를 개폐하여 상기 변기바디에 물을 공급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물탱크 내부에 배치된 마개를 개폐시킴으로서 상기 변기바디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The conventional toilet includes a toilet body in which a person sits and views a toilet,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dy, and an operation le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tank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dy.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to open and close the stopper disposed in the water tank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body.

여기서 종래의 변기에서 상기 레버는 사용자가 직접 외력을 작용시키는 수동식 레버와, 버튼 등을 눌러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작동되는 전자식 레버로 구분된다. Here, in the conventional toilet, the lever is divided into a manual lever in which a user directly exerts an external force, and an electronic lever operated by applying power by pressing a button.

그리고 종래의 전자식 레버는 단순하게 전원이 인가되는 시간동안 정해진 궤도로 회전되면서 물탱크 내부에 배치된 마개를 개폐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lever was simply driven in a manner of opening and closing a stopper disposed in the water tank while being rotated in a predetermined track for a time when power is applied.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전자식 레버는 정전 또는 고장 등으로 인해 마개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작동이 멈추는 경우 상기 마개가 개동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물이 지속적으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lever has a problem in that water in the water tank is continuously leaked because the stopper is kept in an opened state when the motor for driving the stopper stops due to a power failure or a failure.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간편하게 물탱크의 마개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전 또는 고장 시에도 초기위치로 마개를 복귀시킬 수 있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which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stopper of the water tank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also can return the stopper to the initial position even in case of power failure or failure.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변기의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마개와 연결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모터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축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일체화되는 클러치기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가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클러치기구와 일시 걸림을 형성시키는 일시걸림부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 상기 종동기어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를 원위치시키는 리턴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기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클러치바디; 상기 클러치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클러치홀; 상기 클러치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시걸림부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돌기;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의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 시 상기 클러치바디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는 캠부;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바디가 상기 스토퍼에 밀려 이동될 때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 걸림부를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connected to the stopper located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the lever connected to the stopper; A body in which the lever is installed; A driven gear positioned in the body and fixed to the lever; A drive gear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rotate the driven gear; A motor in which the drive gear is installed and a motor shaft is formed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gear; A stopper fixed to the motor shaft; A clutch mechanism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moved toward the drive gear along the motor shaft by rotation of the stopper to be integrated with the drive gear to generate an interlock; A pausing member that forms a temporary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when the clutch mechanism is moved to the drive gear side by the stopper; A return spring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return spring for connecting the driven gear and the body to return the driven gea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clutch mechanism has a cylindrical body; A clutch hole formed inside the clutch body to insert the motor shaft; A clutch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body and forming an engagement with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A cam part formed on the clutch body to mutually interfere with the stopper and to push the clutch body toward the driving gear when the mutual interference occurs; It is formed in the clutch body and provides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including a clutch engaging portion for forming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when the clutch body is pushed by the stopp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변기의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마개와 연결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모터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축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일체화되는 클러치기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가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클러치기구와 일시 걸림을 형성시키는 일시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toilet connected to a stopper located in a water tank of a toilet, the lever being connected to the stopper; A body in which the lever is installed; A driven gear positioned in the body and fixed to the lever; A drive gear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rotate the driven gear; A motor in which the drive gear is installed and a motor shaft is formed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gear; A stopper fixed to the motor shaft; A clutch mechanism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moved toward the drive gear along the motor shaft by rotation of the stopper to be integrated with the drive gear to generate an interlock; When the clutch mechanism is moved to the drive gear side by the stopper, it provides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including a pausing member for forming a temporary locking with the clutch mechanism.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의 일체화를 위해, 상기 구동기어에서 상기 클러치기구 측 면에는 구동기어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기구의 상기 구동기어 측 면에는 클러치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for the integration of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the drive gear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clutch mechanism in the drive gear, the clutch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drive gear side surface of the clutch mechanism.

또한, 상기 클러치기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클러치바디; 상기 클러치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클러치홀; 상기 클러치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시걸림부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돌기;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의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 시 상기 클러치바디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는 캠부;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바디가 상기 스토퍼에 밀려 이동될 때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utch mechanism includes a clutch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lutch hole formed inside the clutch body to insert the motor shaft; A clutch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body and forming an engagement with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A cam part formed on the clutch body to mutually interfere with the stopper and to push the clutch body toward the driving gear when the mutual interference occurs; The clutch body may include a clutch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clutch body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when the clutch body is pushed by the stopper.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스토퍼의 정회전 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위치되는 꼭지점; 상기 꼭지점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역회전 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 portion is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whe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topper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stopper; A vertex located 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It may be connected to the vertex and may include a locking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when the stopper is reversely rotated.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는 스토퍼바디; 상기 스토퍼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이 관통되는 스토퍼홀; 상기 스토퍼바디에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바디의 회전 시 상기 클러치기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pper may include a stopper body fixed to the motor shaft; A stopper hole formed in the stopper body and through which the motor shaft passes; The stopper body may include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topper body to mutually engage with the clutch mechanism when the stopper body rotates.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정회전 시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경사면 내에서만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stopper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only in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stopper is rotated forward.

특히,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종동기어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를 원위치시키는 리턴스프링이 더 배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 return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and a return spring for connecting the driven gear and the body to return the driven gear to an original position may be further disposed.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는 모터의 정회전 시에만 레버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역회전 시에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서, 정전이나 고장으로 인해 모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lever only i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and not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lever is in the home position when the motor is not operated due to power failure or failure Has the effect of returning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가 작동된 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어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클러치유닛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7의 우측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구동기어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클러치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클러치기구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클러치기구의 우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fter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of Figure 1 is operated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ear module shown in FIG.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FIG. 5
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utch unit shown in FIG.
8 is a right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gear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mechanism shown in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lutch mechanism shown in FIG. 10. FIG.
1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utch mechanism shown i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가 작동된 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어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클러치유닛의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우측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구동기어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클러치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클러치기구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클러치기구의 우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fter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of Figure 1 is operated, Figure 3 is an interior of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ear module shown in FIG. 4,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view of the clutch unit shown in FIG. 5. Right side view, FIG. 8 is a right sectional view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drive gear shown in FIG. 6,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mechanism shown in FIG. 5, and FIG. 11 is FIG. The rear side of the clutch mechanism shown in 10 is the perspective view shown, and FIG. 12 is the right side view of the clutch mechanism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100, 이하 "개폐장치"라 한다.)는 변기의 물탱크(미도시)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마개(미도시)가 배치되며, 상기 마개와 상기 개폐장치(100)는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개폐장치(100)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서 상기 마개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물탱크 구조는 종래의 변기구조와 동일한 것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 to 12,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not shown) of the toilet, the water tank A stopper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stopp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connected through a wire (not shown), and is configured to move the stopper by pulling the wire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 The water tank structure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toilet structure ba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개폐장치(100)는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바디(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모듈(20)과, 상기 기어모듈(20)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소정각도 회전되는 레버(30)를 포함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a body 10 disposed in the water tank, a motor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body 10,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10 to be operated by the motor. It includes a gear module 20, the lever 30 is connected to the gear module 2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상기 바디(10)는 프론트바디(12) 및 리어바디(14)로 나누어져 구성되고, 상기 레버(30)는 상기 프론트바디(12)에 설치된다. The body 10 is divided into a front body 12 and a rear body 14, the lever 30 is installed in the front body 12.

상기 기어모듈(20)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클러치유닛(40)과, 상기 클러치유닛(40)과 치합되고, 상기 레버(30)에 고정되는 종동기어(60)를 포함한다. The gear module 20 includes a clutch unit 40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and a driven gear 60 meshed with the clutch unit 40 and fixed to the lever 30.

상기 종동기어(60)는 피니언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 중심(62)이 상기 프론트바디(12)의 레버홀(13)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30)에 고정된다. The driven gear 60 is formed in a pinion shape, and a shaft center 62 penetrates through the lever hole 13 of the front body 12 and is fixed to the lever 30.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바디(10) 및 상기 종동기어(60)를 연결시키는 리턴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종동기어(60) 및 구동기어(7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Although not shown, a return spring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body 10 and the driven gear 60 is disposed so that the driven gear 60 and the driving gear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by the motor. Return 70)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리턴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바디(10)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종동기어(60)의 리턴스프링 설치부(65)에 고정된다.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return spring is fixed to the return spring mounting portion 65 of the driven gear 60.

상기 레버(30)는 상기 축 중심(62)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60)의 회전 시 상기 축중심(62)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물탱크의 마개를 이동시킨다. The lever 30 is fitted to the shaft center 62 and moves the stopper of the water tank while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haft center 62 when the driven gear 60 is rotated.

상기 클러치유닛(40)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6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70)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는 스토퍼(90)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90)와의 상호 간섭의해 상기 구동기어(70)와 상호걸림을 발생시키는 클러치기구(80)를 포함한다. The clutch unit 40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and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60, the stopper 90 fix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the shaft of the motor And a clutch mechanism 80 which generates an interlock with the drive gear 70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90.

상기 클러치유닛(40) 중에서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고, 상기 클러치기구(80) 및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모터의 축에서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topper 90 of the clutch unit 40 is fix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the clutch mechanism 80 and the drive gear 70 ar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shaft of the motor.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종동기어(60)와 치합될 수 있는 피니언 기어의 형태로 구성되고, 배면에 상기 클러치기구(80)와의 상호 걸림을 위한 구동기어 걸림부(7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 걸림부(72)는 상기 모터 축이 삽입되는 구동기어홀(71) 주변에 원형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의 형태로 형성된다. The drive gear 7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nion gear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60, and a drive gear locking portion 72 for mutual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8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 driving gear locking portion 72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circularly around the drive gear hole 71 into which the motor shaft is inserted,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in this embodiment.

상기 클러치기구(8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클러치바디(83)와, 상기 클러치바디(83)의 축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15)이 삽입되는 클러치홀(81)과, 상기 클러치바디(83)의 외주면에 형성된 클러치돌기(84)와, 상기 클러치바디(83)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90)와의 상호 간섭 시 상기 클러치바디(83)를 상기 구동기어(70) 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는 캠부(86)와, 상기 클러치바디(83)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 걸림부(72)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 걸림부(82)를 포함한다. The clutch mechanism 80 includes a clutch body 8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lutch hole 81 formed at an axis center of the clutch body 83, and the motor shaft 15 is inserted therein, and the clutch body 83. Clutch protrusion 8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lutch body 83 to push the clutch body 83 toward the drive gear 70 when mutually interfere with the stopper 90. It includes a cam portion 86 and the clutch engaging portion 82 formed on the front of the clutch body 83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locking portion 72.

여기서 상기 클러치 걸림부(82)는 상기 캠부(86)에 의해 상기 클러치바디(83)가 상기 구동기어(70)에 밀착될 때에만 상기 구동기어(7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다.Here, the clutch engaging portion 82 generates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drive gear 70 only when the clutch body 8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 gear 70 by the cam portion 86.

특히 상기 모터 축에는 상기 구동기어(70) 및 상기 클러치기구(80)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되고, 상기 캠부(86)와 상기 스토퍼(90)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상기 구동기어(70) 측으로 밀려 이동될 때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이동된다. In particular, a return spring (not shown)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is disposed on the motor shaft, the cam portion 86 and the stopper 90 mutually When the clutch mechanism 80 is pushed toward the drive gear 70 by interference, the clutch mechanism 80 is moved while compressing the return spring.

상기 클러치홀(81)은 상기 클러치바디(83)의 축중심에 형성된다. The clutch hole 81 is formed at the shaft center of the clutch body 83.

상기 클러치 걸림부(82)는 구동기어 걸림부(72)와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의 형태로 상기 클러치바디(80)의 정면에 형성된다. The clutch engaging portion 82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gear engaging portion 7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lutch body 80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상기 캠부(86)는 상기 클러치바디(83)의 축중심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면(86a)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면(86a)에서만 상기 스토퍼(9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캠부(86)의 꼭지점(86b)을 넘어 이동되진 않는다. The cam portion 86 has an inclined surface 86a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urface orthogonal to the axis center of the clutch body 83, and in this embodiment, mutually interferes with the stopper 90 only on the inclined surface 86a. And does not move beyond the vertex 86b of the cam portion 86.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는 스토퍼바디(93)와, 상기 스토퍼바디(93)의 정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돌기(96)와, 상기 스토퍼바디(93)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이 관통되는 스토퍼홀(91)을 포함한다. The stopper 90 includes a stopper body 93 fixed to the motor shaft, a stopper protrusion 96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stopper body 93, and a stopper body 93 formed on the motor shaft. The penetrating stopper hole 91 is included.

상기 스토퍼돌기(96)는 상기 모터축의 회전 시 상기 경사면(86a)과 접촉되어 상기 클러치바디(83)를 상기 구동기어(7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The stopper protrusion 96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86a when the motor shaft rotates to push the clutch body 83 toward the driving gear 70.

그리고 상기 스토퍼바디(93)는 상기 스토퍼홀(91)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스토퍼걸림부(95)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걸림부(95)는 상기 리어바디(14)에 형성된 바디걸림부(15)와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된다. In addition, the stopper body 93 is formed with a stopper catching portion 95 formed to one side in the stopper hole 91, and the stopper catching portion 95 has a body catching portion 15 formed in the rear body 14. ) And rotation is limited.

한편,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초기 이동되기 전에 상기 클러치바디(83)와 소정 시간동안 걸림을 발생시키는 일시걸림부재(50)가 배치되고, 상기 일시걸림부재(5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클러치바디(83)의 클러치돌기(84)에 상호 걸림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시걸림부재(50)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바디(10)가 아닌 다른 구조물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clutch mechanism 80 is initially moved, a temporary locking member 50 for generating a latch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clutch body 83 is disposed, and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i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e end is fixed to the body 10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clutch protrusion 84 of the clutch body 83. In this embodiment,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i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fixed to a structure other than the body 1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귀스프링 및 리턴스프링의 위치 및 형상을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상술한 기능을 참조할 경우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턴스프링은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바디 및 상기 종동기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축중심(62)에 토션스프링의 형태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은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70) 및 상기 클러치기구(80) 사이에 설치되어도 되고, 상기 모터축 외주면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구동기어(7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클러치기구(8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return spring and the return spring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a technology that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applied whe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 For example, the return spring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body and the driven gea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or may be installed in the shaft center 62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tor shaft, one end is fixed to the drive gear 70 and the other end is It may be fixed to the clutch mechanism 80.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 모터에 설치된 클러치유닛(40)이 초기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기구(80) 및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모터축 상에서 상기 모터축과 상대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상기 모터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축에서 상기 구동기어(70)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클러치기구(80)는 상기 캠부(86)의 꼭지점(86b)을 넘지 않는 각도 내에서 상기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First, when the clutch unit 40 installed in the motor looks at the initial state, the stopper 90 is fixed to the motor shaft, and the clutch mechanism 80 and the drive gear 70 are mounted on the motor shaft. It is installed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motor shaft.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motor is not driven, the drive gear 70 can be freely rotated on the motor shaft, and the clutch mechanism 80 is within an angle not exceeding the vertex 86b of the cam portion 86.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rotated.

이후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클러치유닛(40)이 상호작용에 의해 모두 일체화되어 회전된다. Then,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clutch unit 40 is all integrated and rotated by interaction.

이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미도시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버튼과 연결된 개폐장치(100)의 제어부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Referring to this process,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not shown, the control uni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connected to the button drives the motor, and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driving the motor.

그리고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모터축의 회전 시 상기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스토퍼(90)의 스토퍼돌기(96)는 상기 캠부(86)의 경사면(86a)과 접촉되면서 회전된다. In addition, the stopper 90 is fixed to the motor shaft, and when the motor shaft rotates, the stopper 90 rotates together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stopper protrusion 96 of the stopper 90 is inclined surface 86a of the cam portion 86. Rotates in contact with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96)가 상기 클러치바디(83)의 경사면(86a)과 접촉되면서 상기 클러치바디(83)를 상기 구동기어(70) 측으로 밀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돌기(96)가 상기 캠부(86)를 미는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바디(8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시걸림부재(50)가 상기 클러치돌기(84)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일시걸림부재(50)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80)의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상기 구동기어(7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클러치 걸림부(82) 및 상기 구동기어 걸림부(72)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Here, the stopper protrusion 96 pushes the clutch body 83 toward the driving gear 70 while the stopper protrusion 96 come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86a of the clutch body 83, and the stopper protrusion 96 is the cam portion 86. In order to prevent the clutch body 83 from being rotated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forms an interlock with the clutch protrusion 84. When the clutch mechanism 80 is moved toward the driving gear 70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clutch mechanism 80 is suppressed by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the clutch engaging portion 82 and the driving mechanism are moved. The gear engaging portion 72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integrated.

그래서 상기 스토퍼(90)가 소정각도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기구(80)는 상기 구동기어(70) 측으로 이동되어 맞물림으로서 상기 구동기어(70) 및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일체화되고, 상기 스토퍼(90)의 스토퍼돌기(96)가 상기 캠부(86)의 꼭지점(86b)을 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꼭지점(86b)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클러치기구(80)와 상호 끼임을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the clutch mechanism 80 is moved toward the drive gear 70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while the stopper 9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topper is integrated. The stopper protrusion 96 of 90 is designed not to exceed the vertex 86b of the cam portion 86, so that the stopper 9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before reaching the vertex 86b. It will form a mutual jamming.

이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40)은 상기 스토퍼(90)의 소정각도 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80)와 상호 끼임을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클러치기구(80)는 상기 구동기어(7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일체화되고, 상기 클러치유닛(40)이 일체화된 후에는 상기 모터축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클러치유닛(40)이 회전된다. In this way, the clutch unit 40 forms a mutual pinch with the clutch mechanism 80 by a predetermined angle rotation of the stopper 90, while the clutch mechanism 80 is mutually with the drive gear 70 The clutch unit 4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shaft after the clutch unit 40 is integrated by forming a latch.

여기서 상기 클러치유닛(40)이 일체화된 후, 상기 모터축이 회전되면 상기 클러치돌기(84)가 상기 일시걸림부재(50)를 밀어 탄성변형 시키면서 상기 일시걸림부재(50)와의 상호 걸림을 해제시킨다. Here, after the clutch unit 40 is integrated, when the motor shaft is rotated, the clutch protrusion 84 releases the mutual engagement with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while pushing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to elastically deform it. .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물탱크의 마개를 개방하기 위해 소정회전수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기어(70)는 이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구동기어(70)와 치합된 종동기어(60)는 상기 구동기어(70)의 기어비에 따라 회전됨으로서 상기 구동기어(70)에 고정된 레버(30)를 회전시킨다. 그래서 상기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마개를 이동시켜 물탱크를 개방하게 된다. The moto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to open the stopper of the water tank, and the drive gear 70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is rotated accordingly, and the driven gear 60 meshed with the drive gear 70. Rotates the lever 30 fixed to the drive gear 70 by being rotated according to the gear ratio of the drive gear 70. Thus, the wire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to move the stopper to open the water tank.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60)는 상기 레버(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종동기어(60)에 연결된 리턴스프링은 상기 종동기어(60)의 회전에 의해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한다. Here, when the driven gear 60 rotates the lever 30, the return spring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60 is tension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60 to store the elastic force.

한편, 상기 구동기어(70) 및 상기 클러치기구(8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클러치유닛(40)이 일체화될 때 탄성력을 저장하고, 상기 스토퍼(90)에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80)를 원위치시킨다. 즉 상기 스토퍼(90)가 상기 경사면(86a)에 지속적으로 외력을 가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클러치유닛(40)이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스토퍼(90)의 회전이 멈춰 외력이 상기 클러치기구(80)에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클러치유닛(40)의 일체화가 해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turn spring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stores the elastic force when the clutch unit 40 is integrated, and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stopper 90 is removed The clutch mechanism 80 is restored by the stored elastic force. That is, while the stopper 90 continuously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inclined surface 86a,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is maintained and the clutch unit 40 is maintained in an integrated state, and the rotation of the stopper 90 stops. If the exter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lutch mechanism 80, the clutch mechanism 80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and the integration of the clutch unit 40 is released.

다음으로, 상기 마개가 개방된 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변기로 배수되면 상기 모터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토퍼(9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96)는 상기 캠부(86)의 걸림면(86c)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고, 상기 걸림면(86c)을 밀어 상기 클러치기구(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클러치기구(80)는 상기 구동기어(70)와의 일체화가 해제된다. Next, i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drained to the toilet after the stopper is opened, the motor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he stopper 90 to the initial position. Here, the stopper protrusion 96 generates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engaging surface 86c of the cam portion 86, and pushes the engaging surface 86c to rotate the clutch mechanism 80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by through the clutch. The mechanism 80 is released from the drive gear 70.

또한,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이 작동되어 상기 클러치기구(80)가 상기 구동기어(70)에서 이격되는 바, 상기 구동기어(70)와 클러치기구(80)의 일체화가 해제된다. In addition, while the clutch mechanism 8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is actuated so that the clutch mechanism 80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gear 70.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 The integration of 80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70) 및 상기 클러치기구(80)의 일체화 해제로 인해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종동기어(60)와 치합을 이룬 상태이되, 상기 클러치기구(80)와의 맞물림은 해제된 상태이다. Here, the drive gear 70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60 due to the unintegration of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and the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80 is released. It is a state.

그리고 상기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리턴스프링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6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종동기어(60)와 치합된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종동기어(60)와 치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모터축에서 상기 클러치기구(8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상대회전된다. When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riven gear 6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stored in the return spring while being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driving gear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60 ( 70 is relatively rotated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lutch mechanism 80 on the motor shaft while maintaining engagement with the driven gear 60.

그리고 상기 모터축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클러치기구(80)의 위치도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바, 상기 일시걸림부재(50)는 상기 클러치기구(80)의 클러치돌기(84)와 초기 상태의 걸림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일시걸림부재(50)는 상기 클러치돌기(84)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클러치돌기(84)가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변형된다. When the motor shaft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clutch mechanism 80 is also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is in an initial state with the clutch protrusion 84 of the clutch mechanism 80. Causes a jam. Here,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5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clutch protrusion 84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is deformed so that the clutch protrusion 84 can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다음으로, 상기 모터가 작동되던 중 또는 작동 중 임의의 위치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스토퍼(90)의 회전이 정지되는 바, 상기 클러치기구(80)의 경사면(86a)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70) 및 클러치기구(80)의 일체화가 해제되며, 상기 일체화의 해제로 인해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모터축 상에서 자유회전될 수 있다.Next,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position during 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the rotation of the stopper 90 fixed to the motor shaft is stopped, the inclined surface 86a of the clutch mechanism 80.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drive gear, thereby unifying the drive gear 70 and the clutch mechanism 8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and the drive gear 70 is driven by the release of the integration. Can be freely rotated.

그래서 상기 모터가 작동되던 중 또는 작동 중 임의의 위치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종동기어(60)의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60)가 초기위치로 원위치되고, 상기 종동기어(60)의 원위치로 인해 상기 종동기어(60)에 연결된 상기 레버(30) 및 마개도 원위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이 변기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Thus,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position during 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the driven gear 60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of the driven gear 60, and the driven gear ( Due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60, the lever 30 and the stopper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60 are also returned to block the water of the water tank from being supplied to the toile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60) 및 레버(3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구조이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를 두어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클러치기구(80)의 걸림면(86c)을 소정각도 밀어서 상기 클러치기구(80) 및 상기 구동기어(70)의 일체화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에 별도의 배터리 등을 구성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인 바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n gear 60 and the lever 30 are returned to their initial positions by the return spring.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e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motor is provided. When the power outage occurs, it may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clutch mechanism 80 and the drive gear 70 by pushing the engaging surface 86c of the clutch mechanism 80 by a predetermined angle. Here, a system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by configuring a separate battery or the like to the motor is a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configu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rawing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is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10 : 바디 12 : 프론트바디
14 : 리어바디 20 : 기어모듈
30 : 레버 40 : 클러치유닛
50 : 일시정지부재 60 : 종동기어
70 : 구동기어 80 : 클러치기구
90 : 스토퍼
10: body 12: front body
14: rear body 20: gear module
30: lever 40: clutch unit
50: pause member 60: driven gear
70: drive gear 80: clutch mechanism
90: stopper

Claims (9)

변기의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마개와 연결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모터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축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일체화되는 클러치기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가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클러치기구와 일시 걸림을 형성시키는 일시걸림부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
상기 종동기어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를 원위치시키는 리턴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기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클러치바디;
상기 클러치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클러치홀;
상기 클러치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시걸림부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돌기;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의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 시 상기 클러치바디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는 캠부;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바디가 상기 스토퍼에 밀려 이동될 때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 걸림부를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In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connected to the stopper located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 lever connected to the stopper;
A body in which the lever is installed;
A driven gear positioned in the body and fixed to the lever;
A drive gear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rotate the driven gear;
A motor in which the drive gear is installed and a motor shaft is formed so as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gear;
A stopper fixed to the motor shaft;
A clutch mechanism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moved toward the drive gear along the motor shaft by rotation of the stopper to be integrated with the drive gear to generate an interlock;
A pausing member that forms a temporary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when the clutch mechanism is moved to the drive gear side by the stopper;
A return spring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return spring for connecting the driven gear and the body to return the driven gear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clutch mechanism
Clutch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lutch hole formed inside the clutch body to insert the motor shaft;
A clutch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body and forming an engagement with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A cam part formed on the clutch body to mutually interfere with the stopper and to push the clutch body toward the driving gear when the mutual interference occurs;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is formed on the clutch body and comprises a clutch engaging portion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when the clutch body is pushed by the stopper.
변기의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마개와 연결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모터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축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일체화되는 클러치기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가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클러치기구와 일시 걸림을 형성시키는 일시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In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connected to the stopper located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 lever connected to the stopper;
A body in which the lever is installed;
A driven gear positioned in the body and fixed to the lever;
A drive gear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rotate the driven gear;
A motor in which the drive gear is installed and a motor shaft is formed so as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gear;
A stopper fixed to the motor shaft;
A clutch mechanism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tor shaft, the clutch mechanism being moved toward the drive gear along the motor shaft by rotation of the stopper to be integrated with the drive gear to generate an interlock;
A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toilet comprising a pausing member for forming a temporary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when the clutch mechanism is moved toward the drive gear by the stopp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의 일체화를 위해,
상기 구동기어에서 상기 클러치기구 측 면에는 구동기어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기구의 상기 구동기어 측 면에는 클러치 걸림부가 형성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 order to integrate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The drive gea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lutch mechanism in the drive gear, the clutch gea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ive gear of the clutch mechanis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클러치바디;
상기 클러치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클러치홀;
상기 클러치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시걸림부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돌기;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의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 시 상기 클러치바디를 상기 구동기어 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는 캠부;
상기 클러치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바디가 상기 스토퍼에 밀려 이동될 때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클러치 걸림부를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lutch mechanism
Clutch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lutch hole formed inside the clutch body to insert the motor shaft;
A clutch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body and forming an engagement with the temporary locking member;
A cam part formed on the clutch body to mutually interfere with the stopper and to push the clutch body toward the driving gear when the mutual interference occurs;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is formed on the clutch body and comprises a clutch engaging portion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when the clutch body is pushed by the stopp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스토퍼의 정회전 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위치되는 꼭지점;
상기 꼭지점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역회전 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am portion
An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when the stopper is rotated forward to form an interlock with the stopper;
A vertex located 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vertex and comprises a locking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when the stopper is reversely rotat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는 스토퍼바디;
상기 스토퍼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이 관통되는 스토퍼홀;
상기 스토퍼바디에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바디의 회전 시 상기 클러치기구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하는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topper is
A stopper body fixed to the motor shaft;
A stopper hole formed in the stopper body and through which the motor shaft passes;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including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topper body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clutch mechanism when the stopper body is rota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정회전 시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경사면 내에서만 이동되도록 구성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topper protrusion of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move only in the inclined surface during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topper.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구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이 배치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is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clutch mechanism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를 원위치시키는 리턴스프링이 더 배치된 변기의 물탱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The water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further comprising a return spring for connecting the driven gear and the body to return the driven gear to the original position.
KR1020100036385A 2010-04-20 2010-04-20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KR101301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385A KR101301692B1 (en) 2010-04-20 2010-04-20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385A KR101301692B1 (en) 2010-04-20 2010-04-20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74A true KR20110116774A (en) 2011-10-26
KR101301692B1 KR101301692B1 (en) 2013-08-30

Family

ID=4503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385A KR101301692B1 (en) 2010-04-20 2010-04-20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6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43B1 (en) * 2012-01-26 2013-06-24 이창국 Position return type mo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351Y1 (en) * 1999-10-26 2000-03-15 삼에스산업주식회사 Automatic controller of exhaust water of the commode
KR200394746Y1 (en) * 2005-06-21 2005-09-05 이남숙 An automatic water saving device of a water tank
JP4603954B2 (en) * 2005-08-18 2010-12-22 中川電化産業株式会社 Geared motor
KR200436032Y1 (en) * 2006-11-29 2007-04-26 김청복 Clean device for toilet bow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43B1 (en) * 2012-01-26 2013-06-24 이창국 Position return type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692B1 (en)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7247A1 (en) Gear mechanism and drawer drive device in refrigerator
US20120017512A1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ice dispenser in refrigerator
CN108999500A (en) Has the closure latch assembly of latch mechanism and the outside relieving mechanism with reset apparatus
JP4072111B2 (en) Power equipment
US20130257066A1 (en) System for opening a door, in particular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20190092174A (en) Power child lock operating device
KR101301692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water tank
JP5278934B2 (en) Electric lock clutch mechanism
JP2008190191A (en) Lock device
US11078690B2 (en) Door latch apparatus with childproof lock mechanism and assembling method of childproof lock mechanism
CN105239856A (en) Door lock device and storage box with same
JP2019501316A (en) Trunk door latch assembly for vehicles
TWI616579B (en) Cylinder lock protection apparatus
JP6007129B2 (en) Door lock device
WO2013035605A1 (en) Lock device for vehicle door
TWM555313U (en) Vehicle electric lock
KR20150001050U (en) Clutch Type gear box for door-lock
KR101256224B1 (en) Emergency release device for Electrical Parking Brake in vehicle
JP2008280671A (en) Lock device
JP6337826B2 (en) Clutch device and actuator
JP2013213342A (en) Door lock device
TWI626185B (en) Vehicle electric lock
KR20150015054A (en) Fuel Door Opener for Vehicle
JP6352066B2 (en) Linear actuator and lid lock device
JP6520350B2 (en) Clutch device and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