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436A - 앰플 인젝션 프로브 - Google Patents

앰플 인젝션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436A
KR20110116436A KR1020100035851A KR20100035851A KR20110116436A KR 20110116436 A KR20110116436 A KR 20110116436A KR 1020100035851 A KR1020100035851 A KR 1020100035851A KR 20100035851 A KR20100035851 A KR 20100035851A KR 20110116436 A KR20110116436 A KR 20110116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functional aqueous
ampoule
flow rat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759B1 (ko
Inventor
노재국
Original Assignee
노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국 filed Critical 노재국
Priority to KR102010003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용액이 수용된 앰플용기가 교체되는 프로브의 토출구를 피부에 터치하여 문지를 경우 기능성 수용액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유량 및 유속으로 토출되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있어서,
기능성 수용액이 수용되는 앰플용기와,
앰플용기의 개구부가 교체가능하게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결합시 앰플용기의 기능성 수용액이 유입되는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포트형 연결편이 돌출형성되는 뚜껑과,
포트형 연결편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펌프와,
펌프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토출구가 하단에 형성되며, 공간부에 뚜껑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앰플 인젝션 프로브{probe of ampoule injection}
본 발명은 앰플용기에 수용된 기능성 수용액(일 예로서 액상, 겔 상태 또는 반 겔 상태의 피부미용제, 보습제, 영양제 등의 앰플을 말함)을 피부에 도포시킬 수 있도록 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앰플용기가 교체되는 프로브의 토출구를 피부에 터치하여 문지를 경우 기능성 수용액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유량 및 유속으로 토출되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피부를 보호하고 있으며,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어 각종 화장품 물질, 영양물질, 생리활성물질 및 치료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화장물질 등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미용 및 치료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피부 미용 및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갈바니이온전류, 이온토전류, 진동맛사지, 원적외선, 초음파, 저주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다양한 피부 미용기기 및 방법이 연구되어 활용되고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앰플용기가 교체되는 하우징의 토출구에 전도성 볼(ball)이 장착된 프로브가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에 접촉되는 볼을 가압하는 강도에 따라 기능성 수용액의 토출량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기호도, 습관 등에 따라 볼을 무리한 힘을 가하여 문지를 경우 기능성 수용액이 과다하게 토출되어 도포되므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반면에 기능성 수용액의 토출량을 적게 토출시켜 도포할 경우 피부 미용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되며, 기능성 수용액을 토출시키는 노즐이 미세하여 사용 중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앰플용기가 교체되는 하우징의 토출구에 전도성 핀(pin)이 장착된 프로브를 사용할 경우, 프로브의 토출구를 피부에 접촉시켜 문지르면서 기능성 수용액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핀을 가압하는 힘의 강약 조절이 힘들게 되므로 사용시 불편함을 감수해야 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앰플용기의 기능성 수용액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유량 및 유속으로 토출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기호도 또는 습관 등에 무관하게 기능성 수용액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있어서,
기능성 수용액이 수용되는 앰플용기와,
앰플용기의 개구부가 교체가능하게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결합시 앰플용기의 기능성 수용액이 유입되는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포트형 연결편이 돌출형성되는 뚜껑과,
포트형 연결편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펌프와,
펌프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가압부가 하단에 형성되며, 공간부에 뚜껑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앰플용기에 수용되는 기능성 수용액은 겔 상태, 반 겔 상태,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능성 수용액의 점성에 따라 하우징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어 도포되는 기능성 수용액의 유량 및 유속을 제어하도록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는 주파수, 통전주기(펄스폭), 전압의 세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앰플용기에 수용된 기능성 수용액의 점성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유량 및 유속으로 토출 되므로 기능성 수용액의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로부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의 가압부를 피부에 문지를 경우 기능성 수용액이 설정된 량만큼 토출되어 도포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있어서,
기능성 수용액(일 예로서 피부미용제, 생리활성물질, 보습제, 영양제, 치료약제 등의 앰플이 사용될 수 있음.)이 수용되는 앰플용기(10)와,
앰플용기(10)의 개구부가 교체가능하게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결합시 앰플용기(10)의 기능성 수용액이 유입되는 이동통로(20)가 관통 형성되는 포트형 연결편(30)이 돌출형성되는 뚜껑(40)과,
포트형 연결편(30)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펌프(50)(일 예로서 액체미량펌프를 말함)와,
펌프(50)를 수용하는 공간부(60)가 상측에 형성되고 펌프(50)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도록 토출구(70)가 형성된 전도성 가압부(80)가 하단에 형성되며, 공간부(60)에 뚜껑(4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90)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앰플용기(10)에 수용되는 기능성 수용액은 겔 상태, 반 겔 상태,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능성 수용액의 점성에 따라 하우징(90)의 토출구(70)를 통해 토출되어 도포되는 기능성 수용액의 유량 및 유속을 제어하도록 펌프(5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는 주파수, 통전주기(펄스폭), 전압의 세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0은 전술한 펌프(50) 및 전도성 가압부(80)에 이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의 건강상태, 앰플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앰플용기(10)에 수용되는 기능성 수용액의 종류가 선택된다. 즉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지,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그 기능성 수용액이 선택된다.
앰플이 선택된 앰플용기(10)의 개구부를 포트형 연결편(30)에 결합시킨다. 이때 포트형 연결편(30)의 상단부에 뽑쪽하게 형성된 쇄기부(30a)에 의해 앰플용기(10)의 개구부를 밀봉시킨 밀폐막을 뚫게 된다. 이로 인해 앰플용기(10)의 기능성 수용액은 포트형 연결편(30) 내부에 관통형성된 이동통로(20)에 유입된 후 펌프(50)의 입구부(50a)로 이동된다. 이때 포트형 연결편(30)에 형성된 공기유입공(30b)에 의해 기능성 수용액이 이동통로(20)에 원활하게 유입된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일 예로서 MCU(micro controller unit)로부터펌프(50) 구동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말함.)에 의해 하우징(90)에 내설된 펌프(50)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앰플용기(10)에 수용되어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의 유량 및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펌프(50)의 구동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펌프(50)의 토출구(50b)를 통하여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의 량 및 토출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앰플용기(10)에 수용된 기능성 수용액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 펌프(50)의 토출구(50b)를 통과하는 기능성 수용액의 양을 증대시킨다. 반면에 앰플용기(10)에 수용된 기능성 수용액의 점도가 낮을 경우에는 펌프(50)의 토출구(50b)를 통과하는 기능성 수용액의 양을 감소시킨다.(종래에는 사용자가 하우징의 토출구에 결합된 볼 또는 핀 타입의 전도성 가압부를 가압하는 세기에 따라 앰플용기로부터 기능성 수용액이 토출된다. 즉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경험에 의해 기능성 수용액의 토출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90)의 외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등 또는 안면 등의 피부에 전도성 가압부(80)를 밀착시켜 가볕게 가압하여 문지를 경우, 하우징(90)의 토출구(70)를 통해 설정된 양만큼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이 피부에 도포된다.
이때 전도성 가압부(8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사용자(또는 시술자를 말함.)의 피부에 전위차(電位差)를 주어 피부의 전기적 환경을 변화시킴에 따라 이온성 약물(기능성 수용액을 말함.) 등의 피부 투과를 증가시키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에 대한 설명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의하면, 앰플용기에 수용된 기능성 수용액의 점성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유량 및 유속으로 토출 되므로 기능성 수용액의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브의 가압부를 피부에 접촉시켜 문지를 경우 기능성 수용액이 설정된 량만큼 토출되어 도포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10; 앰플용기
20; 이동통로
30; 포트형 연결편
40; 뚜껑
50; 펌프
60; 공간부
70; 토출구
80; 전도성 가압부
90; 하우징

Claims (3)

  1.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에 있어서:
    기능성 수용액이 수용되는 앰플용기;
    상기 앰플용기의 개구부가 교체가능하게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결합시 상기 앰플용기의 기능성 수용액이 유입되는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포트형 연결편이 돌출형성되는 뚜껑;
    상기 포트형 연결편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성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시키는 가압부가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뚜껑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용기에 수용되는 기능성 수용액은 겔 상태, 반 겔 상태,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용액의 점성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가압부를 통해 도포되는 기능성 수용액의 유량 및 유속을 제어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는 주파수, 통전주기, 전압의 세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인젝션 프로브.
KR1020100035851A 2010-04-19 2010-04-19 앰플 인젝션 프로브 KR10116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51A KR101169759B1 (ko) 2010-04-19 2010-04-19 앰플 인젝션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51A KR101169759B1 (ko) 2010-04-19 2010-04-19 앰플 인젝션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36A true KR20110116436A (ko) 2011-10-26
KR101169759B1 KR101169759B1 (ko) 2012-07-31

Family

ID=4503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851A KR101169759B1 (ko) 2010-04-19 2010-04-19 앰플 인젝션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26B1 (ko) * 2020-01-30 2020-06-05 주식회사 제이티에스인더스트리 교체가 가능한 앰플용기가 탑재된 피부 미용 핸드피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349B1 (ko) * 2018-07-09 2019-08-22 주식회사 디아이블 캡슐형 앰플 토출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70Y1 (ko) 2006-05-03 2006-07-18 배응준 액상용액 앰플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26B1 (ko) * 2020-01-30 2020-06-05 주식회사 제이티에스인더스트리 교체가 가능한 앰플용기가 탑재된 피부 미용 핸드피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759B1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937B1 (ko) 미스트 및 갈바닉 겸용 미용기기
KR101127399B1 (ko) 유익제와 장치를 사용하는 피부 치료
US9744315B1 (en) Skin treatment apparatus
US20130158547A1 (en) Fluid Skin Treatment Device
KR101970644B1 (ko) 경피 전달 촉진을 위한 복합 시술 장치
US20160331106A1 (en) Deep pore cleansing device configured to deliver a cyclical mechanical strain and mist to skin
KR102415592B1 (ko) 경피 유체 전달을 위한 기구 및 방법
KR101776154B1 (ko) 침부재를 가진 화장품용기
KR101505476B1 (ko) 미세 전류 인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
KR101169759B1 (ko) 앰플 인젝션 프로브
KR101649602B1 (ko) 휴대용 피지제거기
KR102223342B1 (ko) 두피 마사지기
KR102063178B1 (ko) 휴대용 피부 미용장치
JP2011218041A (ja) イオン導入機能を持つマッサージ機
KR20140000362A (ko) 휴대용 자외선차단제 분사장치
KR101674429B1 (ko) 휴대용 피부 개선 장치 모듈
EP3389438B1 (en) Device for treating human keratin materials
KR20200011524A (ko) 이미용 장치
KR102632700B1 (ko) 피부미용장치
KR20200120189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994853B1 (ko) 피부미용기기
KR20230101152A (ko) 약물 분사용 초음파 미용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
CN115397502A (zh) 液体注入装置及其系统和药筒单元
JP2005288009A (ja) 化粧品又は薬剤の供給方法、及び同供給装置
JP2019503744A (ja) 人間のケラチン物質をトリートメントするための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