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981A -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981A
KR20110115981A KR1020110035135A KR20110035135A KR20110115981A KR 20110115981 A KR20110115981 A KR 20110115981A KR 1020110035135 A KR1020110035135 A KR 1020110035135A KR 20110035135 A KR20110035135 A KR 20110035135A KR 20110115981 A KR20110115981 A KR 20110115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portable terminal
unit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준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 및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도 원활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3D 영상이 재생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3D 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트래킹부와, 상기 트래킹부에 의해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벗어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도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watch a seamless stereoscopic image at various angles by detecting a user's position in playing and processing a stereoscopic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image data in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3D image to be reproduced, a tracking unit to track a user's position when the 3D image is reproduced, and the user to move out of the viewing range by the tracking unit. In this case, i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even if the user is out of the viewing angle range,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imag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image data in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 및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도 원활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barrier LCD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도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watch a seamless stereoscopic image even at various angles by detecting a user's position in playing and processing a stereoscopic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even if the user viewing the stereoscopic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barrier LCD out of the viewing angle range.

최근의 영상 기술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 쪽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보다 사실적이고 현실감 있는 영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인간 시각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을 각각 해당 위치에 주사한 후, 좌시점과 우시점을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분리하여 상이 맺히게 함으로써 3차원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면에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일례로 Barrier LCD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입체휴대폰, 입체 카메라, 입체 캠코더 등등) 및 3D TV 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imaging technique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for a method of implementing 3D images. This is to express more realistic and realistic image information. Using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the left view image and the right view image are respectively scan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existing display device, and the left view point and the right view point are separated from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to form a three-dimensional image. How to do this is recognized in many ways.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stereophones, stereoscopic cameras, stereoscopic camcorders, etc.) and 3D TVs equipped with Barrier LCDs can play stereoscopic content to provide users with more realistic images.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stereo scopic image)은 기존의 영상과 달리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두 영상을 붙여서 사용한다. 즉, 사용자의 우안 및 좌안에서 보는 시점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개의 영상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general, stereoscopic images are taken using two camera sensors spaced apart by a specific distance, unlike conventional images, and then used by attaching two images. That is, a stereoscopic image is made by synthesizing the viewpoints seen from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of the user. These two images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현재의 스테레오 영상의 출력 방법은 크게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방식의 경우 시야각의 제한이 적고 입체 효과가 큰 방식으로 주로 TV와 같은 큰 출력 장치에 사용된다. 두 번째 방식은 Barrier LCD를사용하는 방식으로 안경을 사용하지 않아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하지만 시야 각에 제한이 큰 방식이다. Current stereo image output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glasses and glasses-free. The first method has a small viewing angle and a large stereo effect, and is mainly used for large output devices such as TVs. The second method uses the Barrier LCD, which is suitable for portable terminals without glasses, but has a large viewing angle.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barrier LCD 방식은 안경을 사용하지 않지만 시야 각이 좁은 단점이 발생하여 LCD의 정면에서는 3D영상으로 관찰되지만 관찰자가 움직여서 시점이 정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칠 경우, 좌우 눈으로 들어는 영상이 뒤바뀌어 입체효과가 반전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어지럼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rrier LCD method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use glasses, but has a disadvantage of narrow viewing angle, which is observed as a 3D image from the front of the LCD. As the image is reversed, the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which may cause dizziness in the us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야 각을 벗어난 사용자에게 입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effect to a user outside the viewing angle in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image data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안경 방식의 스테레오 영상 출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tereoscopic image output performanc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관찰자의 시점 이동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관찰자의 시점 이동에 따라 입체 영상의 픽셀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a viewer's viewpoint movement in a portable terminal and changing a pixel position of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observer's viewpoint mov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야 각 범위를 벗어난 관찰자를 확인할 경우, 입체 효과 제공을 중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topping a stereoscopic effect when a viewer observes an observer outside a viewing angle range in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3D 영상이 재생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3D 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트래킹부와, 상기 트래킹부에 의해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벗어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data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o reproduce the 3D image,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user during the 3D image playback And a tracking unit and an image processor for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image when the tracking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out of the viewing rang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3D 영상이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3D 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re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data in a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playing a 3D image, the proces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during the 3D image playback; If the user is outside the viewing range, the method may include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imag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와, 재생할 3D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시청자의 시청 각도를 판단하는 트래킹부, 상기 시청자가 시청 각도를 벗어난 경우, 상기 3D 영상 데이터의 픽셀 위치를 변경하거나 2D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시청자의 시청 각도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자세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portable terminal for re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data includes a display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3D image or a 2D image, a memory unit storing a 3D image to be reproduced, and a viewer. A tracking unit for determining a viewing angle of the imager,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changing a pixel position of the 3D image data or providing a 2D effect when the viewer is out of the viewing angle, and reconstructing an imag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view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ture check unit for changing the output direction of the imag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의 스테레오 영상 출력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관찰자의 시점 이동에 따라 입체 영상의 픽셀 위치를 변경하여 시야 각 범위를 벗어나 시청하는 경우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when viewing outside the viewing angle range by changing the pixel posi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viewer's viewpoint shift in the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of the auto glasses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시 화면을 전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stereo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playing a 3D image in a typical portable terminal,
3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a screen when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무안경 방식의 스테레오 영상 출력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관찰자의 시점 이동에 따라 입체 영상의 픽셀 위치를 변경하여 시야 각 범위를 벗어나 시청하는 경우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로, barrier LCD 방식을 이용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랩탑, 3D TV 등이 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when viewing outside the viewing angle range by changing a pixel position of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viewer's viewpoint shift in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an autostereoscopic stereo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o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image data, and may b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using a barrier LCD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phone, a laptop, a 3D TV,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stereoscopic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자세 확인부(102), 트래킹부(104), 이미지 처리부(106), 메모리부(108), 입력부(110), 표시부(112) 및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n attitude check unit 102, a tracking unit 104, an image processing unit 106, a memory unit 108, an input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12. And a communication unit 114.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 추적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3D 영상 시청 범위에 해당하는 시야 각을 이탈하였는지 판단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가 시야 각 범위를 이탈함을 확인할 경우,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처리한다.Th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re perform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the control unit 100 uses a user tracking function to determine a viewing angle corresponding to a 3D image viewing range. Process to determine if a deviation has occurr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processes to prevent the stereoscopic effect from being revers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leaves the viewing angle range.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 시점 추적을 통해서 시야 각 범위를 이탈함을 확인할 경우,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여 barrier LCD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좌우가 바뀌어 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 영상의 좌측 픽셀과 우측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여 입력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시야 각 범위 안에 존재할 경우에만 입체 효과를 제공하도록 처리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viewing angle range is deviated by tracking the user's viewpoint, the controller 100 reconstructs the input imag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barrier LCD are changed so as not to enter the eye. That is, the controller 100 may reconstruct the input image by changing positions of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nput imag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processes the stereoscopic effect only when the user exists within the viewing angle range.

상기 자세 확인부(1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여 출력 영상의 방향을 변경한다. 즉, 상기 자세 확인부(1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할 경우, 출력 영상을 가로로 회전시키거나 세로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posture confirming unit 102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cts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output image. That is, the posture check unit 102 may rotate the output image horizontally or vertically when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트래킹부(104)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추적한다. 상기 트래킹부(104)에 의해 추정된 사용자의 위치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 사용되며, 상기 이미지 처리부(106)가 빈번하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래킹부(104)는 시야 각 범위 이탈 판단을 위하여 임계값을 설정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트래킹부(104)는 임계값 이상의 변위를 측정할 경우, 시야 각 범위를 이탈하였다고 판단한다.The tracking unit 104 i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racks the user using a camera,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The location of the user estimated by the tracking unit 104 is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operated, and the tracking unit 104 is used to prev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from being frequently operated. The threshold value is set for the deviation of the viewing angle range. For this reason, the tracking unit 104 determines that the viewing angle range has been deviated when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또한, 상기 트래킹부(104)는 타이머를 설정한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야각 범위의 이탈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불규칙한 시청 자세로 발생하는 이탈에 대하여 시야 각 범위를 이탈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fter setting the timer, the tracking unit 104 determines the deviation of the viewing angle rang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prevent the determination of the deviation of the viewing angle range against the deviation caused by the user's irregular viewing posture.

상기 이미지 처리부(106)는 상기 사용자가 시야 각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할 경우,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이미지 처리부(106)는 상기 트래킹부(104)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픽셀 순서를 좌 우에서 우 좌 순서로 변경하여 입체 효과의 반전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미지 처리부(106)는 사용자가 시야 각 범위 안에 위치할 경우에는 좌 우 픽셀 가운데 어느 한 픽셀만 선택하여 2D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입체 효과를 중지하도록 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processes to reconstruct the input image of the im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when the user views an image reproduced from a position outside the viewing angle range. That is, the image processor 106 may prevent the inversion of the stereoscopic effect by changing the pixel order of the image from left to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tracking unit 104.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located within the viewing angle range, the image processor 106 selects only one pixel among the left and right pixels to reconstruct the 2D image to stop the stereoscopic effect.

더하여, 상기 재생되는 영상의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부(108) 또는 상기 표시부(112)의 출력 버퍼(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미지 처리부(106)는 상기 메모리부(108) 또는 상기 표시부(112)의 출력 버퍼에 저장된 영상의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of the reproduced image may be stored in an output buffer (not shown) of the memory unit 108 or the display unit 112,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may include the memory unit 108 or the The image of the image stored in the output buffer of the display unit 112 may be reconstructed and stored.

상기 메모리부(108)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자세 확인부(102), 트래킹부(104), 이미지 처리부(10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08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flash ROM. The ROM stores microcode and various reference data of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00, the attitude check unit 102, the tracking unit 104,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RAM i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100, and stores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the flash ROM stores various updatable storage data such as a phone book, an outgoing message, and an incoming message.

상기 입력부(110)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The input unit 110 includes 0 to 9 numeric key buttons, a menu button (menu), a cancel button (clear), an OK button, a call button (TALK), an end button (END), an internet access button, a navigation key ( Or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arrow keys) buttons and character input keys, and provide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00.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2)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barrier LCD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2 displays status information, texts, a large amount of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12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display unit 112 may include a touch input device to be used as an input device when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of a touch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barrier LCD method.

상기 통신부(114)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4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of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after performing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n the data to be transmitted, RF processing is performed to transmit the data. In the case of reception, the received RF signal is converted into a baseband signal. The baseband signal is de-spreaded and channel decoded to restore data.

상기 자세 확인부(102), 트래킹부(104), 이미지 처리부(106)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posture confirming unit 102, the tracking unit 104,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may play the role of the control unit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for the purpose of never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all of them.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3D 영상을 재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동일 피사체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결합하여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더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Barrier LCD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3D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first checks whether a 3D image is played back in step 201. 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an play a 3D image by combining images taken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same subject, an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use the Barrier LCD method to obtain a 3D effect without using glasses. have.

만일, 상기 201단계에서 3D 영상을 재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If the 3D image is not played back in step 201,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217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eg, standby mode).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3D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트래킹부를 동작시킨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여기에서, 상기 트래킹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를 시청하는 관찰자의 시점을 추적하는 것으로, 센서(예;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등)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트래킹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거나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측정하여 관찰자의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래킹부는 당사 출원 기술("휴대폰용 공간 입력 장치"(출원번호:P2009-0038854))을 이용하여 적외선을 이용한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래킹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동공 추적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 시점 파악 과정을 수행한다.In the case where the 3D image is played back in step 201,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203 to operate the tracking unit, and then proceeds to step 205 to determine the user's location. Here, the tracking unit tracks the viewpoint of an observer who views the image data reproduc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include a sensor (eg, an accele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etc.) and a camera module. First, the tracking unit may determine the observer's viewpoint by measur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sensor unit or by measuring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user's face. In this case, the tracking unit may recognize a space using infrared rays by us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ace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 number: P2009-0038854)). In addition, the tracking unit detects the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pupil tracking using the camera module to perform a viewpoint determination process.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barrier LCD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하나 사용자의 시야 각이 좁아지는 단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고정된 시야 각을 벗어난 시청 범위에서 재생중인 영상 데이터를 시청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In step 207,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left the viewing range. Her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ear glasses by using the barrier LCD method, but the disadvantage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narrowed.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view the image data being played back in the viewing range outside the fixed viewing angle.

만일, 상기 207단계에서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이탈하지 않음을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시청 범위 외에서 동작하는 재생 방식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청 범위 외에서 동작하는 재생 방법은 영상 데이터를 시청 범위와 시청 범위 외에서 지속적으로 3D 방식으로 재생하는 방법과 시청 범위 외에서는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7 that the user does not deviate from the viewing range,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209 to identify a playback method operating outside the viewing range. Here, the playback method that operates outside the viewing range includes a method of continuously playing the video data in a 3D method outside the viewing range and the viewing range, and a method of playing 2D images outside the viewing range, which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s an option. have.

만일, 상기 209단계에서 3D 방식으로 재생하도록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이미지의 좌우 픽셀을 변경하도록 처리한다.If it is set as the method to reproduce in the 3D method in step 209,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211 to process to change the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mage.

상기 시청 범위 안에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이미지의 좌측 픽셀은 barrier LCD를 통해 사용자의 좌측 눈으로 입력되고, 우측 픽셀은 사용자의 우측 눈으로 입력된다. 하지만, 상기 시청 범위 밖에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 상기 이미지의 좌측 픽셀은 barrier LCD를 통해 사용자의 우측 눈으로 입력되고, 우측 픽셀은 사용자의 좌측 눈으로 입력되어 시각적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When the user is located within the viewing range, the left pixel of the image reproduced by the portable terminal is input to the user's left eye through the barrier LCD, and the right pixel is input to the user's right eye. However, when the user is located outside the viewing range, the left pixel of the image is input to the user's right eye through the barrier LCD, and the right pixel is input to the user's left eye to feel visual fatigue.

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barrier LCD를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영상의 좌우가 바뀌도록 이미지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이미지의 픽셀 순서를 좌 우에서 우 좌 순서로 변경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user is out of the viewing rang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o reconstruct the input image of the image so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image coming into the eye through the barrier LCD is changed.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processes to change the pixel order of the video image from left to right.

이로 인하여 시청 범위를 벗어난 사용자의 좌측 눈에는 정상적으로 좌측 픽셀이 입력되고, 우측 눈에는 우측 픽셀이 입력되게 된다.As a result, the left pixel is normally input to the left eye of the user outside the viewing range, and the right pixel is input to the right eye.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3D 이미지를 재생함으로써 픽셀 순서를 변경하여 재구성한 이미지의 입력 영상을 사용자의 눈에 정확하게 입력시키도록 처리한다.In step 213, the portable terminal processes the 3D image to reproduce the input image of the reconstructed image by inputting the reconstructed image accurately into the user's eyes.

한편, 상기 209단계에서 2D 방식으로 재생하도록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재생되는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재생하도록 처리한다.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측 픽셀과 우측 픽셀로 구성된 이미지의 픽셀을 3D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의 좌측 픽셀 또는 우측 픽셀만을 사용자의 눈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set as a method to play in the 2D method in step 209,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219 to process the 3D video to be reproduced as a 2D video.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prevents a pixel of an image composed of a left pixel and a right pixel from providing a 3D effect.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may process only the left pixel or the right pixel of the image to be input to the user's eyes.

상기와 같이 213단계 또는 219단계에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한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3D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As described above, in step 213 or 219, the portable terminal reproduces the image data, and proceeds to step 215 to confirm whether the reproduction of the 3D image is terminated.

만일, 상기 215단계에서 3D 영상 재생이 종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215 that the 3D video playback is not terminated,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the process of step 205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한편, 상기 215단계에서 3D 영상 재생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in step 215 that the 3D video playback is finished, the portable terminal ends the present algorithm.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시야 각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임계값 이상의 변위를 확인하여 시야 각 범위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sets a timer to prevent frequent reconstruction of image data by a user located at each boundary of the field of view, and tracks the user's posi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checks a displacement above a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 field of view is out of range. You can judg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3D 영상 재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 video reproduction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playing a 3D image in a general portable terminal.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arrier LCD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300)는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3D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사용자의 시야 각이 좁아지는 단점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3 (a), the portable terminal uses a Barrier LCD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300 can obtain a 3D effect without using glasses, but the user's viewing angle is narrowed. This happens.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D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결합한 이미지를 재생한다.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의 좌측 눈으로 입력되는 좌측 픽셀과 우측 눈으로 입력되는 우측 픽셀로 구성(303)되며, 상기 픽셀들은 barrier LCD(301)의 투명한 영역을 통과하여 사용자(300)의 양쪽 눈으로 입력되게 된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reproduces an image combining images captured at different viewpoints in order to provide a 3D effect. The image is composed of a left pixel input to the user's left eye and a right pixel input to the right eye, and the pixels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area of the barrier LCD 301 and input to both eyes of the user 300. Will be.

정리하면, 상기 좌측 픽셀은 barrier LCD(301)의 투명한 영역을 통과하여 좌측 눈으로 입력되고, 우측 픽셀은 우측 눈으로 입력되어 사용자(300)는 입체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된다.In summary, the left pixel is input through the transparent area of the barrier LCD 301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pixel is input to the right eye so that the user 300 can feel a stereo effect without using stereo glasses. .

하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300)는 정해진 시야 각 범위 안에서 좌측 픽셀은 좌측 눈으로 입력받고 우측 픽셀은 우측 눈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나 시야 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305) 좌우 눈으로 들어는 픽셀이 바뀌어 입체 효과가 반전되게 된다.However, the user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receive a left pixel as a left eye and a right pixel as a right eye within a predetermined viewing angle range. The stereoscopic effect is reversed.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3D video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3(a)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arrier LCD를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영상의 좌우가 바뀌도록 이미지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도록 처리한다.Referring to FIG. 3 (b), the portable terminal processes to reconstruct the input image of the image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coming into the eye through the barrier LCD are chang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shown in FIG. 3 (a).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위치(얼굴 위치, 눈 위치 등)를 파악하여 시야 각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시청함을 확인(305)할 경우, 좌측 픽셀의 위치와 우측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여 barrier LCD를 통해 눈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좌우가 변경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좌측 픽셀의 위치와 우측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좌측 픽셀을 우측 픽셀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우측 픽셀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것(309)을 말한다.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the position of the user (face position, eye position, etc.) and checks the viewing at a position outside the viewing angle range (305), the portable terminal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eft pixel and the position of the right pixel barrie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LCD are changed. Her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eft pixel and the position of the right pixel refers to moving the left pixel to the position of the right pixel and moving the position of the right pixel to the left (309).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이미지의 좌우 픽셀의 위치를 조절하여 입체 효과가 방지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 하 픽셀의 위치를 조절하여 입체 효과가 방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While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stereoscopic effect from being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mag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the stereoscopic effect from being preven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pixels. .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3(a)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arrier LCD를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영상의 좌우 눈을 구분하지 않고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c),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input without distinguishing left and right eyes of an image coming into the eye through the barrier LC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shown in FIG. 3 (a).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미지의 좌측 픽셀과 우측 픽셀 가운데 어느 한 픽셀만을 barrier LCD로 통과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좌측 픽셀만을 사용자에게 제공(311)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passes only one pixel of the left pixel and the right pixel of the image to the barrier LCD.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left pixel may be provided to the user (311).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시야 각을 벗어난 위치에서는 2D 효과를 제공하여 시야 각을 벗어난 위치에서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Accordingl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2D effect at a position outside the viewing angle to prevent the stereoscopic effect from being reversed at the position outside the viewing angl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3D 영상 재생시 화면을 전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a screen when playing a 3D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 부호(a)와 같이 좌측 시점에 해당하는 픽셀과 우측 시점에 해당하는 픽셀을 결합(401)하여 3D 효과를 제공한다. 만일, 사용자가 시야 각을 벗어나 입체 효과가 반전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 부호(b)와 같이 좌측 시점에 해당하는 픽셀과 우측 시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위치를 변경(403)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가 변경된 픽셀은 barrier LCD를 통해 눈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좌우가 변경되어 사용자는 입체 효과가 반전되지 않고 정상적인 효과를 느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combines 401 a pixel corresponding to a left view and a pixel corresponding to a right view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a to provide a 3D effect. If a user experiences a situation in which the stereoscopic effect is inverted out of the viewing angle, the portable terminal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left view and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right view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b. . As described above, the pixel whose position is changed is changed left and right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barrier LCD so that a user may feel a normal effect without inverting a stereoscopic effect.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센서를 통한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출력 영상을 가로 방향으로 출력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rough a sensor and output the output im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참조 부호(c)와 같이 출력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405)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 부호(d)와 같이 위치가 변경된 픽셀의 방향을 회전시켜 출력 방향이 변경(407)되도록 처리한다.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rotates 405 to change the output direc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c, the portable terminal rotates the direction of the pixel whose position is chang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d to change the output direction ( 407).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제어부 102: 자세 확인부 104: 트래킹부 106: 이미지 처리부100: control unit 102: posture check unit 104: tracking unit 106: image processing unit

Claims (19)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3D 영상이 재생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3D 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트래킹부와,
상기 트래킹부에 의해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벗어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video data in a portable terminal,
A control unit which processes 3D video to be played;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when playing the 3D image,
And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image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out of the viewing range by the track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barrier LCD 방식을 사용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video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A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sing a barrier LCD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영상의 좌, 우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changing positions of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영상의 좌, 우 픽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픽셀만으로 구성된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reconstruct an image including only at least one pixel among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부는,
적외선 센서, 카메라, 동작 감지 센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되, 적외선 센서, 카메라, 동작 감지 센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cking unit,
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 camera,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loc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 camera,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부는,
미리 정한 임계값 이상의 변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cking unit,
Device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부는,
미리 정한 주기를 간격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cking unit,
Device for detecting the user's movem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메모리부, 표시부의 출력 버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저장된 영상의 이미지를 재구성하되,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재구성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 표시부의 출력 버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unit,
Reconstruct the image of the image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output buffer of the memory unit, the display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store the reconstructed image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unit and an output buffer of the display unit.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3D 영상이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3D 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시청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video data in a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playing back 3D video,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when playing the 3D image;
If the user is outside the viewing range,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imag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barrier LCD를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ortable terminal,
A method of playing back image data using a barrier LC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의 좌, 우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video,
And changing positions of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mag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의 좌, 우 픽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픽셀만으로 구성된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video,
And reconstructing an image including only at least one pixel among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imag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은,
적외선 센서, 카메라, 동작 감지 센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 camera,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은,
미리 정한 임계값 이상의 변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detecting a user's movement corresponding to a displacem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은,
미리 정한 주기를 간격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detecting a user's movem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메모리부, 표시부의 출력 버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저장된 영상의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구성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 표시부의 출력 버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onstructing the reproduced video,
Reconstructing an image of an image stored in at least one of an output buffer of a memory unit and a display unit;
And storing the reconstructed image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unit and the output buffer of the display unit.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와,
재생할 3D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시청자의 시청 각도를 판단하는 트래킹부,
상기 시청자가 시청 각도를 벗어난 경우, 상기 3D 영상 데이터의 픽셀 위치를 변경하거나 2D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시청자의 시청 각도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재구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자세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video data
A display unit capable of outputting 3D video or 2D video,
Memory unit for storing the 3D image to play,
Tracking unit for determining the viewing angle of the viewer,
An image processor for changing a pixel position of the 3D image data or providing a 2D effect when the viewer is outside the viewing ang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reconstruct the image play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viewer,
And a posture check unit for changing an output direction of the imag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표시부의 출력 버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memory unit,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n output buffer of the display uni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무안경 방식을 지원하는 barrier LC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display unit,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rrier LCD supporting an auto glasses method.

KR1020110035135A 2010-04-16 2011-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KR2011011598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38 2010-04-16
KR20100035538 2010-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81A true KR20110115981A (en) 2011-10-24

Family

ID=4503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35A KR20110115981A (en) 2010-04-16 2011-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98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15B1 (en) * 2012-06-15 2014-01-29 전자부품연구원 An apparatus for corr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using sensor and a method thereof
KR101385480B1 (en) * 2012-05-29 2014-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visual fatigue 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80B1 (en) * 2012-05-29 2014-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visual fatigue 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356015B1 (en) * 2012-06-15 2014-01-29 전자부품연구원 An apparatus for corr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using sensor and a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540B2 (en) 3-D matrix barcode presentation
US96547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video with motion sensors
US20120263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3D Image
US10291907B2 (en) Multi-view display control for channel selection
US20120154378A1 (en) Determining device movement and orientation for three dimensional views
CN103327349B (en) The method of the position of the Best Point of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djustment display image
US113500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KR2011009649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WO20181206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virtual reality data
JP559906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90118040A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s thereof
US868795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6454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US20190335153A1 (en) Method for multi-camera device
KR201101159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US20140022341A1 (en) Stereoscopic video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stereoscopic video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stereoscopic video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2026855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4040184A (en) Image display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038757A1 (en) Method for playing corresponding 3d images according to different visual angles and related image processing system
US9762891B2 (en) Terminal device, image shooting system and image shooting method
JP2012227725A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2013174665A (en)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of image quality correction, and program
KR101804912B1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imensional imag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s of a 3-dimensional image
KR2012010294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KR201500126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