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906A -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906A
KR20110115906A KR1020100035506A KR20100035506A KR20110115906A KR 20110115906 A KR20110115906 A KR 20110115906A KR 1020100035506 A KR1020100035506 A KR 1020100035506A KR 20100035506 A KR20100035506 A KR 20100035506A KR 20110115906 A KR20110115906 A KR 2011011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information
users
view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행준
박진영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906A/ko
Publication of KR2011011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시청 정보를 복수의 아이콘들과 대응시켜 사용자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watching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시청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TV보다 우수한 신호 처리 및 저장 능력을 가진 디지털 TV 와 유무선 네트워크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 및 관리하는 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과 대응시켜 사용자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컨텐츠 표시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텐츠 표시 방법을 수행한다.
상기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한 시청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과 대응시켜 표시함으로써, 컨텐츠 시청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용이하게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컨텐츠 시청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 예를 들어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하며, 그를 위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TV일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방송은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재생할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적인 TV 뿐 아니라, 휴대폰,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PC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들일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청 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해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 및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시청 컨텐츠에 대한 정보, 보다 상세하게는 시청 컨텐츠의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은 해당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시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시청 정보, 예를 들어 현재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 컨텐츠 명칭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30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시청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자신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는 행위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현재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즉 시청 컨텐츠의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집된 시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시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일 수 있으며,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시청 정보의 표시를 미리 동의받은 경우에 한하여 그의 시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310 단계),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과 대응시켜 사용자별로 표시한다(320 단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이름 또는 ID(IDentification)과 함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아이콘과 해당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대응시켜 인접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복수의 사용자들, 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 등에서 '지인"으로 등록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컨텐츠 시청 관련 정보, 좀 더 구체적으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지 및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시청하는 컨텐츠의 명칭들을 한 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컨텐츠 시청 정보를 표시할 사용자로서 "user 1", "user 2" 및 "user 3"을 미리 등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user 1 내지 3 각각에 대한 시청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해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user 1 내지 3 각각의 시청 정보 표시에 대한 동의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시청 정보의 표시가 동의된 복수의 등록 사용자들, 즉 상기 user 1 내지 3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어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ser 1 내지 3은 각각 제1 컨텐츠 재생 장치(400), 제2 컨텐츠 재생 장치(410) 및 제3 컨텐츠 재생 장치(420)를 이용해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내지 420)은 각각 해당 사용자의 시청 정보, 즉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 컨텐츠 명칭 등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내지 420)은 일정 주기 또는 해당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발생시, 좀 더 구체적으로 장치의 턴온/오프(turn on/off) 시 또는 채널 변경시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청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내지 4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시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내지 420)에서 컨텐츠 시청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어 서버(200)로 해당 시청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시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즉 상기 user 1 내지 3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120, 121, 122)에 해당 사용자의 이름 및 시청 정보를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컨텐츠 시청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110)에 컨텐츠 정보 표시를 위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 즉 user 1 내지 3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120, 121, 122)이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들(120, 121, 122)은 해당 사용자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한 형상 또는 색상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콘들(120, 121, 122) 각각의 이미지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아이콘들(120, 121, 122)은 동일한 색상의 이미지, 예를 들어 블루(blue) 색상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아이콘들(120, 121, 122) 각각의 하측에는 해당 사용자를 나타내는 텍스트(text),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이름 또는 ID가 표시되어 아이콘들(120, 121, 122)이 서로 식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user 1 내지 3 각각에 대한 시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ser 1 내지 3 각각의 현재 컨텐츠 시청 여부를 아이콘들(120, 121, 122)에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들(120, 121)에 인접하게 해당 사용자가 현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13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user 1 및 2가 제1, 2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을 각각 이용해 현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서버(200)는 제1, 2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ser 1 및 2가 현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음을 시청 정보에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이용해 상기 user 1 및 2를 각각 나타내는 제1, 2 아이콘들(120, 121)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이미지(1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등록된 사용자들인 user 1 내지 3 중 상기 user 1 및 2가 현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으며, 상기 user 3은 현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음을 한 화면(110)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컨텐츠 시청 여부와 함께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도 화면(1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면(110)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120, 121, 1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시청 컨텐츠의 명칭 등이 화면(2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컨텐츠 시청 중임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130)가 표시된 제2 아이콘(121)을 선택하면, 제2 아이콘(121)에 대응되는 user 2가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의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창(140)이 화면(1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110)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120, 121, 122) 중 제2 아이콘(121)을 터치하여 상기 user 2가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정보 표시창(140)은 "시청' 버튼(1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시청" 버튼(141)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user 2가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 즉 "컨텐츠 1"로 전환하여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시청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는 시청 정보의 표시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상기 설정된 표시 범위를 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시청 정보의 전송 시 상기 표시 범위에 따른 시청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er 1은 현재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 컨텐츠 명칭을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100) 상에 상기 user 1의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 컨텐츠 명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반해, user 2는 현재 컨텐츠 시청 여부만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200)는 상기 user 2의 컨텐츠 시청 여부만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user 2의 컨텐츠 시청 여부만을 화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상기 user 2와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를 통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의 명칭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 420) 각각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감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 420)은 각각 해당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이용해 사용자가 현재 웃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 420)에 각각 구비된 사용자 음성 입력 모듈은 웃음 샘플(laughter sample)들에 의해 학습되어 해당 사용자의 '웃음'을 검출하기 위해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 4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웃음'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웃음'을 나타내는 감정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200)로 전송된 감정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수신되어 아이콘들(120, 121, 122) 및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130)와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er 1의 제1 컨텐츠 재생 장치(400)가 음성 입력을 이용해 user 1이 컨텐츠를 시청하며 웃고 있음을 검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웃음'에 대응되는 감정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상기 user 1이 현재 웃고 있음을 나타내는 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user 1을 나타내는 제1 아이콘(120)과 대응되도록 '웃음'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150)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user 1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컨텐츠 시청 중이고, 시청 컨텐츠의 명칭은 무엇인지를 파악함과 동시에, user 1의 현재 감정 상태, 즉 웃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user 1이 웃으면서 보고 있는 컨텐츠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해당 컨텐츠로 전환하여 시청하면서 user 1과 컨텐츠를 공유하며 감정을 교류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 420)은 피부 전기 반사(GSR, Galvanic Skin Response) 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사용자의 피부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전기 반사(GSR)는 자율신경계 반사의 일종으로 정신활동의 항진에 수반하여 생기는 피부의 전기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피부 전기 반사(GSR) 센서는 자극에 의한 변화를 보는 전위법 또는 약한 전류를 통하게 하여 전기 저항의 변화를 보는 통전법 등을 이용해 해당 사용자의 피부 전기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전법의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들(400, 410, 420)에 구비된 피부 전기 반사(GSR) 센서는 2개의 전극을 이용해 검류계에 접속하여 회로를 만들어 전기저항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전기 반사(GSR) 센서를 이용해 검출된 해당 사용자의 GSR 데이터는 서버(200)로 전송되고, 서버(200)는 상기 GSR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user 2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121)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ser 2의 GSR 데이터를 이용하여 GSR 데이터 플롯(plot, 160)을 화면(110)에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user 2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컨텐츠 시청 중이고, 시청 컨텐츠의 명칭은 무엇인지를 파악함과 동시에, user 2의 현재 감정 상태를 화면(110)에 표시된 GSR 데이터 플롯(160)을 이용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110) 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들(120, 121, 122)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110) 내의 미리 설정된 추천 영역(170)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추천 영역(170)으로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user 2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121)을 화면(110) 상단의 추천 영역(170)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user 2에게 추천하는 메시지를 서버(200)를 통해 또는 직접 제2 컨텐츠 재생 장치(4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추천 메시지를 확인한 user 2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41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추천한 컨텐츠를 바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영역(170)으로 이동된 아이콘(121)은 나머지 아이콘들(120, 122)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영역(170)으로 이동된 제2 아이콘(121)은 제1 및 제3 아이콘들(120, 122)과 상이한 형상 또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아이콘(121)은 그린(green) 색상으로 표시되고, 제1 및 제3 아이콘들(120, 122)은 블루(blue)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영역(170)은 사용자가 해당 영역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의자 또는 쇼파 등과 같은 형상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user 2의 아이콘(121)을 추천 영역(170)에 위치한 의자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user 2에게 자신이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용이하게 공유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감정을 교류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획득 또는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컨텐츠의 일부분을 추출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감정 정보를 이용해 시청 컨텐츠 중 사용자가 웃거나 흥분하는 등 감정이 급격히 변화된 장면을 스크린 샷(screen shot) 등의 형태로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컨텐츠의 하이라이트(high light)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감정 정보를 이용해 복수의 사용자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및 user 1 내지 user 3이 동일한 감정 수치 또는 함께 급격한 감정 변화를 일으킨 화면을 컨텐츠로부터 추출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하이라이트(high light)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명의 등록된 사용자들, 즉 user 1 내지 3에 대한 시청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청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의 추가 또는 삭제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버(200)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3 컨텐츠 재생 장치(400, 410, 420)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 또는 감정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0)로 전송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등록된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중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즉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 또는 감정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복수의 아이콘들(120, 121, 122)과 대응시켜 사용자별로 표시하는 등의 동작은 리모트 컨트롤러(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재생 장치(600)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5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 및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 또는 감정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이용해 컨텐츠 재생 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확인하여 컨텐츠를 공유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과 대응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 컨텐츠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여부 및 시청 컨텐츠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제1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컨텐츠 추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감정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제2 사용자에 대한 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선택시 상기 수신된 감정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8.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또는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 컨텐츠의 일부분을 추출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9.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 피부 전기 반사(GSR, Galvanic Skin Respons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검출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제3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가 시청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KR1020100035506A 2010-04-16 2010-04-16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KR20110115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06A KR20110115906A (ko) 2010-04-16 2010-04-16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06A KR20110115906A (ko) 2010-04-16 2010-04-16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06A true KR20110115906A (ko) 2011-10-24

Family

ID=4503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506A KR20110115906A (ko) 2010-04-16 2010-04-16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454A (ko) * 2013-01-04 2014-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454A (ko) * 2013-01-04 2014-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348B2 (en) Method of recommending broadcasting contents and recommending apparatus therefor in multimedia contents reproducing device
US8863185B2 (en) Social television
KR102017301B1 (ko)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0914900A (zh) 用于为若干语音操作的用户设备生成基于音量的响应的系统和方法
JP2019118158A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US201400780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apturing attention of the user when content meeting a criterion is being presented
US8782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teractions with media by members of a social software system
US9253538B2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video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30167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authorized use of a user equipment device
EP255778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JP2018516516A (ja) インタラクション情報処理方法、クライアント、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90026801A (ko)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재생 목록의 미디어에 대한 지속적인 액세스를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918835A (zh) 可控制的设备伴侣数据
JP2020534748A (ja) メディアガイド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てインターネットアプライアンス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3194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to particular users based on perceived lulls in media assets
EP3025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e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content by way of a display screen and a remote controller
JP201404988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記憶媒体
JP2012009957A (ja) 評価情報通知装置、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評価システム、評価情報通知装置の制御方法、評価情報通知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4158193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コンテンツサーバ、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プログラム
TWI558189B (zh) 用於社群使用者量化之方法、裝置及使用者介面
US9924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using terminal
JP2014027635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627169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2015031947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 mod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ticular users based on perceived lulls in media assets
KR20110115906A (ko) 컨텐츠 시청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