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828A -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828A
KR20110115828A KR1020100035376A KR20100035376A KR20110115828A KR 20110115828 A KR20110115828 A KR 20110115828A KR 1020100035376 A KR1020100035376 A KR 1020100035376A KR 20100035376 A KR20100035376 A KR 20100035376A KR 20110115828 A KR20110115828 A KR 2011011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oolbar
screen
area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407B1 (ko
Inventor
배한상
Original Assignee
두산동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동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동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4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웹 기반의 교육 매체와 같이 인터넷과 PC가 필요없고,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자가 문제를 풀 수 있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키패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인가되면,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화면 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상기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으로 사용자가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인트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문제집 중 어느 하나를 풀 수 있도록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문제지를 풀기 전에 모의고사 모드 또는 학습 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모드 선택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표시하는 문제지 풀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다 푼 문제를 채점하는 채점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EL PROVIDING TEST EDUCATION}
본 발명은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웹 기반의 교육 매체와 같이 인터넷과 PC가 필요없고,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자가 문제를 풀 수 있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및 인터넷의 확산으로 지식의 확산, 이전 ,축적이 용이한 사이버교육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주요 분야로 등장했으며, 미국, 유럽 등 교육선진국에서도 사이버교육 산업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의 경우 세계적인 초고속 인프라 및 인터넷의 이용자 수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 e-Learning 전문 업체 등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교육은 일단 인프라가 갖추어지면 교육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맞춤교육이 가능하고 지역 균형발전 및 빈부 격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평생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 교육시장이 확대 활성화되면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다양한 이용 매체의 개발 등의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사이버교육용 콘텐츠는 주로 웹을 이용한 웹 기반의 교육 매체와 동영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웹 기반의 교육 매체의 경우 인터넷과 PC가 필요하다는 시공간의 제약성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개인 휴대용 학습 단말기는 PDA, UMPC, PMP, 전자사전, 핸드폰 등으로 다양화되어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교육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다양화 및 휴대성을 지니게 되었으나, 교육용 콘텐츠는 아직 다양화되거나 다기능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출판물 형태로 존재하는 다양한 학습지들을 디지털 콘텐츠화하여 개인이 보유한 다양한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웹 기반의 교육 매체와 같이 인터넷과 PC가 필요없고,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자가 문제를 풀 수 있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키패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인가되면,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화면 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상기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으로 사용자가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인트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문제집 중 어느 하나를 풀 수 있도록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문제지를 풀기 전에 모의고사 모드 또는 학습 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모드 선택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표시하는 문제지 풀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다 푼 문제를 채점하는 채점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트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과,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과, 상기 사용자가 문제지를 풀 때 학습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세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팅 영역은 상기 인트로 화면에서 세팅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학습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세팅 툴바가 상기 인트로 화면 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팅 툴바는 글자의 크기를 소,중,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폰트 영역과, 음량의 크기를 적어도 5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영역과, 상기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사용자가 항상 학습모드, 항상 모의고사모드, 팝업보고결정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지 선택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문제집 중 원하는 문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리스트 영역과, 상기 각 문제지에 다른 사용자의 현재 학습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문제지 상태 영역과, 상기 문제지에 따른 히스토리를 볼 수 있는 히스토리 툴바, 상기 사용자가 푼 문제 중 오답을 저장해놓는 오답노트보기 툴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제를 저장해놓는 북마크보기 툴바, 상기 선택한 문제를 풀기 위해 선택하는 문제풀기 툴바로 구성된 학습 실행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지 리스트 영역은 다수의 문제집을 표시하는 문제집 폴더와, 상기 문제집 폴더에 따른 문제지를 나열하는 문제지 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제집 폴더는 폴더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집 폴더일 경우에 폴더를 열린 표시로 하며, 상기 사용자가 문제집 폴더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 닫힌 폴더 표시를 하며, 상기 문제지 폴더는 네모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지를 선택할 경우에 네모 아이콘에 색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지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 빈 네모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지 상태 영역은 상기 문제지가 학습완료 상태라면, 해당 문제지의 갯수와 정답 갯수를 상기 문제지 상태 영역에 "-/-"으로 표시하며, 상기 문제지가 학습중이라면,"STUDY"로 표시하며, 상기 문제지가 시험중이면, "TEST"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스토리 툴바는 해당 문제지를 학습하거나 테스트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 문제지에 따른 성적, 성적의 추이, 문제지를 학습한 날짜, 문제지를 테스트하는 걸리는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북마크 툴바를 선택하면, 북마크에 따른 북마크 화면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북마크 화면은 상기 북마크에 저장된 문제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과, 상기 북마크에 저장된 문제들 중 원하는 문제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선택 툴바, 북마크된 문제 중 필요없는 문제를 삭제하는 북마크 삭제 툴바, 정답 및 해설 툴바, 답안지 보기 툴바, 채점 툴바,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로 구성된 북마크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 풀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 풀기 화면은 상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과, 상기 현재 문제지 진행 상태를 표시하며, 권장시간 및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 영역과, 문제지 선택 툴바, 북마크하기 툴바, 정답 및 해설 툴바, 답안지 보기 툴바, 채점 툴바,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 최대 또는 최소화 툴바로 구성된 상기 문제 풀기에 따른 학습 진행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제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표시하며, 상기 문제가 듣기 평가가 포함되었을 경우에 듣기 평가를 재생 또는 정지할 수 있도록 정지 및 재생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문제 영역과, 상기 문제에 따른 답을 표시하는 정답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으로,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풀기 영역 또는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문제지 선택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문제지 선택 화면으로 실행되기전에 모의고사 모드 또는 학습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모의고사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문제지 풀기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권장 시간 내에 푸는 단계와, 상기 문제 풀기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가 푼 문제를 채점하며, 상기 문제의 정답 및 해설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제지 선택 화면은 다수의 문제집 중 원하는 문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리스트 영역과, 각 문제지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문제지 상태 영역과, 상기 문제지에 따른 히스토리를 볼 수 있는 히스토리 툴바, 상기 사용자가 푼 문제 중 오답을 저장해놓는 오답노트보기 툴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제를 저장해놓는 북마크보기 툴바, 상기 선택한 문제를 풀기 위해 선택하는 문제풀기 툴바로 구성된 학습 실행 표시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문제지 선택 화면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에 포함된 다수의 툴바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보조화면이 상기 문제지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 풀기 화면은 상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과, 상기 현재 문제지 진행 상태를 표시하며, 권장시간 및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 영역과, 문제지 선택 툴바, 북마크하기 툴바, 정답 및 해설 툴바, 답안지 보기 툴바, 채점 툴바,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 최대 또는 최소화 툴바로 구성된 상기 문제 풀기에 따른 학습 진행 표시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에 포함된 다수의 툴바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보조화면이 상기 문제지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문제집 및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모바일 단말기로써,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이어풀기 영역과,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을 인트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이전에 풀던 문제를 풀 수 있는 문제로 바로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계속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의고사 모드 또는 학습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화면이 있어 시험장에서 시험보는 것과 같이 문제를 풀 수 있으며, 자율학습과 같이 상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선택하여 학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제지 선택화면에서 각 문제지에 따른 학습완료, 학습중, 시험중과 같이 문제지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문제지를 실행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한 눈에 문제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여 듣기 평가가 포함된 문제를 풀 수 있으며, 학습 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듣기 평가를 재생 또는 정지를 선택하여 반복적으로 듣기 평가를 들을 수 있어 학습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화면에 따라 필요한 학습 실행 표시 영역에 대한 다수의 툴바를 포함함으로써 각 화면에 따른 원하는 툴바를 선택할 수 있어,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제를 풀 경우에 원하는 문제는 북마크에 저장함으로써 반복학습을 할 수 있으며, 오답 노트 툴바에 오답 처리된 문제를 저장할 수 있어 틀린 문제를 반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트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트로 화면에 따른 세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지 선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문제지 화면에 따른 히스토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문제지 화면에 따른 북마크 보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풀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 풀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정답 및 해설 툴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답안지 보기 툴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최대 또는 최소화 변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채점 및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12), 메모리부(114), 화면 표시부(116), 오디오 신호 출력부(118)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서 입력 정보를 손쉽게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펜(손가락)으로 표면을 가압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시키는 터치 패널을 화면의 표면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숫자키, 상하좌우의 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방향키, 선택키 등으로 키패드 입력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12)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입력부(110)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인가되면,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115)을 메모리부(114)로부터 리드하여 화면 표시부(116)로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부(116)로 공급한다.
메모리부(114)는 제어부(112)의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문제학습 컨텐츠나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115)을 저장한다. 문제 학습 컨텐츠는 수능기출문제집, 언어듣기 기출모음집, 토익(TOEIC), 토플(TOEFL), 텝스(TEPS) 등과 같은 영어 시험 문제집, 영어 시험 파트별 듣기평가집 등과 같이 다수의 문제집이 포함된다. 그리고, 문제 학습 어플레케이션(115)은 인트로 어플리케이션(130),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140), 모드 선택 어플리케이션(260), 문제풀기 어플리케이션(170), 채점하기 어플리케이션(220), 정답 및 해설 어플리케이션(296)을 포함할 수 있다.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115)은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통해 원하는 화면을 선택하게 되면, 그에 따른 화면이 실행된다.
여기서,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트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트로 화면에 따른 세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트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트로 화면(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초기 화면으로,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132)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134)과, 사용자가 문제지를 풀 때 학습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세팅 영역(122)과,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영역(124)을 표시한다.
문제지 선택 영역(132) 및 이어풀기 영역(134) 각각은 화면 표시부 중앙에 표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화면의 일부만 차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세팅 영역(122)은 전체 화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표시되었으나,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팅 영역(122)은 사용자가 인트로 화면(130)에서 세팅을 선택하게 되면, 폰트/음량/모드/버튼음 등의 학습 환경을 위한 기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세팅 영역(122)을 선택하면, 세팅 영역(122)에 따른 세팅 툴바(252)가 인트로 화면(130) 위에 표시된다. 세팅 툴바(252)는 폰트 영역(262), 볼륨 영역(264), 모드 영역(266), 버튼음 영역(268)을 포함한다.
폰트 영역(262)은 글자의 크기를 소,중,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볼륨 영역(264)은 음량의 크기를 적어도 5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버튼음(268)은 사용자가 화면 표시부의 기능들을 선택할 때 버튼음의 유/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영역(266)은 문제풀이 모드를 팝업보고결정모드, 항상 학습모드, 항상 모의고사 모드 중 어느 한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팝업보고결정모드는 문제지를 열 때마다 모드선택팝업이 오픈되어 문제지마다 학습 모드 또는 모의고사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이며, 항상 학습 모드는 문제지를 열 때 별도의 선택 없이 학습모드로 바로 진입하는 모드이며, 항상 모의고사 모드는 문제지를 열 때 별도의 선택 없이 모의고사모드로 바로 진입하는 모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지 선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문제지 화면에 따른 히스토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문제지 화면에 따른 북마크 보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문제지 선택 화면(140)은 사용자가 인트로 화면(130)에서 문제지 선택 영역(132)을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수의 문제집 중 원하는 문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리스트 영역(142)과, 각 문제지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학습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문제지 상태 영역(148)과, 사용자의 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툴바(152,154,156,158)를 포함하는 학습 실행 표시 영역(150)을 표시한다. 또한, 문제지 선택 화면(140)에는 현재 진행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네임 영역(138)과, 이전화면(BACK)을 가거나 현재 화면을 종료(EXIT)하기 위한 화면 이동 영역(136)을 포함한다.
문제지 리스트 영역(142)은 다수의 문제집을 표시하며, 각 문제집 패키지 별로 나눠져서 사용자가 문제집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문제지 리스트 영역(142)은 수능기출문제집, 언어듣기 기출모음집, 토익(TOEIC), 토플(TOEFL), 텝스(TEPS) 등과 같은 영어 시험 문제집, 영어 시험 파트별 듣기평가집 등과 같이 문제집을 표시하는 문제집 폴더(144)를 가지며, 각 문제집 폴더(144)는 문제집에 따른 다수의 문제지 폴더(146)를 표시한다. 예로 들어, 문제집 폴더(144)가 수능기출문제집이라하면, 수능기출문제집에 따른 언어영역, 외국어 영역, 수리 영역Ⅰ, 수리 영역Ⅱ의 문제지를 나타내는 문제지 폴더(146)로 나눠져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문제집 폴더(144) 및 문제지 폴더(146)는 각 폴더의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데, 문제집 폴더(1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문제지 폴더(146)는 네모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집 폴더(144)일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가 열린 표시를 하게 되며, 열린 문제집 폴더(144)일 경우에 문제집 폴더(144)에 포함된 다수의 문제지(146)인 문제지 폴더(146)들이 나열되게 되며, 사용자가 문제집 폴더(144)를 선택하지 않으면 닫힌 폴더 표시를 하게 되며, 다수의 문제지(146)를 나열하여 표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원하는 문제지 폴더(146)를 선택하게 되면, 네모 아이콘의 색이 표시되어 있으며, 선택하지 않은 문제지 폴더(146)는 색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빈 네모 아이콘으로 표시하게 된다.
문제지 상태 영역(148)은 각 문제지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학습 완료 상태를 표시한다. 문제지 상태 영역(148)은 각 문제지에 대해 학습 완료, 학습중(학습 모드), 시험중(모의고사 모드) 중 어느 한 상태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해당 문제지를 다 푼 학습 완료 상태라면, 그 문제지에 따른 문제지 상태 영역에는 채점결과가 표시된다. 예로 들어, 해당 문제지의 문제가 30문제이고, 테스트 한 결과, 30문제 중 18개가 정답이였다면, 학습완료의 문제지에는 "18/30"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문제지에 대해 학습중(학습모드)라면, "STUDY"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문제지에 대해 시험중(모의고사 모드)라면, "TEST"라고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제지 상태 영역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PART2의 문제지에는 "STUDY"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 문제지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학습 상태는 학습중(학습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문제지 화면을 실행하지 않아도 각 문제지에 따른 상태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풀지 못했던 문제를 쉽게 찾아낼 수 있으며, 복습하기도 용이하다.
학습 실행 표시 영역(150)은 히스토리 툴바(152), 오답노트보기 툴바(154), 북마크보기 툴바(156), 문제풀기 툴바(158)를 포함한다. 학습 실행 표시 영역(150)은 사용자가 해당 툴바를 선택하면, 해당 툴바에 대응하는 상세 화면이 실행된다.
히스토리 툴바(152)는 해당 문제지를 학습하거나 테스트한 이력이 있을 경우에, 문제지에 따른 성적, 성적의 추이, 문제지를 학습한 날짜, 문제지를 테스트하는데 걸린 시간 등을 표시하는 해당 문제지의 이력을 나열한다. 이와 같이, 문제지의 히스토리를 통해 학습한 날짜, 시간 경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학습 수준을 알게 된다. 또한, 토익, 토플 등과 같은 어학시험과 같이 시간을 확인해야하는 경우에 중요하므로 활용도가 높다.
오답노트보기 툴바(154)는 사용자가 채점한 결과, 틀린문제가 저장되며, 저장된 오답을 볼 수 있다.
북마크보기 툴바(156)는 문제지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제만을 별도로 저장하여 반복할 수 있다. 북마크보기 툴바(156)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북마크 보기 툴바에 따른 상세 화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북마크보기 툴바(156)는 북마크에 저장된 문제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272)과, 북마크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90)을 표시한다.
북마크에 따른 문제 표시 영역(272)은 사용자가 선택한 북마크 문제지를 표시하는 북마크 문제 표시 영역(272)과, 문제에 따른 답을 표시하는 북마크 정답 표시 영역(276)과, 문제 풀기에 따른 다수의 툴바를 포함하는 학습 실행 표시 영역(290)이 된다. 또한, 북마크에 따른 문제 표시 영역(272)은 듣기 평가가 포함된 문제일 경우에 듣기 평가를 재생(▶)하거나 정지(■)할 수 있는 정지 및 재생 선택 영역(278)이 포함된다.
북마크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90)은 문제지 선택 툴바(292), 북마크 삭제 툴바(294), 정답 및 해설 툴바(296), 답안지 보기 툴바(298), 채점 툴바(300),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310)를 포함한다. 북마크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90)의 각 툴바(292,294,296,298,300,3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각 툴바(292,294,296,298,300,310)를 실행시키면 각 툴바(292,294,296,298,300,3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보조 화면이 자동 실행되어 현재 실행 화면 위에 표시된다.
문제지 선택 툴바(292)는 북마크에 저장된 문제들 중 원하는 문제를 선택할 수 있다.
북마크 삭제 툴바(294)는 북마크된 문제 중 더 이상 북마크 해 놓을 필요가 없는 문제를 삭제한다. 여기서, 북마크 삭제는 지문 하나에 여러 개의 문제가 묶어 있는 문제일 경우에 하나의 세트 문제로 적용되어 삭제시 세트 문제별로 삭제된다. 따라서, 세트 문항일 경우에 그 중 하나의 문제만을 별도로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북마크에 따른 정답 및 해설 툴바(296), 답안지보기 툴바(298), 채점 툴바(300)는 문제지 풀기 화면(170)에 표시되는 학습 실행 표시 영역(190)에 포함된 정답 및 해설 툴바(196), 답안지 보기 툴바(198), 채점 툴바(2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문제지 풀기 화면(170) 설명시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북마크 실행 화면는 북마크된 문제를 학습할 때에는 학습 모드 또는 모의고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없으며, 소용시간 및 권장시간 등과 같이 시간 관리가 되지 않으며, 히스토리에도 저장할 수 없다.
모드 선택 화면(260)은 선택한 문제지를 학습하기 전에, 사용자가 시간제한 없이 평상시 문제를 푸는 상황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학습 모드 영역(262) 또는 시험보는 상황과 동일하게 시간 제한이 있는 모의고사 모드 영역(264)이 문제지 선택 화면(140) 위에 표시된다. 모드 선택 화면(260)은 학습 모드 또는 모의고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제풀기를 시작할 수 있다.
학습 모드(262)는 사용자가 시간제한 없이 평상시 문제지를 푸는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다. 학습 모드(262)에서는 각 문항별로 문제를 풀 때마다 해당 문제에 따른 정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문제를 풀기 전이라도 정답 및 해설을 볼 수 있다. 또한, 듣기 평가와 같은 음성이 있는 문제라면 원하는 만큼 재생하여 다시 듣기를 할 수 있어 반복학습을 할 수 있다.
모의 고사 모드(264)는 주어진 권장 시간 내에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실제 시험장 환경과 같은 조건으로 사용자의 실력을 검증하고자 하는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다. 모의 고사 모드는 학습 모드와 달리 문제마다 정답을 확인할 수 없고 문제지의 모든 문제를 다 푼 후, 모든 문제를 동시에 채점하는 방식이며, 채점 후에 정답 및 해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듣기 평가가 있는 문제일 경우에 시험장에서와 같이 한번만 재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풀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 풀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정답 및 해설 툴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답안지 보기 툴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문제 풀기 화면에 따른 최대 또는 최소화 변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문제 풀기 화면(170)은 사용자가 문제지 및 모드를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172)과, 문제 풀기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190)과, 현재 문제지 진행 상태를 표시하며, 권장시간 및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 영역(162)이 표시된다. 또한, 문제 풀기 화면(170)에는 현재 진행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네임 영역(138)과, 이전화면(BACK)을 가거나 현재 화면을 종료(EXIT)하기 위한 화면 이동 영역(136)을 포함한다.
문제 표시 영역(172)은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 영역(172)과, 문제에 따른 답을 표시하는 정답 표시 영역(176)과, 문제 풀기에 따른 다수의 툴바를 포함하는 학습 실행 표시 영역(190)이 된다. 또한, 문제 표시 영역(172)은 듣기 평가가 포함된 문제일 경우에 듣기 평가를 재생(▶)하거나 정지(■)할 수 있는 정지 및 재생 선택 영역(178)이 포함된다.
문제 풀기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190)은 문제지 선택 툴바(192), 북마크하기 툴바(194), 정답 및 해설 툴바(196), 답안지보기 툴바(198), 채점 툴바(200),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202), 최대 또는 최소화 툴바(204)를 포함한다. 문제 풀기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190)의 각 툴바(192,194,196,198,200,20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각 툴바(192,194,196,198,200,202)를 실행시키면 각 툴바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보조 화면이 자동 실행되어 현재 실행 화면 위에 표시된다.
문제지 선택 툴바(192)는 현재 풀고 있는 문제지 외에 다른 문제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시 문제지 선택 화면으로 실행된다.
북마크하기 툴바(194)는 문제지를 풀 때 원하는 문제만을 별도로 저장된다. 여기서, 북마크하기는 지문 하나에 여러 개의 문제가 묶어 있는 문제일 경우에 세트 문항으로 저장된다.
정답 및 해설 툴바(196)는 각 문제에 따른 정답 및 해설을 보여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답은 - 입니다"로 표시되며, 정답에 따른 해설 또는 출제의도를 표시해준다. 정답 및 해설에 따른 보조 화면(296)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정답 및 해설 툴바(196)는 모의고사 모드일 경우에는 문제를 다 푼 후에 실행할 수 있으며, 학습 모드일 경우에는 문제풀기 전이나 후, 사용자가 원할때 실행할 수 있다.
답안지 보기 툴바(198)는 사용자가 체크한 답을 나열해주거나, 사용자가 체크한 답과 정답을 비교하여 표시해준다. 구체적으로, 답안지 보기 툴바(198)는 채점 전일 경우에 각 문항별 사용자가 체크한 답을 나열해 한눈에 보여주는 보조화면(298)이 실행되며, 채점 후일 경우에 각 문항별로 사용자가 체크한 답과 정답을 비교하여 채점 결과를 O,X로 표시하는 답안지 보조화면(298)이 실행된다. 답안지 보조화면(298)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X 표시를 하는 채점, 각 문항별 번호, 사용자가 체크한 답, 각 문항별 정답을 나열한다. 또한, 답안지 보조화면에 표시된 문제번호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번호에 따른 문제 화면으로 바로 실행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채점 및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채점 및 결과 화면(220)은 해당 문제지를 채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정답 갯수와 오답 갯수를 O,X로 문제지 화면 위에 채점 보조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문제를 풀지 않았을 경우에도 채점하기 툴바를 선택하게 되면, 그대로 채점이 진행되므로, 채점하기 툴바를 선택하기 전에 "답안지"를 통해 풀지 않은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여 결과에 대한 오차가 없도록 한다.
채점 결과 화면(220)은 채점 보조 화면(222)과, 채점 결과에 따른 점수(242)를 표시하며, 모든문항보기(244) 및 오답문항보기(246)를 표시하는 오답 문항 및 점수 표시 영역(224)과, 정답 및 해설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30)이 표시된다. 채점 결과 화면(220)에서 "오답문항보기(246)"를 선택하면, 틀린 문제만으로 구성된 오답노트를 볼 수 있으며, 정답 및 해설 툴바를 실행시킨 상태에서 이전 문항 및 다음 문항 툴바를 선택하면서 틀린 이유를 살피며 학습 결과를 점검할 수 있다.
채점 결과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30)은 닫기 툴바(232), 정답 및 해설 툴바(234), 답안지보기 툴바(236),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238)를 포함한다. 채점 결과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30)의 각 툴바(232,234,236,238)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각 툴바(232,234,236,238)를 실행시키면 각 툴바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보조 화면이 자동 실행되어 현재 실행 화면 위에 표시된다. 각 툴바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112)는 전원 온 등의 이벤트 발생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학습 형태에 대한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 뒤,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115)을 실행한다.(S20)
우선, 사용자로부터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134)과,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132)이 표시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인 인트로 화면(130)이 도 2와 같이 표시된다.(S22) 사용자가 인트로 화면(130)을 통해 이어풀기 영역 또는 문제지 선택 영역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따른 화면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인트로 화면(130)을 통해 문제지 선택 영역(132)을 선택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문제지 선택 영역(132)을 선택함으로써 문제지 선택 화면(140)이 실행된다.(S24) 문제지 선택 화면(140)이 실행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문제집 중 원하는 문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리스트 영역(142)과, 각 문제지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학습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문제지 상태 영역(148)과, 사용자의 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툴바를 포함하는 학습 실행 표시 영역(150)이 표시된다. 예로 들어, 문제지 리스트 영역(142)에서 원하는 문제지(LC PART2)를 선택한 후, 실행 표시 영역(150)의 문제 풀기 툴바(158)를 선택하게 되면, 원하는 문제지 화면(LC PART2)이 표시된다.(S26)
이와 같이, 문제지 선택하는 방법은 원하는 문제지 폴더(146)를 선택한 후, 실행 표시 영역(150)의 문제 풀기 툴바(158)를 선택하여 문제지 화면(LC PART2)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문제지 폴더(146)를 두 번 입력하여도 문제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선택한 문제지를 학습하기 전에, 사용자가 시간제한 없이 평상시 문제를 푸는 상황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학습 모드 영역(262) 또는 시험보는 상황과 동일하게 시간 제한이 있는 모의고사 모드 영역(264)을 포함하는 모드 선택 화면(260)이 문제지 선택 화면(140) 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모드 선택 화면(260) 중 모의고사 모드 영역(264) 및 학습 모드 영역(26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에 따른 화면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모의고사 모드(264)를 선택하게 되면, 주어진 권장 시간 내에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실제 시험장 환경과 같은 조건으로 사용자의 실력을 검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학습 모드(262)를 선택하게 시간 제한 없이 학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의고사 모드(262)를 선택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모의고사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풀게 된다.(S28) 즉, 사용자가 선택한 현재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172)과, 문제지 풀기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190)과, 현재 문제지 진행 상태를 표시하며, 권장시간 및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 영역(162)을 포함하는 문제지 풀기 화면(170)이 실행된다.
해당 문제지를 다 풀게 되면(S3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점 결과를 표시하는 채점 보조 화면(222)이 문제지 화면 위에 표시되며, 채점 결과에 따른 점수 표시(224)하며, 모든문항보기(244) 및 오답문항보기(246)를 표시하는 오답 및 점수 표시 영역(224)과, 정답 및 해설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230)을 포함하는 채점 및 결과 화면(220)이 실행된다.(S32)
채점 결과를 확인한 다음, 학습 실행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정답 및 해설 툴바를 선택하면(S34), 정답 및 해설, 출제의도를 표시하는 정답 및 해설 보조 화면이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자명하다.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입력부
112 : 제어부 114 : 메모리부
115 :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 116 : 화면 표시부
118 : 오디오 신호 출력부 122 : 세팅 영역
130 : 인트로 화면 132 : 문제지 선택 영역
134 : 이어 풀기 영역 140 : 문제지 선택 화면
150 : 문제지 선택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
152 : 히스토리 툴바 154 : 오답노트보기 툴바
156 : 북마크 보기 툴바 158 : 문제풀기 툴바
170 : 문제지 풀기 화면 172 : 문제 표시 영역
174 : 문제 영역 176 : 정답 표시 영역
190 : 문제지 풀기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
194 : 북마크하기 툴바 196,234 : 정답 및 해설 툴바
198,236 : 답안지 보기 툴바 200 : 채점 툴바
220 : 채점 결과 화면

Claims (7)

  1.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키패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인가되면,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화면 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상기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으로 사용자가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인트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문제집 중 어느 하나를 풀 수 있도록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문제지를 풀기 전에 모의고사 모드 또는 학습 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모드 선택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표시하는 문제지 풀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가 다 푼 문제를 채점하는 채점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문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문제지를 푸는 문제지 선택 영역과;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풀던 문제를 이어푸는 이어풀기 영역과;
    상기 사용자가 문제지를 풀 때 학습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세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지 선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지 선택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문제집 중 원하는 문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리스트 영역과;
    상기 각 문제지에 다른 사용자의 현재 학습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문제지 상태 영역과;
    상기 문제지에 따른 학습하거나 테스트한 이력을 볼 수 있는 히스토리 툴바, 상기 사용자가 푼 문제 중 오답을 저장해놓는 오답노트보기 툴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제를 저장해놓는 북마크보기 툴바, 상기 선택한 문제를 풀기 위해 선택하는 문제풀기 툴바로 구성된 학습 실행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지 상태 영역은
    상기 문제지가 학습완료 상태라면, 해당 문제지의 갯수와 정답 갯수를 상기 문제지 상태 영역에 "-/-"으로 표시하며, 상기 문제지가 학습중이라면,"STUDY"로 표시하며, 상기 문제지가 시험중이면, "TEST"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툴바를 선택하면, 북마크에 따른 북마크 화면으로 실행되며,
    상기 북마크 화면은
    상기 북마크에 저장된 문제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과;
    상기 북마크에 저장된 문제들 중 원하는 문제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지 선택 툴바, 북마크된 문제 중 필요없는 문제를 삭제하는 북마크 삭제 툴바, 정답 및 해설 툴바, 답안지 보기 툴바, 채점 툴바,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로 구성된 북마크에 따른 학습 실행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풀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 풀기 화면은
    상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지를 표시하는 문제 표시 영역과;
    상기 현재 문제지 진행 상태를 표시하며, 문제에 따른 권장시간 및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 영역과;
    문제지 선택 툴바, 북마크하기 툴바, 정답 및 해설 툴바, 답안지 보기 툴바, 채점 툴바, 이전문항 및 다음문항 툴바, 최대 또는 최소화 툴바로 구성된 상기 문제 풀기에 따른 학습 진행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지를 표시하며, 상기 문제가 듣기 평가가 포함되었을 경우에 듣기 평가를 재생 또는 정지할 수 있도록 정지 및 재생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문제 영역과;
    상기 문제에 따른 답을 표시하는 정답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100035376A 2010-04-16 2010-04-16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16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376A KR101160407B1 (ko) 2010-04-16 2010-04-16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376A KR101160407B1 (ko) 2010-04-16 2010-04-16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828A true KR20110115828A (ko) 2011-10-24
KR101160407B1 KR101160407B1 (ko) 2012-07-03

Family

ID=4503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376A KR101160407B1 (ko) 2010-04-16 2010-04-16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4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246A1 (ko) * 2013-08-07 2015-02-12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KR20160032335A (ko) * 2014-09-15 2016-03-24 (주)위버스마인드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WO2018105833A1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뤼이드 단말의 학습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20180083730A (ko) * 2017-01-13 2018-07-23 전대권 모의시험 자동채점 시스템
KR20190008977A (ko) * 2019-01-18 2019-01-25 (주)뤼이드 단말의 학습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20190095605A (ko) 2018-01-25 2019-08-16 이향룡 누구나 쉽게 만들고 말하며 답을 가르쳐주는 전자시험책 시스템
KR102282307B1 (ko) * 2020-12-14 2021-07-28 이덕호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246A1 (ko) * 2013-08-07 2015-02-12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KR20160032335A (ko) * 2014-09-15 2016-03-24 (주)위버스마인드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WO2018105833A1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뤼이드 단말의 학습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US11322036B2 (en) 2016-12-05 2022-05-03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US11823593B2 (en) 2016-12-05 2023-11-21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KR20180083730A (ko) * 2017-01-13 2018-07-23 전대권 모의시험 자동채점 시스템
KR20190095605A (ko) 2018-01-25 2019-08-16 이향룡 누구나 쉽게 만들고 말하며 답을 가르쳐주는 전자시험책 시스템
KR20190008977A (ko) * 2019-01-18 2019-01-25 (주)뤼이드 단말의 학습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102282307B1 (ko) * 2020-12-14 2021-07-28 이덕호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407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wo et al. Meta-analysis of MALL research and design
KR101160407B1 (ko)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20170141264A (ko) 수직 통합형 모바일 컴퓨터 시스템
Sharkey Establishing twenty-first-century information fluency
US20210005097A1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Kouroupetroglou et al.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web-based inventories of mobile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s
Rubio et al. Hybri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Looking forward
Cruz Arcila ELT policy interpretations and translations in rural Colombia
Levy et al. CALL design and research
KR101506885B1 (ko) 학습미디어 기반 스마트 학습관리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제공방법
Fayed et al. Exploring the impact of using tablet devices in enhanci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in tertiary education
Valstad Introducing the iPad in a Norwegian high school: How do students and teachers react to this technology
Ibrahim Using digital read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EFL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mong Faculty of Education students
Hochstetler et al. Moving writing out of the margins in edTPA:“Academic language” in writing teacher education
Kumar Goodbye textbook, hello iPad: Accelerating effectiv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Macharia et al. User interface technical usability requirements for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Wali Reinterpreting mobile learning: an activity theoretic analysis of the use of portable devices in higher education
KR102460272B1 (ko)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upin A study of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middle schools
JP6953825B2 (ja) 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Schmidt et al. Applying Course Activities and Accessibility Standards to Online Business Course Design.
Helfrich The influence of learning object interactivity on student achievement
Wakefield Technical Training Basics
Ran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Marathi
Vanleene et al. Flipping the Classroom to Teach an Exploratory French Civilization Cours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