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789A -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789A
KR20110115789A KR1020100035311A KR20100035311A KR20110115789A KR 20110115789 A KR20110115789 A KR 20110115789A KR 1020100035311 A KR1020100035311 A KR 1020100035311A KR 20100035311 A KR20100035311 A KR 20100035311A KR 20110115789 A KR20110115789 A KR 20110115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discharged
heat
carbon dioxide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철
조성주
이건재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0003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789A/ko
Publication of KR2011011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처리한 선박평형수를 배출함에 있어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내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배기하여 제거하거나,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내에 잔존하는 해양미생물을 이차적으로 사멸시키거나, 상기 선박평형수 내의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이 배기되어 제거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제거로 인하여 상기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해수의 수소이온농도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배출시킬 선박평형수를 선박엔진 배출가스와 접촉 처리하는 경우, 지구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배출가스 제어에 실천적으로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pH를 일반해수의 pH에 근접되게 하는 희석효과로 인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선박평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보다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Ballast water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박엔진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와 열교환을 하며, 혹은 부족한 열의 보충을 도모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태양열과 전기열을 이용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되게 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중의 이산화탄소를 배기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해수의 수소이온농도에 근접되게 하여 선박평형수의 배출에 따른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남아 있는 해양미생물을 사멸되도록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평형수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80%가 선박에 의해 국제적으로 이동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박이동을 위해 매년 약 30 ~ 50 억 톤의 해수가 국제적 수역에서 이동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박에 의한 재화의 국제적 이동으로 선박 외부에 부착되거나 선박평형수에 포함되어 전이된 외래 해양미생물은 지역 해양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로를 통한 외래종의 유입은 해양생태계를 교란하는 요인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의 교란은 토착 생물의 멸종은 물론 고유한 해양생태환경을 파괴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단순한 해양오염보다 더 심각한 현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는 선박으로부터 화물의 반출시 부력에 의해 선박의 무게중심이 높아짐에 따라 선박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 반출량에 비례하여 선박 내에 저장되는 해수를 말한다. 반대로 선박에 화물 적재 시에는 선박평형수를 배출하게 되는데, 배출량 역시 화물의 적재량에 비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박운항에 반드시 필요한 선박평형수의 문제는 국제간 교역량의 증가에 따라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해양미생물 개체의 지리적 이동을 초래하게 되었고, 이러한 해양미생물 개체의 이동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는 원인으로 지목되었던 것이다.
선박평형수의 이동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현실을 살펴보면, 선박평형수의 이동과 배출로 인하여 외국이나 다른 지역의 해양미생물종 등이 해당 배출지역의 환경에 적응하게 되는 경우, 왕성한 번식이 발생함으로써 해당 해역에 자연스럽게 토착화되며, 동시에 인근의 해역으로 확산된다. 즉, 토착 해양생물자원이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상황에 다라 외래종과 토착종 사이에서 균형상태가 유리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여 해당 해역의 생태계는 먹이사슬에서 야기되는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종 변화로 인하여 경제적인 측면은 물론 종류별 수산물 생산에도 결정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외래 해양미생물의 유입은 원치 않는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우리의 생활도 우리의 의도와 상관이 없이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인천항과 부산항에서 조사된 뉴질랜드, 타이완, 홍콩, 싱가폴, 북태평양, 파키스탄과 일본 근해 등지에서 유입된 선박평형수 중의 해양미생물 종인 식물플랑크톤, 원생동물플랑크톤, 후생동물플랑크톤, 기타 플랑크톤 등을 종, 속, 또는 상위 단계 분류군으로 구분하여 보면, 전체 분류군의 수는 7 내지 53개의 범위를 보이고 있다. 한편, 분류된 해양미생물의 출현 분류군 수는 모두 170개(식물플랑크톤: 돌말류와 와편모조류 및 기타 90개, 후생동물플랑크톤 56개, 원생동물플랑크톤 24개)이다(Yoo et al. 2006). 선박평형수 내의 해양미생물 각각은 취수해역에 따른 분포로서 알 수 있으나, 선박평형수의 교환작업에서 선박평형수는 서로 완전히 교체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호 혼재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을 염두에 두고 이들 해양미생물 등을 처리대상 기준으로 삼아 선박평형수 내의 해양미생물 등을 사멸ㆍ처리한다고 한다면, 더욱 가치가 있는 유용한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같은 선박평형수 이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경제적 피해를 막고,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는 2004년 2월 '선박의 선박평형수와 침전물의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다. 또한 2015년 말까지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에 의무적으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탑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선박배출가스
선박엔진의 배출가스 현황을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대부분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산정(算定)과 관련하여 관찰되는 기초 데이터는 우선적으로 로이드-페어플레이 데이터베이스(Lloyds-Fairplay Database)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르면 2007년도의 전세계 총 선수는 45,620척에 839.95백만 톤, 여객선 2,801척에 93.67백만 톤, 400GT급 이하 선박 6,281척에 9.82백만 톤으로서 이산화탄소의 총배출량은 943.44백만 톤이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은 해양오염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등이 적극적으로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국제해사기구'에서도 이에 대한 규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선박 배출가스의 구성 성분비율을 살펴보면, 대략적으로 CO2 95.48%, NO2 2.76%, SO2 1.10%, CO 0.11%, HC 0.33%, 및 PM 0.22% 정도이지만(MAN Diesel 기준 2004), 2007년 기준으로 각종 선박 45,620척에서 나온 전세계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943.44백만 톤으로서 집계된 바 있어, 선박 운항으로 발생되는 대기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에 대한 처리는 해양미생물의 전이문제 만큼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로 판단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 이르기까지 제시된 선박평형수 처리기술 중의 하나인 해양미생물에 대한 사멸방법은 과산화염물법, 오존법, 전기분해법, 자외선법, 탄산소법, 엔진 배출가스법, pH법, 그리고 고온법 등으로서 대략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어느 방법을 선택하든지 해양미생물 등이 사멸된 후 처리된 선박평형수를 배출할 때, 특히 선박엔진의 배출가스로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킨 경우 또는 pH법으로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킨 경우에 본 특허 고유의 방법을 적용하여 선박평형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해양미생물이 사멸ㆍ처리된 선박평형수를 배출할 때 해양미생물이 사멸되었다는 사실 만을 고려하여 별 다른 처리 없이 선박평형수를 배출하는 것도 사실이어서, 이 점에 대해서도 착안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에 대한 후처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해양미생물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사멸ㆍ처리를 위하여 선박평형수의 배출에 있어 후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더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선박평형수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pH법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을 살펴보면, 염산과 같은 휘발성의 산성 물질 등을 선박평형수에 주입하여 선박평형수의 pH를 산성으로 변화시켜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과 선박엔진에서 배출하는 선박엔진 배출가스(stack gas from marine engine)를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에서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를 후처리해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선박평형수 배출의 원천적인 틀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처리한 후 선박평형수의 후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선박평형수의 배출을 해양오염방지 차원에서 추진함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선박평형수의 처리기술을 확장ㆍ제공하는 것이다.
해수에 포함된 해양미생물은 대부분 낮은 pH에서 사멸되는 까닭에 pH 조정을 통하여 선박평형수 내의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키고자 하는 경우, 바람직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는 pH 5.0 이하이며, 낮은 pH는 부식의 문제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pH의 조절에 대하여 적절한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pH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조정의 용이성과 경제적인 이득과 환경에 대한 영향 등을 감안하면 선박엔진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수소이온농도를 높임으로써 선박평형수 내의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이 때 사용되는 선박엔진의 배출가스는 열교환을 통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여 선박엔진의 배출가스를 냉각시킨 상태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헨리의 법칙).
한편 선박엔진의 배출가스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까지 상승시키지 못하는 경우, 선박평형수의 pH를 조정한 후에도 산성 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선박평형수 내의 산성 물질을 배제하고 남아 있는 해양미생물을 추가 제거하기 위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추가적으로 가열해야 한다. 그러므로 부족한 열의 보충을 도모하기 위하여 별도로 고안된 태양열이나 전기열을 사용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에 남아 있는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이 배기되어 분리되도록 하고, 혹 사멸되지 않고 남아 있는 나머지 해양미생물을 이차적으로 사멸ㆍ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현상은 이산화탄소로 pH를 조정할 경우, 헨리의 법칙(Henry's Law)을 따르는 CO2 기체의 특성과 잘 부합하는 선박평형수의 후처리단계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에 더해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높은 수소이온농도를 희석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일반해수의 pH에 근접시키는 결과가 도출됨으로써 해양환경 제어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시킬 선박평형수를 선박엔진 배출가스와 접촉 처리하는 경우, 지구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배출가스 제어에 실천적으로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pH를 일반해수의 pH에 근접되게 하는 희석효과로 인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선박평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보다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처리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다.
사멸ㆍ처리 후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선박엔진 배출가스의 고유한 열과 혹은 부족한 열의 보충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태양열과 전기열로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배기ㆍ제거시키며, 부차적으로 높은 온도(적어도 55℃ 이상)로 인해 남아 있는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선박평형수 내 수소이온농도를 해수의 수소이온농도와 맞추는 단계(S10)와 그리고 이와 같이 처리된 선박평형수를 배출 전에 재차 여과하고 배출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즉, pH 조정을 통하여 해양미생물에 대한 사멸ㆍ처리과정을 거친 후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선박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배기하여 제거되도록 하고, 부차적으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내에 남아 있는 해양미생물도 사멸시킬 수 있다. 동시에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일반해수의 수소이온농도와 맞추는 단계(S10)는 뜨거운 선박엔진의 배출가스(500~700℃)와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와 열교환을 통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용이하게 배기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산화탄소의 배기에 의한 처리 후에도 선박평형수 내에 남아 있는 산성 물질의 배제와 해양미생물의 추가적인 사멸을 고려할 때 부족한 열의 보충을 도모하기 위하여 별도로 태양열과 전기열 등을 사용토록 고안된 방법으로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55℃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앞서 처리된 선박평형수를 여과하고 여과된 선박평형수를 배출하는 단계(S20)는 배출가스(500~700℃)와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와 열교환을 통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낮은 pH를 일반해수의 pH에 근접하도록 조절한 다음,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에 남아 있는 잔사물 등을 재차 여과하고 배출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선박엔진의 배출가스와 태양열과 전기열을 활용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선박엔진의 배출가스 등을 활용하여 선박평형수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는 유입부 여과장치(12)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후 선박평형수 탱크(1)에 저장되고 선박평형수로서 활용된다.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는 선박평형수 내의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처리하는 장소이며 선박평형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선박평형에 운용되는 선박평형수 탱크(1)와 연결된다. 선박평형수를 선박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에서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제거한 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에 연결된 선박평형수 배출탱크(3)와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여과장치(14)를 거쳐서 선박평형수를 처리하고 즉시 선박평형수를 배출한다. 선박평형수 배출부에는 잔사물 유출탱크(5)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 내에 살아 있는 해양미생물을 선박평형수의 pH 조절로 사멸ㆍ제거시키기 위해서 선박의 배출가스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 안으로 주입하게 되는데, 그 과정은 우선 배출가스 유출부를 통하여 유입된 배출가스를 배출가스 여과장치(15)를 통과시켜 입자상물질(PM) 등을 분리ㆍ제거하고 선박평형수 처리탱크로 바로 주입하거나 상황에 따라 저장한 후 배출가스탱크(4)에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하는 것이다. 배출가스는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하기 전에 배출되는 선박평형수와의 열교환으로 그 온도를 낮추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다. 즉, 선박평형수 배출탱크(3) 내에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제 1 열교환기(21)를 설치하고 배출가스가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열교환기(21)를 통과하도록 해서 배출가스의 온도를 가능한 한 낮추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에 압축공기 유입부를 설치함으로써 압축공기탱크(6)의 압축공기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 주입하여 선박 배출가스와 선박평형수간의 교반이 원만하게 성립할 수 있도록 또 과량의 이산화탄소 등을 용이하게 배기할 수 있도록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 내에 살아 있는 해양미생물을 선박평형수의 pH 조절로 사멸ㆍ제거시키기 위해서 선박의 배출가스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 안으로 주입하게 되는데, 그 과정은 우선 배출가스 유출부를 통하여 유입된 배출가스를 배출가스 여과장치(15)를 통과시켜 끄름(PM) 등을 분리ㆍ제거하고 선박평형수 처리탱크로 바로 주입하거나 배출가스 탱크(4)에 상황에 따라 저장한 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하는 것이다. 선박엔진 배출가스를 바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하는 경우, 배출가스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하기 전에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와의 열교환으로 그 온도를 낮추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다. 즉, 선박평형수 배출탱크(3) 내에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배관하고 배출가스가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로 주입되기 전에 이 배관을 통과하도록 하여 배출가스의 온도를 가능한 한 낮추는 것이다.
한편, 선박엔진 배출가스 외에 부족한 열의 보충을 도모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태양열과 전기열로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를 가열하는 경우에, 상기 선박평형수 배출탱크(3) 내에 상기 제 1 열교환기(21)와는 별도의 제 2 열교환기(22)를 설치하고, 이 열교환기(22)를 태양열 온수발생기(31)와 전기열 온수발생기(32)에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열에 의해 태양열 온수발생기(31)에서 온도가 상승한 물이 상기 제 2 열교환기(22)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전기열에 의해 전기열 온수발생기(32)에서 온도가 상승한 물이 상기 제 2 열교환기(22)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55℃ 이상으로 상승시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내의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배기시키며 또한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선박평형수에 남아 있는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태양열 온수발생기(31)와 전기열 온수발생기(32) 및 제 2 열교환기(22)는 삼지밸브(3-way valve)를 통해 연결하여 태양열 온수발생기(31)와 전기열 온수발생기(32)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혹 부족한 열의 보충을 도모하기 위하여 태양열 또는 전기열로 온도를 상승시킨 물과 열교환을 통하여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선박평형수 내의 이산화탄소 등의 산성 물질을 배기시켜 선박평형수의 pH를 일반해수의 pH에 근접되게 하는 것은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pH를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경제적으로 처리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에 압축공기 유입부를 설치함으로써 압축공기탱크(6)의 압축공기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2)에 주입하여 선박엔진 배출가스와 선박평형수간의 교반이 원만하게 성립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과량의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용이하게 배기할 수 있도록 사전에 대비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선박평형수 탱크 2 :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3 : 선박평형수 배출탱크 4 : 배출가스탱크
5 : 잔사물 유출탱크 6 : 압축공기탱크
21 : 제 1 열교환기 22 : 제 2 열교환기
31 : 태양열 온수발생기 32 : 전기열 온수발생기

Claims (6)

  1.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처리한 선박평형수를 배출함에 있어서,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엔진 배출가스를 상기 선박평형수 배출탱크의 열교환기에 주입하여 열교환함으로써 또한 태양열로 가열하여 열교환하거나 또한 전기열로 가열하여 열교환함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내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을 배기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선박평형수 내에 잔존하는 해양미생물을 이차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시 선박평형수 내의 이산화탄소 등 산성 물질이 배기되어 제거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제거로 인하여 상기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해수의 수소이온농도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처리방법.
  6. 선박평형수 배출탱크를 포함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배출탱크 내에 설치된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열교환기에 병렬로 연결되는 태양열 온수발생기 및 전기열 온수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20100035311A 2010-04-16 2010-04-16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20110115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311A KR20110115789A (ko) 2010-04-16 2010-04-16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311A KR20110115789A (ko) 2010-04-16 2010-04-16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89A true KR20110115789A (ko) 2011-10-24

Family

ID=4503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311A KR20110115789A (ko) 2010-04-16 2010-04-16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7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910B1 (ko) 선박 엔진의 배출가스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US7455022B2 (en) Wastewater ballast system and method
JP2008086892A (ja) 船舶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Balaji et al. Emerging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US6722933B2 (en) Closed loop control of both pressure and content of ballast tank gases to at different times kill both aerobic and anaerobic organisms within ballast water
Ibrahim et al. Ballast water review: impacts, treatments and management
KR20120035305A (ko) 발라스트 수 처리시스템
Veldhuis et al.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Old” and “New” ones
David et al.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s for vessels
KR20110115789A (ko)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200349496Y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KR20150009330A (ko)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Magraw et al. Water and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an incomplete jigsaw puzzle
Nguyen et al. A Study on Selection of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To Meet Bwm 2004 Convention
Bui et al. A study OF SHIP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nd techniques
Dachev et al. Ship ballast water treatment
Albert et al. Feasibility of potable water generators to meet vessel numeric ballast water discharge limits
KR200350689Y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De Souza Ballast Water
KR102500175B1 (ko)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0549839B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US20120012538A1 (en) Method of treatment of ballast water
KR101996279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장치 및 선박용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KR101867026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의 미처리 수 처리 모듈
Duong A Brief Review Of Emerging Technology In Ballast Water Treatment For Ships Building In Vietn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