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330A -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330A
KR20150009330A KR20130083692A KR20130083692A KR20150009330A KR 20150009330 A KR20150009330 A KR 20150009330A KR 20130083692 A KR20130083692 A KR 20130083692A KR 20130083692 A KR20130083692 A KR 20130083692A KR 20150009330 A KR20150009330 A KR 2015000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ship
seawater
ship ballast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원심
이원준
이성준
변윤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330A/ko
Publication of KR2015000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터빈을 통과한 증기에 함유된 폐열로 해수를 열처리하여 선박평형수를 생성하고, 이를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이 설치되지 않은 선박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선박평형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자로 터빈에서 사용하는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을 선박평형수를 생산하는 열처리 과정에 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자력추진선에서 원자로에서 생산된 증기 중 남은 폐열을 BWTS의 열처리에 활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평형수 생성장치{Apparatus for ballast water generating}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 생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을 통과한 증기에 함유된 폐열로 해수를 열처리하여 선박평형수를 생성하고, 이를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이 설치되지 않은 선박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선박평형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운항 때 복원성 또는 균형 유지를 위해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사용한다. 선박평형수는 선박 밑바닥이나 좌우에 설치된 평형수 탱크에 채워 넣는 물을 말하는데, 유조선이나 화물선 등의 선박은 하역 작업시 화물을 내리고 출항할 때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하여 프로펠러 잠김과 부력에 의한 선박의 부유를 방지하고 배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에 바닷물을 채워 다른 항구로 이동하고, 화물 적재시 이 물을 버리게 된다. 이렇게 버려지는 선박평형수에 의해 매년 50억톤 이상의 바닷물이 이동되면서 매일 7,000 여종의 해양생물이 운반되어 토착 생태계를 교란시킨다.
이로 인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을 통해 선박평형수의 배출 요건을 제정하였으며, 선주와 선사는 선박평형수 교환(exchange)방식을 이용하거나, 선박에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BWTS)을 별도로 설치하여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의 기준을 따르고 있다.
여기서 선박평형수 교환은 말 그대로 교환이나, 평형수 관리협약 B-4 규칙을 보면 가능한 한,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최소 200해리(1해리 = 1.895km)이상 떨어지고 수심 200미터 이상인 해역에서 국제해사기구가 개발한 지침을 참고하여 교환을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사항을 만족하기 힘든 항구 간을 항행하는 선박은 어떠한 경우라도 가장 가까운 육지에서 50해리 이상 떨어지고 수심이 200미터 이상인 수역에서 시행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은 원심분리, 필터 등을 이용하는 기계적 처리 방식, 자외선(UV) 처리, 초음파, 열처리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처리 방식, 전기분해(직관식, 사이드스트림), 오존주입, 화학약품 투입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선박평형수를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분해, 오존, 자외선 처리 및 약품 투입 등의 처리 방식은 모두 수중생물을 사멸하기 위한 방식이다. 예를 들어,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채우는 중에 전기분해 장치를 가동하여 수중생물을 사멸하는 물질(활성물질)을 발생시킨 후 평형수 탱크에 채우게 되면 평형수와 활성물질이 섞이게 되어 생물을 사멸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박에서 선박평형수를 운용하는 종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027440호(2010.03.11. 공개)와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1-0006137호(2011.06.21. 공개)에 개시된다.
개시된 <특허문헌 1>은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 터미널과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 터미널을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화물 선박에서,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화물 선박이 하역 터미널로부터 상기 적재 터미널로 운항하는 경우, 하역 터미널에서 음용수를 구입하여 상기 화물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내에 밸러스트 워터로 상기 음용수를 채워 적재 터미널까지 운항하게 된다.
또한, 개시된 <특허문헌 2>는 해상에서 운행하는 선박에서 선박의 복원성을 위해 사용되는 선박평형수를 매매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선박평형수를 해양에 투기하여 발생하는 해양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온실가스, 대기중 유해물질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요구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으로 인해 새로운 동력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요구에 따라 원자로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선박을 추진하는 원자력추진선의 활용 가능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원자력추진선은 핵연료를 사용해서 증기를 만들고, 그것에 의해 증기터빈을 회전시켜 추진을 하는 선박을 말한다. 핵연료를 원자로에 장하(裝荷)하면 장기간 연료를 보급받지 않고도 항해를 계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박에 연료유 탱크를 설비할 필요가 없어 화물 적재량을 늘릴 수 있으며, 항해를 떠날 때마다 대량의 연료를 실어야 하는 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운항능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원자력추진선에도 운항 때 복원성 또는 균형 유지를 위해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027440호(2010.03.11.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1-0006137호(2011.06.21. 공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선박평형수 관리를 위해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BWTS)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자력추진선에서는 발생된 증기를 추진력으로 이용하고 남은 증기를 콘텐서를 통해 응축시켜 그냥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빈을 통과한 후 남은 폐열원 즉, 증기에 함유된 열에너지원으로 해수를 열처리하여 선박평형수를 생성하고, 이를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이 설치되지 않은 선박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선박평형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자로에서 생산된 증기 중 남은 폐열을 선박평형수 열처리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선박평형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항할 항만에서 규정에 맞지 않는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을 가진 선박이 입항하면 Deballasting되는 선박평형수를 수거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평형수 생성장치는 선박평형수를 공급받거나 폐기하는 선박이 입항할 수 있는 입항 시설이 마련된 접안 구조물; 상기 접안 구조물 상에 위치하고 터빈에서 사용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로 유입한 해수를 열처리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시켜 선박평형수를 생성하는 선박평형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해수를 유입하고, 공급해주는 시체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터빈에서 사용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로 상기 시체스트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열처리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시켜 선박평형수로 평형수 탱크에 저장하는 열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열처리기는 상기 증기에 포함된 폐열과 해수를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터빈에서 사용되고 남은 열원을 상기 열처리기에 공급하거나 바이패스시키는 경로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선박평형수 생성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경로제어밸브의 증기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평형수 탱크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를 입항 선박에 공급해주는 선박평형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입항 선박에서 폐기되는 선박평형수를 회수하여 상기 시체스트에 전달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빈에서 사용하는 남은 증기에 함유된 폐열로 선박평형수를 생산하는 과정의 열처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장치를 통해 터빈에서 남은 증기만을 이용하여 선박평형수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의 구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빈에서 사용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을 BWTS의 열처리에 활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선박에 편리하게 선박평형수를 공급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관리 협약 기준에 맞는 깨끗하고 정화된 선박평형수를 선박에 공급해 줄 수 있어, 선박의 평형수 탱크와 배관설비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관리 기준에 맞는 선박평형수 공급으로, 국가마다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 성능 테스트 기준과 항만국 통제기준들이 상이한 경우에도 이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항 선박이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관리 기준에 맞지 않는 선박평형수를 폐기하는 경우, 이를 회수하여 재처리를 통해 깨끗하고 정화된 선박평형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관리 기준에 어긋난 선박평형수가 해양에 페기되어 해양을 오염시키는 것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규정에 어긋난 선박평형수 사용으로 항만 입항이 금지되는 경우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 생성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선박평형수 생성기의 실시 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 생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 생성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접안 구조물(100), 선박(200), 선박평형수 생성기(300) 및 증기발생기(400)를 포함한다.
접안 구조물(100)은 선박평형수를 공급받거나 폐기하는 선박이 입항할 수 있는 입항 시설이 마련된다. 이러한 접안 구조물(100)은 육지에 설치되거나 해상에 부유식 구조물로 설치될 수 있다.
증기발생기(400)는 원자로의 외측에 배치되고, 냉각재 순환배관의 열에 의해 고열의 증기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원자력추진선의 증기발생기를 이용하거나 원자력 발전소 등의 증기발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선박평형수를 공급받기 위한 선박이 원자로추진선일 경우, 그 원자추진선에 포함된 증기발생기를 이용하여 해수를 선박평형수로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접안 구조물(100) 주변에 원자력 발전소가 있을 경우에는, 그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에 증기 배관을 연결하여 그 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원자력추진선 또는 원자력발전소는 모두 증기발생을 위한 구성이 존재하며, 증기발생기가 원자력추진선일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10), 상기 증기발생부(410)에서 발생된 증기로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터빈(420), 상기 터빈(420)에서 사용하고 남은 증기를 응축하는 콘덴서(430), 상기 콘덴서(43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상기 증기발생부(410)에 전달하기 위한 펌프(440)를 포함한다.
선박평형수 생성기(300)는 상기 터빈(420)에서 사용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로 해수를 열처리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시켜 선박평형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박평형수 생성기(300)는 상기 접안 구조물(100) 상에 위치하고 해수를 유입하여 선박평형수를 생성한 후 입항 선박(200)에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박평형수 생성기(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를 유입하고, 공급해주는 시체스트(303), 상기 터빈(420)에서 사용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로 상기 시체스트(303)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열처리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시켜 선박평형수로 평형수 탱크(306)에 저장하는 열처리기(3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처리기(305)는 상기 증기에 포함된 폐열과 해수를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300)는 상기 터빈(420)에서 사용되고 남은 열원을 상기 열처리기(305)에 공급하거나 바이패스시키는 경로제어밸브(302), 선박평형수 생성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경로제어밸브(302)의 증기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기(301), 상기 평형수 탱크(306)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를 입항 선박에 공급해주는 선박평형수 공급부(307), 상기 입항 선박에서 폐기되는 선박평형수를 회수하여 상기 시체스트(303)에 전달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부(308)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 생성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육지 또는 부유식 구조물인 접안 시설물(100)에 선박(200)이 입항할 수 있는 입항 시설을 마련한다. 여기서 선박(200)은 벌크선, 유조선 등 모든 선박을 의미한다. 특히, 입항하는 선박(200)은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관리 협약 기준에 따른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은 선박이 된다.
상기 접안 시설물(100)의 위에는 해수를 상기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관리 협약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깨끗하고 정화된 선박평형수를 생성하기 위한 선박평형수 생성기(300)가 설치된다.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300)에는 바다로부터 해수를 유입하여 저장하기 위한 시체스트(303)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시체스트(303)는 해수 유입을 위한 해수 유입관, 모터, 펌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로 펌프를 기동시켜 해수 유입관을 통해 해수를 유입하고, 유입한 해수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해수는 해수 펌프(304)를 통해 열 처리기(305)로 유입된다. 여기서 유입되는 해수를 원심 분리와 같은 기계적 처리, 자외선투사(UV)나 초음파 및 열처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 전기분해나 약품 주입(오존분사) 및 탈산소화(Deoxygenation)와 같은 화학적 처리를 하여, 모든 생물을 사멸시켜 깨끗하고 정화된 선박평형수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선박평형수를 화학적 처리할 경우 화학 약품 등에 의해 평형수 탱크와 배관 설비가 부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방식을 이용한다.
예컨대, 원자로를 사용하는 원자력추진선이나 원자력발전소 등은 냉각재 순환배관의 열에 의해 고열의 증기를 발생하고, 이를 증기 배관을 통해 터빈(420)에 전달한다. 터빈(420)은 전달되는 증기로 회전 운동을 하여 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터빈(420)과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거나 직접 프로펠러를 돌리고, 이를 추진 동력으로 사용한다. 이때 터빈(420)에서 사용하고 남은 증기는 회수배관을 통해 콘덴서(430)에서 응축되고, 펌프(440)를 통해 증기발생부(410)로 순환된다.
여기서, 상기 터빈(420)과 상기 콘덴서(430)의 사이에 게재된 선박평형수 생성기(300)의 제어기(301)에서 선박평형수 생성기의 사용 여부에 따라 경로제어밸브(302)를 제어하여 터빈(420)에서 남은 증기의 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즉, 선박평형수 생성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로제어밸브(302)를 바이패스 경로로 제어하여 터빈(420)에서 남은 증기가 바로 콘덴서(4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선박평형수 생성기가 동작하는 경우 즉, 선박평형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경로제어밸브(302)를 제어하여 터빈(420)에서 남은 증기가 열 처리기(305)를 경유하여 콘덴서(4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선박평형수를 생성하는 경우, 시체스트(303)는 해수를 유입하고, 필터를 통해 해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여 내부의 해수 저장소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해수 저장소에 저장된 불순물이 제거된 해수를 해수 펌프(304)를 통해 열 처리기(305)에 공급한다.
상기 열 처리기(305)는 열 교환기와 같은 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제어밸브(302)를 통해 공급되는 증기에 포함된 고온의 폐열로 시체스트(303)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열 교환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하게 된다.
그리고 생물이 사멸되어 깨끗하게 정화된 해수를 선박평형수로 평형수 탱크(306)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선박평형수를 공급받기 위한 선박(200)이 입항 시설로 입항하면, 선박평형수 공급부(307)는 상기 평형수 탱크(306)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를 상기 선박의 평형수 탱크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선박평형수 공급을 위해, 선박평형수 공급부(307)는 펌프, 모터, 선박평형수 공급배관, 밸브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형수 탱크(306)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는 불순물이 제거되고 생물이 사멸되어 깨끗이 정화된 해수이므로, 필요에 따라 임의 해역에 배출하여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평형수를 선박에 공급하게 되면, 선박은 별도의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아도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에 만족하는 선박평형수를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며, 선박평형수 공급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는 선박평형수를 매매하는 것도 가능하여,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선박평형수를 만들기 위한 해수 열처리 과정에 별도의 열원 발생기를 이용하지 않고 터빈을 돌리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을 이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국제해사기구가 설정한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에 만족하지 않는 선박평형수를 사용하여 해양에 선박평형수를 폐기할 수 있는 선박에 대해서는 오염된 선박평형수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오염된 선박평형수를 수용한 선박이 입항 시설에 입항하면, 선박평형수 회수부(308)는 배관, 모터, 펌프, 밸브 등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상기 입항한 선박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하여 시체스트(303)에 전달한다.
이렇게 회수한 오염된 선박평형수는 시체스트(303)에 저장된다. 이후 상기 해수를 선박평형수로 생성하는 것과 동일한 처리과정을 통해 오염된 선박평형수를 국제해사기구에서 설정한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에 만족하는 선박평형수로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생성한 선박평형수를 평형수 탱크(306)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선박으로부터 오염된 선박평형수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비용을 받고 회수처리를 하기 때문에, 선박평형수 공급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는 선박평형수 회수시에도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BWTS)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BWTS)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국가나 항만마다 다른 선박평형수 규제에서도 자유로와 질 수 있다. 특히, 선박평형수 공급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 입장에서는 선박평형수 매매로 수익 창출이 가능하고, 선박에서 폐기되는 선박평형수의 회수 비용으로 수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를 생성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선박평형수관리시스템이 없는 선박에 선박평형수를 공급하거나 오염된 선박평형수를 선박으로부터 회수하는 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00… 접안 구조물
200… 선박
300… 선박평형수 생성기
301… 제어기
302… 경로제어밸브
303… 시체스트
305… 열 처리기
306… 평형수 탱크
307… 선박평형수 공급부
308… 선박평형수 회수부
400… 증기발생기

Claims (8)

  1. 선박평형수를 공급받거나 폐기하는 선박이 입항할 수 있는 입항 시설이 마련된 접안 구조물;
    상기 접안 구조물 상에 위치하고 터빈에서 사용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로 유입한 해수를 열처리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시켜 선박평형수를 생성하는 선박평형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해수를 유입하고, 공급해주는 시체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터빈에서 사용되고 남은 증기에 포함된 폐열로 상기 시체스트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열처리하여 해수에 포함된 생물을 사멸시켜 선박평형수로 평형수 탱크에 저장하는 열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기는 상기 증기에 포함된 폐열과 해수를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터빈에서 사용되고 남은 열원을 상기 열처리기에 공급하거나 바이패스시키는 경로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선박평형수 생성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경로제어밸브의 증기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평형수 탱크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를 입항 선박에 공급해주는 선박평형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생성기는 상기 입항 선박에서 폐기되는 선박평형수를 회수하여 상기 시체스트에 전달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KR20130083692A 2013-07-16 2013-07-16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KR20150009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692A KR20150009330A (ko) 2013-07-16 2013-07-16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692A KR20150009330A (ko) 2013-07-16 2013-07-16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330A true KR20150009330A (ko) 2015-01-26

Family

ID=5257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3692A KR20150009330A (ko) 2013-07-16 2013-07-16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3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445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이티에스 선박의 평형수 자동관리장치와 그 작동방법
US20190273075A1 (en) * 2016-06-15 2019-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acked semiconductor chip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0566302A (zh) * 2019-09-25 2019-12-13 昆山三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余热回收系统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445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이티에스 선박의 평형수 자동관리장치와 그 작동방법
US20190273075A1 (en) * 2016-06-15 2019-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acked semiconductor chip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0566302A (zh) * 2019-09-25 2019-12-13 昆山三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余热回收系统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3632C (zh) 液体脱毒方法及液体脱毒用装置
US7455778B2 (en) Intake for water desalin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EP1697261B1 (en) Desalination ship and method for producing desalinated water
KR20100015566A (ko) 선박에서의 밸러스트 물의 처리를 위한 방법
JP2006248510A (ja) バラスト水浄化装置及び当該装置を搭載した船舶
US20090152183A1 (en) Disinfection System Improvements
JP2014511304A (ja) バラストタンク中のバラスト水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BR0314569B1 (pt) Método e sistema para a dessalinização de água do mar a bordo de uma embarcação marítima posicionada na superfície de um corpo de água do mar
KR101486882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13004240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nd storing desalinated water on a marine vessel
KR101437218B1 (ko) 선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20150009330A (ko)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CN1714048B (zh) 移动式脱盐装置和系统以及生产脱盐水的方法
US20070227962A1 (en) Intake for water desalin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0997482B (zh) 用于对船舶的水进行热处理的系统和方法
Taylor et al. Suggested designs to facilitate improved management and treatment of ballast water on new and existing ships
CN110835198A (zh) 一种电解法压载水处理系统在淡水航线使用的新方法
WO200501218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ull integrated seawater reverse osmosis system
KR101680632B1 (ko) 선박의 해양생물 증식방지 장치
KR20150000385U (ko) 선박평형수 공급장치
KR20150009334A (ko) 원자력추진선의 선박평형수 생성장치
KR101996279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장치 및 선박용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JP7123250B2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De Souza Ballast Water
EP3412557A1 (en) Application of distilled water, generation system and facility utilizing distilled water as ballast water, vessel including the gener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