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766A -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766A
KR20110112766A KR1020100117461A KR20100117461A KR20110112766A KR 20110112766 A KR20110112766 A KR 20110112766A KR 1020100117461 A KR1020100117461 A KR 1020100117461A KR 20100117461 A KR20100117461 A KR 20100117461A KR 20110112766 A KR20110112766 A KR 20110112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26937B1 (en
Inventor
이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메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0011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937B1/en
Publication of KR2011011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9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05B2240/2212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win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B2240/301Cross-section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태 모양으로 블레이드편을 형성시켜 준비하고, 몇몇 블레이드편을 결합시켜 블레이드세그먼트를 형성하고, 비틈 각도를 고려하여 블레이드세그먼트를 일정하게 적층시켜 다양한 크기의 블레이드모듈을 형성하며, 형성시킨 블레이드모듈을 필요한 수만큼 조립결합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을 완성조립시킨, 풍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상이되, 중심의 샤프트축대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끝단에 등각고리형태로 구분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끝단에 상기 반원고리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형상으로 부스타편이 형성되는 블레이드편를, 일정 개수로 준비하여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를 결합시켜 블레이드세그먼트를 형성시키며, 상기 형성시킨 블레이드세그먼트를 일정 높이만큼 적층시켜 블레이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시킨 블레이드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시켜 형성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외측에 덧대이며 골 모양의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세그먼트의 적층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형성되는 부스타와; 상기 풍력발전시스템의 발전을 위해 회전가능상태로 지지되어, 외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둥모양의 축대 형태로 형성되는 샤프트축대와; 상기 샤프트축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축대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발전을 일으키는 발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 형태, 부스타 추가 등 회전가속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비용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이 매우 높은 풍력발전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ade piec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several blade pieces are combined to form a blade segment, and blade blades are uniformly stacked in consideration of gap ang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forms a blade module, and assembles and combines the formed blade module as necessary to complete the entir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to accommodate the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shaft coupl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conformal ring shape at one end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axis, the other end By prepa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lade pieces in which the busbar pieces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mi-circular ring shape, each of the axial coupling portions are combined to form blade segments, and the formed blade segments are lamin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A blade forming a blade module and combining the formed blade module with at least one blade; A boost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lade and formed together with the blade through the lamination of the blade segment in a bone shape; A shaft shaft supported in a rotatable state for power gener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shaft shaft being formed in a pillar-shaped shaft to rotate by an external rotational force; A power generation module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haft shaft to generate power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haft shaf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acceleration, such as blade shape, booster addition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s an effect of performing a low cos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very efficient wind power generation.

Description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스타를 구비한 풍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태 모양으로 블레이드편을 형성시켜 준비하고, 몇몇 블레이드편을 결합시켜 블레이드세그먼트를 형성하고, 트위스트 시킬 각도를 고려하여 블레이드세그먼트를 일정하게 적층시켜 다양한 크기의 블레이드모듈을 형성하며, 형성시킨 블레이드모듈을 필요한 수만큼 조립결합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을 완성조립함으로써, 대형 뿐만아니라 중소형의 풍력발전시스템 까지도 비교적 편리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풍력발전 가동 및 운영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buster, and to prepare a blade piece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ring as a whole, to form a blade segment by combining several blade pieces, the blade segment is fixed in consideration of the angle to be twisted It is possible to install blade modules of various sizes by assembling them, and assembling and combining the formed blade modules as many as necessary to complete the entire system, so that it is relatively convenient to install not only large but also small and medium siz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아울러 이 건 특허출원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36503호(발명의 명칭: 부스터 블레이드를 갖는 세그먼트 트위스팅 풍력발전시스템, 2010.01.05 등록)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심사중에 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60378호(발명의 명칭: 부스터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형 풍력발전시스템, 2009.7.2 출원)와 관련된 내용으로서, 발전효율을 증대시키고 선출원된 기술내용을 보다 개선 발전시킨 것이며, 본 발명은 앞서 출원된 기술의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선출원된 내용도 참고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is patent application is register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936503 (Invention: Segment Twisting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Booster Blade, Registered on Jan. 5, 2010) registered by the applicant and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filed by the applicant As related to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9-60378 (name of the invention: blade typ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booster blade, filed on 2009.7.2), it is to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to further improve the developed technology, and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any of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filed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ly filed content.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 인류가 추구해야 할 미래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는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인공태양, 수소에너지, 바닷물을 이용한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 중 다른 에너지원 못지 않게, 풍력은 친환경적이고 재생가능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미래의 새로운 에너지원이다.As a new energy source that can replace fossil fuels such as petroleum, there are many new energy sources for humans to pursue, including solar energy, wind energy, artificial sun, hydrogen energy, sea water energy, and bio energy. Among them, like other energy sources, wind power is a new energy source of the future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eco-friendliness and renewables.

풍력발전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이다. 현재 기술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으로써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발전(Generation) 기술이다. 즉 풍력의 에너지 변환과정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된 전력은 가정용, 공업용 등으로 자체 소모하거나 한국전력에 역송전하여 전기를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을 이용한다면 산간이나 해안오지 및 방조제 등 부지를 활용함으로써 국토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해안선이 길어 풍력발전을 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Wind power is a natural source of pollution-free energy. It is the current generation technology that is the most economical energy source among the alternative energy sources. It is a generation technology that directly supplies the power generated by converting the wind power to rotational power to the power system or the consumer. In other words, it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the energy conversion process of wind power, and the produced power can be consumed by home, industrial, etc., or sold by reversing power to KEPCO. If such wind power is used, the land us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the sites such as mountains, coastal backcountry, and embankments. In particular, Korea has a long coastline and has favorable conditions for wind power generation.

풍력발전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08339호로 날개의 형태를 개선한 '풍력발전기의 날개'가 있으며, 도 3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08339호 '풍력발전기의 날개'에 대한 도면이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wind power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308339 has a wing of the wind power generator improved the shape of the blade, Figure 35 is a 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308339 'wing of the wind power generator'.

도시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날개'는, 지지축(10)을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수평축(11)이 방사형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각 수평축에 원호형으로 활곡 형성된 날개를 회동가능하게 축결합시키고, 수평축에 축결합된 각 날개의 축결합부 내측단에 수평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유성기어(15)를 일체로 설치하고, 날개의 상부에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저면에 날개의 유성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형성된 원판형상의 연결기어(16)를 설치하여 일측 날개의 가변각을 다른 날개에 전달하여 동일한 변위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ing of the wind turbine is installed such that at least three or more horizontal shafts 11 are radially freely rotatable about the support shaft 10, and can rotate the wings that are arcuately curved on each horizontal axis. The planetary gear 15, which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shaft at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blades coupled to the horizontal axis, and rotates about the support shaft at the upper part of the wing. By installing a disk-shaped connecting gear 16 having a gear tooth meshing with the planetary gear, the variable angle of one wing is transmitted to the other wing to have the same displacement angle.

이는 종래 풍력발전기의 날개가 고정되어 있어 만일 태풍과 같이 강한 바람이 불면 날개 또는 지지대가 부러지거나 파손되게 되고, 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날개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에는 미풍이 불 때 바람을 적게 받게 되는 단점을 개선하여, 바람의 세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각도가 변경되어 미풍일 때는 더욱더 많은 바람을 받고, 강풍일 때는 바람의 저항을 덜 받아 태풍과 같은 바람이 불더라도 날개와 지지축은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is because the wing of the conventional wind turbine is fixed, if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is broken or damaged wing or support, and if you reduce the size of the wing to prevent this, the wind is less windy By improving the shortcomings, the angle changes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wind, so that the wind gets more and more wind when it is a breeze, and when the wind is strong, it receives less wind resistance. There is an advantage.

풍력발전과 관련된 또다른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24956호 '사보니우스 날개 및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도 있으며, 도 36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24956호 '사보니우스 날개 및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wind power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24956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Savonius wing and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igure 36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 2004-24956 shows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Savonius wing and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이러한 종래 '원통형 블레이드가 구비된 소형 풍력발전장치'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의 항력을 이용한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사보니우스 날개의 회전속도를 증속하여 이용하기 위한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로, 상하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엔드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바람의 항력을 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원주면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니우스 날개 및 이를 응용한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하여, 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높이며 저풍속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한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이다.Such a conventional 'small wind turbine equipped with a cylindrical blade' is a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avonius blade used in the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drag of the wind as shown in FIG.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system, a pair of end plate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t least one blad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end plates subjected to wind drag,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late It provides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savonius wing and the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and is a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excellent adaptability to low wind speed.

풍력발전과 관련된 또다른 종래의 기술로 독일 특허출원 DE3928538호가 있으며, 도 37은 독일 특허출원 DE3928538호의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wind power is the German patent application DE3928538, Figure 37 is a view showing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German patent application DE3928538.

도시한 바와 같이 독일 특허출원 DE3928538호의 풍력발전장치는, 풍력발전장치 자체에 형성시키게 되는 태양전지판들 사이에서 나오는 전류를 전달하는 주된 목적으로 전도성형체(전기를 보내기 위한 하나의 경로)가 연속가이드파일 형태로 구성되어 개개의 곡면 조형체들의 사각을 감소시켜 주고 효율을 높여주는 특징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ind power generator of DE3928538 is a continuous guide file of a conductive body (one path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for the main purpose of transferring current from the solar panels formed in the wind power generator itself. It is composed of a shape that reduces the blind spots of individual curved bodies and improves efficiency.

이러한 종래 풍력발전을 위한 시스템이나 장치들이 풍력발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구조와 구성을 채택하고 있지만, 나름대로 문제점도 많이 내포하고 있다.Although the conventional systems or devices for wind power generation adopt a new structure and configura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ind power generation, there are many problems in its own way.

먼저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08339호 '풍력발전기의 날개' 기술은 수평축(11)이 연결기어(16) 및 유성기어(15) 등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대형 등에서는 동력전달, 자체 무게 등으로 인해 구성이 복잡하고 풍력발전을 수행함에 어려운 점이 많다.Firs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308339 'wing of the wind power generator' technology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rizontal shaft 11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gear 16 and the planetary gear 15, but in large, such as power transmission, self weight Due to the complex configurati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erforming wind power generation.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24956호 '사보니우스 날개 및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도, 상하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바람의 항력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원하는 회전동력을 높이는 데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24956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Savonius wing and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also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end plate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pair of end plates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receive the drag of the wi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desired rotational power.

마지막으로 독일 특허출원 DE3928538호의 풍력발전장치는, 블레이드 전체에 태양전지를 장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기흐름 유지를 위한 것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의 제품화과정이 어렵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중심의 샤프트축대(4)에 블레이드를 결합시키는 과정이 어려워 실용화 과정 등에 문제점이 있다.Lastly, the wind power generator of German patent application DE3928538,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mounting solar cells on the entire blade, is used to maintain the electric flow,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difficult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lades is difficult,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commercialization process.

아울러 풍력발전을 위한 설비나 장치, 시스템 등에 있어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구애됨 없이 발전이 가능하고, 또한 큰 발전플랜트 시설에서부터 소형에 이르기까지 풍력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또한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power regardless of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wind in facilities, devices, and systems for wind power generation, and technologies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wind power generation from large power plant facilities to small sizes are urgently required. It is true.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조립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상의 블레이드편 바디(10B)를 갖되, 중심의 샤프트축대(130)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나의 블레이드편(10)의 일측 끝단에 등각고리형태로 구분되는 축결합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10A)의 결합부편(10Ac)을 상기 샤프트축대(130)를 중심으로 또 다른 블레이트 편의 축결합부의 결합부편과 결합시킴으로써 블레이드 세그먼트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끝단에 상기 반원고리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형상으로 부스타편(10C)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has a semi-circular blade-shaped body (10B) as a whole to accommodate the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in the assembled state, the central shaft shaft ( In order to engage with the 130, the shaft coupling portion 10A is formed at one end of one blade piece 10 in an isometric ring shape, and the coupling portion piece 10Ac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0A is formed on the shaft shaft shaft. A blade segment is formed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portion of another axially coupled axial engagement portion about 130, and the busta piece 10C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mi-circular shape at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ade piece of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상이되, 중심의 샤프트축대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끝단에 등각고리형태로 구분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끝단에 상기 반원고리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형상으로 부스타편이 형성되는 블레이드편을, 일정 개수로 준비하여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를 결합시켜 블레이드세그먼트를 형성시키며, 상기 형성시킨 블레이드세그먼트를 일정 높이만큼 적층시켜 블레이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시킨 블레이드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시켜 형성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외측에 덧대이며 골 모양의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세그먼트의 적층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형성되는 부스타와; 상기 풍력발전시스템의 발전을 위해 회전가능상태로 지지되어, 외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둥모양의 축대 형태로 형성되는 샤프트축대와; 상기 샤프트축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축대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발전을 일으키는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to accommodate the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the shaft coupl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conformal ring shape at one end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axis To prepare a predetermined number of blade pieces formed in the concave shape so that the other side 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mi-circular ring shape in the other end, by combining the respective axial coupling portion to form a blade segment, the formed blade segment Forming a blade module by stacking the blade modul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forming the blade module by combining at least one blade module; A boost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lade and formed together with the blade through the lamination of the blade segment in a bone shape; A shaft shaft supported in a rotatable state for power gener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shaft shaft being formed in a pillar-shaped shaft to rotate by an external rotational force; A power generation module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haft shaft to generate power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haft shaft; To provide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이러한 본 발명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있어,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는 상기 반원고리형상의 블레이드편 바디 표면으로 상기 외부로부터의 수용되는 발전매체에 의해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휘어져 오목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부스타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스타는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 표면으로 상기 반원고리형상의 내측 및 외측 어느 한 측면 이상에서 하나 이상의 필요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piece body of the blade piece body in orde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by the power generation medium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surface of the blade piece body of the semi-circular shape, At least one auxiliary booster piece which is bent outwardly from the center to form a concave shape; The auxiliary booster is preferably formed at one or more necessary point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semi-circular shape to the blade piece body surface.

또한 본 발명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있어, 상기 블레이드편은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가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로부터 튀어나오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여 회전가압시키는 회전가압단이 포함되며;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 및 상기 부스타편은 어느 하나 이상을 각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완성된 표면이 각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piece is formed in a shape that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blade piece body protruding from the blade piece body to receive the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to rotate and pressurized A rotary pressing stage is included; The blade piece body and the busta piece may be formed to be angled or inclined by forming one or more of them to be angled or inclined.

또한 본 발명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있어,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는 상기 부스타편 및 상기 부스타편과 이어지는 블레이드편 바디의 상부에 또 다른 블레이드편과의 결합시 완성시키고자 하는 모양으로의 형성을 위해 결합시키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이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상기 조립홈에 결합시키기 위한 또다른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는 상기 블레이드편 바디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중심의 샤프트축대와 상기 부스타편 외측의 샤프트축대 방향 부분의 사이를 지탱하여 보강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piece body is formed into a shape to be completed when the other blade piece on the top of the blade piece body and the blade piece body that is connected to the bus piece piece when combined with another blade piece. At least one assembly groove is formed to adjust the coupling angle for the coupling, and another assembly groove for coupling to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piece body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bar supporting and reinforcing between the shaft shaft direction of the center and the shaft shaft direction portion outside the busta piece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lade piece body.

또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 및 하부 증 어느 하나 이상을 막도록 판넬형태로 형성되는 막이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membrane plate formed in the panel form to prevent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and lower increments of the blade.

또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 상기 블레이드는 상층의 블레이드편과 하층의 블레이드편 결합시 상기 결합각도의 변화없이 직립형태로 곧게 결합 형성되거나 ; 상층의 블레이드편과 하층의 블레이드편 결합시 일정한 각도로 서로 어긋나도록 결합시키므로써 전체적으로 트위스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층의 블레이드편과 하층의 블레이드편 결합시 내측의 골모양 안쪽으로 상기 상층의 블레이드편 보다 상기 하층의 블레이드편이 더 튀어나와, 상기 튀어나온 하층 블레이드편의 상면으로 불어들어온 바람이 부딪혀 힘을 받는 회전가압단이 형성되도록 조립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directly coupled to form an upright form without changing the coupling angle when the blade piece of the upper layer and the blade piece of the lower layer; When combined with the blade piece of the upper layer and the blade piece of the lower layer by engaging so as to deviate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in a twisted shape as a whole; When the upper blade piece and the lower blade piece are combined, the lower blade piece protrudes more than the blade piece of the upper layer into the inner bone shape, and the wind blow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lower blade piece is hit by a rotational pressur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o form a stage.

또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 상기 발전모듈은 일정 발전 용량을 갖는 다수의 발전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함된 다수의 각 발전기가 허용하는 발전범위를 넘으면 추가 작동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발전부하로 작용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전모듈에서의 출력을 입력받는 구성의 입력허용범위를 넘어서는 발전량은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외부로 흘려 보내도록 덤프로드(dump load)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tors having a constant power generation capacity; Each of the plurality of generators included is configured to act as a power generation load by configuring the additional operation if it exceeds the allowable power generation rang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eyond the input allowable range of the configuration for receiving th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module may include a dump load to flow out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은 수직 및 수평을 포함하여 각도에 제한없이 필요한 각도로 설치가 가능하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a required angle without limitation, including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이외에도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적어도 둘 이상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샤프트축대 사이를 결합시켜 지지하는 서포터장치를 더 추가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when at least two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upporter device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etween shaft shafts of the respectiv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It is possible to further configure.

이러한 상기 서포터장치는,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샤프트축대 상부 끝단을 지지하도록 결합시키는 서포터고정체와; 하나의 서포터고정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또다른 서포터고정체에 반대측 일단을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서포터고정체의 사이를 지지하는 서포터바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er device includes: a supporter fixing body configured to couple to support an upper end of a shaft shaft of the at least two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to be installed; One end is coupled to one supporter stationary body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upporter stationary body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er bar for supporting between the supporter stationary bod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및 이의 블레이드편에서의 구성부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in the blade piece thereof, it is possible to provide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technical information, respectively,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중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important effects.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 형태, 부스타 추가 등 회전가속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acceleration, such as blade form, booster addition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또한 블레이드편이나 블레이드세그멘트를 통해 적층되는 구조를 취하고 동시에 모듈화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치 및 수리,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takes a structure that is laminated through blade pieces or blade segments, and at the same time introduces the concept of modularity to provide ease of installation, repair and management.

또한 수평형이나 수직형 또는 사선형 등 설치 방향에 제한이 없이 원하는 형태와 각도로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at the desired shape and angle without limit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such as horizontal, vertical or obliqu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아울러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비용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이 매우 높은 풍력발전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으며, 경제적인 발전을 일으킬 수 있어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it is expected to receive the spotlight because it is possible to perform low-cost, eco-friendly and very efficient wind power generation, economical development.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대한 크기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대한 부스타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대한 보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블레이드편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조립 결합시 각도 조절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 블레이드편에 대한 결합과정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블레이드의 막이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직립형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표면 형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에 보조부스타가 추가 변화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에 대한 다양한 변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주요 부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견고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의 수리의 편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프로펠러타입 풍력발전시스템과의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 바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 보조부스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형성되는 바람골에서의 바람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형성되는 바람골 흐름을 통해 회전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바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3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해 고도에 따른 바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수직설치 구조에서의 풍력발전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수평설치 구조에서의 풍력발전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실린더 구조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수직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수평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수직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그룹화 설치 경우에 대한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 내지 도 34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이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08339호 '풍력발전기의 날개'에 대한 도면.
도 36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24956호 '사보니우스 날개 및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blade piece of Figure 1 modular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kind of busta pieces for the blade piece of Figure 1 modular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inforcement for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1;
5 is a view showing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lade piece for Figure 5 modular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ngle adjustment process when assembling and combining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5;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nding process for the blade piece i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lade plate of the blade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pright blad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rface formation form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n auxiliary booster is further changed to a blad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FIG.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modification forms for the blades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FIG.
FIG. 14 is a view of the major parts of the FIG. 5 blade modular wind power system.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al robustness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venience of repair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7 is a view showing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arison with a propeller typ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win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booster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wind in the wind bone forme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rotational efficiency is increased through the wind flow forme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verall win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wind according to the altitude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the vertical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cylinder structure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rtical installation form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FIG.
FIG. 28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rizontal installation form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29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installation exampl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3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grouping installation cas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31 to 3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5 is installed.
35 is a 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308339 'wing of the wind power generator'.
36 is a view illustrating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Savonius wing and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24956.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및 이의 블레이드편을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the blade pie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대한 크기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그리고 도 3은 도 1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대한 부스타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에 대한 보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kind of busta pieces for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1,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inforcement for the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1;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10)은 발전을 일으키기 위한 발전시스템의 부품 혹은 부속으로서, 일정두께를 가지며 조립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상의 블레이드편 바디(10B)를 갖되, 중심의 샤프트축대(130)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끝단에 등각고리형태로 구분되는 축결합부(10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끝단에 상기 반원고리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형상으로 부스타편(10C)이 형성된 형태이다. As shown, the blade piece 10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or part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for generating power,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generates power from the outside in an assembled state. Has a blade-like body (10B) of semi-circular ring shape to accommodate the overall, shaft coupling portion (10A) is formed at one end is divided into a conformal ring shape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shaft 130, the other end The busta piece 10C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mi-circular ring shape.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편(10)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타편(10C)의 지름(10Cd)은 블레이드편(10)의 지름(10d)의 1/3 정도 되도록 설계하고, 보조부스타(10D)의 지름(10Dd)은 부스타편(10C)의 지름(10Cd)의 2/3 정도 이하로 설계되는 것이, 대기안정도(Pasquill, 1961)의 E등급(안정)이나 F등급(매우안정), 지상 10m의 고도, 풍속6m/sec, 연평균 기온차 30도 기준으로 산정할 때 회전동력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실험결과 드러나고 있어 앞서 설명한 비율을 참조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ade piece 10 of this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form.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diameter 10Cd of the busta piece 10C is designed to be about 1/3 of the diameter 10d of the blade piece 10, and the diameter 10Dd of the auxiliary booster 10D is Designed to be less than 2/3 of the diameter (10Cd) of the booth piece (10C), E grade (stability) or F grade (very stable) of atmospheric stability (Pasquill, 1961), altitude of 10m above ground, and wind speed of 6m / Second, when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differe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30 degre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rotational power can be maximized.

또한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형성시키고자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설치되어야 할 장소의 평균풍속과 연평균 기온차, 대기안정도, 바람방향 등을 고려하여 블레이드편(10)과 부스타편(10C)의 지름을 증감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to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wind speed and annual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atmospheric stability, wind direction, etc. of the place to be installed, blade piece 10 and booth piece It is important and prefera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ameter of (10C).

아울러 본 블레이드편(10)에 있어, 부스타편(10C)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것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60378호(2009.7.2출원)에도 서술되어 있으나, 다시 살펴본다. In addition, in the blade piece 10, the busta piece 10C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as shown in Figure 3, which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2009-60378 filed by the applicant It is also described in the issue (filed July 7, 2009), but agai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편(10)에 있어, 부스타편(10C)은 형성시킬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외측 둘레부분으로 부는 바람을 받아 풍력발전의 회전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lade pie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sta piece 10C receives the wind blow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lade modulariz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to be formed to perform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It is a component.

먼저 (A)와 같은 초승달 모양의 부스타편(10C)은 가장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부스타편(10C) 모양으로, 초승달처럼 중앙이 오목하게 패인 형태이다. 다음으로 (B)는 (A)와 같은 개념이지만 그 형태가 'ㄷ'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C)모양은 평평한 형태를 하는 부스타편(10C)으로서 회전하는 외주연 끝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본 부스타편(10C)이 보다 강한 바람을 받아 힘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형태로, 화살표와 비슷한 모양을 하는 경우이다.First, the crescent moon-shaped busta piece 10C as shown in (A) is the most generally conceivable busta piece 10C shape, and the center is concavely recessed like a crescent moon. Next, (B) is the same concept as (A) but its shape is 'c' shape, and (C) shape is a busta piece (10C) having a flat shape, which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outer periphery of rotation. This busta piece (10C) is to receive a stronger wind to generate a force, a case similar to the arrow.

그리고 (D), (E), (F) 모양은 양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조화된 형태의 부스타편(10C) 모양으로, 굽어지거나 휘어지지 않되 중앙이 불룩한 형태를 취하는 양력 발생의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한쪽이 타원형태를 하고 반대측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에어포일(airfoil)구조를 변형시켜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앞서의 원리에 따라 (D)는 에어포일(airfoil)구조의 모양을 하며 블레이드편 바디(10B)의 곡면을 따라 형성된 형태로, (E)는 역시 에어포일 구조의 모양을 하며 블레이드편 바디(10B)에 대해 각이 진 형태로, (F)는 원형의 형태로 각각 구조화시켜 부스타편(10C)을 형성하고 있다.And (D), (E), (F) shape is a busta piece (10C) of the structure structured to receive the lift, using the general principle of lift generation that does not bend or bent but has a central bulge In this case, one side is elliptical and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an airfoil structure that is tapered toward the opposite e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 (D) has the shape of the airfoil (airfoil) structure and is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lade piece body (10B), (E) also has the shape of the airfoil structure and the blade piece body ( In the form of an angle with respect to 10B), (F) is structured in the form of a circle, respectively, and the busta piece 10C is formed.

본 블레이드편(10)은 이외에도 블레이드편 바디(10B)의 외연 끝단부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부스타편(10C)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blade piece 10, it is possible to form a buster piece 10C of various forms that is formed at the outer edge end portion of the blade piece body 10B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또한 본 블레이드편(10)의 블레이드편 바디(10B)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고리형상의 블레이드편 바디(10B) 표면으로 상기 외부로부터의 수용되는 발전매체에 의해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블레이드편 바디(10B)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휘어져 오목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부스타편(10D)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보조부스타편(10D)은 블레이드편 바디(10B) 표면으로 상기 반원고리형상의 내측 및 외측 어느 한 측면 이상에서 하나 이상의 필요한 지점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lade piece body 10B of the blade piece 10 is a blade piece in orde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by the power generation medium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surface of the blade piece body 10B of the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t is possible to add at least one auxiliary booster piece 10D that is curv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0B to form a concave shape. In addition, such an auxiliary booster piece 10D is formed at one or more necessary point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emi-circular shape to the surface of the blade piece body 10B.

또한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편(10)은 블레이드편 바디(10B)에 결합되는 상부가 블레이드편 바디(10B)로부터 튀어나오는 형태로 회전가압단(10E)을 형성하고 있다. 이 회전가압단(10E)은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여 회전가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술하겠지만 이를 통해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회전효율을 높여 풍력발전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blade pie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rotary pressing end 10E in such a manner that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blade piece body 10B protrudes from the blade piece body 10B. The rotary pressurization stage 10E receives the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and performs rotational press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efficiency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 있어, 블레이드편 바디(10B)는 부스타편(10C) 및 이 부스타편(10C)과 이어지는 블레이드편 바디(10B)의 상부에 또 다른 블레이드편(10)과의 결합시 완성시키고자 하는 모양으로의 형성을 위해 결합시키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조립홈(10H)이 형성된다. 다수의 조립홈(10H)은 메인조립홈(10Ha)과 보조조립홈(10Hb)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메인조립홈(10Ha)과 다수의 보조조립홈(10Hb)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 piece body 10B is a bus blade piece 10C and another blade piece 10 on top of the blade piece body 10B that is connected to the boot piece piece 10C. When combined with a) is formed a plurality of assembly grooves (10H) for adjusting the angle of coupling to form a shape to be completed. The plurality of assembly grooves 10H may be divided into a main assembly groove 10Ha and an auxiliary assembly groove 10Hb.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one main assembly groove 10Ha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assembly grooves ( 10Hb) is formed.

조립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메인조립홈(10Ha)과 보조조립홈(10Hb)은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블레이드(110)가 트위스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main assembly groove (10Ha) and the auxiliary assembly groove (10Hb) provides a foundation on which the blade 110 of the present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can be formed in a twisted shape.

아울러 본 블레이드편(10)은 금형에 의한 사출로 대량생산하므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자동차 범퍼 등과 같이 금형사출 등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며,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길이 2m에 높이 50cm 정도의 무게를 약 5kg 정도로 할 수 있어 제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ade piece 10 can be reduced in cost by mass production by injection by a mold. In addition, it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such as automobile bumper, and when it is made of polypropylene (PP) material, it can be about 2kg in length and 50cm in height and weighs about 5kg. Can increase.

또한 본 블레이드편(10)은 사출되는 대형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고 블레이드편 바디(10B)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중심의 샤프트축대(130)와 부스타편(10C) 외측의 샤프트축대(130) 방향 부분의 사이를 지탱하여 보강하는 보강대(10S)를 추가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블레이드편(10) 외부를 유리섬유(fiber glass)로 코팅하여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ade piece 10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large blade is injected an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lade piece body (10B), the shaft shaft 130 in the center and the shaft shaft 130 in the busta piece (10C)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configure the reinforcing rod (10S) to support the reinforcement between the part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olid by coating the outside of the blade piece 10 with fiber glass (fiber glass).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블레이드편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조립 결합시 각도 조절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lade piece for Figure 5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ngle adjustment process in the assembly coupling of Figure 5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아울러 도 8은 도 7 블레이드편에 대한 결합과정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블레이드의 막이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addi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process for the blade piece of Figure 7,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lade plate of the blade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5;

그리고 도 10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직립형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pright blad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블레이드(110), 부스타(120), 샤프트축대(130), 발전모듈(14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As show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blade 110, a booster 120, a shaft shaft 130, and a power generation module 140.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서 중요한 내용 중 하나는 블레이드(110)를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모듈화의 구성 및 조립결합에 따라 종래의 풍력발전과는 다른 특성과 효과를 나타낸다.One of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blade 110 can be modularized and configured, 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assembling of such modu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ion can be achieved. Indicates.

블레이드(110)의 모듈화 개념은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블레이드(110)를 형성함에 있어, 블레이드편(10)으로 형성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필요한 정도의 일정한 높이로 결합시킨 것이다. 즉 블레이드모듈(110m)은 몇몇개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조립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몇십 혹은 몇백개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조립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dularization concept of the blade 110 is to form the blade 110 of the present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the blade segment (110s) formed by the blade piece 10 is combined to a certain height as necessary. . That is, the blade module 110m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nd combining several blade segments 110s, or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nd combining dozens or hundreds of blade segments 110s.

먼저 블레이드(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상이되, 중심의 샤프트축대(130)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끝단에 등각고리형태로 구분되는 축결합부(10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끝단에 반원고리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형상으로 부스타편(10C)이 형성되는 블레이드편(10)을, 원하는 개수 본 실시예에서는 2개를 이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편(10) 각각의 축결합부(10A)를 결합시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시키며, 이렇게 형성시킨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일정 높이만큼 적층시켜 블레이드모듈(110m)을 형성하고 이러한 블레이드모듈(110m)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시켜 블레이드(110)를 형성시키게 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blade 1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to receive a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and is divided into a conformal shape at one end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shaft 130. 10 A of axial coupling parts are formed, and the blade piece 10 in which the busbar piece 10C is formed in concave shape so that it may 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a semi-circle shape at the other end may be 2 pieces in this embodiment. It is formed by using. The shaft segments 10A of each of the blade pieces 10 are combined to form blade segments 110s, and the blade segments 110s thus formed are stacked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blade module 110m and such blades. At least one module 110m is combined to form the blade 110.

또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 있어, 회전부스터(120)는 블레이드(110) 외측에 덧대이며 골 모양의 형태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의 적층을 통해 블레이드(110)와 함께 형성되는 구성부이다.In addition,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ry booster 120 is padded outside the blade 110 and formed together with the blade 110 through the lamination of the blade segments 110s in a bone shape. It is a component part.

또한 샤프트축대(130)는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발전을 위해 회전가능상태로 지지되어, 외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둥모양의 축대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haft shaft 130 is supported in a rotatable state for the power generation of the present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llar-shaped shaft to rotate by an external rotational force.

그리고 발전모듈(140)은 샤프트축대(130)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샤프트축대(130)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발전을 일으키는 구성부이다.And the power generation module 140 is locat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shaft axis 13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haft axis (130).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구성을 위해 각각의 구성부를 준비해야 하지만, 그 중에서도 수행하고자 하는 풍력발전에 따라 특히 블레이드(110)를 잘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necessary to prepare each componen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prepare the blade 110 well according to the wind power to be performed.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110)를 위해 먼저, 몇 개의 블레이드편(10)으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서는 블레이드편(10) 2개로 하나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조립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편(10)을 셋이나 넷, 혹은 그 이상으로 하나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형태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는 것이 풍력발전의 효율이나 상황에 따른 설치 환경에 좋게 할 수 있는 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 형태는 완성될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2개의 블레이드편(10)을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조립결합하여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고, 형성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모듈화하여 블레이드(110)를 형성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or the blade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how many blade pieces 10s to form the blade segment 110s. As shown,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ne blade segment 110s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nd combining two blade pieces 10, and the blade pieces 10 may be three or four, or the same. One blade segment 110s may be formed as described above. What is important is to form the blade segment (110s) in what form can be good f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wind power or the situation. The shape of the blade segment 110s is preferably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blade modulariz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to be completed, and here, the two blade pieces 10 are assembled by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blade segment 110s. Forming,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lade 110 by modularizing the formed blade segment (110s).

각각의 경우 블레이드편(10) 각각의 축결합부(10A)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결합되어 도시한 바와 같은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게 된다. In each case, the shaft coupling portions 10A of the blade pieces 10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the blade segment 110s as shown.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조립구성은 크게 각각의 구성부들을 따로 준비하여 조립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과, 샤프트축대(130)에 블레이드편(10)이나 혹은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하나하나 조립해가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ceed in a manner of largely preparing each of the components separately and assembled, the blade piece 10 or the blade on the shaft shaft 130 The segments 110s may be distinguished by assembling one by one.

또한 블레이드(110)의 완성형태에 따라 트위스트(꼬임) 형태와 직립형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mpletion form of the blade 11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twist (twist) form and an upright form.

먼저 트위스트 형태의 블레이드(110)는 상층의 블레이드편(10)과 하층의 블레이드편(10) 결합시 일정한 각도로 서로 어긋나도록 결합시키므로써 전체적으로 트위스트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First, the twisted blade 110 is formed in a twisted shape as a whole by combining the blade piece 10 of the upper layer and the blade piece 10 of the lower layer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이 과정에서 원하는 형태나 각도(θ), 예컨대 각도(θ) 조절없이 직립형태로 곧게 세우거나 혹은 2도, 3도, 4도, 등등과 같이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여 하나의 블레이드편(10)을 결합시키고, 여기에 또다른 블레이드편(10)을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계속 진행하여 블레이드(1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후술하겠지만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한 후 적층조립하는 경우에도 같다.In this process, one blade piece 10 is combined by setting it upright in an upright form without adjusting a desired shape or angle θ, for example, the angle θ, or by adjusting it to a desired degree such as 2 degrees, 3 degrees, 4 degre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lade 110 may be formed by continuing the process of joining another blade piece 10 to the blade piece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laminating and then forming the blade segment 110s.

이러한 조립결합과정에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110)는, 앞서 설명한 회전가압단(10E)에 의해 상층의 블레이드편(10)과 하층의 블레이드편(10) 결합시 내측의 골모양 안쪽으로 상층의 블레이드편(10) 보다 하층의 블레이드편(10)이 더 튀어나와, 튀어나온 하층 블레이드편(10)의 상면으로 불어들어온 바람에 힘을 받게 된다.The blade 110 of this embodiment in the assembly process, the upper blade in the inner bone shape when the upper blade piece 10 and the lower blade piece 10 is coupled by the rotary pressing stage 10E described above. The lower blade piece 10 protrudes more than the piece 10, and is forced by the wind blown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lower blade piece 10.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블레이드(110)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막도록 판넬형태로 형성되는 막이판(1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mbrane plate 150 is formed in a panel form to block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lade 110 is form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앞서 설명한 것과 달리, 상층의 블레이드편(10)과 하층의 블레이드편(10) 결합시 결합각도의 변화없이 블레이드(110)를 직립형태로 곧게 결합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블레이드(110)의 형태를 제외한 사항은 트위스트(꼬임) 형태에서와 같다.An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when the blade piece 10 of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blade piece 10 is combined, the blade 110 is straightened in an upright form without changing the coupling angl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mbination, except for the shape of the blade 110 is the same as in the twist (twist) form.

이제 실제적인 조립 결합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두 블레이드편(10)으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Now look at the case of forming the blade segment (110s) with two blade pieces (10) first to find the actual assembly coupling process.

이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블레이드편(10)의 축결합부(10A)를 맞댄 후, 두 블레이드편(10)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10h)들에 나사 등으로 단단히 결합하여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샤프트축대(130)에 하나하나씩 끼워 넣으면서 블레이드(1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부스타(120)는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after joining the shaft coupling portions 10A of the two blade pieces 10, the blades are firmly coupled to the assembling grooves 10h formed in each of the two blade pieces 10 by means of screws or the like. Segments 110s are formed. The blade segment 110s can be formed by inserting the blade segments 110s formed in the shaft shaft 130 one by one, and the booster 120 is naturally formed in this process.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샤프트축대(130)에 끼워 넣을 때는, 역시 풍력발전을 고려하여 각 블레이드세그먼트(110s) 간에 비트는 각도를 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도에 대한 조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편(10)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홈(10H)으로서 메인조립홈(10Ha)과 보조조립홈(10Hb)의 삽입결합 위치를 알맞게 조종함으로써 가능하다. When inserting the blade segment 110s into the shaft shaft 130,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ngle of twist between each blade segment 110s in consider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of the angle is possibl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ain assembly groove 10Ha and the auxiliary assembly groove 10Hb as a plurality of assembly grooves 10H formed in the blade pie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

본 실시예에 있어 블레이드(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축대(130)에 바로 적층시켜 가면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앞서와 같이 두 블레이드편(10)으로 하나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시키는 경우, 먼저 중심에 샤프트축대(130)를 위치시키고 하나의 블레이드편(10)의 결합부편(10Ac)을 샤프트축대(130)에 접촉시킨 다음, 이에 맞추어 또다른 블레이드편(10)의 결합부편(10Ac)을 결합시키므로써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블레이드세그먼트(110s) 상부에는 다시 원하는 형태나 각도로 조절하여 하나의 블레이드편(10)을 결합시키고 여기에 또다른 블레이드편(10)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계속 진행하여, 블레이드(110)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 110 may be formed while being directly stacked on the shaft shaft 130 as show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forming one blade segment 110s with two blade pieces 10, first, the shaft shaft 1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engaging portion 10Ac of the one blade piece 10 is replaced with the shaft shaft ( 130, then it is possible to form the blade segment 110s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10Ac of the other blade piece 10 accordingly. Then, the blade segment 110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djusted to a desired shape or angle again to combine one blade piece 10 and to continue the process of combining another blade piece 10 thereto, the blade 110. Can be form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모듈(110m)을 형성한 후, 이를 샤프트축대(130)에 원하는 높이나 폭만큼 결합시켜 블레이드(110)를 형성한다. 즉 모듈화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blade module 110m is formed, the blade 110 is coupled to the shaft shaft 130 by a desired height or width to form the blade 110. That is to modularize.

이렇게 형성시키고자 하는 블레이드(110)를 모듈화하여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을 조립형성하면 작동, 성능, 수리, 편리함 등에서 많은 잇점이 있다. If the blade 110 to be formed in this way to modularize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there are many advantages in operation, performance, repair, convenience and the like.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발전모듈(140)은 1개 이상의 발전기(140g)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풍속별 발전량을 최대화함은 물론, 발전한 전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대의 발전기가 장착 설치된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으며, 본 설명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 있어 이러한 발전기(140g)는 하나 혹은 원하는 수만큼 설치될 수 있어, 설치 개수에 제한이 없다.The power generation module 140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generators 140g to maximize power generation for each wind speed, as well as to effectively use the generated pow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installed three generators, this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centering on this. However,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such a generator (140g) can be installed one or as many as desire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installation.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3대의 발전기가 장착 설치되는 경우, 풍속 6m/sec에서 발생하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수가 15rpm까지는 제1발전기(141g)가 작동되어 발전될 수 있도록 구성시키고, 16rpm 초과시는 제1발전기(141g)와 제2발전기(142g)를, 17rpm부터는 3대의 발전기(141g, 142g, 143g,) 모두를 가동하여 발전시킴으로써 작은 바람에서도 발전량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발전기의 연결 제어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수에 의하는 것 뿐만아니라 각 발전기의 출력 전압이나 전류에 의해서도 발전기 출력단자를 on/off함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전기를 설치해 주어도 좋으며, 그러한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ree generators are installed a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enerator 141g is operated to generate power unti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ade 110 generated at a wind speed of 6 m / sec is 15 rpm, and 16 rpm When the excess time, the first generator (141g) and the second generator (142g) by operating all three generators (141g, 142g, 143g,) from 17rpm to generate power in a small wind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 of the generator can be controlled by turning on / off the generator output terminal not only by the rotation speed of the blade 110 but also by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of each generato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generators may be provided, and such is preferabl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발전모듈(140)은, 본 발전모듈(140)에서의 출력을 입력받는 후단 구성부들의 입력허용범위를 넘어서는 발전량은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외부로 흘려 보내도록 덤프로드(dump load, 160)를 추가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순간적 과발전에 대비하는 구성부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전모듈(140)에서의 출력이 어느 정도 허용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그 초과 발전량이 외부로 흐르게 되어,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출력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장치들은 안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on module 140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eyond the input allowable range of the rear end components that receives th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module 140 is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A dump load 160 is additionally configured to flow out of the system 100, which is also a component for preparing for instantaneous overpowering. Therefore, if th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module 140 exceeds the allowable range to some extent, the excess power flows to the outside, and the systems or devices using the output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re safe.

아울러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위의 덤프로드(dump load, 16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안전보호 이상의 발전이 수행되면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휴즈(fuse) 등과 같이 어느 정도까지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안전차단장치(cut off)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순간적인 돌풍이나, 심한 태풍시 단락(cut)되게 하므로써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a current to a certain extent, such as a fuse (fuse) to protect the power generation if more than the safety protec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above dump load (dump load) 160 is performed A safety cutoff device is installed to allow the flow of water. Therefore,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can be safely maintained by making short cuts during instant gusts or severe typhoons.

도 11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표면 형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rface formation form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앞서와 같은 모양 이외에도 최초 블레이드편(10)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110) 및 부스타(120) 등 전반적인 형태 및 상태를 다르게 할 수 있다.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vary the overall shape and state of the blade 110 and the booster 120 by forming various shapes of the first blade piece 10 in addition to the shapes described above.

즉 도 11의 (a)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편(10)의 측면이 되는 블레이드편 바디(10B)와 부스타편(10C)이 각각 직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블레이드(110) 및 부스타(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1A, when the blade piece body 10B and the busta piece 10C, which are the side surfaces of the blade pie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each formed at right angles, the blade 110 and the busta (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ep forming a right angle as shown.

또한 이와 달리 도 11의 (b)와 같이, 블레이드편(10)의 측면이 되는 블레이드편 바디(10B)와 부스타편(10C)이 각각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블레이드(110) 및 부스타(120)는 앞서의 계단형태와 달리 표면이 비교적 매끄러운 상태로 형성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B, when the blade piece body 10B and the busta piece 10C, which are side surfaces of the blade piece 10, are each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he blade 110 and the busta ( 120 is formed with a relatively smooth surface unlike the previous step shape.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 있어, 블레이드편 바디(10B)와 부스타편(10C)의 형태는 서로 같이 혹은 따로 각지거나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110) 및 부스타(120)의 형태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shape of the blade piece body (10B) and the busta piece (10C) is formed to be inclined or inclined to each other or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shape of the blade 110 and buster 120 in various forms Do.

도 12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에 보조부스타가 추가 변화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에 대한 다양한 변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n auxiliary booster is additionally changed in a blad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and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types of changes in the blad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 있어, 블레이드편(10)에 추가되는 보조부스타편(10D)은 블레이드(110)에 대해 바깥쪽 혹은 안쪽에 형성되거나 이러한 내외측 형성이 복합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외에도 보조부스타편(10D)은 각지거나 사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ooster piece 10D added to the blade piece 1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blade 110 or the inner and outer sides thereof. It is possible to form a complex, in addition to the auxiliary booster piece (10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gular or square.

또한 하나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기 위해 셋이나 넷 혹은 그 이상 개수의 블레이드편(10)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형성하는 블레이드편(10) 수에 따라 축결합부(10A)의 결합부편(10Ac) 등의 모양을 맞게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three, four or more blade pieces 10 may be used to form one blade segment 110s. In this case, the number of blade pieces 10 forming one blade segment 110s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is, it is important to form a shape such as a coupling part piece 10Ac of the axial coupling part 10A.

도 14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주요 부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main parts of the FIG. 5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또한 도 15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견고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의 수리의 편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al robustness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5, Figure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venience of repair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 대한 상부 및 하부로부터의 모양은 달팽이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측면에서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 형태는 발전의 효율 못지 않게 미적으로도 뛰어나다. As shown in Figure 14, the shape from the top and bottom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nail-like shape, it can be seen more clearly from the sid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trabismus seen from the top and bottom is as aesthetic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아울러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도 15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편(10)이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들이 구조적으로 서로 버티면서도 지지해 주는 상태가 되므로,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 자체의 휨성(bending, deflexion)이 크게 줄어들어 견고성이 뛰어나며, 견고한 설계를 하면서 전체 중량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5, because each of the blade pieces 10 or blade segments (110s) structurally support each other while supporting,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 100) Its bending and deflexion is greatly reduced, so it is excellent in rigidity, and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weight while making a solid design.

또한 도 16과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중간의 특정 위치에서 블레이드편(10)이나 블레이드세그먼트(110s)를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수리나 관리가 편리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6,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parate the blade piece 10 or the blade segment 110s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middle, it is convenient to repair or manage.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을 프로펠러타입 풍력발전시스템과의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17 is a view showing a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arison with a propeller typ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또한 도 18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 바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 보조부스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addition, FIG.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win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5, Figure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auxiliary booster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아울러, 도 20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형성되는 바람골에서의 바람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형성되는 바람골 흐름을 통해 회전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2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바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In addition, FIG.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wind in the wind bone forme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5, Figure 21 is a rotational efficiency through the wind bone flow forme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ure 5 2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nd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풍력발전의 대표적 HAWT(수평구조)형태인 프로펠라 타입의 풍력발전기는 회전체의 중심축에 모든 부하가 집중되어 일반적으로 풍속 25m/sec 이상시 발전기를 CUT OFF 해야 하나,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메인 브레이드에 걸리는 부하가 시스템 전체적으로 길게 분산되어 지므로, 45m/sec까지도 발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A), a propeller type wind power generator, which is a typical HAWT (horizontal structure) type of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ion, concentrates all loads on a central axis of a rotating body, and thus generates a generator at a wind speed of 25 m / sec or more. CUT OFF, but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signed to generate up to 45m / sec, because the load applied to the main braid is distributed long throughout the system.

또한 (B)와 같이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종래 프로펠라 타입의 풍력발전기(A)에 비해 소음(sound pollution)도 적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것은 계산에 의해서도 증명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evaluated to have less noise (sound pollution) than the conventional propeller type wind power generator (A), which is also proved by calculation.

즉 Rated Wind Speed 16m/sec에서 2MW를 생산하는 종래 프로펠라 타입의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 지름이 80m일 경우 프로펠라 끝단에 부딪치는 바람은 블레이드 끝단의 80m x 3.14 = 251.2m의 둘레에서 16.7rpm으로 회전할 때 블레이드 끝단의 회전속도 4,195m/min(251.2m x 16.7rpm)과 Wind Speed 960 m/min (16m/sec x 60)에서 약 4.37배의 충돌이 일어나고 블레이드 내측으로 가면서 충돌이 적어지는 구조이다. 이는 마치 헬기의 로타 끝단에서 발생하는 큰 소음(최고 초음속돌파)과 같아 피할 수 없는 소음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propeller type wind turbine producing 2MW at a rated wind speed of 16m / sec, when the blade diameter is 80m, the wind hitting the propeller end will rotate at 16.7 rpm around the blade end of 80m x 3.14 = 251.2m. At this time, the impact of blade tip is about 4.37 times at 4,195m / min (251.2mx 16.7rpm) and wind speed 960 m / min (16m / sec x 60), and the collision decreases as it goes inside the blade. This is like the loud noise (top supersonic breakthrough) that occurs at the rotor end of the helicopter.

하지만 이에 반해 2MW의 출력을 내는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블레이드의 지름(폭)을 7.6m 정도 형성하는 것으로도 가능하여 블레이드 끝단의 7.6m x 3.14 = 23.86m의 둘레에서 16.7rpm으로 회전할 때 블레이드 끝단의 회전속도 398.4m/min(23.86m x 16.7rpm)과 Wind Speed 960m/min (16m/sec x 60)에서 약 2.4배의 충돌이 일어나고 블레이드 내측에서는 바람을 껴안고 회전하게 되므로, 종래 프로펠라 타입의 풍력발전기에 비하여 소음이 60%이하로 줄어든다.Howeve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outputs 2 MW, can also form the diameter (width) of the blade by about 7.6 m. When rotating at rpm, about 2.4 times collision occurs at 398.4m / min (23.86mx 16.7rpm) and wind speed 960m / min (16m / sec x 60) at the tip of the blad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propeller type wind turbine, the noise is reduced to 60% or less.

아울러 이러한 효과들은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성부들이 전체적으로 유기적 구조에 따라 작동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se effects can be said tha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verall organic structur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으로 불어들어온 바람은 블레이드편 바디(10B) 즉 블레이드(110)의 몸체와 부스타(120)에 작용하며 보조부스타(125)에도 작용하여 발전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보조부스타(125) 없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9(b)와 같이 보조부스타(125)가 형성되는 경우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8, the wind blown into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viewed from the outside acts on the blade piece body 10B, that is, the body and the buster 120 of the blade 110, and the auxiliary booster 125. It also works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may be formed without the auxiliary booster 125, but when the auxiliary booster 125 is formed as shown in FIG. 19B, the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may be increased.

또한 도 20 내지 도 22와 같이, 외부에서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으로 불어들어온 바람은 부스타(120), 블레이드(110)의 바람골, 보조부스타(125) 등에 작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 블레이드(110) 상단에 부딪친 바람이 샤프트축대(130)와 부스타(120) 사이에 깊게 형성되는 나선형의 바람골을 따라 아랫방향으로 흐르면서 바람의 직진성에 의해 샤프트축대(130)의 회전동력을 높여 주는 '바람골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아울러 부스타(120), 블레이드(110)의 바람골 등으로 흐르면서 작용하는 바람의 상태는 도 22와 같이 평면적인 도식화를 통해서 더욱 확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0 to 22, the wind blown into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from the outside acts on the booster 120, the wind bone of the blade 110, and the auxiliary booster 125.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wind hit the blade 110, the shaft shaft 130 by the straightness of the wind flows downward along the spiral wind bone formed deep between the shaft shaft 130 and the booster 120. It will generate a 'wind goal effect' to increas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wind flowing while acting in the wind bone 120, the blade of the blade 110, etc. can be seen more clearly through the planar diagram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있어 '바람골 효과'란, 블레이드(110)에 깊게 형성되어진 나선형태의 골로써 블레이드(110) 상단에 부딪친 바람이 화살표 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골 아랫방향으로 흐르면서 바람의 직진성에 따라 블레이드 중심축에 회전동력을 가해주는 효과라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ball effect' is a spiral bone deeply formed in the blade 110, and the wind hits the top of the blade 110 as shown by an arrow, etc. According to this, it is an effect of applying rotational power to the blade central axis.

도 23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해 고도에 따른 바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wind according to the altitude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블레이드(110)가 모듈화 형태로 형성되며, 중소형 뿐만 아니라 수직형의 경우 지상으로부터 수백 m 높이까지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s 110 are formed in a modular form, and in the case of vertical as well as small and medium-sized, it may be installed up to several hundred meters from the ground.

바람은 지상높이 각각의 고도에 따라 풍속이 다르며, 따라서 어느 정도의 범위의 높이구간으로 나누어 발전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The wind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altitude of the ground, so it can be divided into a range of heights to examine the development.

도시한 바와 같이 3가지의 모듈 별로 구성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에서의 발전 형태를 살펴보면, 먼저 제3블레이드모듈(113m)에 대한 17.6m/sec의 풍속이 블레이드(110)의 바람골을 타고 제2블레이드모듈(112m)로 작용하고, 제2블레이드모듈(112m)에 대한 15.3m/sec의 풍속이 블레이드(110)의 바람골을 타고 제1블레이드모듈(111m)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위 고도의 풍속이 하단의 블레이드모듈(110m)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Looking at the power generation form 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for each of the three modules as shown, first, the wind speed of 17.6m / sec with respect to the third blade module (113m) of the blade 110 The wind blade acts as the second blade module 112m, and the wind speed of 15.3m / sec for the second blade module 112m acts as the first blade module 111m by riding the wind bone of the blade 110. It can be seen that, the wind speed of the upper altitude can be seen to work effectively on the lower blade module (110m).

도 24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수직설치 구조에서의 풍력발전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수평설치 구조에서의 풍력발전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the vertical installation structure of Figure 5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igure 2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a horizontal installation structure of Figure 5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설치되는 방향이나 축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달리 특별한 경우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동심원과 화살표로 각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풍향에 관계없이 발전을 수행할 수 있고 시시각각 변하더라도 큰 상관이 없어, 발전효율이 증대된다.As show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r the axis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special case. And as shown in each drawing with concentric circles and arrow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ower generation regardless of the wind direction and even if it changes every momen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도 26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실린더 구조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7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수직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8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수평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form of a cylinder structure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rtical installation form for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and FIG. 5 Blade Modularity It is a figure for explaining the horizontal installation form for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실린더설비(170)를 장치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설치와 지지에 이용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6,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er facility 170 to be used for installation and support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즉 실린더설비(170)를 통해 이미 조립결합되어 구성된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을 일으켜 세움으로써 수직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맞은 편에 지지설비를 추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직각으로 눕힘으로써 수평형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많지는 않지만 일정한 경사각도로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it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 form by raising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which is already assembled and assembled through the cylinder facility 170, and by adding a supporting device on the opposite side and lying down at right angles using the horizontal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much, it may be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또한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도 27과 같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8과 같이 지지포스트(180)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can be installed vertically using a crane, as shown in Figure 27, it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using a support post 180 as shown in FIG.

각각의 경우 모듈화 시킨 블레이드(110)를 이송시킬 수 있는 등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블레이드(110)를 모듈화하는 것에 따른 많은 잇점을 누릴 수 있으며, 운반 설치 등에서 최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each case, the modularized blade 110 can be transported, and thus many advantages of modularizing the blade 110 of the blade modulariz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can be enjoyed, and the optimum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transport installations. have.

도 27과 같이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크레인(200)을 준비하고 먼저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하부를 준비한다. 아울러 블레이드(110)를 모듈별로 조립 결합하여 준비하면 설치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이 후 모듈화된 각각의 블레이드모듈(110m)을 하나하나 올려 체결하며,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을 설치 완성한다.In the case of vertical installation as shown in FIG. 27, the crane 200 is prepared at a place to be installed, and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prepared. In addition, the blade 110 may be assembled and prepared for each modu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After that, each modular module of the blade module (110m) to raise and fasten one by one,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is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도 28과 같이 수평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양쪽의 지지포스트(180)를 하나 혹은 둘을 설치하고 블레이드모듈(110m)을 따로 준비하여 끼우도록 설치하거나, 혹은 이미 설치된 샤프트축대(130)에 블레이드편(10)을 하나하나 조립 체결하도록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horizontal installation as shown in FIG. 28, one or two support posts 18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and blade modules 110m are prepared and installed separately, or blade pieces are installed on the shaft shaft 130.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o install (10) to be assembled and fastened one by one.

또한 이 외에도 본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블레이드편(10)을 조립하여 모듈화하고 전체적으로 완성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is,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also possible to assemble and modularize the blade piece 10 in the field to be installed and complete as a whole.

아울러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종래의 풍력발전설비나 장치들에 비해 부스타(120) 장착을 통한 발전효율을 증대시키므로써 평균적으로 약 50%이상의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최대 58% 이상 발전을 증대시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was a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y about 50% or more on average by increas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installing the booster 120 compared to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r devices, and up to 58% or more. It was also confirmed to increase the development.

이러한 발전결과는 수직형(Vertical Axis Wind Turbine ; VAWT)이나 수평형(Horizontal Axis Wind Turbine ; HAWT)에 대한 구분이 없었으며, 미국 등 선진국의 풍력발전 설비 및 기술과 비교해도 더 뛰어난 결과로서, 풍력발전의 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These developments have no distinction betwe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VAWT) and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HAWT), and are superior to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technologie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t can be sai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도 29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수직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그룹화 설치 경우에 대한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9 is a view illustrating a vertical installation exampl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and FIG. 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a grouping installation case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5.

도 29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앞서 설명한 형태 이외에도 각도의 조절이나 블레이드편(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 29,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orm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r the shape of the blade piece 1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m. .

또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서로 지지시키는 형태로도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 form of supporting each other in a stat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3대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이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를 서로 지지시켜야 할 경우, 설치되는 각각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샤프트축대(130) 사이를 결합시키는 상태로 서로 지지시키는 서포터장치(supporter, 19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0, at least two or more of the thre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s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when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to some extent and to support each other, each blade modularization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upporter device 190 supporting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shaft 130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coupled to each other.

이러한 서포터장치(190)는 서포터고정체(191)와 서포터바(192)로 구분할 수 있다. The supporter device 190 may be divided into a supporter fixing body 191 and a supporter bar 192.

먼저 서포터고정체(191)는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의 샤프트축대(130) 상부 끝단을 지지하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서포터바(192)는 서포터고정체(191)의 사이를 지지하는 구성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포터고정체(191)에 일단이 결합되고 또다른 서포터고정체(191)에 반대측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supporter fixing body 191 is couple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haft shaft 130 of the at least two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installed. And the supporter bar 192 is one end is coupled to one supporter stationary body 191 as shown as a component for supporting between the supporter fixture 191 and the other end is opposite to the other supporter fixture 191 It is formed to be coupled and fixed.

본 실시예의 약 3MW급 정도되는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 70m/sec의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강건한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서포터장치(190)를 통해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100)이 70m/sec을 초과하는 난류, 극치돌풍, 극치풍향변화, 극치풍속변화에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서포터장치(190) 등을 통한 지지 구성은 기존 플로펠라타입에서 요(yaw)제어방식에 따른 문제로 시도가 어렵다.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about 3MW clas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design a robust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winds of 70 m / sec, and through the supporter device 190,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is 70 m / s. It is more robust to turbulence, extreme gusts, extreme wind changes, and extreme wind speeds exceeding sec. In addition, the support configuration through such a supporter device 190, etc. is difficult to attempt due to a problem according to the yaw (yaw) control method in the existing floppler type.

도 31 내지 도 34는 도 5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이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1 to 3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system 5 is installed.

또한 도 31 내지 도 34와 같이 강가나 초원, 건물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바닷가, 휴양지, 야산, 다리, 놀이터, 건물 측벽 등 필요한 장소나 위치에 설치하고 풍력발전을 통해 전력을 얻어 이용할 수 있어 그 효과는 무궁무진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 rivers, meadows, buildings, etc., as shown in FIGS. 31 to 34, and can be installed at necessary places or locations such as beaches, resorts, mountains, bridges, playgrounds, building sidewalls, and can be used to obtain power through wind power generation. Will be endless.

끝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블레이드편
10A : 축결합부 10Ac : 결합부편
10B : 블레이드편 바디
10C : 부스타편
10D : 보조부스타편
10E : 회전가압단
10H : 조립홈
10Ha : 메인조립홈 10Hb : 보조조립홈
10S : 보강대
100 :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110 : 블레이드
110m, 111m, 112m, 113m : 블레이드모듈
110s : 블레이드세그먼트
120 : 부스타
125 : 보조부스타
130 : 샤프트축대
140 : 발전모듈 140g : 발전기
150 : 막이판
160 : 덤프로드(dump load)
170 : 실린더설비
180 : 지지포스트
190 : 서포터장치
191 : 서포터고정체 192 : 서포터바
200 : 크레인
10: blade
10A: shaft coupling section 10Ac: coupling section
10B: Blade piece body
10C: Booth Others
10D: Assistant Booster
10E: Rotary Press
10H: Assembly groove
10Ha: main assembly groove 10Hb: auxiliary assembly groove
10S: Reinforcement
100: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10: blade
110m, 111m, 112m, 113m: blade module
110s: blade segment
120: busta
125: auxiliary booster
130: shaft shaft
140: power generation module 140g: generator
150: board
160: dump load
170: cylinder equipment
180: support post
190: supporter device
191: supporter fixed body 192: supporter bar
200: crane

Claims (11)

풍력에 의해 발전을 일으키는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발전매체를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반원고리형상이되, 중심의 샤프트축대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끝단에 등각고리형태로 구분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끝단에 상기 반원고리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형상으로 부스타편이 형성되는 상기 청구항 1의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을, 일정 개수로 준비하여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를 결합시켜 블레이드세그먼트를 형성시키며, 상기 형성시킨 블레이드세그먼트를 일정 높이만큼 적층시켜 블레이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시킨 블레이드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시켜 형성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외측에 덧대이며 골 모양의 형태로 상기 블레이드세그먼트의 적층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형성되는 부스타와;
상기 풍력발전시스템의 발전을 위해 회전가능상태로 지지되어, 외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둥모양의 축대 형태로 형성되는 샤프트축대와;
상기 샤프트축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축대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발전을 일으키는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I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generates power by wind power,
It has a certain thickness and has a semi-circular ring shape as a whole to receive the power generation medium from the outside, and an axial coupling portion formed in an equilateral ring shape is formed at one end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axis, and the semi-circular shape is formed at the other end. A blade piece of the blade modulariz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f claim 1, wherein a busbar piec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 predetermined number is prepared, and the respective shaft coupling portions are combined to form blade segments. A blade formed by stacking segments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blade module and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formed blade modules;
A boost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lade and formed together with the blade through the lamination of the blade segment in a bone shape;
A shaft shaft supported in a rotatable state for power gener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shaft shaft being formed in a pillar-shaped shaft to rotate by an external rotational force;
A power generation module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haft shaft to generate power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haft shaft;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막도록 판넬형태로 형성되는 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lade modular wind turbi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mbrane plate formed in the form of a panel to block any one or mor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la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층의 블레이드편과 하층의 블레이드편 결합시 일정한 각도로 서로 어긋나도록 결합시키므로써 전체적으로 트위스트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ad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whole twisted shape by combining so as to shift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upper blade piece and the lower blade piece are combin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층의 블레이드편과 하층의 블레이드편 결합시 내측의 골모양 안쪽으로 상기 상층의 블레이드편 보다 상기 하층의 블레이드편이 더 튀어나와, 상기 튀어나온 하층 블레이드편의 상면으로 불어들어온 바람에 힘을 받는 회전가압단이 형성되도록 조립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lade
When the upper blade piece and the lower blade piece are combined, the lower blade piece protrudes more than the blade piece of the upper layer into the inner bone shape, and the rotary pressing end receives the force from the wind blow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lower blade piec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to be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층의 블레이드편과 하층의 블레이드편 결합시 결합각도의 변화없이 직립형태로 곧게 결합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ad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traight coupling in an upright form without changing the coupling angle when the upper blade piece and the lower blade piece combi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은
일정 발전 용량을 갖는 다수의 발전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module
Blade modular wind pow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tors having a constant power generation capacit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은
상기 포함된 다수의 각 발전기가 풍속량에 따라 추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발전부하로 작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modul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generators included to be configured to act as a power generation load by controlling the additio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wind spe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은
상기 발전모듈에서의 출력을 입력받는 구성의 입력허용범위를 넘어서는 발전량은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외부로 흘려 보내도록 덤프로드(dump load)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module
Blade modul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dump load is included to send the output of the power generation module beyond the input allowable range of the configuration to receive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샤프트축대 사이를 결합시켜 지지하는 서포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When the at least two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er device for suppor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haft shaft of each of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장치는
상기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샤프트축대 상부 끝단을 지지하도록 결합시키는 서포터고정체와;
하나의 상기 서포터고정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또 다른 서포터고정체에 반대측 일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서포터고정체의 사이를 지지하는 서포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upporter device
A supporter fixing body couple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haft shaft of the at least two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to be installed;
A supporter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supporter stationary body and supporting the other end supporter stationary body to another supporter stationary body to support therebetween;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은
수직 및 수평을 포함하여 각도에 제한없이 필요한 각도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Blade mod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can be installed at the required angle without limit to the angle, including vertical and horizontal.
KR1020100117461A 2010-11-24 2010-11-24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KR101226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461A KR101226937B1 (en) 2010-11-24 2010-11-24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461A KR101226937B1 (en) 2010-11-24 2010-11-24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895A Division KR101001812B1 (en) 2009-06-12 2010-04-07 Blade-media of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66A true KR20110112766A (en) 2011-10-13
KR101226937B1 KR101226937B1 (en) 2013-01-28

Family

ID=4502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461A KR101226937B1 (en) 2010-11-24 2010-11-24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9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73B1 (en) * 2014-04-01 2014-12-26 (주)그린파워컴 The Breaking Prevention Structure Of Vertical Axis In The Vertical Axis Wind Pow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683B1 (en) * 2002-09-30 2005-05-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Vertical axis wind turbine device
CN100374716C (en) * 2006-03-29 2008-03-12 严强 Mounting method for blade of vertical axle wind-mill generator
CN1945009A (en) * 2006-10-11 2007-04-11 严强 Vane support wing structure of vertical shaft wind power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73B1 (en) * 2014-04-01 2014-12-26 (주)그린파워컴 The Breaking Prevention Structure Of Vertical Axis In The Vertical Axis Wind Pow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937B1 (en)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ad et al. Comparison of horizontal axis wind turbines and vertical axis wind turbines
Eriksson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turbine concepts for wind power
US8061993B2 (en) Vertical axis turbine
CN104514680B (en) Variable blade type tidal and wind power generator with increased generation efficiency
EP2483554B1 (en) Tapered hollow helical turbine for energy transduction
US20120070293A1 (en) Wind turbine apparatus,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8047238A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system
Sunyoto et al. The effect of number of blades on the performance of H-Darrieus type wind turbine
CN102400854A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1001812B1 (en) Blade-media of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CN103161671A (en) Vertical 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226937B1 (en) Modularized blade wind generation system
KR100936503B1 (en) Segmental twisting wind generation system having booster blades
US8814495B1 (en) Wind blade device
CN101560949A (en) Self-start vibration-free vertical axis wind turbine rotor
CN201934257U (en) Wind driven generator impeller structure mixed with solar energy gathering device
CN101294546A (en) Novel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2529596A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modular blade with a booster and its blade piece
Marsh et al. Tilting at windmills: Utility-scale VAWTs: towards 10MW and beyond?
CN102817773A (en) Efficient combined vertical-axis wind generator started at low speed
CN202250599U (en) Wind wheel structure of vertical-axis wind driven generator
US8994207B2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low speed wind energy by means of two systems of drive blades
JP2003222071A (en) Invention of darries wind turbine power generation setting a plurality of power generators and wind collecting panel
Krishn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small capacity vertical axis wind turbine
Zoucha et al. Review of Recent Patents on Vertical-Axis Wind Turbines (VAW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