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466A - 접속 경로 재설정을 위한 액세스 변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접속 경로 재설정을 위한 액세스 변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466A
KR20110112466A KR1020117020514A KR20117020514A KR20110112466A KR 20110112466 A KR20110112466 A KR 20110112466A KR 1020117020514 A KR1020117020514 A KR 1020117020514A KR 20117020514 A KR20117020514 A KR 20117020514A KR 20110112466 A KR20110112466 A KR 2011011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domain
destination no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151B1 (ko
Inventor
죠지 메이어
자리 무티카이넨
피터 레이즈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1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5Inter-network session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8Details of addressing, directories or routing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Addi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패킷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부터 회선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 변경을 허용하는 방법 및 상응하는 장치가 제안된다. 접속 착신점으로서의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액세스에 의해 전달될 수 없는 오디오와 같은 매체 유동을 이용하여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할 때, 사용자 장비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접속을 거절하는 특정한 응답을 발송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매체 유동을 포함하는 통신 접속이 회선 교환 도메인으로 변경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몇 개의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만족된다면, 통신 접속은 패킷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부터 회선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 변경된다.

Description

접속 경로 재설정을 위한 액세스 변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ACCESS CHANGE FOR RE-ROUTING A CONNECTION}
본 발명은 접속을 경로 재설정하기 위해 액세스 또는 통신 접속 도메인을 변경하기 위한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착신 세션 설정 과정에서 패킷 교환(Packet Switched(PS)) 도메인과 같은 특유한 제 1 통신 도메인으로부터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CS)) 도메인과 같은 제 2 통신 도메인으로 변경하기 위한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 동안에, 예를 들어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ISDN))과 같은 유선 기반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네트워크, cdma2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UMTS)) 같은 셀룰러 3 세대 (3rd generation(3G)) 통신 네트워크,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같은 셀룰러 2 세대(2nd generation(2G)) 통신 네트워크, 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General Packet Radio System(GPRS)), 이디지이(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EDGE))와 같은 무선 통신 네크워크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또는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네트워크의 증대하는 확장이 전세계에 걸쳐 발생하고 있다.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티스팬(Telecom & Internet converged Services & Protocols for Advanced Networks(TISPAN), 아이티유(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ITU)),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 아이이티에프(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와이맥스 포럼(WiMax Forum) 등과 같은 다양한 조직이 통신 네트워크 및 액세스 환경에 대한 표준에 관하여 작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와 또 다른 통신 설비 또는 사용자 장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사이의 통신 접속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다루기 위해, 제어 네트워크 요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 요소가 노드를 지원하거나, 서비스 노드가 포함된다.
하나의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다. 멀티미디어 통화는 예를 들어 오디오(음성), 텍스트, 비디오 및 사진이 동시에 사용되는 통신이다. 멀티미디어 통화는 일반적으로 몇 개의 상이한 유형의 데이터(비디오, 오디오 등)의 동시(in parallel) 송신을 요구하고, 이들 데이터는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통신 설비 또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되고 수신되며, 따라서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이 협상되어야 하며 통신을 위한 적절한 매개변수가 조정되어야 한다.
인터넷과 셀룰러 통신 세상을 병합하기 위한 현재의 기술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IMS))이다. IMS는 이동 및 고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오퍼레이터를 위한 표준화된 아키텍처이다. IMS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의 3GPP 표준화된 구현에 기초하여 IP를 통한 음성(Voice over IP(VoIP)) 구현을 사용하며,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을 통해 구동한다. PS 및 CS 통신 시스템이 모두 지원된다.
IMS와 사용자 장비 사이에 사용된 시그널링 메카니즘의 일부로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가 사용된다. IMS에서 실행된 구조 및 과정의 상세한 설명은 관련된 표준에서 설명되고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되며, 따라서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이 생략된다.
그러나, 말단 사용자 경험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CS 시스템과 PS 시스템 사이의 연동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IMS는 IMS 집중 서비스(IMS Centralized Services(ICS))와 같은 몇 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ICS는 모든 서비스 및 서비스 제어가 IMS 메카니즘 및 인에이블러(enabler)에 기초하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것은 매체 베어러(media bearer)를 위한 CS 액세스를 사용할 때 IMS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ICS와 함께, 사용자 서비스가 IMS에 의해 제공된다. 사용자 세션은 PS 또는 CS 액세스를 통해 IMS 내에서 제어된다. CS 액세스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또는 IMS 서비스의 전 이중 소리 구성요소(full duplex speech component)를 지원하지 않는 PS 액세스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CS 코어 네트워크(CS core network)는 IMS 세션을 위한 매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회로 베어러(circuit bearer)를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한편, PS 액세스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전 이중 소리 구성요소를 지원하면, 표준 IMS 세션 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CS는 IMS 세션을 위한 CS 매체 베어러의 사용을 지원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ICS와 함께, CS 매체를 사용하는 IMS 세션이 서비스 제어 및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표준 IMS 세션으로서 취급된다. ICS는 매체 수송을 위한 CS 액세스를 사용할 때 서비스 연속성을 위해 요구된 정보의 수송을 위해 UE와 IMS 사이에 시그널링 메카니즘(signaling mechanism)을 더 정의한다.
3GPP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IMS는, ICS와 관련되어, CS 액세스로의 핸드오버(handover)가 ICS에 의해 개시되고 제어되는 소위 단일 라디오 음성 호출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SR-VCC))을 지원한다. PS 도메인으로부터 CS 도메인으로와 같은 통신 액세스 또는 도메인의 적절한 변경을 위해, 몇 개의 요건이 고려되어야 한다. 요구된 특성 중 하나는 요구를 착신하기 위한 UE 보조 도메인 선택(UE-assisted domain selection)이다. 이러한 경우에, ICS 표준에서, 착신 세션 설정 절차가 정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입 세션(incoming session)이 예를 들어 단지 PS만을 사용하여 Gm 참조점(프로토콜 SIP 및 SDP에 기초하는, UE와 IMS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을 통해 전달되고 UE가 CS 도메인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고 가정된다. 그러므로, 세션은 CS 도메인을 사용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PS 도메인이 오디오(소리)에 대해 가능하지 않다는 것, 즉 상응하는 (오디오) 매체 유동이 전달될 수 없다는 것을 UE가 검출할 때 이러한 것이 발생하며, 따라서 UE가 CS 도메인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ICS 표준에 따라,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 측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 애플리케이션 서버(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SCC AS))는 호출하는 UE로부터 서빙 호 세션 제어 기능(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S-CSCF))을 통해 접속 초기화 메시지(SIP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다. SCC AS는 PS 액세스(PS 도메인)을 통해 호출을 전달하기로 결정한다. 착신 노드, 즉 호출된 US가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고 PS 도메인이 음성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검출할 때(예를 들어, 그것이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SM EDGE radio Access Network(GERAN)) 내에 위치될 때), UE는 INVITE를 거절한다. 그런 다음 SCC AS가 CSRN(CS 라우팅 번호(CS routing number), 그에 기초하여 신규 호출이 UE의 CS 도메인 액세스로 라우팅될 것이다)을 향해 INVITE를 설정하는 것이 ICS 표준 내에 더 정의되며, 그런 다음 이는 호출된 UE의 관련된 매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B-MGCF)에서 UE를 향해 CS SETUP 내로 연동된다.
그러나, 현재의 표준에서,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이 최적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호출이 동일한 UE의 CS 측으로 라우팅되어야 한다는 것을 UE가 SCC-AS를 향해 어떤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가 해결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방식은 예를 들어 XML(extended mark-up language) 표시 형태의 표시를 포함하면서 SIP 380 응답과 같은 또 다른 서비스가 요구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UE가 응답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접속을 경로 재설정하기 위해 액세스 또는 통신 접속 도메인을 변경하기 위한 개선된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수단들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제안된 해결책의 일 양태의 일 예에 따라, 예를 들어,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내고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응답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면,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또 다른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가 제공된다.
제안된 해결책의 일 양태의 또 다른 예에 따라, 예를 들어,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내고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응답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을 처리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면,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또 다른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 이들 예는,
- 상기 프로세서 또는 처리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지 않으면, 통신 접속 발신 노드로의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을 표시하는 메시지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는 특성,
-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연락처 주소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상기 프로세서 또는 처리 단계는 상기 통신 접속이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 내의 동일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경로 재설정되어야 하는지를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는 특성,
- 대안적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통신 접속 시도가 이 시점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특성,
-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가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나중에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표시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는 조건,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전달 실패를 표시한다는 조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사용자가 상기 통신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연산을 수행했거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가 통화중이라는 것을 상기 응답 메시지가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상기 응답 메시지가 또 다른 서비스 특정한 액션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상기 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를 위한 국소 환경설정이 장치 내에 존재하여 이것이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을 허용한다는 조건, 및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상기 매체 유동 유형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통하는 통신 네트워크부의 가능성이 가정된다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특성,
-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은 패킷 교환 송신에 기초할 수 있고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은 회선 교환 송신에 기초할 수 있다는 특성,
- 상기 특정한 매체 유동 유형은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일 수 있다는 특성, 및
- 상기 장치 또는 방법은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일부일 수 있다는 특성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해결책의 일 태양의 또 다른 예에 따라, 예를 들어,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발송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매체 유동 유형이 가능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구성된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며,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표시하며, 상기 통신 접속의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 요구(re-routing request)를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안된 해결책의 일 태양의 또 다른 예에 따라, 예를 들어,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발송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매체 유동 유형이 가능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표시하며, 상기 통신 접속의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 요구를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 이들 예는,
-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연락처 주소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특성,
- 대안적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통신 접속 시도가 이 시점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특성,
-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은 패킷 교환 송신에 기초할 수 있고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은 회선 교환 송신에 기초할 수 있다는 특성,
- 상기 특정한 매체 유동 유형은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일 수 있다는 특성, 및
- 상기 장치 또는 방법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일부일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 또는 방법은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에 접속된 프록시 노드의 일부일 수 있다는 특성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 SIP 302 또는 SIP 488 같은 기존의 SIP 프로토콜 요소와 같은 기존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기초할 수 있는 접속을 경로 재설정하기 위해 액세스 또는 통신 접속 도메인을 변경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방법 또는 상응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UE 또는 SCC AS와 같은 기존의 네트워크 요소 내에서의 제안된 메카니즘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며, 복잡한 표준 변경 또는 신규 프로토콜 확장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CC AS의 경우에, 단지 관련된 트리거 점(trigger point)만이 CS 도메인(CSRN)으로 라우팅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다른 네트워크 요소는 제안된 메카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성 및 장점은 물론 추가적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의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대안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의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 내에서 실행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 내에서 실행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 및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 및 실시예는 3GPP 시스템에 관련되어 설명될 것이며, 거기에서 IMS 네트워크로부터 UE 같은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통신 접속 또는 세션이 설정되거나 수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시스템 또는 환경 내의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3GPP2 사양(specification) 등에 따른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 접속 유형 등에 또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기본 시스템 아키텍처는 ICS를 지원하는 IMS 네트워크의 통상적으로 공지된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인터로게이팅 CSCF(Interrogating CSCF(I-CSCF)), 프록시 CSCF(proxy CSCF(P-CSCF)), 서빙 CSCF(Serving CSCF(S-CSCF))와 같은) 몇 개의 역할을 충족하며 IMS 내에서 SIP 시그널링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SIP 서버 또는 프록시인 몇 개의 제어 노드 또는 CSCF를 포함한다. 또한, MGCF, SCC AS 등은 그 아키텍처의 일부이다. 이들 요소의 일반적인 기능 및 상호접속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상응하는 사양에 설명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된다. 그러나, 이하에 설명된 것 이외에 통신 접속을 위해 사용된 몇 개의 추가 네트워크 요소 및 시그널링 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통신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시스템 아키텍처는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의 통상적으로 공지된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 유닛,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요소,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사용자 장비로서의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단말기 장치가 몇 개의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들 요소의 일반적인 기능 및 상호접속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상응하는 사양에 설명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된다. 그러나, 말단 단말기들 및/또는 서버들 사이의 통신 접속 또는 호출을 위해 사용된 몇 개의 추가 네트워크 요소 및 시그널링 링크가 제공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요소 및 그 기능은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컴퓨터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그들의 각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UE 또는 SCC AS와 같은 상응하여 사용된 장치는 제어, 처리 및 통신/시그널링 기능성을 위해 요구된 몇 개의 수단 및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명령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유닛, 명령,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 등의 작업 영역으로서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예를 들어, ROM, RAM, EEPROM 등), 소프트웨어에 의해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켓, CD-ROM, EEPROM 등), 사용자에게 모니터 및 조작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예를 들어, 스크린, 키보드 등), 프로세서 유닛의 제어 하에서 링크 및/또는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예를 들어, 유선 및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 안테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음의 네트워크 요소가 관련된 것으로 표시되며, 호출 설정을 위해 추가 네트워크 부품이 또한 사용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그리고 간단하게 하기 위해, 단지 제안된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그 기능성이 관련된 네트워크 요소만이 도시되고 설명된다. 도시된 네트워크 요소는,
- UE A와 같은 호출하는 통신 접속 발신 노드,
- UE B와 같은 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
- 호출된 UE B의 네트워크 내의 MGCF((B-MGCF),
- SCC AS와 같은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이들 요소의 일반적인 기능 및 구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공된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에서, 호출하는 측(도 1에서 UE A)이 예를 들어 소리 송신을 위한 오디오와 같은 특유한 유형의 매체 유동을 갖는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를 희망할 때, 호출하는 측은 요구된 호출된 측을 향해, 즉 통신 접속 착신 노드(도 1의 UE B)를 향해 상응하는 통신 접속 초기화 메시지(M11)를 발송한다. IMS를 사용할 때, 통신 접속 초기화 메시지는 예를 들어, SIP INVITE 메시지이다. 착신 측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 애플리케이션 서버(terminating side 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B-SCC AS))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CSCF(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UE B로부터 접속 초기화 메시지(SIP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다.
B-SCC AS는 호출된 UE B를 향해 PS 액세스(PS 도메인, 제 1 도메인)를 통해 호출(메시지 M12)을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때, 착신 UE B는 SCC AS에 의해 선택된 PS 액세스가 음성 송신(오디오 매체 유동) 등을 위해 적절한지 여부를 접속 매개변수, 매체 유동 표시, 사용되는 액세스 도메인 등과 같이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UE B는 UE B가 VoIP와 같은 정의된 매체 유동 유형에 대해 이용 가능한 지 여부를 검사한다.
통신 접속의 표시된 매개변수에 대한 이용 가능성에 관한 UE B 내의 판단이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한 경우에, 즉 통신 접속이 PS 액세스를 거쳐 UE B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경우에, 호출 설정은 예를 들어 몇 개의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에, 즉 PS 액세스가 오디오에 대해 적절하지 않거나 UE가 요구된 접속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 UE B는 현재의 통신 접속 초기화 요구를 거절하기 위해 요구하는 B-SCC AS로 특정한 부정적인 응답(M13)을 발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예에 따라, 예를 들어 특정한 부정적인 응답은 UE B의 연락처 주소(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가 일시적으로 움직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SIP 응답 코드, 즉 SIP 302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SIP 302 메시지에서, 또한 연락처 헤더에서, INVITE 요구의 P 호출된 당사자 ID 헤더(P-Called-Party-ID header) 내에 수신된 주소가 표시된다. 이는 UE B가 네트워크에게 정확히 동일한 도착지로 호출을 경로 재설정하라고 명령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루프"의 존재에 기초하여, SCC AS는 이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가입자의 CS 도메인(제 2 도메인)으로 호출을 경로 재설정할 수 있다.
UE B로부터 (부정적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 B-SCC AS는 메시지 M13의 콘텐츠를 처리하고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를 검사한다. 다시 말해서, B-SCC AS는 다음의 조건, 즉
-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가 통신 접속의 나중에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표시하는 매개변수를 포함하는데, 즉, 예를 들어 본래의 SIP INVITE 메시지가 m=audio와 같은 오디오를 나타내는 SDP 매개변수를 포함한다는 조건,
- 응답 메시지가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전달 실패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SIP 메시지 302(또는 나중에 설명될 또 다른 SIP 메시지)가 UE B로의 전달 실패를 나타낸다는 조건,
- (예를 들어, UE의 말단 사용자가 호출을 허용하지 않고 호출 시도를 거부/중단하기 위해 UE에서 상응하는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사용자가 통신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연산을 수행했거나 통신 접속 착신 노드가 통화중이라는 것을 응답 메시지가 표시하지 않는데, 즉 SIP 응답 메시지가 SIP 603(거부) 또는 SIP 486(통화중) 같은 코드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 응답 메시지가 예를 들어 호출의 경로 재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상이한 도착지 주소의 표시와 같은 또 다른 서비스 특정한 액션, 또는 오디오 매체 유동 구성요소를 위한 또 다른 코덱(예를 들어, SIP 302 및 SIP 301(영속적으로 이동됨)과 같은 SIP 경로 재설정 응답 내에서의 상이한 도착지 또는 SIP 488 메시지 내의 SDP 내의 대안적인 음성 코덱)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 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를 위한 국소 환경설정이 존재하며, 이는 다른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을 허용하는데, 즉 B-SCC AS는 거절의 경우에 호출이 CS 도메인으로 경로 재설정되어야 하는, 호출된 사용자 UE B를 위한 국소 환경설정을 갖는다는 조건,
- 통신 접속 착신 노드(UE B)로 통하는 통신 네트워크부가 문제가 되는 매체 유동 유형(여기에서, 오디오)을 제 2 통신 도메인(CS 도메인) 내의 통신 접속 착신 노드 UE B로 전달할 수 있다고, 즉 B-SCC AS가 예를 들어 B-MGCT가 CS 호출을 전달할 수 없는 환경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갖지 않는다고 가정된다는, 예를 들어 B-MGCF가 충족될 수 없는, 요구 내의 임의의 요건이 있다고 가정된다는 조건이 사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예에 따라, 검사의 긍정적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조건이 모두 만족된다고, 즉 이들 조건들 사이에 AND 링크가 있다고 가정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생략될 수 있거나 상기 조건들 중 적어도 몇 개의 조건들 사이에 OR 링크가 설정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추가 예가 작동하는 경우가 또한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리스트는 최종적인 것이 아니며, 즉 관련 조건 등을 부과하는 것과 같이 설명된 조건에 대한 보충물로서 또는 설명된 조건에 추가하여 다른 조건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조건 세트의 검사의 결과에 따라, B-SCC AS는 상이한 추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검사가 긍정적인 경우에, 즉 모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SCC AS는 통신 접속을 제 2 (CS) 도메인으로 경로 재설정하고, UE B의 CSRN(회선 교환 로밍 번호(Circuit Switched Roaming Number))로의 상응하는 INVITE 요구를 설정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SCC AS는 CSRN을 갖는 SIP INVITE 메시지를 B-MGCW로 송신하고(메시지 M14), B-MGCW는 UE B를 이용하여 CS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메시지 M15).
이와 달리, 검사가 부정적인 경우에, B-SCC AS는 UE B로부터 호출하는 측(UE A)을 향해 거꾸로 부정적인(거절) 응답의 표시를 반환한다(도 1에 도시되지 않음).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하는 UE A의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은 상응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CFNRc(Call Forwarding on Mobile Subscriber Not Reachable), CFB in TAS(Call Forwarding Busy in Telephony Application Server))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예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대안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메시지 M13a와 관련된 UE B의 네트워크 요소 및 기능을 제외하면, 네트워크 요소 및 기능은 도 1에 따른 예의 네트워크 요소 및 기능과 동일하다. 동일한 요소 및 부품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서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따라, 메시지 M12에 의해 통신 접속 초기화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PS 액세스가 오디오를 위해 적절하지 않거나 UE가 요구된 접속을 실행할 수 없다고 UE B가 판단할 때, UE B는 현재의 통신 접속 초기화 메시지를 거절하기 위해 요구하는 B-SCC AS로 또 다른 특정한 부정적인 응답(M13a)을 발송한다. 이러한 예에서, 특정한 부정적인 응답은 UE B(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통신 접속 시도가 여기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특정한 SIP 응답 코드를, 예를 들어 SIP 488 (여기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음(Not Acceptable Here)) 응답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시지 M13a는 문제가 되는 매체 유동 유형을 위한 표시를 갖는, 즉 오디오를 표시하는 m-라인을 갖는 SDP 본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오디오를 위한 요구된 PS 자원이 전달될 수 없으며 따라서 B-SCC AS가 CS 도메인으로 경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B-SCC AS가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서,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B-SCC AS)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이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2), 예를 들어 도 1의 B-SCC AS의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요소 또는 기능 이외에 몇 개의 추가의 요소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추가의 요소 또는 기능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간단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서 생략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3에 따른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2)(이하 SCC AS(Application Server for 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로 지칭됨)는 CPU 등과 같은 처리 기능 또는 프로세서(21)를 포함하며, 처리 기능 또는 프로세서(21)는 (이하에 기술된) 도 4에 도시된 처리에 관련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주어진 명령을 실행한다. 프로세서(21)는 특히 도 1 및 도 2에 따라 메시지 M11 및 M13/M13a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처리하고 메시지 M12 및 M14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참조 부호 22 및 24는 프로세서(21)에 접속된 입력/출력(I/O) 유닛을 나타낸다. I/O 유닛(22)은 네트워크(예를 들어, UE A 의 호출하는 측으로 통하는 네트워크 요소, INVITE 메시지 M11은 그곳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음)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O 유닛(23)은 예를 들어 B-MGCF(예를 들어 INVITE 메시지 M12 및 M14는 이러한 유닛을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응답 메시지 M13/M13a는 여기에서 수신될 수 있음)를 통해 UE B(또는 UE B로 통하는 중간 프록시)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O 유닛(22) 및 I/O 유닛(23)은 또한 송수신기 유닛 등과 같이 하나의 부재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참조 부호 24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프로세서(21)의 작업 저장소(working storage)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25는 예를 들어 부정적인 응답이 UE B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 검사부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26은 조건 검사부(25)의 판단 결과 및 본래의 INVITE 메시지 M11로부터 검색된 정보에 반응하여 어느 통신 도메인으로 경로 재설정이 실행되어야 하는지(전술된 예에서 CS 도메인으로 변경)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도메인 변경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에서 도 3의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요소 및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S10에서, 호출하는 당사자로부터 예를 들어 I/O 유닛(22)을 통해 상응하는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SIP INVITE)는 예를 들어 I/O 유닛(23)을 통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UE B)로 송신된다.
단계 S20에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예를 들어 I/O 유닛(23)을 통해 수신된다. 응답이 제 1 통신 도메인(PS 도메인) 내에서의 통신 접속의 거절, 즉 (오디오 같은)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표시한다고 예를 들어 프로세서(21)에 의해 판단된다. 또한, 응답이 전술된 바와 같이 SIP 302 또는 SIP 488 메시지부와 같은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한다고 판단된다. 그런 다음, 수신된 응답을 추가 처리할 때(단계 S30), 전술된 바와 같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프로세서(즉, 조건 검사부(25))에 의해 검사된다.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면(단계 40, 예), 단계 S50에서 프로세서(21)는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오디오)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도메인(도메인 변경부(26)에 의해 선택된 CS 도메인) 내의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I/O 유닛(23)을 통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UE B)로의 또 다른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한다.
반면에, 단계 S30 및 S40에서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에(단계 S40, 아니오), 즉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지 않으면, 프로세서는 호출하는 측으로의, 즉 통신 접속 발신 노드 UE A로의 통신 접속의 거절을 표시하는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하에서, 통신 접속 착신 노드(UE B)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은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의 UE B인 통신 접속 착신 노드(1)의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통신 접속 착신 노드가 도 5과 관련하여 설명된 요소 또는 기능 이외에 몇 개의 추가의 요소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추가의 요소 또는 기능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간단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서 생략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5에 따른 통신 접속 착신 노드(1)(이하 UE B로서 지칭됨)는 CPU 등과 같은 처리 기능 또는 프로세서(11)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1)는 (후술되는) 도 6에 도시된 처리에 관련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주어진 명령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1)는 특히 도 1 및 도 2에 따라 메시지 M12 및 M15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처리하고 메시지 M13/M13a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참조 부호 12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접속된 입력/출력(I/O) 유닛을 나타낸다. I/O 유닛(12)은 네트워크(예를 들어,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SCC AS) 또는 MGCW)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참조 부호 13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프로세서(11)의 작업 저장소(working storage)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14는 요구된 바와 같은 통신 접속이, 특히 여기에서 명령된 매체 유동 유형이 특정한 통신 도메인, 예를 들어 PS 도메인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매체 유동 검사부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15는 매체 유동 검사부(14)의 판단의 결과 및 본래의 INVITE 메시지 M12로부터 검색된 정보에 반응하여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응답 생성부를 나타내며, 제 1 통신 도메인(PS 도메인) 내에서의 통신 접속의 거절, 즉 (오디오 같은)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내고 SIP 302 또는 SIP 488 메시지부와 같은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착신 세션 설정 과정 내에서 도 5의 UE B의 요소 및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S110에서, 호출하는 당사자(즉, SCC AS)로부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가 예를 들어 I/O 유닛(12)을 통해 수신된다.
단계 S120에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처리되며, 요구된 바와 같은 통신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UE B가 요구된 접속 유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 및/또는 PS 액세스가 요구된 매체 유동 유형(예를 들어, 오디오) 또는 접속에 적절한지 여부가 매체 유동 검사부(14)에 의해 판단된다.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예를 들어 I/O 유닛(23)을 통해 수신된다. 응답이 제 1 통신 도메인(PS 도메인) 내에서의 통신 접속의 거절, 즉 (오디오 같은)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낸다고 예를 들어 프로세서(21)에 의해 판단된다.
요구된 바와 같은 통신 접속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단계 S130, 예), 표준 통신 접속 설정 과정이 단계 S15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반면에, 요구된 바와 같은 통신 접속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단계 S130, 아니오), 부정적인 응답이 제 1 도메인(PS 도메인) 내에서의 통신 접속(예를 들어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을 거절하기 위해 응답 생성부(15)에 의해 생성된다. 응답 생성부(15)에 의해 생성된 응답은 제 2 도메인(CS 도메인)으로의 호출의 경로 재설정을 명령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은 SIP 302 또는 SIP 488 메시지부와 같은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한다.
전술된 예에서 요구된 바와 같은 통신 접속이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과 예를 들어 SIP 302 또는 SIP 488 메시지의 형태로의 상응하는 부정적인 응답의 송신이 UE B 자신에 의해 실행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요구된 통신 접속을 위해 PS 액세스가 적절한지 여부의 판단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예를 들어 요구를 허용할 수 없는 P-CSCF 같은 예를 들어 중간 프록시 내에서의 착신 노드(UE B) 전에 또한 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중간 프록시는 부정적인 응답을 반환한다. 예를 들어, SCC AS의 추가 처리는 도 1 또는 도 3과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추가 처리와 동일한 반면, 중간 프록시의 기능 및 구성은 (UE B에 관련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기능 및 구성에 상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 액세스 기술은 사용자 장비가 (예를 들어, 기지국을 통해 또는 일반적으로 액세스 노드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기술일 수 있으며,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ccess Network(WLAN)),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블루투스, 적외선 등과 같은 모든 현재의 또는 미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데, 비록 전술된 기술이 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스펙트럼(radio spectra)에서 일반적으로 무선 액세스 기술이지만, 본 발명의 의미에서 액세스 기술은 또한 예를 들어 케이블 네트워크 또는 고정된 회선(fixed line) 같은 IP 기반 액세스 기술인 와이어바운드(wirebound) 기술은 물론 스위치 교환 액세스 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기술이 패킷 교환 및 회선 교환과 같은 적어도 두 개의 카테고리 또는 액세스 도메인 내에서 구별될 수 있지만, 두 개 초과의 액세스 도메인의 존재가 본 발명이 그에 적용되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는다는 것,
- 액세스 네트워크는 국(station), 실체(entity)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고/있거나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소자, 장치, 유닛 또는 수단일 수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특히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비디오 통신, 데이터 다운로드 등을 포함한다는 것,
- 사용자 장비(또는 이동국)은 시스템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컴퓨터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모든 소자, 장치, 유닛 또는 수단일 수 있다는 것,
- (소자, 장치 및/또는 그 모듈의 예로서, 또는 장치 및/또는 그 모듈을 포함하는 실체의 예로서) 네트워크 요소 또는 단말기에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동되면서 소프트웨어 코드부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 단계는 소프트웨어 코드에 무관하며, 그 방법 단계에 의해 정의된 기능성이 유지되는 한 모든 공지되거나 미래에 개발될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
- 일반적으로, 모든 방법 단계는 구현된 기능성에 관하여 본 발명의 사상을 변경시키기 않으면서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기에 적절할 수 있다는 것,
-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그의 모든 모듈에서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 단계 및/또는 소자, 장치, 유닛 또는 수단은 하드웨어에 무관하고, 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부품,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부품,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CPLD)) 부품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er(DSP)) 부품을 이용하여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MOS)), 상보형 MOS(Complementary MOS(CMOS)), 바이모스(Bipolar MOS(BiMOS)), 바이씨모스(Bipolar CMOS(BiCMOS)), 이미터 결합 논리(Emitter Coupled Logic(ECL)),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Transistor-Transistor Logic(TTL))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또는 미래에 개발될 하드웨어 기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방법 단계 및/또는 소자, 유닛 또는 수단은 예를 들어 인증, 허가, 키잉(keying) 및/또는 트래픽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보안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다는 것,
- 소자, 장치, 유닛 또는 수단은 개별 소자, 장치, 유닛 또는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은 그 소자, 장치, 유닛 또는 수단의 기능성이 유지되는 한 그들이 시스템을 통하여 분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
- 장치는 반도체 칩, 칩셋, 이러한 칩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표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은 구현된 하드웨어 대신에 장치 또는 모듈의 기능성이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구동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내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 및
- 예를 들어 동일한 소자 하우징 내에 있지만 기능적으로 서로 협력하는지 또는 기능적으로 서로 독립되는지에 무관하게 소자는 장치 또는 하나 초과의 장치의 어셈블리로서 간주될 수 있다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패킷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부터 회선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 변경을 허용하는 방법 및 상응하는 장치가 제안된다. 접속 착신점으로서의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액세스에 의해 전달될 수 없는, 오디오와 같은 매체 유동을 이용하여 접속 초기화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판단할 때, 사용자 장비는 패킷 교환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접속을 거절하는 특정한 응답을 발송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매체 유동을 포함하는 통신 접속이 회선 교환 도메인으로 변경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몇 개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예라면, 통신 접속은 패킷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부터 회선 교환 통신 도메인으로 변경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이 그에 대한 특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41)

  1.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내며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응답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면,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또 다른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접속 발신 노드로의 상기 통신 접속의 거절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연락처 주소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접속이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 내의 동일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경로 재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통신 접속 시도가 이 시점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가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나중에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표시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는 조건,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전달 실패를 표시한다는 조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사용자가 상기 통신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연산을 수행했거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가 통화중이라는 것을 상기 응답 메시지가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상기 응답 메시지가 또 다른 서비스 특정한 액션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상기 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를 위한 국소 환경설정이 장치 내에 존재하여 이것이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을 허용한다는 조건, 및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상기 매체 유동 유형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통하는 통신 네트워크부의 가능성이 가정된다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은 패킷 교환 송신에 기초하며,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은 회선 교환 송신에 기초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매체 유동 유형은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인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포함되는
    장치.
  11.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내고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을 처리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면,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또 다른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지 않으면, 통신 접속 발신 노드로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연락처 주소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이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 내의 동일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경로 재설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통신 접속 시도가 이 시점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가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나중에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표시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는 조건,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전달 실패를 표시한다는 조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사용자가 상기 통신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연산을 수행했거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가 통화중이라는 것을 상기 응답 메시지가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상기 응답 메시지가 또 다른 서비스 특정한 액션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
    상기 호출된 통신 접속 착신 노드를 위한 국소 환경설정이 장치 내에 존재하여 이것이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을 허용한다는 조건, 및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상기 매체 유동 유형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통하는 통신 네트워크부의 가능성이 가정된다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은 패킷 교환 송신에 기초하며,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은 회선 교환 송신에 기초하는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매체 유동 유형은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인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내에서 구현되는
    방법.
  21.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발송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매체 유동 유형이 가능하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구성된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며,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표시하며, 상기 통신 접속의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 요구(re-routing request)를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연락처 주소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통신 접속 시도가 이 시점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은 패킷 교환 송신에 기초하며,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은 회선 교환 송신에 기초하는
    장치.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매체 유동 유형은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인
    장치.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에 의해 포함되는
    장치.
  28.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에 접속된 프록시 노드에 의해 포함되는
    장치.
  29.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발송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매체 유동 유형이 가능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표시하며, 상기 통신 접속의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 요구를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의 연락처 주소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부는 통신 접속 시도가 이 시점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 2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은 패킷 교환 송신에 기초하며, 상기 제 2 통신 도메인은 회선 교환 송신에 기초하는
    방법.
  34. 제 29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매체 유동 유형은 오디오 매체 유동 유형인
    장치.
  35. 제 2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 내에서 구현되는
    방법.
  36. 제 2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에 접속된 프록시 노드 내에서 구현되는
    방법.
  37.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나타내고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수단은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세트가 만족되면,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거절된 매체 유동 유형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또 다른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8. 제 1 통신 도메인에서 통신 접속을 초기화하기 위해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 발송된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처리하되,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의 상기 통신 접속의 상기 통신 접속 착신 노드로의 매체 유동 유형이 가능하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구성된 처리 수단, 및
    송신 수단을 포함하며,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접속 초기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제 1 통신 도메인 내에서의 상기 통신 접속의 매체 유동 유형의 거절을 표시하며, 상기 통신 접속의 제 2 통신 도메인으로의 경로 재설정 요구를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
  39. 컴퓨터용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상기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또는 제 2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부가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로 직접 로딩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17020514A 2009-02-04 2009-12-14 접속 경로 재설정을 위한 액세스 변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312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9051263 2009-02-04
EPPCT/EP2009/051263 2009-02-04
PCT/FI2009/050999 WO2010089445A1 (en) 2009-02-04 2009-12-14 Access change for re-routing a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466A true KR20110112466A (ko) 2011-10-12
KR101312151B1 KR101312151B1 (ko) 2013-09-26

Family

ID=4254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514A KR101312151B1 (ko) 2009-02-04 2009-12-14 접속 경로 재설정을 위한 액세스 변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9729587B2 (ko)
EP (1) EP2394489B1 (ko)
JP (1) JP5221775B2 (ko)
KR (1) KR101312151B1 (ko)
CN (1) CN102308661B (ko)
AP (1) AP3130A (ko)
AU (1) AU2009339193B2 (ko)
BR (1) BRPI0924293B1 (ko)
CA (1) CA2751310C (ko)
HK (1) HK1159934A1 (ko)
IL (1) IL214429A (ko)
MX (1) MX2011008124A (ko)
MY (1) MY153543A (ko)
PL (1) PL2394489T3 (ko)
RU (1) RU2504127C2 (ko)
SG (1) SG173498A1 (ko)
UA (1) UA101880C2 (ko)
WO (1) WO2010089445A1 (ko)
ZA (1) ZA2011064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73498A1 (en) 2009-02-04 2011-09-29 Nokia Corp Access change for re-routing a connection
US8364828B2 (en) * 2010-07-16 2013-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P-based call session server and message-routing method
US9094928B2 (en) * 2011-04-06 2015-07-28 Apple Inc. Multiple network mobile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US9007937B2 (en) 2012-06-02 2015-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segregating circuit-switched traffic from packet-switched traffic in radio access networks
US10044768B2 (en) * 2013-01-30 2018-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rvice control awareness for call routing between packet switched telephony domain and circuit switched telephony domain
US10080163B2 (en) 2014-07-15 2018-09-18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network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 response
US10039019B2 (en) 2014-07-24 2018-07-31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non-establishment response
US10594741B2 (en) 2014-08-04 2020-03-17 T-Mobile Usa, Inc. Suppressing third party registration and third party deregistration actions
WO2016045728A1 (en) * 2014-09-25 2016-03-3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omain selection for terminating voice call
US10484493B2 (en) * 2015-11-17 2019-1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messages
EP3307009B1 (en) * 2016-10-05 2021-11-17 Ntt Docomo, Inc.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RU2740299C2 (ru) * 2020-05-22 2021-01-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ьюЛабс"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абонен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0104A1 (en) * 2001-02-13 2002-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ybrid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providing circuit-switched access to a packet-switched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A50173A (uk) * 2001-11-13 2002-10-15 Вадим Борисович Немиро Інтегрована комунікаційна система як розділ системи забезпечення життєдіяльності людини та машини, спосіб її створення і пристрій
US6778492B2 (en) 2002-01-17 2004-08-17 Cisco Technology, Inc. Load balancing for fast reroute backup tunnels
AU2002255202A1 (en) * 2002-04-16 2003-10-27 Nokia Corporation Handling a request to establish a packet switched session
KR100493108B1 (ko) 2003-01-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혼잡 상태에서의 호 처리 서비스 방법
GB2398458B (en) * 2003-02-15 2005-05-25 Ericsson Telefon Ab L M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GB0314252D0 (en) * 2003-06-19 2003-07-23 Ericsson Telefon Ab L M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US7885208B2 (en) 2003-09-11 2011-02-08 Nokia Corporation IP-based services for circuit-switched networks
GB2407207B (en) * 2003-10-13 2006-06-07 Micron Technology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a capacitively coupled chip-to-chip signalling interface
CN1954567A (zh) 2004-05-10 2007-04-25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启动增强通信连接的方法和电信系统
US7366182B2 (en) 2004-08-13 2008-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VPN server interface, address allocation, and signaling with a local addressing domain
US7076037B1 (en) 2004-12-22 2006-07-11 Metro Enterprises, Inc. Process for dynamic call routing in real time
CN100571468C (zh) 2005-08-31 2009-12-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cs域呼叫终结系统和方法
EP1964349B1 (en) * 2005-12-19 2015-1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protocol domains
KR101319189B1 (ko) * 2006-03-03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션별 동시 다중 PoC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과단말기 및 그 시스템
US20080037494A1 (en) 2006-07-31 2008-02-14 Nokia Corporation Cell chang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59980B2 (en) * 2006-10-03 2012-04-17 Nokia Corporation PS network with CS service enabling functionality
KR20080043134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ip 메시징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단문 메시징 서비스클라이언트 간에 메시지 통신을 위한 세션 설정 방법 및시스템
CN101207613B (zh) * 2006-12-21 2012-01-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跨网域信息通信的认证方法、系统及其装置
US8891482B2 (en) 2007-01-09 2014-11-18 Nokia Corporation Session continuity in communication networks
US7668159B2 (en) * 2007-04-25 2010-0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variable call parameters suitable for use in originating a SIP call via a circuit-switched network from a user equipment device
CN101296177A (zh) 2007-04-29 2008-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分组网络中实现过载控制的方法、系统和装置
GB0712386D0 (en) * 2007-06-26 200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abling ue access domain selection for terminated speech/video calls
US20090182819A1 (en) * 2008-01-14 2009-07-16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selectively share messages
SG173498A1 (en) 2009-02-04 2011-09-29 Nokia Corp Access change for re-routing a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8661B (zh) 2014-12-10
JP5221775B2 (ja) 2013-06-26
KR101312151B1 (ko) 2013-09-26
US20110296034A1 (en) 2011-12-01
EP2394489A1 (en) 2011-12-14
MX2011008124A (es) 2011-11-04
ZA201106439B (en) 2013-02-27
CA2751310A1 (en) 2010-08-12
AU2009339193B2 (en) 2015-07-16
PL2394489T3 (pl) 2014-04-30
EP2394489B1 (en) 2013-12-11
CA2751310C (en) 2015-10-27
HK1159934A1 (en) 2012-08-03
UA101880C2 (ru) 2013-05-13
US9729587B2 (en) 2017-08-08
US20170302706A1 (en) 2017-10-19
SG173498A1 (en) 2011-09-29
AP3130A (en) 2015-02-28
MY153543A (en) 2015-02-27
RU2011136179A (ru) 2013-03-10
BRPI0924293B1 (pt) 2021-01-19
BRPI0924293A2 (pt) 2016-01-26
IL214429A0 (en) 2011-09-27
AP2011005834A0 (en) 2011-08-31
IL214429A (en) 2017-09-28
EP2394489A4 (en) 2012-08-01
CN102308661A (zh) 2012-01-04
AU2009339193A1 (en) 2011-08-18
WO2010089445A1 (en) 2010-08-12
RU2504127C2 (ru) 2014-01-10
US10091256B2 (en) 2018-10-02
JP2012517133A (ja)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151B1 (ko) 접속 경로 재설정을 위한 액세스 변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9432414B2 (en) Control of codec negoti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JP5158387B2 (ja) サーバー発見を実行するメカニズム
US8203982B2 (en) Access domain selection in a terminal
RU2446624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возможность управления сеансом услуг ip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подсистем посредством доступа к сетям с коммутацией канал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ообщений не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х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служебных данных
US7961714B1 (en) Providing packet-based multimedia services via a circuit bearer
US20090086719A1 (en) Dynamic initiation of I1-ps signaling in IMS centralized services
EP2628286B1 (en) Connection control with b2bua located behind nat gateway
WO2006064347A1 (en) Method and system to the instant transfer of multimedia files between mobile radio users within the scope of combinational services
US201200633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control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70002775A1 (en) Handling of early media data 1
US20130132594A1 (en) Control of parameter negoti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EP2504972B1 (en) Method and node for routing a call which has services provided by a first and second networks
US10051012B2 (en) Network entity selection
EP4228223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chanism with cloud based call state control function
EP2471238B1 (en) Control of codec negoti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WO2010026459A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ip multimedia system for call setup in mobile satellite systems
KR20060002243A (ko) Sip 스택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과 이의 검증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