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009A - 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009A
KR20110112009A KR1020100031382A KR20100031382A KR20110112009A KR 20110112009 A KR20110112009 A KR 20110112009A KR 1020100031382 A KR1020100031382 A KR 1020100031382A KR 20100031382 A KR20100031382 A KR 20100031382A KR 20110112009 A KR20110112009 A KR 2011011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yoke
coil
vibrating body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259B1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3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2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을 비롯하여, 자석 및 요크를 가지며, 코일과의 상호작용으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진동하도록 코일의 상방에 배치되는 진동체 및 이러한 진동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진동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와 요크가 고정되기 위한 지점을 여러 곳에 두어, 여러 곳에서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편진동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고, 탄성부재를 자기회로가 구성된 하부에 구성시켜,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회로를 비롯한 진동체의 구성을 모두 하부에 구성시킴으로써, 제품 생산을 위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불량 상태에 대한 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 벨소리를 이용한다거나 기기에 떨림을 주어 진동하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진동을 이용한 방법은 벨소리를 통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기 내부에 구성된 소형의 진동 발생 장치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한다.
현재 휴대폰과 같은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진동 발생 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부품으로써, 휴대폰에 탑재되어 무음 상태의 착신알림용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진동 발생 장치는 최근 휴대폰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며,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및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더욱 향상된 품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동 발생 장치(10)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1)와, 하부면에 장착되는 하부플레이트(16), 하부플레이트(16)에 수직으로 착자된 자석(17)과, 상기의 하부플레이트(16), 자석(17)과 더불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자석(17)이 장착되는 요크(18)와, 상기 요크(18)에 장착되는 웨이트(19)를 포함하는 진동체를 상하진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11)와 요크(18)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5) 및 상기 케이스(11)의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용 코일(14)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진동 발생 장치(10)는 케이스(11)의 내부면과 진동체인 요크(18)의 외부면 사이를 탄성부재(15)로 고정시켜 진동체의 진동을 케이스(11)로 전달하는데, 케이스(11)의 내부면과 요크(18)의 외부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진동체의 상하진동 시에 좌우로 흔들리게 되는 편진동을 수반하게 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3917호(수직진동자)에서는 케이스의 내부면과 진동체의 외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케이스와 진동체 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부재를 구성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된 기술에서는 탄성부재와 진동체가 고정됨에 있어서 요크에서 용접 등이 이루어지게 되며, 탄성부재가 요크의 외부면에 고정됨에 있어서, 용접 등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대체로 요크에서도 그 중심점에 해당된다.
따라서, 탄성부재와 진동체가 용접되는 지점이 요크의 내측 중심부의 한 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편진동의 발생을 줄이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댐핑부재 등의 이용은 충격흡수부재의 역할만을 수행할 뿐 진동체 자체의 상하진동을 안정된 상태로 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가 케이스의 상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자기회로가 구성되는 하부로는 진동할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이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진동폭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 발생 장치에서 진동체의 상하진동 시에 발생하는 편진동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진동 발생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자석 및 상기 자석을 감싸는 요크를 가지며, 상기 코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진동하도록 상기 코일의 상방에 배치되는 진동체;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진동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코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이 뚫려 있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의 내측 테두리는 상기 진동체의 요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요크가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지점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의 외측 테두리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탄성부재와 요크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되는 지점을 여러 곳에 두어, 여러 곳에서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편진동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탄성부재를 자기회로가 구성된 하부에 구성시켜,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자기회로를 비롯한 진동체의 구성을 모두 하부에 구성시킴으로써, 제품 생산을 위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불량 상태에 대한 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탄성부재가 하부에 구성됨으로 인해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 공정 시에 탄성부재의 회전도를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 탄성부재의 회전으로 인한 불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진동체의 상하운동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켜, 편진동으로 인한 주변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주변 부재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며, 진동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진동 발생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진동 발생 장치(10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a), 스톱퍼(120), 연성회로기판(130), 코일(140), 판스프링(150), 플레이트(160), 자석(170), 요크(180), 웨이트(190) 및 상부케이스(110-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케이스(110-a)는 상부케이스(110-b)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케이스(110)로 구성되며, 상부에 스톱퍼(120), 연성회로기판(130), 코일(140) 및 판스프링(150) 등이 부착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150)이 하부케이스(110-a)에 고정되어, 상하진동하는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 등을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톱퍼(120)는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의 상하진동이 미치는 범위가 일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자석(170)에 부착된 플레이트(160)가 상하진동에 의해 연성회로기판(130)으로 충격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요 이상의 상하진동을 방지하여 판스프링(150)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30)은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동박(구리막)을 입힌 회로 기판의 원판으로, 코일(14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140)은 연성회로기판(130)을 통해 공급된 전류가 흐르며, 일정 정도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170)과의 상호작용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코일(140)의 재질로는 동과 알루미늄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과 형태, 코일(140)의 구경(口徑) 및 절연 재질 등에 따라 상하진동을 최적의 상태로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판스프링(15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4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플레이트(160),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의 하방에 배치되어 이들을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판스프링(150)은 코일(1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이 뚫려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 테두리(152)는 요크(180)에, 외측 테두리(154)는 하부케이스(110-a)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판스프링(150)은 본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하부케이스(110-a)와 요크(180)에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자석(170)을 감싸기 위해 개방된 요크(180)의 주변을 따라 판스프링(150)의 내측 테두리(152)가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을 위해 용접되는 지점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요크(180)와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지점이 용접되는 것이 가능해 이를 통해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 등의 상하 진동에 대한 안정성을 얻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스프링(150)의 외측 테두리(154)는 케이스(1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데, 판스프링(150)의 외측 테두리(154)에 돌출된 고정돌기(P)가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스(110)에 형성된 삽입부(H)에 고정돌기(P)가 삽입되어 판스프링(150)이 케이스(1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되는 플레이트(160),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는 케이스(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코일(14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진동하도록 코일(140)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160)는 요크(180)에 의해 감싸지지 않은 자석(170)의 개방된 면에 접착되며, 자석(17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60)는 자기장이 요크(180)에서 코일(140)을 통과한 다음에 플레이트(160) 내부를 지나 자석(170)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을 통해 자기장이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플레이트(160)는 순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140)과 플레이트(160) 사이의 거리는 적당한 간격을 주도록 하고, 코일(140)과 플레이트(160) 사이의 간격 및 두께에 따라 상하 진동을 위한 자기장의 발생을 최적화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170)은 요크(18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코일(140)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데, 이때 형성된 자기장이 요크(180)와 플레이트(160)에 의해 순환하여 코일(14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요크(180)는 자석(170)으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의 흐름을 제어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최대가 되게 하며, 자기장이 원활하게 코일(140)을 통과하여 플레이트(16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요크(180)는 순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순철의 순도가 높을수록 자기장이 찌그러짐이 없어 좋은 상하진동 상태를 구현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기회로 측을 향하고 있는 요크(180)의 개방된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판스프링(150)이 고정되는 부위를 중심보다 바깥쪽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어 편진동을 개선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150)과 요크(180)의 고정에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레이저 용접은 레이저 광선으로 금속을 녹여 붙이는 용접으로 판스프링(150)과 요크(180)가 맞닿는 다수의 지점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요크(180)의 내측 중심에 있는 한 점을 용접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안정적인 상하진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편진동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웨이트(190)는 요크(180)의 둘레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진동을 위한 적당한 무게를 주기 위해 구성되며, 철보다 무거운 비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텅스텐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자성체인 다른 구성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동일한 체적 내에서 웨이트(190)를 이용해 질량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160), 자석(170) 및 요크(180) 등의 질량과 관련된 공진주파수를 조절하여 진동량을 최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10-b)는 하부케이스(110-a)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된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케이스(110-b)는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의 상하운동에 의해 접촉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케이스(110-b)는 판스프링(150)의 외측테두리(154)에 형성된 고정돌기(P)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H)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 시에 판스프링(15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판스프링(150)의 회전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0)는 판스프링(150)을 비롯한 플레이트(160), 자석(170), 요크(180) 및 웨이트(190) 등의 구성이 모두 하부케이스(110-a)의 상부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제품 생산을 위한 제조 공정에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상부케이스(110-b)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뢰도 있는 불량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 작업 공정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진동 발생 장치
110 : 케이스 120 : 스톱퍼
130 : 연성회로기판 140 : 코일
150 : 판스프링
152 : 내측 테두리 154 : 외측 테두리
160 : 플레이트 170 : 자석
180 : 요크 190 : 웨이트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자석 및 상기 자석을 감싸는 요크를 가지며, 상기 코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진동하도록 상기 코일의 상방에 배치되는 진동체;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진동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코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이 뚫려 있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내측 테두리는 상기 진동체의 요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요크가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지점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외측 테두리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KR20100031382A 2010-04-06 2010-04-06 진동 발생 장치 KR10111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382A KR101117259B1 (ko) 2010-04-06 2010-04-06 진동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382A KR101117259B1 (ko) 2010-04-06 2010-04-06 진동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09A true KR20110112009A (ko) 2011-10-12
KR101117259B1 KR101117259B1 (ko) 2012-03-16

Family

ID=4502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1382A KR101117259B1 (ko) 2010-04-06 2010-04-06 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33B1 (ko) * 2011-10-18 2013-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603B1 (ko) * 2018-07-11 2019-09-11 주식회사 엠플러스 탄성부재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선형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56B1 (ko) * 2004-06-29 2006-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실장이 가능한 선형 진동자
KR100557653B1 (ko) * 2004-07-06 2006-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발생기
US7538463B2 (en) * 2006-01-10 2009-05-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Vib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33B1 (ko) * 2011-10-18 2013-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603B1 (ko) * 2018-07-11 2019-09-11 주식회사 엠플러스 탄성부재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선형 진동모터
US10960436B2 (en) 2018-07-11 2021-03-30 Mplus Co., Ltd. Elastic member structure an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259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7991B2 (en) Reciprocating vibration generator
US8941272B2 (en) Linear vib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72394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8669679B2 (en) Linear vibrator
US9246375B2 (en) Vibrator for generating horizontal vibration
KR101004907B1 (ko)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515540B2 (en) Linear vibrator
KR101062956B1 (ko) 진동 발생 장치
US20130342034A1 (en) Linear vibrator
KR101228294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20140252890A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KR101388816B1 (ko) 선형 진동자
KR101157396B1 (ko) 선형 진동 장치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KR101141726B1 (ko) 선형진동기용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선형진동기
CN104043575A (zh) 振动发生装置
KR20150053106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8723377B2 (en) Linear vibrator having exposure hole or groove in the cover
KR101171619B1 (ko) 진동발생장치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KR101117259B1 (ko) 진동 발생 장치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KR101037902B1 (ko) 자성 유체가 포함된 리니어 진동 모터
KR20120092248A (ko) 선형 진동자
KR101397816B1 (ko) 진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