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976A -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976A
KR20110111976A KR1020100031325A KR20100031325A KR20110111976A KR 20110111976 A KR20110111976 A KR 20110111976A KR 1020100031325 A KR1020100031325 A KR 1020100031325A KR 20100031325 A KR20100031325 A KR 20100031325A KR 20110111976 A KR20110111976 A KR 20110111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interference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042B1 (ko
Inventor
노원종
이융
권태수
이수환
신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042B1/ko
Priority to US13/009,013 priority patent/US9161251B2/en
Publication of KR2011011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상 셀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기지국은 기지국 주변의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들 및 기지국 주변의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한다. 기지국은 가상 셀을 이용하여 단말기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간단히 산출하고, 산출된 간섭 신호의 영향에 기반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Description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DATA TRANSMISSION SYSTEM FOR DETERMINING DATA TRANSMISSION POWER USING VIRTUAL CEL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은 복수의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서로 겹치기 때문에,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제1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기지국은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제1 기지국이 전송한 데이터는 제2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를 제2 단말기가 수신하면 간섭 신호로 작용하여 제2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을 감소시킨다. 제2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1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전력 결정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1 단말기들간의 간섭 채널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단말기들 및 상기 각각의 제1 단말기들로 제1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하는 가상 셀 모델링부 및 상기 가상 셀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말기에 대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전송 전력 결정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생성하는 채널 추정부 및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세기가 제어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세기가 제어되는 협력 기지국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한 간섭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간 간섭이 감소하여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셀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참조표를 이용하여 가상 셀 정보를 생성하는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복수의 매크로 기지국(110, 120, 130)들로 구성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기지국(110)은 커버리지(112)내에 위치하는 제1 단말기(111)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기지국(120)은 커버리지(122)내에 위치하는 제2 단말기(121)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3 기지국(130)은 커버리지(132)내에 위치하는 제3 단말기(131)로 제3 데이터를 전송한다. 각 기지국(110, 120, 130)의 커버리지(112, 122, 132)는 서로 겹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리지(112, 122, 132)의 외곽에 위치하는 제2 단말기 및 제3 단말기들(121, 131)은 제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 및 제3 단말기들(121, 131)이 수신한 제1 데이터는 간섭 신호로 작용한다.
커버리지(122, 132)의 외곽에 위치하는 제2 단말기 및 제3 단말기들(121, 131)이 간섭 신호를 수신하면, 각 단말기들(121, 131)의 데이터 수신 성능이 감소한다. 제1 기지국(110)은 제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제1 데이터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각 기지국(110, 120, 130)은 각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각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간섭 신호의 영향이 최소화되고, 각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이 최대화 되도록 각 주파수 대역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고하면, 제1 기지국(110)이 제1 단말기(111)로 전송하는 제1 데이터에 대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면, 제2 단말기(121) 및 제3 단말기(131)의 데이터 수신 성능은 향상된다. 그러나 제1 단말기(111)의 데이터 수신 성능은 감소한다. 특정 기지국(11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증감시키는 것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극단적으로는 각 기지국(140, 150, 160)은 특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전력을 '0'으로 결정할 수있다. 이 경우, 특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은 중단되고, 다른 단말기들의 데이터 수신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전력이 감소하면, 도 1의 (a)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감소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110, 120, 130)이 각 단말기(111, 121, 131)들에게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해야 한다.
도 1의 (a)에는 3개의 기지국(110, 120, 130)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려해야할 변수는 더 많아지고, 계산 과정은 더욱 더 복잡해진다.
도 1의 (b)는 마스터 기지국(140)과 펨토 기지국(150, 160)으로 구성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펨토 기지국(150, 160)은 마스터 기지국(140)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중에서 마스터 기지국(140)이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각 단말기(151, 161)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펨토 기지국(150, 160)의 커버리지(152, 162)는 마스터 기지국(140)의 커버리지(142)에 포함되므로, 펨토 기지국(150, 160)과 마스터 기지국(140)간의 간섭은 더욱 심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지국(140, 150, 160)들은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다른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 기지국(140, 150, 160)들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각 기지국(140, 150, 160)들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각 기지국(140, 150, 16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문제로서, 매우 많은 계산량과 시간을 요구한다.
도 1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셀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70)은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협력 기지국 및 복수의 단말기들을 하나의 가상 셀(180, 181)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 가상 셀은 하나의 가상 기지국(180) 및 하나의 가상 단말기(1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협력 기지국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일일이 계산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가상 셀(180, 181)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만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가상 셀에 위치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17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181)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만을 계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17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70)은 복수의 협력 기지국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170)으로부터 가장 센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셀을 모델링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70)은 복수의 협력 기지국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17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의 평균 간섭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가상 셀을 모델링 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 및 복수의 단말기를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2에서, 제1 단말기(210)는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이나, 제1 단말기(210)는 기지국(23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한다. 협력 기지국(220)과 기지국(230)은 서로 인접하며, 제2 단말기(240)는 기지국(2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250)에서 제1 단말기(210)는 기지국(23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251)에서 제1 단말기(210)는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간섭 채널은 제1 단말기(210)가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230)으로부터 제1 단말기(210)까지의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23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간섭 신호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 기지국(230)이 제1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간섭 신호의 전송 전력,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제1 단말기(21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제1 단말기(210)가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 대한 정보,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에 대한 정보, 제1 단말기(210)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또는 제1 단말기(210)가 협력 기지국(220)으로 전송해야할 전송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52)에서 제1 단말기(210)는 협력 기지국(220)으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단계(S253)에서 협력 기지국(220)은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23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230)은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참조표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참조표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주기적으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생성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기간 이상 평균할 수 있다. 단계(S252) 및 단계(S253)에서 기지국(230)으로 전송되는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기간 이상 평균된 간섭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 간섭 채널의 이득, 제1 데이터 신호의 전송 전력, 제1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하는 파라미터들의 전송 주기는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에 대한 전송 주기는 다른 파라미터들에 대한 전송 주기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는 다른 파라미터들 보다 좀 더 자주 전송될 수 있다.
단계(S260)에서 제1 단말기(210)는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제1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협력 기지국(220)은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제1 단말기(210)를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로 선택하고, 선택된 제1 단말기(2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230)은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간섭의 영향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지국(230)은 어떤 단말기가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여부를 알아야 한다.
도 1의 (a)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매크로 기지국(110, 120, 130)들로 구성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가정하자. 각 셀의 외곽에 위치한 단말기들이 강한 간섭의 영향을 받으므로, 각 기지국(110, 120, 130)들은 다른 셀의 외곽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대하여 특히 정밀한 간섭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단계(S262)에서 제1 단말기(210)는 자신의 식별자를 협력 기지국(220)으로 전송하고, 단계(S263)에서 협력 기지국(220)은 기지국(230)으로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제1 단말기(210)로부터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않고, 기지국(230)으로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220)은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셀 외곽에 위치한 단말기들의 식별자만을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상태에 따라서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변경될 수 있다.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므로,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는 매우 짧은 주기로 기지국(2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뿐만 아니라, 간섭 채널의 이득, 제1 데이터 신호의 전송 전력, 제1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하는 파라미터들의 전송 주기는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에 대한 전송 주기는 다른 파라미터들에 대한 전송 주기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는 다른 파라미터들 보다 좀 더 자주 전송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협력 기지국(220)이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전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230)으로 전송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기지국(230)의 주변에는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협력 기지국(220)들은 개별적으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전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230)으로 전송한다. 즉, 기지국(230)은 복수의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전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b)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140)과 펨토 기지국(150, 160)으로 구성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가정하자. 펨토 기지국(150, 1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든 단말기들(151, 161)은 마스터 기지국(140)으로부터 강한 간섭을 받는다, 따라서, 마스터 기지국(140)은 펨토 기지국(150, 1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든 단말기들(161, 151)에 대하여 정밀하게 간섭을 제어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140)은 펨토 기지국(150, 160)의 식별자만을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140)은 펨토 기지국(150, 16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펨토 기지국(150, 1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든 단말기들(151, 161)을 식별하고, 식별된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협력 기지국(220)과 기지국(230)간의 백본링크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를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자신의 식별자를 무선을 통하여 직접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S270)에서 기지국(230)은 복수의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식별자에 기반하여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30)은 단계(S263)에서 수신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할 수 있다. 기지국(230)은 참조표 및 제1 단말기(21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210)의 채널 정보를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30)은 각 협력 기지국(220)에 포함된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평균하여 가상의 평균적인 협력 기지국 및 가상의 평균적인 제1 단말기를 모델링할 수 있다. 가상 셀은 가상의 평균적인 협력 기지국 및 가상의 평균적인 제1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30)은 각 협력 기지국(220)에 포함된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230)으로부터 가장 강력한 간섭을 받은 단말기를 가상 셀에 포함된 단말기로 모델링할 수 있다.
단계(S280)에서 기지국(230)은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데이터 전송 전력은 기지국(230)이 제2 단말기(240)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의 전송 전력이다. 데이터 전송 전력이 증가하면, 기지국(230)이 제1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이 증가한다. 따라서, 기지국(230)은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제1 단말기(210)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30)은 가상 셀에 포함된 가상 단말기와 관련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제1 단말기들간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이 큰 경우, 기지국(230)이 전송한 간섭 신호는 작은 감쇄만을 겪고 제1 단말기(210)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 경우, 기지국(230)은 데이터 전송 전력을 낮은 값으로 결정하여 제1 단말기(210)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이 작은 경우, 기지국(230)이 전송한 간섭 신호는 큰 감쇄를 겪고 제1 단말기(210)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 경우, 기지국(230)은 데이터 전송 전력을 다소 높은 값으로 결정하여 제1 단말기(210)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낮은 값으로 유지하면서도 제2 단말기(240)로 제2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제1 단말기(210)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제1 단말기(210)가 협력 기지국(220)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제1 단말기(210)가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기(210)가 음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는 시간 지연에 매우 민감한 서비스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단말기(21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매우 높을 수 있다.
제1 단말기(210)가 협력 기지국(220)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이 많은 경우에, 제1 단말기(210)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높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210)가 협력 기지국(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제1 단말기(210)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가 높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협력 기지국(220)이 제1 단말기(210)로 데이터를 전송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기지국(230)은 제1 단말기(210)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이 감소하도록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참조표를 이용하여 가상 셀 정보를 생성하는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기지국은 기지국 주변의 복수의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도 3과 같은 참조표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은 협력 기지국의 커버리지 중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와 겹치는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협력 기지국은 제1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1개 임을 알 수 있다. 제1 협력 기지국은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식별자를 전달한다.
제2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단말기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3 협력 기지국은 1개의 단말기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30)은 복수의 협력 기지국(220)들 및 제1 단말기(210)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하나의 가상 셀은 하나의 가상 기지국 및 하나의 가상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협력 기지국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일일이 계산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가상 셀(180, 181)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만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가상 셀에 위치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17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181)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만을 계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17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단 한번의 계산 만으로 기지국(17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따르면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각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각 단말기가 수신하는 총 간섭량, 각 협력 기지국이 각 단말기에 대하여 할당한 데이터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각 단말기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각 단말기가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각 단말기가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산출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단말기의 간섭 신호의 영향에 기반하여 가상 셀을 모델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각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강한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가 포함된 협력 기지국을 가상 셀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강한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고려하여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강한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각 단말기들의 간섭 신호의 영향을 평균하여 평균적인 단말기를 가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가상적으로 생성된 평균적인 단말기를 고려하여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이 경우, 각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이 평균적으로 감소하므로, 각 단말기들의 데이터 수신 성능이 평균적으로 개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은 수신부(410), 가상 셀 모델링쿠(420), 전송 전력 결정부(430) 및 전송부(440)를 포함한다.
수신부(410)는 기지국(40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단말기(450)들로부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간섭 채널은 기지국(400)과 제1 단말기(450)간의 무선 채널이다.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기(450)의 식별자,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제1 단말기(450)가 협력 기지국(460)으로부터 수신하는 제1 데이터 신호의 전송 전력, 제1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제1 단말기(450)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제1 단말기(450)가 협력 기지국(460)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양 또는 제1 단말기(450)가 가장 최근에 협력 기지국(4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410)는 협력 기지국(460)을 경유하여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410)는 전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4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 채널은 협력 기지국(460)으로부터 제1 단말기(450)간의 채널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410)는 제1 단말기(450)의 식별자를 실시간 또는 매주 짧은 수신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450)의 식별자는 제1 단말기(450)가 협력 기지국(4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1 단말기(450)가 협력 기지국(4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400)의 제1 단말기(450)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지국(400)은 제1 단말기(450)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제1 단말기(450)와 협력 기지국(460)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서 제1 단말기(450)는 협력 기지국(4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채널의 상태는 시간에 따라서 급격히 변경되므로, 제1 단말기(450)의 데이터 수신 여부는 채널 상태에 따라서 자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450)는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단말기(450)의 식별자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매우 짧은 전송 주기로 기지국(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410)는 간섭 채널 정보 중에서 제1 단말기(450)의 식별자를 제외한 다른 정보들은 다소 긴 수신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간섭 채널 정보에 포함된 다른 정보들은 채널 상태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그 양이 매우 많다. 따라서 제1 단말기(450)는 제1 단말기(450)와 협력 기지국(460)간의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들을 비실시간(non-real time)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수신부(410)가 제1 단말기(450)의 식별자를 제1 수신 주기로 수신하고, 다른 정보들을 제2 수신 주기로 수신한다면, 제2 수신 주기의 값은 제1 수신 주기의 값보다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410)가 제1 단말기(450)로부터 수신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전송 채널에 대한 정보 등은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평균한 값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450)는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추정한 채널 이득을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평균할 수 있다. 수신부(410)는 채널 이득의 평균값을 제1 단말기(4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1개의 협력 기지국(460) 및 1개의 제1 단말기(450)만이 도시되었으나, 수신부(410)는 서로 다른 협력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단말기(450)들로부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410)는 각 제1 단말기(450)로부터 수신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도 3에 도시된 참조표와 같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가상 셀 모델링부(420)는 복수의 제1 단말기(450)들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1 단말기들 및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기지국(400) 주변에 복수의 협력 기지국(450)이 존재하는 경우에, 기지국(400)은 협력 기지국(450)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40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이 결정된 이후에 협력 기지국(450) 각각의 데이터 전송 전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협력 기지국(45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기지국(40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450)이 복수개인 경우에, 제1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결정된 데이터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제2 협력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협력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다시 기지국(40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각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위의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해야 하므로 기지국(40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한다면, 기지국(400)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셀 모델링부(420)는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400)으로부터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가 접속한 협력 기지국을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셀 모델링부(420)는 각 단말기들의 간섭 신호의 영향을 평균하여 평균적인 단말기 및 평균적인 협력 기지국을 가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가상적으로 생성된 평균적인 단말기 및 평균적인 협력 기지국을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전송 전력 결정부(430)는 가상 셀에 기반하여 제2 단말기(470)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제2 단말기(470)는 기지국(4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기지국(400)으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이다. 기지국(400)이 제2 단말기(470)로 전송한 제2 데이터는 제1 단말기(450)에 대하여 간섭 신호로 작용한다. 따라서, 기지국(400)은 제2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제1 단말기(450)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400)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를 제2 단말기(470)로 전송하는 경우에, 전송 전력 결정부(43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500)는 수신부(510), 채널 추정부(520) 및 전송부(530)를 포함한다.
도 5에서, 협력 기지국(540)은 제1 단말기(500)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550)은 제2 단말기(560)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550)이 전송한 제2 데이터는 제1 단말기(500)에 간섭 신호로 작용한다.
수신부(510)는 기지국(55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550)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560)로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51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55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520)는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간섭 채널은 제1 단말기(500)와 기지국(550)간의 무선 채널이다. 기지국(550)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 신호를 제2 단말기(560)로 전송하는 경우에, 채널 추정부(52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기(500)의 식별자,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및 제1 단말기(50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단말기(500)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단말기(500)가 기지국(550)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540)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단말기(500)가 가장 최근에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530)는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550)으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530)는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협력 기지국(540)을 경유하여 기지국(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550)은 간섭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간섭 신호의 세기를 제어한다. 기지국(550)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기지국(550)은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간섭 신호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550)은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550) 주변의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기지국(550)은 가상 셀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기지국(550)이 제1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간섭 신호의 세기도 제어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530)는 간섭 신호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지국(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간섭 신호에 대한 정보는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정보의 전송 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신호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5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500)의 식별자는 단말기(500)가 협력 기지국(54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말기(500)가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면 기지국(550)은 단말기(500)에 대한 간섭을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500)의 식별자는 최대한 자주, 가능하면 실시간으로 기지국(550)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간섭 신호에 대한 정보는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은 무선 채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정보량이 매우 많다. 단말기(500)와 기지국(550)간의 대역폭이 제한된다면, 단말기(500)는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을 비실시간으로 기지국(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500)는 소정의 전송 주기로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을 기지국(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소정의 전송 주기 동안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을 평균하고, 채널 이득의 평균값을 소정 전송 주기마다 기지국(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등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 중에서 단말기의 식별자를 제외한 다른 정보에 대해서도 단말기(500)는 유사한 방법으로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기지국(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500)가 단말기(500)의 식별자를 기지국(550)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 주기는 단말기(500)가 다른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550)으로 전송하는 제2 전송 주기보다 더 작은 값일 수 있다. 즉, 단말기(500)에 대한 식별자는 다른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들 보다 더 자주 기지국(5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협력 기지국(600)은 수신부(610) 및 전송부(620)를 포함한다.
협력 기지국(600)은 제1 단말기(630)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640)은 제2 단말기(640)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640)이 전송한 제2 데이터는 제1 단말기(630)에 간섭 신호로 작용한다. 기지국(640)은 제2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간섭 신호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수신부(610)는 단말기(630)으로부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간섭 채널은 제1 단말기(630)와 기지국(640)간의 무선 채널이다. 기지국(640)이 복수의 기지국 대역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제1 단말기(630)도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64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한다. 제1 단말기(630)는 간섭 신호에 기반하여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협력 기지국(600)으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기(630)의 식별자,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제1 단말기(630)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제1 단말기(630)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제1 단말기(630)가 협력 기지국(600)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제1 단말기(630)가 협력 기지국(600)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620)는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64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640)은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1 단말기(630)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가 제어된다. 기지국(640)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를 제2 단말기(650)로 전송하는 경우에,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간섭 신호의 세기가 제어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640)은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640) 주변의 복수의 셀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할 수 있다. 기지국(640)은 가상 셀을 기반하여 제2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120, 130: 매크로 기지국
111, 121, 131: 단말기

Claims (21)

  1.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1 단말기들간의 간섭 채널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단말기들 및 상기 각각의 제1 단말기들로 제1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협력 기지국들을 하나의 가상 셀로 모델링 하는 가상 셀 모델링부;
    상기 가상 셀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말기에 대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전송 전력 결정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협력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 상기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전송 전력, 상기 제1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 상기 간섭 채널의 이득,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전송 전력, 상기 제1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들의 식별자에 대한 수신 주기는 상기 상기 간섭 채널의 이득,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전송 전력 및 상기 제1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에 대한 수신 주기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기지국.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제1 단말기간의 전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기지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셀 모델링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단말기들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간섭 신호의 평균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셀을 모델링하는 기지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셀 모델링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단말기들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간섭 신호들 중에서 세기가 가장 큰 간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셀을 모델링하는 기지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중에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펨토 기지국인 기지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백본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직접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결정부는 한번의 계산으로 상기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
  12.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생성하는 채널 추정부;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세기가 제어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상기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기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제1 전송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상기 제1 전송 주기보다 더 큰 값을 가지는 제2 전송 주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가상 셀을 모델링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가상 셀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단말기.
  18.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세기가 제어되는 협력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상기 간섭 채널의 채널 이득,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협력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기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경과한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협력 기지국.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가상 셀을 모델링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가상 셀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협력 기지국.
KR1020100031325A 2010-04-06 2010-04-06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163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325A KR101639042B1 (ko) 2010-04-06 2010-04-06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13/009,013 US9161251B2 (en) 2010-04-06 2011-01-19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determining data transmission power using a virtua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325A KR101639042B1 (ko) 2010-04-06 2010-04-06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76A true KR20110111976A (ko) 2011-10-12
KR101639042B1 KR101639042B1 (ko) 2016-07-12

Family

ID=4471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325A KR101639042B1 (ko) 2010-04-06 2010-04-06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61251B2 (ko)
KR (1) KR101639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51B1 (ko) * 2011-10-14 2013-09-09 한국과학기술원 클러스터들을 이용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7994A (zh) * 2012-01-18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小区间干扰的方法及系统
FR2986688B1 (fr) * 2012-02-08 2014-02-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Gestion dynamique de petites cellules pour optimiser la consommation energetique d'un reseau en fonction du trafic
US8903369B2 (en) * 2012-02-24 2014-12-02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9503934B2 (en) 2012-10-18 2016-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ccess virtualization
US10263741B2 (en) * 2013-05-10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multipoint (CoMP) and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suppression/cancellation
CN113630229B (zh) 2018-06-27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0797749B1 (en) * 2019-03-11 2020-10-06 Google Llc Base station coordination for cross-link interference cance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7223A1 (en) * 2002-09-30 200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virtual cell in a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103084A1 (en) * 2007-02-20 2008-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from a macro cell back to a femto cell
US20100029319A1 (en) * 2006-10-03 2010-02-04 Ntt Docomo,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752A (ja) 1994-06-10 1995-12-22 Fujitsu Ltd 移動端末のグループ選択制御方法
JP3799282B2 (ja) 2002-03-22 2006-07-1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チャンネル自動整合を行える無線lan基地局
KR100639095B1 (ko) 2002-11-01 2006-10-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직접 최대 출력 안정화 방법
KR100594116B1 (ko) 2004-06-18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의 정보구성과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876771B1 (ko) 2004-08-17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압축 방법과 스캐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4767768B2 (ja) 2006-06-19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基地局で使用される方法
EP2060038B1 (en) * 2006-08-18 2016-06-29 Fujitsu Limi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relay networks
KR101376180B1 (ko) 2007-10-18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협력을 이용한 공간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및그 방법
CN101651880B (zh) * 2008-08-11 2013-12-25 株式会社Ntt都科摩 多小区协作发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7223A1 (en) * 2002-09-30 200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virtual cell in a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29319A1 (en) * 2006-10-03 2010-02-04 Ntt Docomo,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WO2008103084A1 (en) * 2007-02-20 2008-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from a macro cell back to a femto c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51B1 (ko) * 2011-10-14 2013-09-09 한국과학기술원 클러스터들을 이용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44900A1 (en) 2011-10-06
US9161251B2 (en) 2015-10-13
KR101639042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1976A (ko)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2451214B1 (en) Method for deciding on a potential load balancing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and corresponding network element
US8355729B2 (en) Method for changing route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0880906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implementing fairness and complexity-constrained 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scheme
US9100923B2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749110A1 (en) A radio network node, a controlling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enabling management of radio resources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KR2015008989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정 및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4484960B1 (ja) 大セル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06793047B (zh)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及基站
JP659144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リアルタイム送信電力調節方法及び装置
KR201600152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301014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104500A (ko) 단말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9044335A1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hybrid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US11665622B2 (en) Network node an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705650B2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n initial configuration of generation of uplink reference signals
KR101610050B1 (ko) 전력제어 기반의 d2d 통신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CN111226478A (zh) 数据发送方法、装置及系统
EP4120578A1 (en) Beam optimization based on signal measurements in neighboring cells
CN108684072B (zh) 基站间载波聚合的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基站和设备
EP33406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56577B2 (en) Method for defining parameter value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piece of user equipment
EP3262777B1 (en) Determining signal to noise ratio and tti bundling adapt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1158861A1 (ja) 無線基地局、及び電源制御方法
JP200625375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初期通信速度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