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872A - 로봇 핸드 - Google Patents

로봇 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872A
KR20110111872A KR1020100031176A KR20100031176A KR20110111872A KR 20110111872 A KR20110111872 A KR 20110111872A KR 1020100031176 A KR1020100031176 A KR 1020100031176A KR 20100031176 A KR20100031176 A KR 20100031176A KR 20110111872 A KR20110111872 A KR 2011011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obot finger
robot
fing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238B1 (ko
Inventor
김성태
임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멕
Priority to KR2010003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2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09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comprising multi-articulated fingers, e.g. resembling a human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의 크기에 따라 로봇 손가락을 회동시켜 물체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로봇 핸드에 관한 것으로, 손목연결부재(1100)와;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는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1로봇 손가락(120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는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1로봇 손가락(12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는 제3로봇 손가락(1400)과;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어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 구동부(1500)로 구성하여, 로봇 핸드의 부피와 중량을 줄이고 손바닥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로봇 핸드{Robotic hand}
본 발명은 로봇 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의 크기에 따라 로봇 손가락을 회동시켜 물체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로봇 핸드에 관한 것이다.
인간형 로봇(humanoid)은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가질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인간형 로봇은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하기 위해 보다 정밀한 동작을 위한 로봇 핸드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로봇 핸드는 보다 정밀한 동작을 위해 정교한 동작을 할 수 있는 로봇 손가락이 요구된다.
종래의 로봇 손가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로봇 손가락은 제1마디(1), 제2마디(2), 제3마디(160) 및 관절운동기구(4a,4b,4c,4d,4e)로 구성된다.
제1마디(110)는 상측에 힌지부(부재번호 미기재)가 형성되고 관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도시 않음)가 내측에 설치된다. 힌지부는 핀축(도면부호 미기재)이 설치되며, 이 핀축과 모터에 관절운동기구(4a,4b,4c,4d,4e)의 다수개의 베벨 기어(4a,4b)가 설치된다. 다수개의 베벨 기어(4a,4b)는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다수개의 베벨 기어(4a,4b) 중 베벨 기어(4a)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베벨 기어(4b)는 제1마디(1)의 핀축에 설치되어 제1마디(1)의 핀축을 회전시킨다. 제1마디(1)의 핀축이 회전되면 이 핀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와이어링(wire ring)(2)이 베벨 기어(4b)와 연동되도록 회전된다.
제2마디(2)는 제1마디(1)의 핀축과 제3마디(3)의 핀축(도면부호 미기재)에 설치되어 제1마디(1)의 핀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동된다.
제3마디(3)는 핀축의 양측에 각각 회전부(4e)가 설치되며, 회전부(4e)는 와이어(4d)로 와이어링(4c)과 연결되며, 와이어(4d)는 회전력을 올바른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어긋난 형태로 연결된다. 와이어(4d)는 베벨 기어(4b)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와이어링(4c)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손끝 마디인 제3마디(3)를 회동시킨다. 즉, 제3마디(3)는 회전부(4e)에 연결된 와이어(4d)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마디(2)는 회전부(4e)와 힌지부의 핀축에 설치되어 제3마디(3)의 회동에 따라 종속적으로 이동하여 물체를 잡거나 해제하기 위한 굽힘과 펴짐 운동을 하게 된다.
로봇 핸드는 상기 동작을 하는 로봇 손가락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봇 핸드는 다수개의 로봇 손가락을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로봇 손가락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구비된다. 즉, 종래의 로봇 핸드는 서로 인접되는 로봇 손가락의 사이를 벌리거나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로봇 손가락에 구비되는 모터를 구동하여 물체를 파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로봇 핸드와 같이 다수개의 로봇 손가락을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모터로 인해 부피가 커지거나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체의 크기에 따라 로봇 손가락을 회동시켜 물체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로봇 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로봇 손가락을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로봇 핸드의 부피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로봇 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봇 손가락과 마디를 구동하는 각각의 구동원을 손목방향에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손바닥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로봇 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체와의 접촉 여부 즉, 부하의 크기에 따라 마디가 다르게 움직이는 적응형 운동(adaptive motion)이 가능한 로봇 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핸드는 손목연결부재와;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을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핸드는 손목연결부재와;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을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 구동부와;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은 각각 제1마디와, 상기 제1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는 제2마디와, 상기 제2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마디와 종동링크로 연결되는 제3마디와, 상기 제3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마디와 탄성링크로 연결되는 마디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링크는 적응형 운동기구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탄성링크용 안내돌기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링크부재와, 상기 탄성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링크부재가 스톱퍼에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는 탄성부재로 가해지는 부하 유무에 따라 상기 제3마디를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거나 탄성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제2마디 및 제1마디가 각각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제2로봇 손가락과 제3로봇 손가락이 제1로봇 손가락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물체의 크기에 따라 로봇 손가락을 회동시켜 물체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어 로봇 핸드의 부피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로봇 손가락과 마디를 구동하는 각각의 구동원을 손목방향에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손바닥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물체와의 접촉 여부 즉, 부하의 크기에 따라 마디가 다르게 움직이는 적응형 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로봇 손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봇 핸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봇 핸드의 부분 분해 조립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가락 구동부의 분해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로봇 손가락의 부분 분해 조립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마디 구동부의 분해 조립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로봇 손가락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로봇 핸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손목연결부재(1100),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제3로봇 손가락(1400) 및 손가락 구동부(1500)로 구성되며, 도 2 내지 도 4 중에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가락 구동부(1500)를 X축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손목연결부재(1100)는 본 발명의 로봇 핸드를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제1로봇 손가락(1200)은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된다. 제2로봇 손가락(1300)은 제1로봇 손가락(120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며, 제3로봇 손가락(1400)은 제1로봇 손가락(12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된다. 손가락 구동부(1500)는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어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로봇 핸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목연결부재(1100)는 손목연결 하우징(1110), 지지부재(1120) 및 손바닥부재(1130)로 구성된다. 손목연결 하우징(1110)은 손목연결부재(1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지지부재(1120)는 상측지지부재(1121)와 상측지지부재(1121)의 하측에 상측지지부재(1121)와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체결부재(1123)로 체결되는 하측지지부재(1122)로 이루어지며, 손목연결 하우징(1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120)는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과 손가락 구동부(1500)가 설치되는 다수개의 설치홀(1121a,1122a)이 형성된다. 손바닥부재(1130)는 지지부재(11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및 제3로봇 손가락(1400)의 연결고리부재(51: 도 5에 도시됨)에 설치되어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를 지지한다. 이러한 손목연결부재(1100)는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과 손가락 구동부(1500)의 회전구동원(52a)이 각각 손목연결 하우징(1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손바닥부재(1130)를 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및 제3로봇 손가락(1400)은 각각 제1마디(10) 및 제2마디(30)로 이루어지는 2개의 마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및 제3로봇 손가락(1400)을 구동하는 손가락 구동부(1500)는 회전구동원(1510), 구동기어(1520), 제1종동기어군(1530) 및 제2종동기어군(1540)으로 구성된다.
회전구동원(1510)은 모터가 사용되고 손목연결부재(1100)에 설치되며, 구동기어(1520)는 회전구동원(1510)에 연결된다. 제1종동기어군(1530)은 구동기어(1520)와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연결되어 구동기어(15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로봇 손가락(1300)을 회동시키며 다수개의 종동기어(1531,1532,1533)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베벨기어가 사용되고, 제2종동기어군(1540)은 구동기어(1520)와 제3로봇 손가락(1400)과 연결되어 구동기어(15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3로봇 손가락(1400)을 회동시키며 다수개의 종동기어(1541,1542,1543,1544)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베벨기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제1종동기어군(1530)의 종동기어의 개수는 제2종동기어군(1540)의 종동기어의 개수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제1종동기어군(1530)과 제2종동기어군(1540)은 회전구동원(15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2로봇 손가락(1300)이나 제3로봇 손가락(1400)으로 각각 전달하여 제2로봇 손가락(1300)이나 제3로봇 손가락(1400)이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종동기어군(1530)은 3개의 종동기어(1531,1532,1533)로 이루어지며, 제2종동기어군(1540)은 제1종동기어군(1530) 보다 한 개의 종동기어가 더 많은 4개의 종동기어(1541,1542,1543,1544)로 이루어져 제2로봇 손가락(1300)이나 제3로봇 손가락(1400)이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도록 하며, 각각의 제1종동기어군(1530)과 제2종동기어군(1540)은 각각의 종동기어들을 지지부재(1120)에 견고하게 지지하며 구름 회전운동되도록 베어링(R2)과 와셔(W)가 더 구비되어 설치된다.
제2로봇 손가락(130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종동기어군(1530)은 제1종동기어(1531), 제2종동기어(1532), 제3종동기어(1533) 및 핀부재(1534)로 구성된다. 핀부재(1534)는 지지부재(1120)의 상측지지부재(1121) 및 하측지지부재(1122)에 각각 형성된 설치홀(1121a,1122a)에 회동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제1종동기어(1531)는 핀부재(1534)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기어(1520)와 연결되어 구동기어(1520)가 회전되면 이 회전력을 핀부재(1534)를 통해 제2종동기어(1532)로 전달한다. 제2종동기어(1532)는 핀부재(1534)의 타측에 설치되어 핀부재(1534)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4종동기어(1533)는 제2종동기어(1532)와 연결되며 제2로봇 손가락(1300)의 마디 구동부(50)와 결합되어 구동기어(15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2로봇 손가락(1300)로 전달하여 제2로봇 손가락(1300)이 제3종동기어(153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3종동기어(1533)는 내주면에 결합홈(1533a)이 형성되며, 결합홈(1533a)에 삽입되는 돌기부재(1533b)와 돌기부재(1533b)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시(1533c)가 더 구비되어 설치된다. 가이드부시(1533c)의 내측에는 제2로봇 손가락(1300)의 마디 구동부(50)에 구비되는 경사부재(52b)가 삽입 설치되어 제3종동기어(1533)가 회전되면 제3종동기어(1533)와 돌기부재(1533b)로 연결되어 회전된다. 가이드부시(1533c)가 회전되면 경사부재(52b)가 구비되는 마디 구동부(50)를 제3종동기어(1533)을 중심축으로 회전시켜 제2로봇 손가락(1300)이 회동되며, 이때 경사부재(52b)는 가이드부시(1533c)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제3종동기어(1533)는 상측에 가이드부시(1533d)가 더 구비된다.
제3로봇 손가락(140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종동기어군(1540)은 핀부재(1545), 제1종동기어(1541), 제2종동기어(1542), 제3종동기어(1543) 및 제4종동기어(1544)로 구성된다.
핀부재(1545)는 지지부재(1120)에 형성된 홀(부재번호 미기재)에 삽입 설치되며, 제1종동기어(1541)는 핀부재(1545)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기어(1520)와 연결되어 구동기어(1520)가 회전되면 이 회전력을 핀부재(1545)를 통해 제2종동기어(1542)로 전달한다. 제2종동기어(1542)는 핀부재(1545)의 타측에 설치되어 핀부재(1545)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3종동기어(1543)는 제2종동기어(1542)와 연결되며 지지부재(1120)에 삽입되는 핀부재(1545)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종동기어(154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4종동기어(1544)는 제3종동기어(1543)와 연결되며 제3로봇 손가락(1400)의 마디 구동부(50)와 결합되어 구동기어(15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3로봇 손가락(1400)로 전달하여 제3로봇 손가락(1400)이 제4종동기어(1544)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4종동기어(1544)는 내주면에 결합홈(1544a)이 형성되며, 결합홈(1544a)에 삽입되는 돌기부재(1544b)와 돌기부재(1544b)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시(1544c)가 더 구비되어 설치된다. 가이드부시(1544c)의 내측에는 제3로봇 손가락(1400)의 마디 구동부(50)에 구비되는 경사부재(52b)가 삽입 설치되어 제4종동기어(1544)가 회전되면 제4종동기어(1544)와 돌기부재(1544b)로 연결되어 회전된다. 가이드부시(1544c)가 회전되면 경사부재(52b)가 구비되는 마디 구동부(50)를 제4종동기어(1544)을 중심축으로 회전시켜 제3로봇 손가락(1400)이 회동되며, 이때 경사부재(52b)는 가이드부시(1544c)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제4종동기어(1544)는 상측에 가이드부시(1544d)가 더 구비된다.
제3종동기어(1533)는 제2종동기어(1532)와 연결되며 제2로봇 손가락(1300)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로봇 핸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손목연결부재(1100),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제3로봇 손가락(1400), 손가락 구동부(1500) 및 제어기(1600)로 구성된다.
손목연결부재(1100),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제3로봇 손가락(1400) 및 손가락 구동부(1500)의 상세한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로봇 핸드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다만,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과 손가락 구동부(1500)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회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1600)는 회전구동원(1510)를 제어하여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이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키며, 탄성부재(55b)로 가해지는 부하 유무에 따라 제2마디(30)를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거나 탄성링크(55)를 구동시켜 제2마디(30) 및 제1마디(10)가 각각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적응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적응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로봇 손가락(1200)과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의 구성은 각각 제1마디(10), 제2마디(30) 및 마디 구동부(50)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마디(10)는 본 발명의 로봇 손가락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제2마디(30)에 핀축(R)으로 연결되며, 제2마디(30)는 제1마디(10)와 핀축(R)으로 연결되어 마디 구동부(50)에 의해 핀축(R)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마디 구동부(50)는 제2마디(30)와 핀축(R)으로 연결되며 제1마디(10)와 탄성링크(55)로 연결되어 제1마디(10) 및 제2마디(30)가 각각의 핀축(R)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한다. 즉, 마디 구동부(50)는 탄성링크(55)로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제2마디(30)나 탄성링크(55)를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부하는 로봇 손가락(1200,1300,1400)이 잡을 물체가 지지하는 힘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로봇 손가락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마디(10)는 제1마디부재(11)와 제1조인트부재(12)로 구성된다. 제1마디부재(11)는 본 발명의 로봇 손가락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제1조인트부재(12)는 제1마디부재(11)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조인트부재(12)는 핀축(R)이 삽입되는 안내홀(12a)이 형성되며, 안내홀(12a)의 일측에 탄성링크(55)가 연결되는 연결홀(12b)이 형성된다. 제1조인트부재(12)는 핀축(R)으로 제2마디(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2마디(30)가 회동하게 되면 이 회동에 의해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마디(30)는 제2마디부재(31)와 제2커버부재(32)로 구성된다. 제2마디부재(31)는 마디 구동부(50)와 핀축(R)으로 연결되며, 제2커버부재(32)는 제2마디부재(31)와 체결된다. 이러한 제2마디부재(31)와 제2커버부재(32)는 각각에 핀축(R)이 삽입되는 안내홈(31a,32a)과 안내홀(31b,32b)이 형성되며, 안내홈(31a,32a)의 일측에 탄성링크(55)를 가이드하기 위한 캠홈(31c,32c)이 형성된다. 캠홈(31c,32c)은 제1마디(10)와 제2마디(30)가 핀축(R)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마디부재(31)와 제2커버부재(32)에 형성되어 탄성링크(55)의 회동 시 끝단을 안내하게 된다.
마디 구동부(50)는 연결고리부재(51), 틸트운동기구(52), 구동링크(53), 적응형 운동기구(54) 및 연결하우징(56)으로 구성된다.
연결고리부재(51)는 제2마디(30)에 설치되며, 틸트운동기구(52)는 연결고리부재(51)에 삽입 설치되어 틸트운동을 발생시킨다. 구동링크(53)는 틸트운동기구(52)와 연결되어 전진과 후진운동을 하며, 적응형 운동기구(54)는 연결고리부재(51)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링크(53)와 제1마디(10)와 연결된다. 탄성링크(55)는 적응형 운동기구(54)와 제2마디(30)에 연결되며, 연결하우징(56)은 틸트운동기구(52)와 핀축(R)으로 연결된다. 적응형 운동기구(54)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제2마디(30)를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탄성링크(55)를 구동시켜 제1마디(10)가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마디 구동부(50)의 구성 중 틸트운동기구(52), 적응형 운동기구(54) 및 탄성링크(55)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틸트운동기구(52)는 회전구동원(52a), 경사부재(52b), 틸트운동부재(52c) 및 운동방향전환부재(52d)로 구성된다. 회전구동원(52a)은 모터가 사용되어 본 발명의 로봇 손가락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경사부재(52b)는 회전구동원(52a)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회전판(111), 안내돌기(112) 및 경사면돌기(113)로 구성된다. 회전판(111)은 회전구동원(52a)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안내돌기(112)는 회전판(111)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회전구동원(52a)과 연결되어 회전구동원(52a)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판(111)으로 전달한다. 경사면돌기(113)는 회전판(111)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틸트운동부재(52c)가 삽입되는 안내홈(113a)이 형성된다. 틸트운동부재(52c)는 경사부재(52b)에 연결되며 연결고리부재(51)에 관통되도록 삽입 설치되어 경사부재(52b)에 의해 틸트운동을 하며, 안내돌기(121)와 안내홀부재(122)로 구성된다. 안내돌기(121)는 경사면돌기(113)에 형성된 안내홈(113a)에 삽입되며, 안내홀부재(122)는 안내돌기(121)에 형성되며 핀축(R)이 삽입되는 안내홀(122a)이 형성된다.
운동방향전환부재(52d)는 틸트운동부재(52c)와 구동링크(53)가 각각 연결되어 틸트운동부재(52c)의 틸트운동을 구속시켜 구동링크(53)가 전진 및 후진운동되도록 하며, 박스형부재(131)와 요크부재(132)로 구성된다.
박스형부재(131)는 운동방향전환부재(52d)는 일단이 개방되며, 베이스부재(131a)와 베이스부재(131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부재(131b)로 이루어진다. 다수개의 측면부재(132b)는 각각 틸트운동부재(52c)와 연결하우징(56)이 연결되는 핀축(R)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안내홀(132c)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안내홀(132c)은 각각 다수개의 측면부재(132b)에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요크부재(132)는 박스형부재(131)에 형성되며 구동링크(53)를 연결하기 위한 핀축(R)이 삽입되는 안내홀(132a) 형성된다.
박스형부재(131)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재(131a)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부재(131b)는 4개 구비되며, 각각의 측면부재(131b)는 하나의 안내홀(13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131a)가 사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측면부재(131b)에 형성되는 안내홀(132a)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4개의 안내홀(132a) 중 2개는 핀축(R)을 통해 연결하우징(56)에 형성된 안내홀(56a)과 연결되어 구속된다. 2개의 안내홀(132a)에 의해 박스형부재(131)는 틸트운동부재(52c)의 원추 운동을 구속하여 요크부재(132)에 연결된 구동링크(53)가 전진 및 후진운동되도록 운동방향을 변경시켜 준다.
적응형 운동기구(54)는 지지부재(54a)와 스톱퍼(54b)로 구성된다. 지지부재(54a)는 연결고리부재(51)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링크(53)와 탄성링크(55)가 각각 연결되고, 스톱퍼(54b)는 연결고리부재(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부재(54a)가 탄성링크(55)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톱퍼(54b)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54a)는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 및 안내홀(143)이 형성된다.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는 탄성링크부재(55a)가 연결되며,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는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제2마디(30)가 연결된다.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와 탄성링크부재(55a) 사이나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와 제2마디(30) 사이에는 각각의 탄성링크부재(55a)나 제2마디(30)가 원활하게 구름 회전운동되도록 베어링(R2)이 삽입 설치된다. 안내홀(143)은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와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 사이에 형성되어 구동링크(53)가 연결되는 핀축(R)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핀축(R)에 삽입 설치되는 구동링크(53)가 전전이나 후진운동을 하면 지지부재(54a)가 회동하게 된다.
지지부재(54a)는 부하가 없을 때 즉, 본 발명의 로봇 핸드가 물체를 잡지 않을 때 구동링크(53)의 전전이나 후진운동에 따라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에 연결된 제2마디(30)를 회동시키게 된다. 제2마디(30)는 핀축(R)과 와셔(W)로 연결하우징(56)에 연결되며, 이 핀축(R)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제1마디(10)를 회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부하가 있고 이 부하가 탄성링크(55)의 탄성부재(55b)의 탄성력 보다 큰 경우에 지지부재(54a)는 구동링크(53)의 전전이나 후진운동에 따라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를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지지부재(54a)는 스톱퍼(54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마디(30)의 회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에 연결된 탄성링크부재(55a)를 회동시켜 제1마디(10)를 회동시키게 된다.
탄성링크(55)는 탄성링크부재(55a)와 탄성부재(55b)로 구성된다. 탄성링크부재(55a)는 적응형 운동기구(54)의 지지부재(54a)에 형성된 탄성링크용 안내돌기(14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탄성부재(55b)는 탄성링크부재(55a)와 제3마디(3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B)로 연결되어 지지부재(54a)가 스톱퍼(54d)에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55b)는 압축 스프링이 사용되어 탄성링크부재(55a)가 연결된 지지부재(54a)를 스톱퍼(54d)와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지지하게 된다. 부하가 있고 이 부하가 탄성부재(55b)의 탄성력 보다 큰 경우 즉, 제3마디(30)가 회동을 못하는 경우에 구동링크(53)의 전전이나 후진운동에 따라 지지부재(54a)는 탄성부재(55b)의 탄성력을 이기고 스톱퍼(54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탄성링크부재(55a)를 회동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의 로봇 핸드에 적용되는 와셔(W)는 스러스트 와셔가 사용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로봇 핸드의 동작을 첨부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단면적이 작은 물체 즉, 작은 물체를 파지하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일측에 제2로봇 손가락(1300)이 인접되어 위치되며, 타측에 제3로봇 손가락(1400)이 인접되어 위치된다. 이는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및 제3로봇 손가락(1400)의 길이에 비례하여 물체를 파지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단면적이 큰 물체, 즉, 큰 물체를 파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제2로봇 손가락(1300) 및 제3로봇 손가락(1400)이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킨다. 이를 위해 먼저, 손가락 구동부(1500: 도 3에 도시됨)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각각 화살표(a1,a2) 방향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킨다. 도 8에서와 같이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이 회전되면 손가락 구동부(1500)는 연속적으로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화살표(a3,a4) 방향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켜 도 9에서와 같이 단면적이 큰 물체를 파지할 준비를 한다.
손가락 구동부(1500)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구동시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키기 위해 먼저, 모터가 사용되는 회전구동원(1510)을 회전시킨다. 회전구동원(1510)이 회전되면 회전구동원(1510)에 연결된 구동기어(1520)가 회전되고 구동기어(1520)의 회전에 의해 제1종동기어군(1530) 및 제2종동기어군(1540)이 각각 회전하여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각각 회동시킨다.
제1종동기어군(1530)은 먼저 제1종동기어(1531)를 통해 구동기어(1520)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이를 핀부재(1534)를 통해 제2종동기어(1532)로 전달한다. 제2종동기어(1532)는 핀부재(1534)를 통해 회전력을 제3종동기어(1533)로 전달하고, 제3종동기어(1533)는 제2로봇 손가락(1300)의 경사부재(52b)에 설치되는 베어링(R2)과 돌기부재(1533b)로 연결됨으로 인해 베어링(R2)을 중심축으로 회전시켜 제2로봇 손가락(1300)이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2종동기어군(1540)은 구동기어(15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1종동기어(1541)에서 전달받아 핀부재(1545)를 통해 제2종동기어(1542)로 전달한다.
제2종동기어(1542)는 회전력을 제3종동기어(1543)로 전달하고, 제3종동기어(1543)는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4종동기어(1544)로 전달하여 제4종동기어(1544)와 연결된 회전력을 제3로봇 손가락(1400)로 전달한다. 즉, 제4종동기어(1544)는 제3로봇 손가락(1400)의 경사부재(52b)에 설치되는 베어링(R2)과 돌기부재(1533b)로 연결됨으로 인해 제3로봇 손가락(1400)을 베어링(R2)을 중심축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종동기어군(1530)이 제2종동기어군(1540) 보다 종동기어의 수를 작게 설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회동된다.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이 도 9에서와 같이 회동되면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은 부하의 유무에 따라 물체를 잡거나 펴는 동작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먼저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 상태에서 각각 구비되는 마디 구동부(50)의 틸트운동기구(52)에 구비되는 회전구동원(52a)을 구동시킨다. 회전구동원(52a)이 회전되면 회전구동원(52a)에 연결된 경사부재(52b)는 도 11에 도시된 Z축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화살표(b1) 방향으로 회전된다. 경사부재(52b)가 회전되면 틸트운동부재(52c)는 경사면돌기(113)에 형성된 안내홈(113a)에 설치됨으로 인해 경사부재(52b)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b2)방향으로 틸트운동된다. 틸트운동부재(52c)는 운동방향전환부재(52d)와 연결되어 구동링크(53)를 화살표(b3)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운동 된다. 운동방향전환부재(52d)는 틸트운동부재(52c)의 틸트운동을 구속시켜 운동방향전환부재(52d)에 연결된 구동링크(53)가 전진 및 후진운동되도록 한다. 구동링크(53)는 적응형 운동기구(54)의 지지부재(54a)에 연결되어 부하의 유무에 따라 제2마디(30)나 탄성링크(55)를 회동시키게 된다.
물체를 잡지 않는 무부하인 경우에 지지부재(54a)는 탄성부재(55b)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54d)에 지지되어 회동되지 않는다. 즉, 부하가 없는 무부하 상태인 경우에 제2마디(30)는 연결하우징(56)에 핀축(R)으로 연결됨으로 인해 구동링크(53)의 이동방향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된 화살표(b4,b5)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제2마디(30)는 구동링크(53)의 이동방향에 따라 핀축(R) 즉, 회전중심축(C)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구동링크(53)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제2마디(30)가 회전하게 되고, 제2마디(30)가 회전되면 제2마디(30)의 회전에 의해 탄성링크부재(55a)로 연결되어 구속되는 제1마디(10)가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마디(30) 및 제1마디(10)가 각각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로봇 손가락(1200,1300,1400)이 오므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 반대로 펴는 동작은 구동링크(53)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오므리는 동작의 역순으로 제2마디(30) 및 제1마디(10)가 각각 펴지게 된다.
물체를 잡는 부하가 있는 상태, 즉, 제2마디(30)가 정지되는 상태일 때 구동링크(53)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55b)는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화살표(a6,a8) 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탄성부재(55b)가 늘어나게 되면 늘어나는 만큼 지지부재(54a)는 탄성부재(55b)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화살표(a7,a9)방향 즉, 스톱퍼(54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부재(54a)가 탄성부재(55b)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스톱퍼(54b)와 멀어지는 방향 즉, 도 13 및 도 14에 각각 도시된 화살표(b7,b9)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재(54a)는 제2마디용 안내돌기(142)를 중심축으로 회동하여 지지부재(54a)에 연결된 탄성링크부재(55a)를 회동시킨다.
탄성링크부재(55a)가 회동하게 되면 탄성링크부재(55a)와 연결된 제1마디(10)가 탄성링크부재(55a)에 의해 구속되어 회동하게 된다. 제1마디(10)가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마디(30) 및 제1마디(10)는 각각 핀축(R)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물체를 잡는 오므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 반대로 펴는 동작은 구동링크(53)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3마디(40), 제2마디(30) 및 제1마디(10)가 각각 펴져 물체를 놓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제어기(1600)에 의해 전반적으로 제어되고, 물체의 단면적의 크기 즉, 물체의 크기에 따라 제1로봇 손가락(1200)을 기준으로 제2로봇 손가락(1300)과 제3로봇 손가락(1400)을 회동시키며, 제1로봇 손가락(1200), 제2로봇 손가락(1300) 및 제3로봇 손가락(14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마디(10)와 제2마디(10)를 물체의 부하 여부에 따라 적응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봇 핸드는 자동화 기기나 인간형 로봇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0: 제1마디 11: 제1마디부재
12: 제1조인트부재 30: 제2마디
31: 제2마디부재 32: 제3커버부재
40: 탄성링크 50: 마디 구동부
51: 연결고리부재 52: 틸트운동기구
53: 구동링크 54: 적응형 운동기구
55: 탄성링크 56: 연결하우징
1100: 손목연결부재 1200: 제1로봇 손가락
1300: 제2로봇 손가락 1400: 제3로봇 손가락
1500: 손가락 구동부 1600: 제어기

Claims (16)

  1. 손목연결부재와;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을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연결부재는 손목연결 하우징과;
    상기 손목연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구동부가 설치되는 다수개의 설치홀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위치되도록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에 설치되어 제1로봇 손가락과 제2로봇 손가락과 제3로봇 손가락를 지지하는 손바닥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은 각각 제1마디와;
    상기 제1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는 제2마디와;
    상기 제2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마디와 탄성링크로 연결되는 마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링크는 적응형 운동기구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탄성링크용 안내돌기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링크부재와, 상기 탄성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링크부재가 스톱퍼에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탄성부재로 가해지는 부하 유무에 따라 상기 제2마디를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탄성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제1마디를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는 제1마디부재와;
    상기 제1마디부재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조인트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조인트부재는 핀축이 삽입되는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의 일측에 탄성링크가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디는 상기 마디 구동부와 핀축으로 연결되는 제2마디부재와;
    상기 제2마디부재와 체결되는 제2커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2마디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는 각각에 핀축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일측에 탄성링크를 가이드하기 위한 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 구동부는 상기 제2마디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재와;
    상기 연결고리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틸트운동기구와;
    상기 틸트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전진과 후진운동을 하는 구동링크와;
    상기 연결고리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제1마디와 연결되는 적응형 운동기구와;
    상기 적응형 운동기구와 상기 제2마디에 연결되는 탄성링크와;
    상기 틸트운동기구와 핀축으로 연결되는 연결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응형 운동기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마디를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탄성링크를 구동시켜 상기 제1마디가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운동기구는 회전구동원과;
    상기 회전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고리부재에 관통되도록 삽입 설치되어 틸트운동을 하는 틸트운동부재와;
    상기 틸트운동부재와 상기 구동링크가 각각 연결되어 틸트운동부재의 틸트운동을 구속시켜 상기 구동링크가 전진 및 후진운동되도록 하는 운동방향전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구동원은 모터가 사용되고, 상기 경사부재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회전구동원과 연결되며 베어링이 설치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회전판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틸트운동부재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경사면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틸트운동부재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에 형성되며 핀축이 삽입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안내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방향전환부재는 일단이 개방된 박스형부재와;
    상기 박스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핀축이 삽입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요크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형부재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틸트운동부재와 연결하우징이 연결되는 핀축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운동기구는 상기 연결고리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링크와 탄성링크가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고리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탄성링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링크부재가 연결되는 탄성링크용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크용 안내돌기와 이격되도록 제2마디에 연결되는 제2마디용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링크용 안내돌기와 상기 제2마디용 안내돌기 사이에 구동링크가 연결되는 핀축이 삽입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와 상기 제2마디와 상기 마디 구동부를 각각 연결하는 핀축은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구동부는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회전구동원과;
    상기 회전구동원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연결되어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로봇 손가락을 회동시키며 다수개의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는 제1종동기어군과;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3로봇 손가락과 연결되어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3로봇 손가락을 회동시키며 다수개의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는 제2종동기어군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군의 종동기어의 개수는 상기 제2종동기어군의 종동기어의 개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동기어군은 지지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핀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2종동기어와 연결되며 제2로봇 손가락의 구동원과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2로봇 손가락으로 전달하는 제3종동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3종동기어는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기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시가 더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기어군은 지지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핀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2종동기어와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삽입되는 핀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3종동기어와;
    상기 제3종동기어와 연결되며 제2로봇 손가락의 구동원과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3로봇 손가락으로 전달하는 제4종동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4종동기어는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기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시가 더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5. 손목연결부재와;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목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을 상기 제1로봇 손가락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 구동부와;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은 각각 제1마디와, 상기 제1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는 제2마디와, 상기 제2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마디와 종동링크로 연결되는 제3마디와, 상기 제3마디와 핀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마디와 탄성링크로 연결되는 마디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링크는 적응형 운동기구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탄성링크용 안내돌기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링크부재와, 상기 탄성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링크부재가 스톱퍼에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는 탄성부재로 가해지는 부하 유무에 따라 상기 제3마디를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거나 탄성링크를 구동시켜 제2마디 및 제1마디가 각각 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제2로봇 손가락과 제3로봇 손가락이 제1로봇 손가락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연결부재는 상기 제1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2로봇 손가락과 상기 제3로봇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구동부의 회전구동원이 각각 손목연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핸드.
KR20100031176A 2010-04-06 2010-04-06 로봇 핸드 KR10116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176A KR101167238B1 (ko) 2010-04-06 2010-04-06 로봇 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176A KR101167238B1 (ko) 2010-04-06 2010-04-06 로봇 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872A true KR20110111872A (ko) 2011-10-12
KR101167238B1 KR101167238B1 (ko) 2012-07-23

Family

ID=4502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1176A KR101167238B1 (ko) 2010-04-06 2010-04-06 로봇 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107A (ko) * 2013-12-09 2016-08-12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핸드 기구
WO2023128583A1 (ko) * 2021-12-29 2023-07-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로봇 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26B1 (ko) * 2015-03-11 2017-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간 순응 손가락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그리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107A (ko) * 2013-12-09 2016-08-12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핸드 기구
WO2023128583A1 (ko) * 2021-12-29 2023-07-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로봇 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238B1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295B1 (ko) 로봇 손가락 기구
KR101167239B1 (ko) 로봇 핸드
US9782902B1 (en) Gripper for robot hand capabel of adaptive grasp
KR102269012B1 (ko) 그리퍼
US7950710B2 (en) Robot
KR100784500B1 (ko) 로봇 핸드 장치
EP2431139B1 (en) Robot hand
KR101300079B1 (ko) 로봇 핸드
US20050006915A1 (en) Multi-finger hand device
US11897122B2 (en) Robot hand
KR101357139B1 (ko) 소형 로봇 핸드
CN108436887B (zh) 空间多自由度的并联柔顺装置
JP2018001385A5 (ko)
KR101167238B1 (ko) 로봇 핸드
EP1829650A1 (en) Robot hand device
KR102009291B1 (ko) 로봇 관절 장치
JP5423910B1 (ja) ロボット
CN112518796B (zh) 拮抗驱动式多构型绳驱手爪机构
JP2011161577A (ja)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装置
KR20120013560A (ko) 물체의 형태에 따라 파지할 수 있는 로봇 핸드
JP2007015029A (ja) マニプレータ及び多関節駆動機構
KR20110133309A (ko) 토크 보상용 로드 밸런서를 구비한 다관절 로봇의 관절 구조
JP2009072895A (ja) スカラロボット
JP6730314B2 (ja) ロボットアーム機構
JP2014100750A (ja) 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