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450A -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450A
KR20110110450A KR1020100029772A KR20100029772A KR20110110450A KR 20110110450 A KR20110110450 A KR 20110110450A KR 1020100029772 A KR1020100029772 A KR 1020100029772A KR 20100029772 A KR20100029772 A KR 20100029772A KR 20110110450 A KR20110110450 A KR 20110110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evacuation
processing unit
evacuation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이동주
Original Assignee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하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하이맥스 filed Critical 경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0450A/ko
Publication of KR2011011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방송 시스템과 화재 시스템을 통합한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구역마다 설치되며,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알림 신호에 따라 화재 지점을 인식하고, 화재 지점 및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각각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 장치; 및 구간마다 설치되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안내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escription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Disaster prevention and broadcasting integration system for providing shelter course using fire lo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재방송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건물에서의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하게 되면, 목격자가 화재를 소방서에 신고하거나 해당 건물에 구비된 화재 알림 비상벨을 눌러 알리거나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단순 화재 감지센서의 인식으로 경보를 알리게 된다. 이에 따르면, 화재 발생 지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건물 내의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빌딩이나 아파트 등에 화재 예방을 위한 장치나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한 적절한 장비의 구비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물의 대형화와 고층화 및 복합화로 인해 다양한 화재 대처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영 및 관리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으며,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건물내의 각 요소에 온도나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감지센서를 중앙관제실 및 통제실에 연결하여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재 대처시스템에서도 화재 발생 지점에 따른 적절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지 못하고 단순히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경고 방송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즉, 화재 발생 지점에 따라 적절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지 못해 건물 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많은 혼란을 겪게 된다. 건축물의 구조 상 각 호실에 위치한 사람들이 이용해야 하는 비상문 등의 대피 경로가 서로 상이할 수 있어 각 호실 및 구간에 적합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 시 건물 내 사람들이 적절한 대피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화재 지점에 상응하는 각 구간(예를 들어, 각 층)의 대피 경로를 분석하고, 각 구간마다 대피 경로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방송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지점뿐 아니라, 바람의 방향 등에 따라 불이 번지는 방향을 예측하여 각 구간에 적합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분석하고 이를 방송으로 알리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과 화재 시스템을 통합한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구역마다 설치되며,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알림 신호에 따라 화재 지점을 인식하고, 상기 화재 지점 및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각각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풍향(風向)을 측정하는 풍향 탐색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풍향에 따른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구역마다 설치되며, 화재 발생을 인식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 발생을 인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화재 지점을 인식하는 화재 처리부; 상기 화재 지점 및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대피경로 탐색부; 상기 대피경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각각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미리 저장된 안내 메시지 중 상기 각각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것들을 추출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안내 메시지들을 상기 각 구간에 설치된 각각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재방송 통합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 지점으로부터의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는 확장방향 예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피경로 탐색부는 상기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 탐색장치로부터 수신된 풍향 정보에 따른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는 확장방향 예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피경로 탐색부는 상기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인 상기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재방송 통합 장치가 건물 내 화재에 따른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 발생을 인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화재 지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화재 지점 및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상기 각 구간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미리 저장된 안내 메시지 중 상기 각 구간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것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메시지들을 상기 각 구간에 설치된 각각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지점을 이용한 대피 경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과 통합되어 화재 발생을 건물 내 거주자들에게 방송을 통해 알릴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재 지점에 따라 각 구간에 적합한 대피 경로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거주자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지점뿐 아니라, 건물 구조, 사용된 자재 등의 건물 정보 또는 바람의 방향 등에 따른 화재가 확장되는 방향을 예측하여 각 구간에 적합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분석하고 이를 방송으로 알림으로써, 보다 안전한 경로를 따라 거주자들이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이 구현된 예시를 도시한 건물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위치를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이 구현된 예시를 도시한 건물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은 화재 지점을 인식하기 위해 각 층 및 각 호실에 상응하도록 구간마다 위치하는 화재 감지기(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건물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는 방송용 스피커(20-1, 20-2, ... 20-n, 이하 20으로 통칭), 중계기(30-1, 30-2, ... 30-n, 이하 30으로 통칭) 및 중앙 처리 장치(50)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기(1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 온도, 연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최근의 영상 기술 발달로 인해 카메라가 이용될 수도 있다. 화재 감지기(10)는 화재의 발생뿐 아니라 그 화재 발생 지점을 인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도 3참조).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중계기(30)는 중앙 처리 장치(50)와 스피커(20) 및 화재 감지기(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감지기(10)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이에 따른 화재 알림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50)로 전송하고, 중앙 처리 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메시지를 연결된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중계기(30)는 중앙 처리 장치(50)가 화재 지점을 판단하기 위해 어느 지점에 위치한 화재 감지기(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야 한다. 따라서, 중계기(30)는 화재 지점의 위치 정보를 직접 알릴 수도 있으며, 또는 자신의 식별정보 또는 화재 감지기(10) 식별정보를 중앙 처리 장치(50)로 전달함으로써 화재 지점을 중앙 처리 장치(50)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50)는 각 중계기(30)에 연결된 화재 감지기(10)가 위치한 지점을 미리 저장하고 있고, 화재 알림 신호를 전송한 중계기(30) 또는 화재 감지기(10) 식별정보에 따른 지점이 화재 발생 지점임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중계기(30)에 연결된 화재 감지기(10)는 감지 구간 당 하나씩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호실 개수만큼 구비되거나 각 층마다 하나씩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간 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중계기(30)에 하나씩의 화재 감지기(10) 및 스피커(20)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호실마다 화재 감지기(10)가 구비되고, 각 층의 엘리베이터(310)를 기준으로 좌우측을 각각의 별도 방송 구간으로 설정하여 하나씩의 방송용 스피커(20)가 구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중계기(30)는 각 층마다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각 중계기(30)에는 2개의 화재 감지기(10) 및 1개의 스피커(20)가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다시 말해, 각 호실이 화재 감지 구간이 되며, 각 층에는 두 개의 방송 구간이 설정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각 방송 구간마다 각각의 대피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50)는 건물에 위치한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10) 중 화재를 인지하여 신호를 전송한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6층 건물의 각 호실마다 화재 감지기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5층 좌측 화재 감지기(20-5)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 처리 장치(50)는 501호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중앙 처리 장치(50)는 화재 발생 및 화재 지점을 인식하면, 해당 화재 지점에 상응하는 각 층의 대피 경로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5층 501호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6층에 위치한 사람들에게는 601호 옆의 비상문(300-1)을 통한 대피로는 501호의 화재로 인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604호 옆에 있는 비상문(300-2)를 통해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1층으로 대피하는 경로를 알려질 수 있다. 또한, 5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504호 옆에 있는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1층으로 대피하는 경로가 제공되고, 1층부터 4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양측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1층으로 대피하는 경로가 탐색 및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중앙 처리 장치(50)는 각 층의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각 층의 방송용 스피커(20)를 통해 방송 출력한다. 예를 들어 6층에 위치한 스피커에서는 "501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6층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엘리베이터 또는 우측 604호 옆 비상 계단을 이용하여 차례차례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처리 장치(50)는 화재 지점뿐 아니라, 현재의 바람 방향을 감지하여 화재지점으로부터 불길이 번지는 방향(이하 화재확장방향이라 칭함)을 예측 판단할 수 있으며, 화재 지점과 함께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바람의 방향이 우에서 좌로 부는 경우, 화재 지점인 501호 우측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으며, 바람이 좌에서 우로 부는 경우 불길이 엘리베이터 쪽으로 옮겨 붙을 확률이 크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대피보다는 비상계단을 이용한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은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풍향 탐색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풍향 탐색장치는 바람의 방향(풍향(風向))을 탐색하여 풍향 정보를 중앙 처리 장치(50)로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앙 처리 장치(50)가 상기한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는데 이용하는 것으로 풍향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 지점 주위의 상황(예를 들어, 건축물 구조 및 자재 등) 등을 이용하여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이고, 해당 건물의 자재가 측면보다는 위쪽 방향으로 불이 옮겨 붙기 쉬운 재질로 공사된 경우, 화재확장방향을 상(上)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어 화재 지점 바로 위층인 2층에도 불이 옮겨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층 거주자들에게는 화재 지점에 위치한 거주자들과 유사한 대피 경로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화재 지점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여 그에 적합한 대피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거주자들에게는 더욱 안전한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건물 내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 자체를 알리기 위한 경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됨을 인식한 중앙 처리 장치(50)는 중계기(30)에 연결된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경보기도 각 층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 방송 구간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중앙 처리 장치(50)의 구성 및 각 구성부의 기능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 처리 장치(50)는 화재 처리부(210), 방송 처리부(230), 저장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며, 제어부(270)는 그 기능에 따라 대피경로 탐색부(272), 메시지 처리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처리부(210)는 화재 감지기(10)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그 화재 위치를 파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위치한 화재 감지기(10)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중앙 처리 장치(50)로 중계기(3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중앙 처리 장치(50)의 화재 처리부(210)는 해당 화재 감지기(10)에 따른 화재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방송 처리부(230)는 각 방송 구간에 위치한 각각의 방송용 스피커(20)를 통해 화재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알림 메시지 뿐 아니라, 건물에 주거하는 사용자들에게 낸방 또는 냉방에 관한 정보 등 여러가지 안내 방송을 위한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250)에는 제어부(270)가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내 대피로 정보(예를 들어, 비상문 위치 등)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풍향뿐 아니라 건물 구조 및/또는 자재에 따른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상기한 구조, 자재 등에 따른 건물 정보가 더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해당 화재 지점에 상응하는 각 방송 구간의 대피 경로를 판단하고, 해당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각각의 방송 구간에 위치한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하도록 화재 처리부(210), 방송 처리부(230) 및 저장부(250)를 제어한다.
제어부(270)의 대피경로 탐색부(272)는 화재 처리부(210)에 의해 인식된 화재 지점을 기반으로, 각각의 방송 구간에 위치한 거주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 경로를 탐색한다. 대피경로 탐색부(272)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대피로를 참조하여, 현재 화재가 발생한 화재 지점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찾아낸다.
제어부(270)의 메시지 처리부(274)는 대피경로 탐색부(272)가 탐색한 각각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저장부(250)로부터 추출하고, 각 구간에 설치된 스피커(20)를 통해 해당 구간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처리부(274)는 각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음성 합성수단을 이용하여, 대피경로 탐색부(272)로부터 대피 경로를 텍스트(text)로 제공받아 이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도록 하고, 해당 음성 메시지가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자동응답시스템(ARS : automatic response system)과 같이 기계음으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처리부(274)는 각 대피 경로에 상응하도록 미리 음성 메시지로 저장된 정보를 저장부(250)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모든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음성 메시지가 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메시지 처리부(274)는 대피경로 탐색부(272)에 의해 탐색된 각각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부(250)로부터 추출하여 방송 처리부(230)에 의해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앙 처리 장치(50)는 상기한 풍향 탐색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풍향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풍향에 따라 불이 번지는 방향(화재확장방향)을 인식하는 확장방향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대피경로 탐색부(272)는 확장방향 예측부로부터 수신되는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하, 중앙 처리 장치(50)가 화재 위치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위치를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처리 장치(50)는 건물 내부 각층 각 호실에 위치한 화재 감지기(10) 중 화재가 발생한 화재 감지기(10)로부터 화재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S410).
중앙 처리 장치(50)는 해당 화재 알림 신호를 송신한 화재 감지기(10)가 설치된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지점을 화재 발생 지점으로 인식한다(S420).
이후, 중앙 처리 장치(50)는 화재 지점을 기반으로 각 구간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한다(S430).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50)는 연결된 풍향 탐색장치로부터 수신된 풍향정보에 따른 화재확장방향을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된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미리 저장된 각 대피 경로에 따른 알림 메시지 중 상기한 화재 지점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추출한다(S440).
알림 메시지를 각 구간에 상응하도록 탐색된 대피 경로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각 구간에 설치된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중앙 처리 장치(50)는 알림 메시지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해당 스피커(20)로 전송한다(S450).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위치를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화재 감지기 20 : 방송용 스피커
30-1, 30-2, ... 30-n : 중계기 50 : 중앙 처리 장치
210 : 화재 처리부 230 : 방송 처리부
250 : 저장부 270 : 제어부
272 : 대피경로 탐색부 274 : 메시지 처리부

Claims (10)

  1. 방송 시스템과 화재 시스템을 통합한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구역마다 설치되며,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알림 신호에 따라 화재 지점을 인식하고, 상기 화재 지점 및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각각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풍향(風向)을 측정하는 풍향 탐색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풍향에 따른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구역마다 설치되며, 화재 발생을 인식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4.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 발생을 인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화재 지점을 인식하는 화재 처리부;
    상기 화재 지점 및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대피경로 탐색부;
    상기 대피경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각각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미리 저장된 안내 메시지 중 상기 각각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것들을 추출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안내 메시지들을 상기 각 구간에 설치된 각각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재방송 통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 지점으로부터의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는 확장방향 예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피경로 탐색부는 상기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방송 통합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 탐색장치로부터 수신된 풍향 정보에 따른 화재확장방향을 예측하는 확장방향 예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피경로 탐색부는 상기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방송 통합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인 상기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방송 통합 장치.
  8. 방재방송 통합 장치가 건물 내 화재에 따른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중 화재 발생을 인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화재 지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화재 지점 및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에 상응하는 각 구간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상기 각 구간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미리 저장된 안내 메시지 중 상기 각 구간의 대피 경로에 상응하는 것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메시지들을 상기 각 구간에 설치된 각각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지점을 이용한 대피 경로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는,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이용하거나, 측정된 풍향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된 화재확장방향에 상응하도록 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지점을 이용한 대피 경로 제공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00029772A 2010-04-01 2010-04-01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0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72A KR20110110450A (ko) 2010-04-01 2010-04-01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72A KR20110110450A (ko) 2010-04-01 2010-04-01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50A true KR20110110450A (ko) 2011-10-07

Family

ID=4539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72A KR20110110450A (ko) 2010-04-01 2010-04-01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04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41Y1 (ko) * 2012-12-24 2014-06-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1409962B1 (ko) * 2012-08-13 2014-06-24 정정애 재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15105218A1 (ko) * 2014-01-13 2015-07-16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US20220048515A1 (en) * 2020-08-11 2022-02-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oad surface marking system
KR20230009288A (ko) 2021-07-08 2023-01-17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이원 화재 대피 방송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62B1 (ko) * 2012-08-13 2014-06-24 정정애 재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472941Y1 (ko) * 2012-12-24 2014-06-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WO2015105218A1 (ko) * 2014-01-13 2015-07-16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US20220048515A1 (en) * 2020-08-11 2022-02-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oad surface marking system
KR20230009288A (ko) 2021-07-08 2023-01-17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이원 화재 대피 방송방법
KR20230150926A (ko) 2021-07-08 2023-10-31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이원 화재 대피 방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934700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0789912B1 (ko)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20110110450A (ko)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2277968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1849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18073227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60118515A (ko) 화재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20200100348A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JP2019079369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111212B1 (ko)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방법, 시스템
KR10203902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JP6843718B2 (ja) 防災システム
JP2008102670A (ja) 集合住宅用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030802B1 (ko) 소방용 경보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430954B1 (ko)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640750B1 (ko) 방송 출력 셀렉터를 통한 통합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2722B1 (ko) 재실자 유형에 따른 화재대응 사전 안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