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073A - 기타연주용 반창고 - Google Patents

기타연주용 반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073A
KR20110110073A KR1020110081230A KR20110081230A KR20110110073A KR 20110110073 A KR20110110073 A KR 20110110073A KR 1020110081230 A KR1020110081230 A KR 1020110081230A KR 20110081230 A KR20110081230 A KR 20110081230A KR 20110110073 A KR20110110073 A KR 2011011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tips
guitar
attached
band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11008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0073A/ko
Publication of KR2011011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연주를 위하여 기타줄을 누르는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여 기타줄을 누르는 손가락 끝이 아프지 않게 하는 기타연주용 반창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T"자형으로 형성하되, "T"자형 몸체 중에 수직부는 지문부에서 손톱부를 감싸고, 수평부는 손가락에 감아 부착하며,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넘어가는 양측을 절취함과 아울러 수직부와 수평부가 연결되는 양측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였을 때,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손가락 끝마디에서 벗겨지지 않게 되고, 절취부와 절개부에 의해 수직부가 손가락 끝마디의 곡면 형상에 맞게 밀착되어 수직부의 양측에 비죽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서 기타줄을 누르면서 손가락을 옮길 때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기타줄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점착층이 형성된 이면에 박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용 반창고(1)는 손가락 끝마디의 둘레에 감겨져 부착되는 수평부(6)의 중앙 하부에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싸지는 수직부(10)가 수직 형성되되, 수평부(6)와 연결되는 수직부(10)의 상부 양측에 절개부(5)가 형성되고, 수직부(10)의 중간부 양측에 절취부(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타연주용 반창고{Plaster for playing guitar}
본 발명은 기타연주를 위하여 기타줄을 누르는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여 기타줄을 누르는 손가락 끝이 아프지 않게 하는 기타연주용 반창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T"자형으로 형성하되, "T"자형 몸체 중에 수직부를 손가락 끝의 지문이 있는 부분(이하, 지문부라 칭함)에서 손톱부위를 감싸도록 한 뒤에 "T"자형 몸체 중에 수평부분을 손가락에 감아 부착 하도록 하며, 상기 지문부에서 손톱부위로 넘어가는 양측을 절취함과 아울러 "T"자형 몸체의 수직부와 수평부가 연결되는 양측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였을 때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손가락 끝마디에서 벗겨지지 않게 되고, 절취부와 절개부에 의해 수직부가 손가락 끝마디의 곡면 형상에 맞게 밀착되어 수직부의 양측에 비죽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서 기타줄을 누르면서 손가락을 이동시킬 때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기타줄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연주를 하기 위하여 손가락 끝으로 기타줄을 누르면서 잡을 때 손가락 끝이 매우 아프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타를 연주할 때 기타줄을 누르는 손가락 끝이 아프지 않게 하는 도구나 수단은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손가락 끝이 몹시 아픔에도 불구하고 아픔을 참으면서 기타를 연주하거나, 아니면 기타를 배우는 것을 포기하였다.
또 다른 경우는 기타를 배우는 과정에서 손가락 끝이 아픈 것에 대응하여 손가락 끝에 반창고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반창고는 헝겊에 점착성물질을 도포하여 제작한 것임에 따라 반창고가 손가락 끝에 붙어 있으면서 손가락 끝의 지문부 살보다 반창고가 단단하여 손가락 끝의 아픔을 대폭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손가락 끝에 부착한 반창고가 시간이 지나면서 손가락 끝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는 문제와, 기타코드를 옮겨 잡기 위하여 손가락을 이동시킬 때, 손가락 끝에 부착한 반창고의 끝부분이 기타줄에 걸려서 기타연주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기타를 포함한 현악기의 현을 누를 때 손가락 끝이 아픈 것에 감안하여 손가락 끝을 단련시키는 골무에 대하여 실용신안으로 출원하여 등록건(20-0367440)이 있으나, 이는 기타를 포함한 현악기를 연주하지 않을 때 손가락 끝에 끼우고 다니면서 손가락 끝을 단련시키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과는 목적과 구성, 작용관계, 그리고 효과가 서로 달라서 비교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상기 종래고안은 손가락 끝을 단련시키는데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종래고안을 손가락 끝에 항상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현악기를 연주하지 않는 시간에도 손가락 끝은 계속적으로 아프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7440호(고안의 명칭 : 현악기 연습용 골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타를 연주하기 위하여 손가락 끝에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부착하였을 때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한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쉽게 벗겨지지 않으면서 손가락 끝은 아프지 않게 하며, 기타코드를 옮기기 위하여 손가락을 이동시킬 때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기타줄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점착층이 형성된 이면에 박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용 반창고는 손가락 끝마디의 둘레에 감겨져 부착되는 수평부의 중앙 하부에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싸지는 수직부가 수직 형성되되, 수평부와 연결되는 수직부의 상부 양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수직부의 중간부 양측에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타연주용 반창고는, "T"자형으로 형성하여 수직부로서 지문부와 손톱부를 감싸 부착한 뒤에 수평부로서 손톱부에 부착한 수직부의 단부를 수평부로 감쌈에 따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한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 효과가 있고,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싸지는 수직부의 양측 모서리부를 절취하고 수직부와 수평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양측을 절개하여 손가락 끝마디의 곡면에 부착되는 수직부가 비죽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서 기타코드를 옮길 때 기타줄에 걸리지 않아 기타연주를 방해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가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였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였 때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의 일, 이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타연주용 반창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1)가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에는 중지에만 기타연주용 반창고(1)를 부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기타줄(8)을 누르는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는 모두 부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착층(도시생략)이 형성된 이면에 박리지(도시생략)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기타연주용 반창고(1)는 손가락 끝마디의 둘레에 감겨져 부착되는 수평부(6)와, 수평부(6)의 중앙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10)으로 이루어져 "T"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10)는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싸지게 부착되는 것이며, 수평부(6)와 연결되는 수직부(10)의 상부 양측에 절개부(5)가 형성되고, 수직부(10)의 중간부 양측에 절취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0)는 수직부(10)를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쌌을 때, 절취부(4)를 경계로 수평부(6)와 연결되는 상측 부분이 지문부에 부착되어 기타줄(8)을 누르게 되는 누름부(2)가 되고, 절취부(4) 하부측은 손톱부에 부착되는 손톱부착부(3)가 된다.
상기 양측 절개부(5)는 수직부(10)를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쌌을 때, 손가락 끝의 곡면에 누름부(2)가 들뜸이 없이 부착되게 형성되었으며, 양측 절취부(4)는 수직부(10)를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쌌을 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의 양측 모서리부에서 수직부(10)가 돌출되지 않고 손끝 살부분이 노출되어 기타코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움직일 때 기타줄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의 (나)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상태에서 누름부(2)의 점착면에 소정의 두께를 지닌 심재(7)가 부착되어 기타줄(8)을 누르게 되는 누름부(2)의 두께가 심재(7)의 두께가 더해진 만큼 두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심재(7)는 1mm 내외의 두께를 가진 플렉시블한 시트조각으로 이용하거나, 플렉시블한 연질합성수지재를 콘텍트렌즈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 가지 예 모두 두께를 1mm 내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두께가 1mm 이상이 되면 손가락 끝으로 기타줄(8)을 누르는 감각이 무뎌져서 기타 연주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고, 두께가 1mm 이하로 그 두께가 얇을수록 손가락 끝이 아플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삼실시예가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수직부(10) 하측의 손톱부착부(3)가 일실시예는 폭이 넓고 삼실시예는 폭이 좁은 것으로서, 이는 손톱부착부(3)의 폭이 좁음에 따라 손끝의 답답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9" 는 손가락바닥부이고, "11" 은 기타연주용 반창고(1)의 점착층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박리지로서, 일, 이실시예에 모두 부착되는 것임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연주용 반창고(1)는 기타 연주시 기타줄(8)을 누르는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는 것이다.
위의 기타연주용 반창고(1)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타연주용 반창고(1)의 점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박리지를 벗겨낸 뒤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를 누름부(2)의 점착면에 부착한다.
그 뒤에 수직부(1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손톱부착부(3)를 손톱부로 "A"와 감아올리면서 그 손톱부착부(3)의 점착면을 손톱부에 부착하며, 그 다음에 수평부(6)의 양측을 손가락 끝마디의 둘레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B"와 같이 감으면서 손톱부에 부착된 손톱부착부(3)의 상면에 덮어지게 부착한다.
위와 같이 기타연주용 반창고(1)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할 때, 수평부(6)와 수직부(10)가 연결되는 양측에 절개부(5)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지문부의 곡면부분에 누름부(2)의 양측이 들뜨지 않고 손가락 끝의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지문부의 곡면부에 밀착도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부(10)의 누름부(2)를 지문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손톱부착부(3)를 손톱부측으로 부착시킬 때, 누름부(2)와 손톱부착부(3) 사이의 양측에는 절취부(4)가 형성되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끝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절취부(4)가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손끝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기타연주용 반창고(1)가 돌출되거나 덮이지 않고 살부분(C)만 노출되어 기타코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옮길 때,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한 기타연주용 반창고(1)의 모서리부분이 돌출되지 않고 없음에 따라 그 없는 부분으로 하여금 기타줄(8)에 걸리는 부분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타연주용 반창고(1)를 손가락 끝마디에 부착하였을 때, 기타줄(8)을 누르는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 누름부(2)가 부착되어서 그 누름부(2)가 소정의 두께로 손가락 끝을 커버함에 따라 손가락 끝의 살부분이 아프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나)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누름부(2)의 점착면에 소정의 두께를 지닌 심재(7)가 부착되어서 기타줄(8)을 누르는 부분의 두께가 더 두꺼워져 손가락 끝의 살부분이 아프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 기타연주용 반창고 2 : 누름부 3 : 손톱부착부
4 : 절취부 5 : 절개부 6 : 수평부
7 : 심재 8 : 기타줄 9 : 손가락바닥부
10 : 수직부 11 : 박리지

Claims (2)

  1. 점착층이 형성된 이면에 박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기타연주용 반창고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용 반창고(1)는 손가락 끝마디의 둘레에 감겨져 부착되는 수평부(6)와, 수평부(6)의 중앙 하부에 하향 형성되어 손가락 끝마디의 지문부에서 손톱부로 감싸지는 수직부(10)로 이루어지며,
    수평부(6)와 연결되는 수직부(10)의 상부 양측에 절개부(5)가 형성되고, 수직부(10)의 중간부 양측에 절취부(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연주용 반창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절개부(5)와 양측 절취부(4) 사이의 수직부(10)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누름부(2)의 점착면에는 심재(7)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연주용 반창고.
KR1020110081230A 2011-08-12 2011-08-12 기타연주용 반창고 KR20110110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230A KR20110110073A (ko) 2011-08-12 2011-08-12 기타연주용 반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230A KR20110110073A (ko) 2011-08-12 2011-08-12 기타연주용 반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073A true KR20110110073A (ko) 2011-10-06

Family

ID=4502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230A KR20110110073A (ko) 2011-08-12 2011-08-12 기타연주용 반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00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98B1 (ko) * 2018-11-05 2019-06-10 윤종희 손가락 빨기 교정용 스티커
KR20230162751A (ko) 2022-05-21 2023-11-28 박유민 손가락 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98B1 (ko) * 2018-11-05 2019-06-10 윤종희 손가락 빨기 교정용 스티커
KR20230162751A (ko) 2022-05-21 2023-11-28 박유민 손가락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926B2 (en) Catheter fixing band
US20120210486A1 (en) Fingertip protector for a person playing a stringed instrument
KR20140043144A (ko) 키네시올로지 테이프의 사전절단된 스트립
KR20110110073A (ko) 기타연주용 반창고
US20180185197A1 (en) Nail and Nail Bed Protecting Bandage
US20140216229A1 (en) Protector for Musical Instrument and Player
JP3151505U (ja) テーピング用テープ
US11136477B2 (en) Hand wrap for musical instrument
KR200356914Y1 (ko) 신축성을 갖는 지혈용 밴드
JP3183054U (ja) かかとケア装置
TWM614577U (zh) 醫療用貼布
KR20110101109A (ko) 기타 연주용 골무
KR20060066253A (ko) 반창고 세트
JP6678849B2 (ja) 皮膚伸長テープ及びリラックス方法
JP3121227U (ja) マニキュア補助具
CN213047265U (zh) 手术医生用手套减压带
JP3204106U (ja) 目盛りつき止血用絆創膏
KR20200000706U (ko) 반창고 세트
JP6706398B2 (ja) 皮膚貼付用シート
JP3211675U (ja) 手指のギブス
JP2009208480A (ja) 紙片めくり具
CN203038645U (zh) 新型古筝指甲
RU1096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кожной фиксации сухожильного шва на кисти
JP3246372U (ja) 指先あかぎれ用絆創膏
JP3112157U (ja) (請求項1)グリップ付き救急絆創膏(請求項2)グリップ付き救急絆創膏型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