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791A -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791A
KR20110109791A KR1020100116545A KR20100116545A KR20110109791A KR 20110109791 A KR20110109791 A KR 20110109791A KR 1020100116545 A KR1020100116545 A KR 1020100116545A KR 20100116545 A KR20100116545 A KR 20100116545A KR 20110109791 A KR20110109791 A KR 2011010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film
input interface
interface device
portab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김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식 filed Critical 김원식
Publication of KR2011010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일측이 몸체에 연결되어 몸체에 롤타입으로 감기고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당겨져 펴지며, 접촉 또는 눌려짐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자판 필름; 키보드 자판 필름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에 상응하는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키보드모듈; 및 몸체에 설치되되, 키보드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키보드신호코드를 외부의 전자단말기기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 직렬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PORTABLE INPUT INTERFACE DEVICE USING FLEXIBLE FILM}
본 발명은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한 키보드 자판 필름을 이용하여 감기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전자단말기,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의 오피스 프로그램 등과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에 데이터 입력시에 해당 전자단말기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기가 복잡하거나 어려운 경우에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단말기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점차 소형화되고, 그에 따라 전자단말기 본체의 입력인터페이스도 점점 작아지고 있다. 휴대용 전자단말기들이 소형화에 따른 입력인터페이스의 소형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휴대용 입력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휴대하기가 어려웠고, 휴대용으로 제조된 휴대용 키보드도 플렉시블하지 않은 보드를 접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휴대와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전자단말기들이 소형화됨에 따른 입력인터페이스의 소형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소형화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식의 불편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높은 휴대성과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일측이 몸체에 연결되어 몸체에 롤타입으로 감기고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당겨져 펴지며, 접촉 또는 눌려짐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자판 필름; 키보드 자판 필름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에 상응하는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키보드모듈; 및 몸체에 설치되되, 키보드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키보드신호코드를 외부의 전자단말기기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 직렬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전술한 키보드 자판 필름은 적어도 상부층, 중간층 및 하부층의 3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층과 하부층 중의 어느 하나의 층에는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이 코팅되고, 나머지 층에는 상부층의 키보드 자판에 상응하는 위치가 눌려짐에 따라 눌러진 위치에 대응하는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고, 중간층은 상부층과 하부층을 이격시키되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부층의 키보드 자판 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홀을 통하여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전기적 접촉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몸체는 키보드 자판 필름이 연결되어 롤타입으로 감기는 중심기둥과 중심기둥의 주위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는 몸체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몸체케이스는 상기 중심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키보드 자판 필름은 장홀을 관통하여 이격 공간에 롤타입으로 감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키보드 자판 필름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는 롤타입으로 감길 때 장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몸체는 탄성부재와 걸림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키보드 자판 필름은 몸체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롤타입으로 감기고, 키보드 자판 필름은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펼쳐지는 경우 몸체의 걸림턱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키보드 자판 필름이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여 끌어 당겨지는 경우 키보드 자판 필름은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롤타입으로 되감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또 하나의 모습으로, 중심기둥의 일부가 몸체케이스 밖으로 도출되고, 도출된 중심기둥의 일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키보드 자판 필름이 롤타입으로 되감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키보드 자판 필름은 표면에 대한 외부 터치를 감지하는 압력 저항막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필름이고, 자판 배열이 인쇄되고 인쇄된 자판 부위 표면에 대한 외부 터치를 감지한다. 게다가,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필름에서 감지된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전송하는 위치좌표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키보드모듈은 전송받은 키 데이터를 키보드신호코드로 변경 생성하여 전송한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통신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키보드 자판 필름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는 키보드 자판 필름이 롤타입으로 감긴 후 롤타입의 키보드 자판 필름을 감싸는 케이스로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는 단면상 반원형상의 제1 및 제2 케이스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는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가 단면상 하나의 원호형상을 이루며 키보드 자판 필름을 감싼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의 하나의 모습으로 비록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나, 앞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 예들이 구현 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실시 예들과 같이,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소형화되는 휴대용 전자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시의 불편을 해결하고, 높은 휴대성과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장치를 통해, 사무실, 가정, 학교 등의 장소에서 PC 등의 키보드 등을 통해 가능하던 다량의 오피스나 문서 등의 작업을 휴대용 전자단말기를 통해서도 종래의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업무의 신속성 및 편익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외부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펼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입력인터페이스란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 전자단말기에 문자나 기호 등의 키(key) 입력 값을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본 발명에서 전자단말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단말기를 의미하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어 해석될 필요는 없으며, PC와 같은 전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면,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과 같은 스마트폰 혹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와, PMP,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용 단말기와, 그리고 PDA, 아이패드, 넷북,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는 각종 전자단말기,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의 오피스 프로그램 등과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입력시에 해당 전자단말기에 추가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외부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펼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1)는 몸체(10), 키보드 자판 필름(30), 키보드모듈(50) 및 통신인터페이스(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몸체(1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일측이 몸체(10)에 연결되어 몸체(10)에 롤타입으로 감기고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35)가 당겨져 펴지도록 되어 있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펼쳐진 상태에서 접촉 또는 눌려짐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적어도 상부층(30a), 중간층(30b) 및 하부층(30c)의 3겹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층(30a)의 키보드 자판(31) 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중간층(30b)의 홀(34)을 통하여 상부층(30a)과 하부층(30c)에 코팅된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32a 또는 32b)과 전도성 물질(32b 또는 32a) 사이의 전기적 접촉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키보드모듈(50)은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에 상응하는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통신인터페이스(70)는 몸체(10)에 설치되고, 키보드모듈(50)로부터 전송받은 키보드신호코드를 외부의 전자단말기기(도시되지 않음)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 직렬통신으로 전송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10)는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연결되어 롤타입으로 감기는 중심기둥(11)과 중심기둥(11)의 주위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는 몸체케이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심기둥(11)은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롤타입으로 감기도록 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심기둥(11) 둘레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감긴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몸체케이스(13)는 도 1 내지 2에서와 같이 원통형이거나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몸체케이스(13)에는 중심기둥(11)의 길이방향으로 장홀(15)이 형성되어 있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장홀(15)을 관통하여 이격 공간에 롤타입으로 감긴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관통하는 장홀(15)에 근접한 몸체케이스(13)의 일부가 장홀(15)과 나란히 평탄하게 됨으로써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1)를 바닥면에 움직이지 않도록 놓기 쉽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10)는 탄성부재와 걸림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몸체(10)에 구비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롤타입으로 감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로는 스프링이나 고무재 등,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사용가능하다. 스프링이나 고무재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탄성력에 의해 롤타입으로 감기도록 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기술로부터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펼쳐져 크기가 고정되도록 몸체(10)는 걸림턱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걸림턱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홈과 걸림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몸체(10)의 케이스 내측면과 중심기둥(11)에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걸림턱 부재의 다양한 디자인 변경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자명하게 가능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게다가,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여 끌어 당겨지는 경우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롤타입으로 되감기게 된다. 설정된 범위만큼 조작하는 경우에 걸림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그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도록 조작하는 경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원래로 돌아가도록 하는 구성은 단계별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 등 여러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심기둥(11)의 일부가 몸체케이스(13) 밖, 예컨대 몸체(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17), 바람직하게는 상단부의 밖으로 도출되게 형성된다. 도출된 중심기둥(11)의 일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롤타입으로 되감기게 된다. 도출된 중심기둥(11)의 일부는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되지 않았으나, 키보드 자판 필름(30)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는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롤타입으로 감긴 후 롤타입의 키보드 자판 필름(30)을 감싸는 케이스로 된다. 이 경우 도 1 또는 2와 달리 케이스에 장홀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중심기둥(11)에 감긴 후에는 손잡이부가 몸체 케이스가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손잡이부는 단면상 반원형상의 제1 및 제2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케이스는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가 단면상 하나의 원호형상을 이루며 키보드 자판 필름(30)을 감싸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예에서, 몸체(10)는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펼쳐지는 바닥면(도시되지 않음)과의 부착력에 의해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펼쳐진 경우에 말리지 않고 평편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부착력은 무게에 의한 마찰력, 흡착력, 자력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서 흡착력은 예컨대 빨판과 같이 바닥면과 바닥의 흡착에 의한 부착력을 말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단부(17)는 필기구 또는 스타일러스 펜(터치 펜)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몸체(10)의 하단부(17)에 발광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도록 하여 레이저포인트 또는 LED 전등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10)의 하단부(17) 또는 상단부는 유선 직렬통신인터페이스, 예컨대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몸체(10) 내에 메모리를 구비하여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1)를 휴대용 메모리 기기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것 이외에 몸체(10)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그러한 다양한 변경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키보드 자판 필름(30)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또는 2를 참조하면,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몸체(10)의 장홀(15)을 관통하여 몸체(10) 내의 이격 공간에 롤타입으로 감겨 있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의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35)를 끌어당기면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지게 된다. 키보드 자판 필름(3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 배열(31)이 인쇄되어 있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일반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거나 다양한 색깔을 갖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키보드 자판 필름(30)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적어도 상부층(30a), 중간층(30b) 및 하부층(30c)의 3겹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층(30a)과 하부층(30c) 중의 어느 하나의 층에는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32a 또는 32b)이 코팅되어 있다. 나머지 층에는 상부층(30a)의 키보드 자판(31)에 상응하는 위치가 눌려짐에 따라 눌러진 위치에 대응하는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32a 또는 32b)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도성 물질(32b 또는 32a)이 코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플렉시블하여야 하므로,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과 전도성 물질 또한 롤타입 감김과 반복적인 휨에 대하여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키보드 자판 위치에 상응하는 접촉되는 지점을 제외하고는 피복 코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과 전도성 물질로는 전도성 고분자물질이나 전도성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부호 32a가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인 경우 도면부호 32b는 전도성물질이 되고, 도면부호 32b가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인 경우 도면부호 32a는 전도성물질이다. 중간층(30b)은 상부층(30a)과 하부층(30c)을 이격시키되 상부층(30a)과 하부층(30c)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홀(3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층(30a)의 키보드 자판(31) 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홀(34)을 통하여 상부층(30a)과 하부층(30c) 사이에 전기적 접촉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P'는 접착층으로, 바람직하게는 비전도성 접착층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표면에 대한 외부 터치를 감지하는 압력 저항막 또는 정전용량 방식, 바람직하게는 압력 저항막 방식(감압식)의 터치 필름이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자판 배열(31)이 인쇄되고 인쇄된 자판 부위 표면에 대한 외부 터치를 감지한다. 압력 저항막 방식 키보드 자판 필름이나 정전용량 방식 키보드 자판 필름에 관하여는 이미 공지 또는 주지의 기술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감기고 펴질 수 있어야 하므로, 플라스틱 계열의 플렉시블한 소재의 필름 층을 사용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 자판 필름(30)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35)는 롤타입으로 감길 때 장홀(15)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수단(도시되지 않음)은, 예컨대, 장홀(15) 보다 손잡이부(35)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장홀(15)의 간격보다 두텁게 하여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장홀(15)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돌기나 걸림턱이 형성되어 손잡이부(35)가 장홀(15)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은 몸체(10) 몸체케이스(13)에 형성된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자판 필름(30)은 끌어당겨 펼칠 때 키보드 자판 필름(30)을 보호하기 위한 테두리부재(33)를 키보드 자판 필름(30)의 상하측에 펼쳐지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35)는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펼쳐지는 바닥면(도시되지 않음)과의 부착력에 의해 키보드 자판 필름(30)이 펼쳐진 경우에 말리지 않고 평편하게 유지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력은 무게에 의한 마찰력, 흡착력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에 상응하는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키보드모듈(50)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키보드모듈(50)은 몸체(10)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몸체(10) 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키보드신호코드는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한 데이터에 매칭되어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키보드신호코드는 위치좌표 데이터에 매칭되도록 설정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위치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키(key) 데이터에 매칭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만일 키보드신호코드에 매칭되지 않는 신호 또는 데이터나 에러 값을 전송받은 경우에는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키보드모듈(50)에서 생성되는 키보드신호코드는 외부의 전자단말기의 입력코드에 맞는 코드이다. 즉,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감지된 신호 값들에 상응하여 외부 전자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적절한 입력값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키보드모듈(50)이 적절하게 변환시킨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키보드신호코드는 일반적으로 아스키(ASCII)코드 또는 유니코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특정코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키보드모듈(50)로부터 전송받은 키보드신호코드를 외부의 전자단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70)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통신인터페이스(70)는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인터페이스(70)는 근거리 무선통신인터페이스 또는 유선 직렬통신인터페이스이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와이파이, Wi-Fi), UWB, 적외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방식이 있고, 유선 직렬인터페이스로는 USB 인터페이스 등이 사용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1)는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감지된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키보드모듈(51)로 전송하는 위치좌표모듈(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감지되어 전송받은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위치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위치좌표모듈(40)은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상응하는 키(key) 데이터를 키보드모듈(51)로 전송하는데, 예컨대 키(key) 데이터는 키보드의 키(key) 값을 의미한다. 키보드 자판 필름(30)에서 감지된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감지된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보드모듈(51)로 키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거나 에러 값을 전송한다. 위치좌표모듈(40)은 키보드 자판 필름(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키보드모듈(51)은 몸체(10)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몸체(10) 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좌표모듈(40)에서 키 데이터를 전송하면, 키보드모듈(51)은 전송받은 키 데이터를 키보드신호코드로 변경 생성하여 통신인터페이스(70)로 전송하게 된다. 만일 위치좌표모듈(40)로부터 키보드신호코드에 매칭되지 않는 데이터나 에러 값을 전송받은 경우에는 키보드모듈(51)은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전원모듈(90)이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모듈(90)은 소형 전지나 유선 또는 무선 충전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들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이 전술한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1 :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10 : 몸체 11 : 중심기둥
13 : 몸체케이스 15 : 장홀
17 : 하단부 30 : 키보드 자판 필름
30a : 상부층 30b : 중간층
30c : 하부층 31 : 인쇄된 자판 배열
32a, 32b :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 전도성 물질
34 : 홀 35 : 손잡이부
40 : 위치좌표모듈 50, 51 : 키보드모듈
70 : 통신인터페이스 90 : 전원모듈

Claims (10)

  1.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롤타입으로 감기고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당겨져 펴지며, 접촉 또는 눌려짐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자판 필름;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에 상응하는 키보드신호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키보드모듈;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되, 상기 키보드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키보드신호코드를 외부의 전자단말기기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 직렬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은 적어도 상부층, 중간층 및 하부층의 3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중의 어느 하나의 층에는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이 코팅되고, 나머지 층에는 상기 상부층의 키보드 자판에 상응하는 위치가 눌려짐에 따라 눌러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키보드 자판 회로배선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이격시키되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층의 키보드 자판 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전기적 접촉에 따라 상응하는 키보드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이 연결되어 롤타입으로 감기는 중심기둥과 상기 중심기둥의 주위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는 몸체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케이스는 상기 중심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은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이격 공간에 롤타입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는 롤타입으로 감길 때 상기 장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탄성부재와 걸림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은 상기 몸체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롤타입으로 감기고,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은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펼쳐지는 경우 상기 몸체의 걸림턱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이 상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여 끌어 당겨지는 경우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은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롤타입으로 되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의 일부가 상기 몸체케이스 밖으로 도출되고, 상기 도출된 중심기둥의 일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이 롤타입으로 되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은 표면에 대한 외부 터치를 감지하는 압력 저항막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필름이고, 자판 배열이 인쇄되고 인쇄된 자판 부위 표면에 대한 외부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터치 필름에서 감지된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전송하는 위치좌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모듈은 상기 전송받은 키 데이터를 키보드신호코드로 변경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9. 청구항 1, 2, 7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는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이 롤타입으로 감긴 후 상기 롤타입의 키보드 자판 필름을 감싸는 케이스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단면상 반원형상의 제1 및 제2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는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단면상 하나의 원호형상을 이루며 상기 키보드 자판 필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00116545A 2010-03-30 2010-11-23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KR20110109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8334 2010-03-30
KR1020100028334 2010-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91A true KR20110109791A (ko) 2011-10-06

Family

ID=447124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707A KR20110109758A (ko) 2010-03-30 2010-04-07 터치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00116545A KR20110109791A (ko) 2010-03-30 2010-11-23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707A KR20110109758A (ko) 2010-03-30 2010-04-07 터치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10109758A (ko)
WO (1) WO2011122725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880A3 (en) * 2012-03-02 2014-08-28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securing techniques
US8850241B2 (en) 2012-03-02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low power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high power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US8873227B2 (en) 2012-03-02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support layer
US8949477B2 (en) 2012-05-14 2015-0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KR20150026485A (ko)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WO2015080350A1 (ko) * 2013-11-26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824808B2 (en) 2012-08-20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able magnetic lock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10107994B2 (en) 2012-06-12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US10156889B2 (en) 2014-09-15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2136A (zh) * 2016-05-05 2016-08-31 邬晨燚 一种卷轴式的键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95A (ja) * 1993-07-09 1995-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地図表示装置
JPH11272205A (ja) *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2323952A (ja) * 2001-04-24 2002-11-08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KR100911120B1 (ko) * 2007-09-18 2009-08-11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키보드

Cited B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4949B2 (en) 2012-03-02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ing user input at display area edge
US9710093B2 (en) 2012-03-02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WO2014084881A3 (en) * 2012-03-02 2014-09-12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assembly
US8850241B2 (en) 2012-03-02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low power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high power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US8854799B2 (en) 2012-03-02 2014-10-07 Microsoft Corporation Flux fountain
US8873227B2 (en) 2012-03-02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support layer
US8903517B2 (en) 2012-03-02 2014-12-02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device and an apparatus having sensors configured for measuring spatial information indicative of a position of the computing devices
US8935774B2 (en) 2012-03-02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ory device authentication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8947864B2 (en) 2012-03-02 2015-02-0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and removable attachment
US10963087B2 (en) 2012-03-02 2021-03-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s
US9047207B2 (en) 2012-03-02 2015-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power state
US9275809B2 (en) 2012-03-02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camera angle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098117B2 (en) 2012-03-02 2015-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US9111703B2 (en) 2012-03-02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or stack venting
US9116550B2 (en) 2012-03-02 2015-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kickstand
US9134808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kickstand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146620B2 (en) 2012-03-02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assembly
US9158383B2 (en)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concentrator
US9158384B2 (en)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protrusion attachment
US9176901B2 (en) 2012-03-02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ux fountain
US9176900B2 (en) 2012-03-02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and removable attachment
US9268373B2 (en) 2012-03-02 2016-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298236B2 (en) 2012-03-02 2016-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power level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a second power level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US10013030B2 (en) 2012-03-02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position input device cover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304948B2 (en) 2012-03-02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ing user input at display area edge
US9946307B2 (en) 2012-03-02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US9904327B2 (en) 2012-03-02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and removable attachment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9411751B2 (en) 2012-03-02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y formation
WO2014084880A3 (en) * 2012-03-02 2014-08-28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securing techniques
US9460029B2 (en) 2012-03-02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s
US9465412B2 (en) 2012-03-02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layers and nesting
US9619071B2 (en) 2012-03-02 2017-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and an apparatus having sensors configured for measuring spatial information indicative of a position of the computing devices
US9618977B2 (en) 2012-03-02 2017-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securing techniques
US9678542B2 (en) 2012-03-02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position input device cover
WO2014084873A3 (en) * 2012-03-02 2014-09-04 Microsoft Corporation Key formation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766663B2 (en) 2012-03-02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for component attachment
US9793073B2 (en) 2012-03-02 2017-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cklighting a fabric enclosure of a flexible cover
US9852855B2 (en) 2012-03-02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348605B2 (en) 2012-05-14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that passes human interface device (HID) data via intermediate processor
US9959241B2 (en) 2012-05-14 2018-05-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that passes via intermediate processor a descriptor when processing in a low power state
US8949477B2 (en) 2012-05-14 2015-0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10107994B2 (en) 2012-06-12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US9824808B2 (en) 2012-08-20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able magnetic lock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KR20150026485A (ko)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키 입력 장치 및 키 입력 장치 동작 방법
US9760184B2 (en) 2013-11-26 2017-09-1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keyboard and speaker assembly
WO2015080350A1 (ko) * 2013-11-26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US10156889B2 (en) 2014-09-15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725A1 (ko) 2011-10-06
KR20110109758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9791A (ko) 플렉시블 필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인터페이스 장치
US10156889B2 (en)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KR20150073959A (ko) 터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와 디자인
US9423836B2 (en) Super-slim touch keyboard and super-slim cover device for smart keyboard having the same
US9830003B2 (en) Ring button components in electronics
JP2008508613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用周辺機器
JP2019516142A (ja) 無線周波数送受信伝送機能付き真実筆跡タッチペン及びタッチ装置
US9738114B2 (en) Writing device with input unit
US11815968B2 (en) Stylus for a touchscreen
KR1013894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TWM460331U (zh) 具有輸入單元之手寫裝置
KR101446244B1 (ko) 초음파방식과 정전용량방식 겸용 하이브리드 전자펜
KR102243899B1 (ko) 플렉시블 터치 입력장치,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플렉시블 터치 입력장치
KR102127957B1 (ko) 그래픽 태블릿
CN203350816U (zh) 具有输入单元的手写装置
TWI522849B (zh) 具有輸入單元之手寫裝置
KR20140089865A (ko) 레이저포인터가 수납된 필기구
KR20160126656A (ko)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KR2023002315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동작 방법
CN204674236U (zh) 具投影装置的笔结构
CN104142743A (zh) 具有输入单元的手写装置
KR101364108B1 (ko) 터치팁을 구비한 연필
KR2023011466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알림 및 연결 방법
JP2021131609A (ja) 電子ペン
KR20200097580A (ko) 블루투스 통신과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볼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