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249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249A
KR20110108249A KR1020110019327A KR20110019327A KR20110108249A KR 20110108249 A KR20110108249 A KR 20110108249A KR 1020110019327 A KR1020110019327 A KR 1020110019327A KR 20110019327 A KR20110019327 A KR 20110019327A KR 20110108249 A KR20110108249 A KR 2011010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signal
network node
interference
interfere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299B1 (ko
Inventor
이승준
천성덕
정성훈
이영대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20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18996A2/en
Priority to EP11759745.0A priority patent/EP2553845B1/en
Priority to US13/576,331 priority patent/US8897204B2/en
Publication of KR2011010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T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접속 시스템의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구체적으로는 복수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간섭의 강도에 따른 간섭 레벨에 의해 구분되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간섭은 단말이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을 가지고,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과 다른 제 3 간섭 레벨을 가지며,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과 제 3 간섭 레벨 사이의 제 2 간섭 레벨을 가지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간섭 레벨은 제 3 간섭 레벨보다 간섭의 강도가 큰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도너 기지국(Donor eNB)인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이고, 제 2 서브프레임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며, 제 3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인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신호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 수신을 시도하지 않는 신호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도너 기지국(Donor eNB)인 신호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이고, 제 2 서브프레임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며, 제 3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인 신호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제 1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신호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신호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간섭의 강도에 따른 간섭 레벨에 의해 구분되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간섭은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단말의 신호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을 가지고,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과 다른 제 3 간섭 레벨을 가지며,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과 제 3 간섭 레벨 사이의 제 2 간섭 레벨을 가지는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간섭 레벨은 제 3 간섭 레벨보다 간섭의 강도가 작은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도너 기지국(Donor eNB)인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이고, 제 2 서브프레임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며, 제 3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인 신호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환경에 따라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Relay Node와 Un 인터페이스 및 Uu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무선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Unicast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통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분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분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 및 UE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기반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IEEE 802.16 기반 시스템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응용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된 무선통신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E-UMTS는 기존 UMTS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E-UMTS 시스템은 E-UTRAN(Evolved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EPC(Evolved Packet Core)로 구분할 수 있다.
E-UTRAN은 기지국(base station or Evolved NodeB; 이하 eNB)과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로 구성될 수 있다. eNB 간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며, eNB과 UE 간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다.
EPC는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기능을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사용자평면(User Plane)의 기능을 담당하는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될 수 있다. MME는 UE의 접속정보나 UE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UE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gateway이며, PDN-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gateway이다.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eNB 간에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는 X2AP(X2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X2AP 메시지라 부른다. 또한,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와 eNB 간에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는 S1AP(S1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S1AP 메시지라 부른다.
Uu 인터페이스는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이 사용된다.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물리계층을 포함하는 L1(제 1 계층), MAC/RLC/PDCP 계층을 포함하는 L2(제 2 계층) 및 RRC 계층을 포함하는 L3(제 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eNB와 UE 사이의 데이터를 중개하는 기술로서, eNB와 UE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릴레이 프로세스가 도입되었다. 또한, 릴레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기기인 Relay Node(이하 RN)가 eNB와 UE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RN을 관리하는 eNB를 특히 Donor eNB(이하 DeNB)라 명명하였다. DeNB와 RN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Un 인터페이스로 정의하여 eNB와 UE 사이의 Uu 인터페이스와 구분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RN 및 Un 인터페이스 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Relay Node와 Un 인터페이스 및 Uu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N은 DeNB를 대신하여 UE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UE의 입장에서는 RN이 eNB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RN과 UE 간에는 eNB와 UE 사이의 Uu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며,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인 MAC/RLC/PDCP/RRC가 그대로 사용된다.
DeNB는 상황에 따라 RN이 UE로도 보이고 eNB로도 보인다. 즉, RN이 처음 DeNB에 접속할 때는 DeNB가 RN의 존재를 모르기 때문에 UE처럼 랜덤접속을 하며, RN이 DeNB에 접속한 이후에는 자신과 연결된 UE를 관리하는 eNB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Un 인터페이스는 RN이 UE처럼 동작할 때 사용되는 Uu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RN이 eNB처럼 동작할 때 사용하는 X2AP(X2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 및 S1AP(S1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이 모두 사용된다.
한편, RN이 UE와 통신할 때, DeNB가 RN과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주파수대역(frequency band)을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Un 인터페이스와 Uu 인터페이스가 서로 같은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in-band operation라 한다. RN이 in-band operation을 하는 경우에는 Un 인터페이스와 Uu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에 자기간섭(self-interference)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예를 들어, DeNB가 RN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RN이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RN이 UE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RN의 수신기에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RN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향링크에서는 백홀(Backhaul) 서브프레임을 MBSFN(Multicast Broadcast over a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무선프레임의 백홀 파티셔닝(backhaul partitioning)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RN은 무선프레임 내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만 DeNB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프레임 내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RN은 UE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RN이 DeNB 등의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백홀 서브프레임을 할당받고, RN은 할당받은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만 DeNB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프레임 내에서 백홀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명명하고, RN은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 UE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백홀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하 RN 서브프레임으로 용어을 통일하여 기재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향링크 무선프레임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무선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RN은 하나의 하향링크 무선프레임 중 1, 3, 6 및 8번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받고, 할당된 RN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부터 메시지 등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무선프레임 내에서 RN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0, 2, 4, 5, 7 및 9번 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서 RN은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N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의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에 해당하고 우측의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에 해당한다. 도 4는 RM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RN으로부터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 전송될 수 있으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RM으로부터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Unicast 서브프레임 및 MBSFN 서브프레임과 PDCCH 및 R-PDCCH의 관계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Unicast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nicast 서브프레임은 시간영역에서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Unicast 서브프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개의 OFDM 심볼들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이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하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할당 정보 및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의 전송포맷 및 자원할당정보, 상향링크 공유채널(UL-SCH)의 자원할당정보(UL-SCH), 페이징 채널(PCH: Paging Channel)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에 대한 자원할당정보, 임의의 UE 그룹 내에서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 셋, 전송 전력 제어 명령 및 VoIP(Voice of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에 대한 정보를 나를 수 있다. eNB는 UE에 전송될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정보에 CRC를 붙인다. CRC는 PDCCH의 용도 또는 소유자에 따라 고유의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와 함께 마스크된다. PDCCH가 특정 UE를 위한 것이면, UE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된다.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예를 들어, P-RNTI: 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되며, 시스템 정보를 위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UE의 랜덤접속 프리앰블의 수신에 대한 응답인 랜덤접속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랜덤접속(Radom Access) 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RN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Unicast 서브프레임의 구조와 크게 다르지는 않다. RN 서브프레임은 제어영역(control region) 및 데이터영역(data region)을 포함하며, 제어영역은 설정에 따라서 첫 번째 슬롯의 앞선 1개의 OFDM 심벌 구간 내지 3개의 OFDM 심벌 구간에서 할당될 수 있다. 특히, MBSFN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2개의 OFDM 심벌 구간이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영역은 설정에 따라서, 두 번째 슬롯 전체 또는 두 번째 슬롯의 마지막 심벌을 제외한 구간에서 할당될 수 있다.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와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RN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R-PDCCH는 RN 전용의 PDCCH란 점을 제외하면 앞서 언급한 PDCCH와 큰 차이가 없다. R-PDCCH는 RN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R-PDCCH는 RN을 위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및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RN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및 메시지 등은 R-PDCCH에 의해 지시되는 R-PDSCH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무선프레임 내에 할당되는 RN 서브프레임의 수는 DeNB의 무선자원 및 RN이 관리하는 UE의 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RN 서브프레임이 필요 이상으로 할당된다면 Uu 인터페이스에서 혼잡 상황(congestion)이 발생할 수 있으며, RN 서브프레임이 필요 이하로 할당된다면 Un 인터페이스에서 혼잡 상황(conges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프레임 내에서 RN 서브프레임의 수를 결정하는 것은 무선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해당 인터페이스 내에서 혼잡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는 측면 등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RN의 통신과정 이전에 필요한 RN 서브프레임의 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RN의 통신과정에서 필요한 RN 서브프레임을 재 구성(reconfiguration)하는 것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야기하며, 시간손실도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프레임은 복수개의 서브프레임 타입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프레임 타입은 각각 Unicast 서브프레임, RN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Contention Based; CB)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은 RN의 무선환경에 따라 Uu 인터페이스와 Un 인터페이스의 무선자원을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Unicast 서브프레임 및 RN 서브프레임과는 달리, RN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 링크의 경우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DeNB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시도할 수 있으며, 상향 링크의 경우 DeNB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UE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즉,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자신의 무선환경에 따라 Uu 인터페이스 또는 Un 인터페이스의 무선자원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RN은 DeNB에 처음 접속할 때, DeNB 등의 네트워크 객체로부터 RN 서브프레임, Unicast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할당받을 수 있다. 세 가지 서브프레임 타입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서브프레임 할당정보 등은 RRC 메시지 또는 NAS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할당정보는 RN 서브프레임, Unicast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의 세 가지 서브프레임 타입 모두에 대하여 각각 받을 수 있지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고려하여 세 가지 서브프레임 타입 중 두 종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할당정보를 획득하고 나머지 한 종류에 대해서는 무선프레임 내에서 할당된 두 종류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은 무선프레임 내에 RN 서브프레임과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 대한 할당정보만을 획득하고, RN 서브프레임과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할당구조는 주기적인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할당정보는 한 주기의 길이와 한 주기 내의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주기의 길이는 연속된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또는 그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무선프레임에 속한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이 어떤 타입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주기적인 패턴의 서브프레임 할당구조는 두 개의 무선프레임, 예를 들어 20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2, 6, 13 및 17번째 서브프레임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될 수 있다. 할당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은 두 개의 무선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패턴의 주기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의 위치, 그리고 할당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의 수 등은 일 실시 예로서 기재하고 있을 뿐, 무선 환경 및 무선기기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외에 RN 서브프레임 및 Unicast 서브프레임 또한 함께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모든 타입의 서브프레임 패턴의 주기는 동일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Unicast 서브프레임에 관한 할당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및 RN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하향링크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MBSFN 서브프레임 중에서 일부는 RN 서브프레임으로 나머지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MBSFN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이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MBSFN 서브프레임이 R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고, MBSFN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일부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으로 나머지는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RN은 DeNB 등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세 가지 종류의 서브프레임 즉, Unicast 서브프레임, RN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Contention Based; CB) 서브프레임의 할당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해당 시점의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라서 RN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송수신이 구분될 수 있다(S110).
RN은 RN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부터 전송되는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20). RN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Cell-RNTI)를 가지는 R-PDCCH가 검출된 경우에는 R-PDCCH를 통하여 수신한 제어정보에 의해 지시된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신호 또는 관련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S130). 한편,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는 DeNB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 없으므로, R-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UE에게 전송할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 있는 경우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S140).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RN은 자신의 무선환경에 따라 UE에게 PDCCH 및 PDSCH를 통하여 신호 및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DeNB로부터의 R-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S150). RN이 UE에게 전송할 신호 또는 메시지가 많아 Unicast 서브프레임만으로 무선자원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RN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여 UE에게 신호 및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S140). 반대로 RN이 UE에게 전송할 신호 또는 메시지가 적어 Unicast 서브프레임만으로 무선자원이 충분하다면, RN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DeNB로부터 R-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즉, RN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다가, UE로 급하게 신호 또는 메시지 전송이 필요한 경우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반대의 경우 즉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다가 특수한 상황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RN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UE에게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DeNB로부터의 R-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RN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UE에게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는 동안에 동일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DeNB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였다면, RN은 DeNB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수신을 시도하지 않기 때문에 DeNB가 전송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은 소실될 수 있다. 따라서, DeNB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비교적 중요도가 떨어지고, 소실이 허용되거나 재전송이 가능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통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RN은 DeNB 등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주기적 패턴의 서브프레임 할당구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패턴의 주기는 하나의 무선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은 2 및 6번 서브프레임에, RN 서브프레임은 1, 3 및 8번 서브프레임에, 그리고 Unicast 서브프레임은 0, 4, 5, 7 및 9번 서브프레임에 할당된다. RN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2 및 6번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부터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수신을 위하여 R-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R-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고, 해당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중 2번 서브프레임은 DeNB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수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중 6번 서브프레임은 DeNB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수신 시도를 중단하고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6번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전송하고 있다.
한편, 동일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전송과 RN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전송이 동시에 발생한다면, UE 입장에서는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RN이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 DeNB로부터의 신호 또는 메시지 전송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RN이 DeNB로부터 전송된 신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을 시도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RN은 UE에게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 비해 송신전력을 높이거나 변조(modulation)도를 낮추는 방법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UE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Unicast 서브프레임과 동일하게 RN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신호 등의 수신을 위하여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DeNB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전송도 발생하기 때문에, Unicast 서브프레임에 비해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수신 감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구분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분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UE를 기준으로, RN 서브프레임,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및 Unicast 서브프레임은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신 대상을 RN로부터 전송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으로 할 때,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은 DeNB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RN 서브프레임에서는 DeNB가 RN으로 데이터 또는 메시지 등을 높은 확률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가장 높고,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DeNB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낮은 확률로 전송을 하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중간이며,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는 DeNB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지 않으므로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가장 낮다. 따라서, UE가 RN으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거나 무선환경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를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다.
RN의 Un interface 수신 측면에서, 수신 대상을 DeNB로부터의 전송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으로 할 때,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은 RN이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RN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지 않으므로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낮고,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낮은 확률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중간이며,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UE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높은 확률로 전송하기 때문에 간섭 강도가 가장 높다. 따라서, RN이 DeNB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거나 무선환경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를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하향링크의 경우에,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 RN 또는 UE의 수신측면에서 RN 서브프레임과 Unicast 서브프레임의 중간 단계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통한 신호 송수신 방법은 앞서 상술한 하향링크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통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기본개념과 큰 차이가 없다. RN은 RN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고,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 UE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은 자신의 무선 환경에 따라 UE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거나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즉, RN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여 UE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수신을 대기하다가, DeNB로 급하게 신호 또는 메시지 전송이 필요한 경우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반대의 경우 즉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다가 특수한 상황에서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RN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UE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은 소실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비교적 중요도가 떨어지고, 소실이 허용되거나 재전송이 가능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RN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전송과 UE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전송이 동시에 발생한다면, DeNB 입장에서는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RN은 DeNB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RN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때에 비해 송신전력을 높이거나 변조(modulation)도를 낮추는 방법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DeNB는 RN 서브프레임에 비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수신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분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DeNB를 기준으로, RN 서브프레임,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및 Unicast 서브프레임은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신 대상은 RN로부터 전송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며,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은 UE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RN 서브프레임에서는 UE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가장 낮고,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UE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낮은 확률로 전송을 하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중간이며,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는 UE가 RN으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높은 확률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가장 높다. 따라서, DeNB가 RN으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거나 무선환경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를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다.
RN의 Uu interface 수신 측면을 기준하면, 수신 대상은 UE로부터 전송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며,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은 RN이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RN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높은 확률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가장 높고,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낮은 확률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중간이며,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이 DeNB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가 가장 낮다. 따라서, RN이 UE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거나 무선 환경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를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도 하향링크와 동일하게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 DeNB 또는 RN의 수신측면에서 RN 서브프레임과 Unicast 서브프레임의 중간 단계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른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의 강도는 특정 범위로 규격화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제 1 범위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 강도의 크기를 제 1 간섭 레벨로 명명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제 3 범위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 강도의 크기를 제 3 간섭 레벨로 명명할 수 있다. 제 1 간섭 레벨과 제 3 간섭 레벨 사이의 수신 노이즈 또는 간섭 강도의 크기를 가지는 제 2 간섭 레벨이 존재할 수 있다. 제 1 범위 내지 제 3 범위의 수치는 네트워크 상에서 반복적인 측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범위 내지 제 3 범위의 수치는 임의의 값으로 특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범위 내지 제 3 범위의 수치를 반복적인 측정을 통하여 획득하고, 이를 통계화하며, 일정한 주기로 제 1 내지 제 3 간섭 레벨의 범위에 관한 수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세 가지의 간섭 레벨로 한정하고 있으나,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레벨 수의 증감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규격화된 제 1 간섭 레벨 내지 제 3 간섭 레벨은 세 종류의 서브프레임 즉, RN 서브프레임, 경쟁기반 서브프레임 및 Unicast 서브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의 할당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경우에도 간섭 레벨에 따라서 서브프레임의 할당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 즉, 규격화된 간섭 레벨을 통하여 서브프레임의 할당정보를 보완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할당정보를 간섭 레벨을 통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DeNB, RN 및 UE 사이에서 신호 및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또는 간섭에 따른 간섭 레벨에 대하여 특정하고 있으나,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무선기기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송수신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또는 간섭의 크기를 간섭 레벨로 규격화하여 이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 및 UE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RN은 수신 모듈(11), 전송 모듈(13), 프로세서(15) 및 메모리(1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수신 모듈(11)을 제어하여 DeNB 등의 네트워크 객체로부터 세 가지 종류의 서브프레임 즉, Unicast 서브프레임, RN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Contention Based; CB) 서브프레임의 할당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RN 서브프레임에서 DeNB로부터 전송되는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수신 모듈(11)을 제어하여 RN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Cell-RNTI)를 가지는 R-PDCCH가 검출된 경우에는 R-PDCCH를 통하여 수신한 제어정보에 의해 지시된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신호 또는 관련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 R-PDCCH의 수신을 시도하지 않는다. UE에게 전송할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5)는 전송 모듈(13)을 제어하여 Unicast 서브프레임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무선 환경에 따라, 전송 모듈(13)을 제어하여 UE에게 PDCCH 또는 PDSCH를 통하여 신호 및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DeNB로부터의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UE에게 전송할 신호 또는 메시지가 많아 Unicast 서브프레임만으로 무선자원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15)는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여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UE에게 전송할 신호 또는 메시지가 적어 Unicast 서브프레임만으로 무선자원이 충분하다면,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는 R-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R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다가, UE로 급하게 신호 또는 메시지 전송이 필요한 경우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을 Unicast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서 UE에게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 프로세서(15)는 DeNB로부터의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메모리(17)는 연산 처리된 정보, 수신된 각종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UE는 수신 모듈(21), 전송 모듈(23), 프로세서(25) 및 메모리(2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21)은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 등을 RN 또는 DeNB 등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23)은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 등을 RN 및 DeNB 등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27)는 연산 처리된 정보, 수신된 각종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수신 모듈(21)을 제어하여 DeNB 또는 RN 등의 네트워크 객체로부터 세 가지 종류의 서브프레임 즉, Unicast 서브프레임, RN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Contention Based; CB) 서브프레임의 할당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는 Unicast 서브프레임 및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에 RN으로부터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RN 서브프레임에서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주로 UE, RN 및 DeNB 간의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의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DeNB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DeNB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들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UE와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DeNB 또는 DeNB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및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 기반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11: RN의 수신 모듈 13: RN의 전송 모듈
15: RN의 프로세서 17: RN의 메모리
21: UE의 수신 모듈 23: UE의 전송 모듈
25: UE의 프로세서 27: UE의 메모리

Claims (18)

  1.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신호 수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간섭의 강도에 따른 간섭 레벨에 의해 구분되는 신호 수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호 수신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을 가지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간섭 레벨과 다른 제 3 간섭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간섭 레벨과 상기 제 3 간섭 레벨 사이의 제 2 간섭 레벨을 가지는 신호 수신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섭 레벨은 상기 제 3 간섭 레벨보다 간섭의 강도가 큰 신호 수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도너 기지국(Donor eNB)인 신호 수신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제 3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인 신호 수신방법.
  8.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신호 전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 수신을 시도하지 않는 신호 전송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도너 기지국(Donor eNB)인 신호 전송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제 3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인 신호 전송방법.
  12.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신호 전송이 제한된 상태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신호 전송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신호 수신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간섭의 강도에 따른 간섭 레벨에 의해 구분되는 신호 수신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단말의 신호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호 수신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제 1 간섭 레벨을 가지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간섭 레벨과 다른 제 3 간섭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간섭 레벨과 상기 제 3 간섭 레벨 사이의 제 2 간섭 레벨을 가지는 신호 수신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섭 레벨은 상기 제 3 간섭 레벨보다 간섭의 강도가 작은 신호 수신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도너 기지국(Donor eNB)인 신호 수신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Unicast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경쟁기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제 3 서브프레임은 RN 서브프레임인 신호 수신방법.
KR1020110019327A 2010-03-26 2011-03-0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175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2035 WO2011118996A2 (en) 2010-03-26 2011-03-24 A method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EP11759745.0A EP2553845B1 (en) 2010-03-26 2011-03-24 A method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US13/576,331 US8897204B2 (en) 2010-03-26 2011-03-24 Method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771110P 2010-03-26 2010-03-26
US61/317,711 201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49A true KR20110108249A (ko) 2011-10-05
KR101757299B1 KR101757299B1 (ko) 2017-07-26

Family

ID=4502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27A KR101757299B1 (ko) 2010-03-26 2011-03-0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7204B2 (ko)
EP (1) EP2553845B1 (ko)
KR (1) KR101757299B1 (ko)
WO (1) WO20111189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0496B2 (en) 2009-08-12 2016-02-23 Blackberry Limi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for uplink coordinated transmission in type II relay
WO2011019960A2 (en) * 2009-08-12 2011-02-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for uplink coordinated transmission in type ii relay using a punctur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N102143597B (zh) * 2011-03-31 2014-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US20130142138A1 (en) * 2011-12-05 2013-06-06 Esmael Hejazi Dinan Coordination of Control Channel Transmissions
US9763060B2 (en) * 2014-11-11 2017-09-12 Alcatel Lucent Streaming unicast services to multiple user equipment
US10375707B2 (en) * 2016-08-04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1583B2 (en) * 2005-03-30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58595A1 (en) * 2005-03-30 2007-03-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7966033B2 (en) * 2006-01-05 2011-06-21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sector directed power control
IL184490A (en) * 2007-07-09 2011-06-30 Mariana Goldhamer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transmissions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675537B2 (en) * 2008-04-0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BSFN subframes to send unicast information
KR101530717B1 (ko) * 2009-01-08 201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1645490B1 (ko) * 2009-05-07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cp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US8654688B2 (en) * 2009-06-17 2014-02-1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H-FDD frame stru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8873439B2 (en) * 2010-03-25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gion design
US9154260B2 (en) * 2010-03-26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1860396B (zh) * 2010-06-12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格式指示值的传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8996A3 (en) 2012-01-26
KR101757299B1 (ko) 2017-07-26
EP2553845A2 (en) 2013-02-06
EP2553845B1 (en) 2020-06-03
WO2011118996A2 (en) 2011-09-29
US20120300696A1 (en) 2012-11-29
US8897204B2 (en) 2014-11-25
EP2553845A4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83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ing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616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가 하향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7129742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781854B1 (ko)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6074715B2 (ja) Dciを使用しての動的なtdd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構成
JP7271523B2 (ja) スロットフォーマットインジケータのための柔軟な監視周期
US1002165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8451769B2 (en) Method of receiving message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process being limited to wireless interface and apparatus of the same
EP3277044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1785659B1 (ko) 릴레이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7107832B2 (ja) 端末、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7183252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
US20120140726A1 (en) Relay backhaul resource allocation
WO201614851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I745459B (zh) 終端裝置、基地台裝置及通訊控制方法
KR2011009363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랜덤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1513258A (ja) スケジューリング要求および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ためのコリジョンの回避
KR20200052889A (ko) 무선 통신에서의 커버리지 강화를 위한 공통 탐색 공간 설계
KR101824996B1 (ko) 하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WO201922064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75729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CN118160392A (zh) 用于调度全双工通信的技术
JP2018085774A (ja) Dciを使用しての動的なtdd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構成
JP2017098970A (ja) Dciを使用しての動的なtdd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構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